KR101259633B1 -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 Google Patents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33B1
KR101259633B1 KR1020060091391A KR20060091391A KR101259633B1 KR 101259633 B1 KR101259633 B1 KR 101259633B1 KR 1020060091391 A KR1020060091391 A KR 1020060091391A KR 20060091391 A KR20060091391 A KR 20060091391A KR 101259633 B1 KR101259633 B1 KR 10125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reference data
block
column
prev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406A (ko
Inventor
박봉임
김우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33B1/ko
Priority to US11/856,987 priority patent/US7688299B2/en
Publication of KR2008002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3Acousto-optical deflection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에서, 메모리는 한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룩업 테이블은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한다. 연산기는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아서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연산기는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한다. 따라서, 보간장치의 보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INTERPOLATION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INTERPOL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저계조차 블럭에서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계조차 블럭에서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간장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간장치 110 -- 메모리
120 -- 룩업 테이블 130 -- 연산기
135 -- 타이밍 컨트롤러 200 -- 표시패널
210 -- 데이터 구동회로 220 -- 게이트 구동회로
300 -- 표시장치
본 발명은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신호를 정확하게 보간할 수 있는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얻는다. 이때, 액정층에 한 방향의 전계가 오랫동안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열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행, 열 또는 도트 단위로 공통전압에 대해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구동방식이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정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이하, 이전 데이터 전압)과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이하, 현재 데이터 전압)의 차이에 따라서 현재 데이터 전압을 보상하여 액정 커패시터의 충전 속도를 빠르게하는 디씨씨(Da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DCC 방식을 채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이전 데이터 전압과 현재 데이터 전압의 전압차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면 액정 커패시터에 현재 데이터 전압보다 큰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액정 커패시터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전 데이터 전압과 현재 데이터 전압의 계조 차이가 적은 영역에서는 현재 데이터 전압의 보간식이 정확하지 않아서 보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 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영상신호와 현재영상신호의 계조 차이가 작은 영역에서 현재영상신호를 정확하게 보간하기 위한 보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보간장치를 채용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신호를 보간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간장치는 메모리, 룩업 테이블 및 연산기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한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가 독출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에는 다수의 기준 데이터가 기 저장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이전영상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한다. 상기 연산기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서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연산기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메모리, 룩업 테이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구동회로, 게이트 구동회로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한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가 독출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기입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에는 다수의 기준 데이터가 기 저장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이전영상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서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데이터 제어신호 및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게 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에 동기하여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을 입력받아서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보간방법에 따르면,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 및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한다.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한다.
이러한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에 따르면,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함으로써, 보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간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간장치(100)는 메모리(110), 룩업 테이블(Looh Up Table: LUT)(120) 및 연산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0)는 프레임 메모리로써, 한 프레임 단위로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간장치(100)가 현재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Gn)를 입력받으면, 상기 메모리(1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Gn-1)가 독출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메모리(110)에 기입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120)에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 및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독출된 상기 이전영상신호(Gn-1)가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현재영상신호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 수는 α비트로 이루어지고, 하위비트 수는 β비트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룩업 테이블(120)은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 수(α)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 수(α)에 의해서 결정되는 (2α+1)×(2α+1)조합에 대해서만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2에서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 수가 4비트일 때의 룩업 테이블(120)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룩업 테이블(120)은 17×17 개의 정사각형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재영상신호(Gn)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전체비트 수가 8비트라고 가정할 때, 상기 상위비트 수(α)가 4비트이면, 상기 하위비트 수(β)도 4비트가 된다. 여기서, 각 블럭의 간격(N)은 2β로 정의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120)에서 가로축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나타낸다. 상기 룩업 테이블(120)의 각 블럭의 경계에서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룩업 테이블(120)의 대각선(D)을 포함하는 블럭에서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는 서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각 블럭 내에서 상기 현재영상신호(Gn)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는 서로 다른 상위비트를 갖는다.
상기 연산기(130)는 상기 룩업 테이블(120)로부터의 기준 데이터들, 상기 현재영상신호(Gn)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를 입력받아서, 기 설정된 보간식을 근거로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한다.
상기 연산기(130)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블럭(이하, 저계조차 블럭)과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블럭(이하, 고계조차 블럭)에 대해서 서로 다른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한다.
룩업 테이블(12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들은 비선형적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룩업 테이블(120)에서 로우방향보다 컬럼방향이 더 비선형적 특성을 가진다.
비선형 특성을 갖는 기준 데이터들을 근거로하여 1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통해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하면, 보간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기 연산기(130)는 영상신호의 컬럼 성분은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간영상신호(Gn')를 산출함으로써, 보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저계조차 블럭에서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저계조차 블럭(121)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및 제9 기준 데이터(f00, f10, f20, f01, f11, f12, f02, f21, f22)에 의해서 정사각 형태로 정의된다.
