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382B1 -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382B1
KR101257382B1 KR1020120140340A KR20120140340A KR101257382B1 KR 101257382 B1 KR101257382 B1 KR 101257382B1 KR 1020120140340 A KR1020120140340 A KR 1020120140340A KR 20120140340 A KR20120140340 A KR 20120140340A KR 101257382 B1 KR101257382 B1 KR 10125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server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길
전영민
양선옥
김경훈
신교혁
김승태
Original Assignee
한국비전기술(주)
우리비젼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비전기술(주), 우리비젼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비전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14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91Signalling events for better perception by user, e.g. indicating alarms by making display brighter, adding text, creating a sound
    • G08B13/19693Signalling events for better perception by user, e.g. indicating alarms by making display brighter, adding text, creating a sound using multiple video sources viewed on a single or compound scre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은 복수 개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화면 형태로 표출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되는 월 디스플레이; 상기 각 디스플레이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영상 데이터의 표출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표출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표출에 대한 명령 정보를 각 표출 서버마다 생성하여 해당 표출 서버로 전송하는 표출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표출서버는 상기 표출제어서버로부터 명령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되도록 프로세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WDC SYSTEM FOR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EMBODIED BY VIRTUAL TECHNOLOGY}
본 발명은 CCTV 통합 관제센터에 적용되는 WDC(Wall Display Control)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 CCTV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싱 과정에 가상화 기술을 융합하여 접목시킴으로써 WD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의 장치 독립성과 영상 모니터링 및 각 상황 내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을 더욱 적절하게 표출시킴으로써 기존 CCTV의 통합 관제센터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범죄 예방, 안전 사고 방지, 산불 등 재난 상황 등의 모니터링 및 신속한 대처 등은 물론, 주차 관리, 교통 상황 안내 등을 위하여 광범위한 차원에서 CCTV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더욱 증가되고 통합되는 추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관제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상당 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TCP/I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중간 서버(40) 등으로 입력 및 저장되며, 이렇게 입력된 영상은 통합관제시스템에 설치된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로 표출된다(10).
종래 통합관제시스템은 이 과정에서 입력 영상을 월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라는 구성을 필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물리적 스위칭 모듈의 집합체(도 2 참조)로 이루어지는데 소정 제어장치(30)의 제어를 통해 스위칭 모듈의 절환 작동(switching)이 이루어짐으로써 입력 영상이 분배되어 월디스플레이의 개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입력 영상의 개수, 월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개별 디스플레이의 개수, 입력 영상에 따른 출력 디스플레이 선택에 의한 조합의 수 등에 함수적으로 비례하는 볼륨(volume)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이러한 입력 변수를 충족하기 위하여 본질적으로 상당한 개수의 스위칭모듈을 포함할 수밖에 없게 된다.
개별 스위칭모듈은 물리적 소자로 구현되므로 결국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상당한 물리적 소자의 집합체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거대한 매스(mass)로 구현될 수밖에 없으므로 그 자체가 공간을 차지하는 물리적 부피가 상당함은 물론, 구축 등의 비용 또한 상당히 고가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종래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모듈로써 원가가 높고, 스위칭 구성 방법이 복잡하여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는 경우 그 비용이 상당히 높으며 또한, 운용함에 있어서도 복잡한 물리적 구성이 본질적으로 수반되므로 전문가 의존도가 높아 운용 효율성이나 운용 비용도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CTV 카메라가 기준 개수 이상 증설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의 추가 설치가 요구되므로 장치 확장성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며,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20)는 상당 개수의 물리적 소자의 집합체이므로 자체 발생되는 열과 진동에 의하여 고장이나 오동작 가능성이 높고, 조합에 의한 영상 라인의 물리적 연결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수많은 라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어 고장 발견의 어려움은 물론, 라인간 물리적 접촉 등에 의한 2차적 안전 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며 라인간 신호 간섭 등에 항시적으로 노출되므로 출력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더욱이, 관제시스템은 모니터링 상황과 관리자의 인터페이싱 조작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자연스럽게 CCTV영상이 월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질적으로 비디오메트릭스스우치를 이용하는 관제시스템의 경우에는 물리적 소자의 스위칭 조합에 제한될 수밖에 없는 장치종속성으로 인해 사용자 인터페이싱에 상당한 제약을 주므로 부적절한 표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것은 CCTV 통합관제센터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 CCTV통합관제센터에서 본질적 문제를 수반하는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를 가상화 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구성을 통하여 대체함으로써 CCTV 통합관제 센터의 구축, 운영, 확장 증설 및 유지 보수 등에서 비약적인 경제적 효과를 창출함은 물론, 영상 표출 프로세싱을 모니터링 상황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싱에 따라 더욱 적절하게 표출시킴으로써 기존 CCTV 통합관제센터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CCTV 통합 관제센터 WDC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은 복수 개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화면 형태로 표출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되는 월 디스플레이; 상기 각 디스플레이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영상 데이터의 표출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표출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표출에 대한 명령 정보를 각 표출 서버마다 생성하여 해당 표출 서버로 전송하는 표출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표출서버는 상기 표출제어서버로부터 명령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화면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되도록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표출제어서버는 표출될 영상 데이터의 선택 환경 및 영상 데이터가 표출될 디스플레이모듈의 조합에 대한 선택 환경을 포함하는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GUI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표출제어서버는 상기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파싱부;
상황 발생에 대한 조건 정보가 설정 저장되는 조건설정부; 및 상기 파싱부로부터 분석된 특성 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에서 벗어나 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황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상황 발생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환경 정보를 상기 명령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표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월 디스플레이의 화면 구성에 대한 상황화면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 정도에 대응하는 상기 상황화면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read)하고 이에 해당하는 월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각 표출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특성 정보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픽셀의 명도 정보이며, 상기 조건정보는 움직임 벡터 또는 명도 정보에 대한 기준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정보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은 종래 물리적 구성으로 구현되는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를 소프트웨어 및 논리적 구성에 의한 가상화 기술을 융합하여 대처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현의 편의성은 물론, 구축, 유지, 관리 및 보수 등에 대한 모든 측면에서 비약적인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 기술로 구현되는 인프라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다양한 현장 요구를 반영하고 관리자의 모니터링 환경에 대한 자유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재난, 위험 등에 따른 차등적인 화면 구성을 적응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종래 물리적 장치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수반되는 라인 인접 등에 의한 신호 노이즈 발생, 오동작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카메라, 디스플레이의 증설 등에 대한 장치 확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CCTV 통합관제센터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스위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표출제어서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화면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표출 방법의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9는 가상화 기술을 접목하여 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을 통하여 설명하며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프로세싱 방법 등은 이하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월 디스플레이(110), 표출서버(120) 및 표출제어서버(130)로 구성되며, 영상 검색 등을 수행하는 검색 서버(140) 또는 데이터를 서버 차원에서 저장하는 저장 서버(1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상호 융합적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월 디스플레이(Wall display)(110)는 복수 개의 개별 디스플레이모듈(111)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별디스플레이모듈(111)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표출서버(120)의 제어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분할 내지 통합된 화면 형태로 CCTV(5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표출된다.