상기 저계조차 블럭(121)은 상기 제1, 제2, 제3, 제5, 제6 및 제9 기준 데이터(f00, f10, f20, f11, f12, f22)에 의해서 정의된 하부 삼각블럭(121a) 및 상기 제1, 제4, 제5, 제7, 제8 및 제9 기준 데이터(f00, f01, f11, f02, f21, f22)에 의해서 정의된 상부 삼각블럭(121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은 상기 저계조차 블럭의 대각선(D)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블럭이고,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큰 라이징 파트(rising part)로 정의된다. 상기 상부 삼각블럭(121b)은 상기 저계조차 블럭의 대각선(D)보다 위에 존재하는 블럭이고,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작은 폴링 파트(falling part)로 정의된다.
먼저,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큰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에서 제1 보간식(F1)의 산출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의 제1 컬럼라인(CL1) 상에 존재하는 제1 내지 제3 기준 데이터(f00, f10, f20)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1 기준식(fA1)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준식(fA1)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의 컬럼 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식(fA1)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2098028903-pat00001
삭제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2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3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4
이다.
또한, N은 상기 블럭 간격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0는 상기 제1 기준식(fA1)에서 상기 제1 기준 데이터(f00)가 산출되는 y값이다.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의 상기 대각선(D) 상에 존재하는 제1 및 제5 기준 데이터(f00, f11)를 근거로하여 1차식으로 이루어진 제2 기준식(fB1)을 산출한다.
상기 제2 기준식(fB1)은 <수학식 2>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5
여기서,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제1 보간식(F1)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식(fA1, fB1)의 비례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에서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6
따라서, 상기 제1 보간식(F1)은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7
여기서,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큰 경우, 상기 연산기(130,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제1 보간식(F1)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한다.
다음,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작은 상기 상 부 삼각블럭(121b)에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는 제2 보간식(F2)에 의해서 산출된다.
상기 상부 삼각블럭(121b)의 제2 컬럼라인(CL2) 상에 존재하는 제7 내지 제9 기준 데이터(f02, f12, f22)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3 기준식(fA2)을 산출하고, 상기 제3 기준식(fA2)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의 컬럼 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준식(fA2)은 <수학식 5>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09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0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1
이다.
또한, N은 상기 블럭 간격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2는 상기 제3 기준식(fA2)에서 상기 제9 기준 데이터(f22)가 산출되는 y값이다.
상기 상부 삼각블럭(121b)의 상기 대각선(D) 상에 존재하는 제5 및 제9 기준 데이터(f11, f22)를 근거로하여 1차식으로 이루어진 제4 기준식(fB2)을 산출한다.
상기 제4 기준식(fB2)은 <수학식 6>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2
여기서,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제2 보간식(F2)은 상기 제3 및 제4 기준식(fA1, fB1)의 비례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상부 삼각블럭(121b)에서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3
따라서, 상기 제2 보간식(F2)은 <수학식 8>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4
또한,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연산기(130)는 상기 제2 보간식(F2)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대각선(D)을 포함하는 저계조차 블럭(121)에 대해서 상기한 <수학식 4> 및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산출하면,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삼각블럭(121a)에서의 룩업 테이블(120, 도 1에 도시됨)의 기울기와 상기 상부 삼각블럭(121b)에서의 룩업 테이블(120)의 기울기는 액정 특성상 서로 상이하므로, 두 블럭(121a, 121b)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간식(F1, F2)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정확하게 보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와 상기 현재영상신호(Gn)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보정영상신호(Gn')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와 동일하다.
도 4는 고계조차 블럭에서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고계조차 블럭(122)은 제10, 제11, 제12, 제13, 제14 및 제15 기준 데이터(f33, f43, f53, f34, f44, f54)에 의해서 정사각 형태로 정의된다.
상기 고계조차 블럭(122)에서 보정영상신호(Gn')는 제3 보간식(F3)에 의해서 계산된다. 이하, 상기 제3 보간식(F3)의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계조차 블럭(122)의 제3 컬럼라인(CL3) 상에 존재하는 제10 내지 제12 기준 데이터(f33, f43, f53)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5 기준식(fA3)을 산출하고, 상기 제5 기준식(fA3)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의 컬럼 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5 기준식(fA3)은 상기한 <수학식 9>로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6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7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8
이다.
또한,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3는 상기 제5 기준식(fA3)에 상기 제10 기준 데이터(f33)가 산출되는 y값이다.
상기 고계조차 블럭(122)의 제4 컬럼라인(CL4) 상에 존재하는 제13 내지 제15 기준 데이터(f34, f44, f54)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6 기준식(fB3)을 산출하고, 상기 제6 기준식(fB3)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의 컬럼 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6 기준식(fB3)은 다음 수학식 10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19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0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1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2
이다.
또한,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4는 상기 제6 기준식(fB3)에서 상기 제13 기준 데이터(f34)가 산출되는 y값이다.
상기 제3 보간식(F3)은 상기 제5 및 제6 기준식(fA3, fB3)의 비례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고계조차 블럭(122)에서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3
여기서, N은 상기 블럭 간격이고,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상기 제3 보간식(F3)은 <수학식 1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4
여기서, N은 상기 블럭 간격이고,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계조차 블럭(122)에 대해서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5 및 제6 기준식(fA3, fB3)에 의해서 산출된 상기 제3 보간식(F3)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정확하게 보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간장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타이밍 컨트롤러(135), 룩업 테이블(120), 메모리(110), 데이터 구동회로(210), 게이트 구동회로(220) 및 표시패널(200)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외부 제어신호(O-CS) 및 현재영상신호(Gn)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외부 제어신호(O-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클럭, 데이터 인에이블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600)는 상기 외부 제어신호(O-CS)를 기초로하여 데이터 제어신호(CS1)와 게이트 제어신호(CS2)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CS1)는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로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CS1)는 상 기 데이터 구동회로(21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개시신호,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신호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는 시기를 결정하는 출력지시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CS2)는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20)로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CS2)는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2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직개시신호, 게이트 펄스의 출력 시기를 결정하는 게이트 클럭신호 및 게이트 펄스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입력받으면, 상기 메모리(1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전영상신호(Gn-1)를 독출하고, 이후 상기 현재영상신호(Gn)를 상기 메모리(110)에 기입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는 상기 룩업 테이블(120)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f)을 읽어들인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는 상기 기준 데이터들(f), 상기 현재영상신호(Gn)의 하위비트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Gn-1)의 하위비트를 기 설정된 보간식(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보간식(F1, F2, F3, 도 3 및 도 4에 도시됨) 중 어느 하나 임)에 대입하여 보정영상신호(Gn')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보정영상신호(Gn')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CS1)에 동기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로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는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지 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에는 도 1에 도시된 연산기(130)가 내장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110) 및 룩업 테이블(120)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CS1)에 동기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는 감마기준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생성된 감마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상기 보정영상신호(Gn')를 상기 감마기준전압을 근거로하여 제1 내지 제m 데이터 전압(D1 ~ Dm)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20)는 DC/DC 컨버터(미도시)로부터 생성된 게이트 온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전압(Voff)을 입력받아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5)로부터의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CS2)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n 게이트 펄스(G1 ~ Gn)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패널(200)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 DLm)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 GLn)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 DLm)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m 데이터 전압(D1 ~ Dm)을 입력받고,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 GLn)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펄스(G1 ~ Gn)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 DLm)과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 GLn)에 의해서 상기 표시패널(200)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다수의 화소영역이 정의되고, 각 화소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액정 커패시터(Clc)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화소영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은 제1 게이트 라인(GL1)에 연결되고, 소오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의 제1 전극인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상기 제1 게이트 펄스(G1)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전압(D1)을 상기 화소전극으로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패널(200)는 어레이 기판(미도시), 상기 어레이 기판과 마주하는 컬러필터기판(미도시)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레이 기판에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 GLn),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 DLm),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기판에는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의 제2 전극인 공통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전극에는 기준전압인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은 유전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에는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상기 공통전압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전압에 의해서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은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배열된 액정층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후면으로부터 공급된 광의 투과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200)에는 상기 현재영상신호(Gn)에 대응하는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에 따르면,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저계조차 영역에서도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함으로써, 저계조차 영역에서의 보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한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가 독출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가 기입되는 메모리;
    다수의 기준 데이터가 기 저장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이전영상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 및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아서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의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연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동일한 제1 블럭에서 상기 제1 블럭의 경계에 있는 한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컬럼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의 대각선 상에 존재하는 기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은,
    상기 제1 블럭의 좌측 경계에 있는 제1 컬럼라인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의 대각선에 의해서 정의되는 하부 삼각블럭; 및
    상기 제1 블럭의 우측 경계에 있는 제2 컬럼라인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의 대각선에 의해서 정의되는 상부 삼각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보정영상신호는 하부 삼각블럭 내에 존재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보정영상신호는 상부 삼각블럭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삼각블럭에서 상기 보정영상신호의 컬럼 성분은 상기 제1 컬럼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존재하는 제1, 제2 및 제3 컬럼 기준 데이터(f00, f10, f20)에 의해서 산출된 2차식의 제1 기준식(fA1)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제1 기준식(fA1)은,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5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6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7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8
    이고,
    N은 상기 제1 및 제2 컬럼 기준 데이터(f00, f10)의 간격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0는 상기 제1 기준식(fA1)에서 상기 제1 컬럼 기준 데이터(f00)를 산출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삼각블럭에서 상기 대각선 상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데이터는 1차식의 제2 기준식(fB1)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제2 기준식(fB1)은,
    Figure 112006068039770-pat00029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f00는 상기 제1 컬럼 기준 데이터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삼각블럭에서 보간식(F1)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식(fA1, fB1)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비례식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0
    을 만족하고,
    상기 비례식에 의해서 상기 보간식(F1)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1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삼각블럭에서 상기 보정영상신호의 컬럼 성분은 상기 제2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제4, 제5 및 제6 컬럼 기준 데이터(f02, f12, f22)에 의해서 산출된 2차식의 제3 기준식(fA2)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제3 기준식(fA2)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2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3
    이고,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4
    이며,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5
    이고,
    N은 상기 제4 및 제5 컬럼 기준 데이터(f02, f12)의 간격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2는 상기 제3 기준식(fA2)에서 상기 제6 컬럼 기준 데이터(f22)를 산출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삼각블럭에서 상기 대각선 상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데이터는 1차식의 제4 기준식(fB2)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제4 기준식(fB2)은,
    Figure 112006068039770-pat00036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22는 상기 제6 컬럼 기준 데이터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삼각블럭에서 보간식(F2)은 상기 제3 및 제4 기준식(fA2, fB2)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비례식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7
    을 만족하고,
    상기 비례식에 의해서 상기 보간식(F2)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8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하지 않은 제2 블럭에서 상기 제2 블럭의 좌측 경계에 있는 제3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좌측컬럼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2 블럭의 우측 경계에 있는 제4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우측컬럼 기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제7, 제8 및 제9 컬럼 기준 데이터(f33, f43, f53)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5 기준식(fA3)을 산출하고, 상기 제5 기준식(fA3)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의 컬럼 성분을 계산하며,
    상기 제5 기준식(fA3)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39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0
    이고,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1
    이며,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2
    이고,
    N은 상기 제7 및 제8 컬럼 기준 데이터(f33, f43)의 간격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3는 상기 제5 기준식(fA3)에서 상기 제7 컬럼 기준 데이터(f33)를 산출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컬럼라인 상에 존재하는 제10, 제11 및 제12 컬럼 기준 데이터(f34, f44, f54)를 근거로하여 2차식으로 이루어진 제6 기준식(fB3)을 산출하고, 상기 제6 기준식(fB3)에 의해서 상기 보정영상신호의 컬럼 성분을 계산하며,
    상기 제6 기준식(fB3)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3
    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4
    이고,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5
    이며,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6
    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4는 상기 제6 기준식(fB3)에서 상기 제10 컬럼 기준 데이터(f34)를 산출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럭에서 보간식(F3)은 상기 제5 및 제6 기준식(fA3, fB3)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비례식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7
    상기 보간식(F3)은,
    Figure 112012098028903-pat00048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여기서,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간격(N)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컬럼축은 상기 현재영상신호를 나타내고, 로우축은 상기 이전영상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영상신호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 수는 α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 및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2α+1)×(2α+1)개의 기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장치.
  17. 한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가 독출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가 기입되는 메모리;
    다수의 기준 데이터가 기 저장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이전영상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서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며,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데이터 제어신호 및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에 동기하여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을 입력받아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동일한 제1 블럭은 상기 룩업 테이블의 대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럭은 좌측 경계에 존재하는 연속하는 제1 내지 제3 컬럼 기준 데이터와 상기 대각선에 의해서 정의된 하부 삼각블럭 및 우측 경계에 존재하는 제4 내지 제6 컬럼 기준 데이터와 상기 대각선에 의해서 정의된 상부 삼각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럼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1 기준식 및 상기 대각선 상의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2 기준식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된 제1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삼각블럭 내에 존재하는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컬럼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3 기준식 및 상기 대각선 상의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4 기준식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된 제2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삼각블럭 내에 존재하는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하지 않은 제2 블럭에서 상기 제2 블럭의 좌측 경 계에 존재하는 제7 내지 제9 컬럼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2 블럭의 우측 경계에 존재하는 제10 내지 제12 컬럼 기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7 내지 제9 컬럼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5 기준식 및 상기 제10 내지 제12 컬럼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한 제6 기준식의 비례식에 의해서 산출된 제3 보간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블럭 내에 존재하는 상기 보정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이전영상신호) 및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이하, 현재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 상기 기준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한 경우와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2차식으로 이루어진 보간식을 이용하여 보정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보정영상신호는 제1 보간식(F1)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제1 보간식(F1)은,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0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1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2
    이고,
    f00는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제1 기준 데이터이고, f10는 상기 f00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2 기준 데이터이며, f20는 상기 f10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3 기준 데이터이고,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0는 상기 제1 기준 데이터에 대응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동일하고, 상기 현재영상신호가 상기 이전영상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보정영상신호는 제2 보간식(F2)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제2 보간식(F2)은,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3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4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5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6
    이고,
    f22는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제4 기준 데이터이고, f12는 상기 f22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5 기준 데이터이며, f02는 상기 f12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6 기준 데이터이고,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2는 상기 제4 기준 데이터에 대응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가 서로 다르면, 상기 보정영상신호는 제3 보간식(F3)에 의해서 산출되고,
    상기 제3 보간식(F3)은,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7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8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59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60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61
    이며,
    Figure 112006068039770-pat00062
    이고,
    Figure 112006068039770-pat00063
    이며,
    f33는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위비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상위비트에 대응하는 제7 기준 데이터이고, f43는 상기 f33으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8 기준 데이터이며, f53는 상기 f43으로부터 컬럼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9 기준 데이터이고,
    f34는 상기 f33으로부터 로우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10 기준 데이터이고, f44는 상기 f43으로부터 로우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11 기준 데이터이며, f54는 상기 f53으로부터 로우 방향으로 한 블럭 간격(N)만큼 이격된 제12 기준 데이터이고,
    x는 상기 이전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고, y는 상기 현재영상신호의 하위비트를 상기 블럭 간격(N)으로 나눈 값이며, y3은 상기 제7 기준 데이터에 대응하는 y값이고, 상기 y4는 상기 제10 기준 데이터에 대응하는 y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간방법.
KR1020060091391A 2006-09-20 2006-09-20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KR10125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391A KR101259633B1 (ko) 2006-09-20 2006-09-20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US11/856,987 US7688299B2 (en) 2006-09-20 2007-09-18 Interpolation device for use in a display apparatus and interpol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391A KR101259633B1 (ko) 2006-09-20 2006-09-20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406A KR20080026406A (ko) 2008-03-25
KR101259633B1 true KR101259633B1 (ko) 2013-05-07

Family

ID=3918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391A KR101259633B1 (ko) 2006-09-20 2006-09-20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88299B2 (ko)
KR (1) KR101259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055A (ja) * 2006-12-11 2008-06-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US20080297497A1 (en) * 2007-06-01 2008-12-04 Faraday Technology Corp.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717268B2 (en) * 2007-06-14 2014-05-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2009094947A (ja) * 2007-10-11 2009-04-30 Sanyo Electric Co Ltd 補正演算回路
KR101587913B1 (ko) * 2008-06-02 2016-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신호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480353B1 (ko) * 2008-07-11 2015-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73419B1 (ko) * 2010-11-22 2017-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9761187B2 (en) * 2012-10-02 2017-09-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2041513B1 (ko) 2013-02-20 2019-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US9940734B2 (en) * 2015-12-31 2018-04-10 Intel Corporation Color transformation using one or multi-dimensional hierarchical lookup table
KR102433924B1 (ko) * 2016-01-14 2022-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N109493800B (zh) * 2018-11-30 2020-08-0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视角补偿查找表的处理方法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991A (ja) 2003-03-28 2004-10-21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駆動補償を行う液晶表示装置の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9285B2 (ja) * 2006-06-1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システム、画像出力装置、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8499634B2 (en) * 2006-11-10 2013-08-06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Transducer array imaging system
US20080114247A1 (en) * 2006-11-10 2008-05-15 Penrith Corporation Transducer array im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991A (ja) 2003-03-28 2004-10-21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駆動補償を行う液晶表示装置の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406A (ko) 2008-03-25
US7688299B2 (en) 2010-03-30
US20080069479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33B1 (ko) 보간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보간방법
KR1016985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4217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118421A (en)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liquid crystal panel
US200502645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2012004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0006208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0087051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00123653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Grayscale Voltage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78001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9099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7003967A (ja) 表示装置
KR10138656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20089081A (ko) 액정 표시 장치, 영상 신호 보정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KR20070069797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509178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09764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38902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감마전압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35293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97585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20090117510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8004888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8046371A (ja) 信号処理回路および方法
KR20070072095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5005515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