복수 개의 CCTV(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취합, 공통 데이터 변환, 분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장치 커넥터 서버 풀(55)의 매개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현되는 표출서버(120)는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CCTV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표출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도 3에는 2개의 표출서버(120-1, 120-2)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표출서버(1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표출서버(120)가 영상데이터를 표출하는 구체적인 형태, 방법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표출서버(120)에는 내부에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내지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표출제어서버(130)와의 명령 체계 신호에 대한 요청과 전송 등의 과정을 통하여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는 LCD 모니터 등의 화면표시수단에 출력되는 소정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Graphic User Interface, GUI)을 통하여 사용자(통제 관리자 등)가 제어 신호(영상 표출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표출에 대한 명령 정보를 각 표출서버(120)마다 생성한다.
이와 같이 각 표출서버(120)마다 생성된 명령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표출서버(120)로 전달되며, 각 표출서버(120)는 이 명령 정보와 내부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모듈(111)에 특정된 영상 데이터가 표출되게 된다.
이 때, 표출제어서버(130)로부터 표출서버(120)로 입력되는 명령 정보에는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 레이아웃 정보 즉, 화면 분할 여부, 분할 개수 정보, 단위 영상 표출 섹터의 조합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표출서버(120)는 상기 표출제어서버(130)로부터 명령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1)에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정보에는 복수 개의 CCTV 영상 데이터 중 특정 디스플레이모듈(111)에 표출될 영상 데이터를 정의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는 표출될 영상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은 물론, 영상 데이터가 표출될 디스플레이모듈(111) 선택 또는 복수 개 디스플레이모듈의 조합적 선택을 위한 입력 환경을 포함하는 GUI 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모듈(170)로 전송하고, 상기 GUI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모듈(170)에 화면 분할에 대한 다양한 형태(A)가 GUI를 통해 표출시키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 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전체 디스플레이모듈을 화면 창으로 나타내고(B) 사용자가 마우스를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로 커버되는 영역에 선택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 분할 형태를 선택하면, 선택된 화면 분할 형태가 B 영역에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출서버(120-1)는 내부에 탑재된 S/W에 의하여 제1디스플레이모듈(111)을 하나 이상의 분할된 화면으로 구성하여 해당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모듈(111)이 4개의 분할 화면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제3표출서버(120-3)은 제3디스플레이모듈(115)를 하나 이상의 복수 개 화면으로 분할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표출제어서버(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3의 표출서버(120)와 표출제어서버(130)는 물론, 도 4의 표출제어서버(14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31), 저장부(132), 제어부(133), 영상입력부(134), 파싱부(135), 조건설정부(136) 및 명령출력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3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모듈(170)의 GUI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영상입력부(134)는 TCP/IP를 통하여 CCTV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이와 같이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본 발명의 파싱부(135)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파싱부(135)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특성 정보를 분석한다. 특성 정보는 CCTV 고유 ID 정보를 비롯하여, 영상 고유 데이터인 RGB 정보, YCbCr 정보, 피사체 이동 여부에 대한 움직임 벡터, 영상에서 사람으로 간주되는 피사체의 개수 또는 그 변동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건설정부(136)는 상황(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조건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황 또는 이벤트라고 지칭되는 용어는 영상 정보 분석을 통하여 특정 영상에서 침입, 탈출, 차량 충돌, 화재 등과 같은 위험 요인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평상시 영상 값과 대비하여 임계값(threshold) 이상 차이가 나는 명도 정보가 감지된다는 것은 화재, 폭발 등과 같은 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가 특정 벡터 영역을 벗어나거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 차량 충돌이나 소요, 긴급 피난 등의 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상황(이벤트)에 대한 조건은 영상 데이터의 통계적 특정 정보 등을 활용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조건 정보는 본 발명의 상기 조건설정부(136)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133)는 상기 파싱부(135)로부터 분석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조건설정부(136)에 저장된 조건 정보를 독출하여(read) 특성정보가 조건 정보에서 벗어나는지 또는 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등을 분석한다.
조건에 벗어나지 않는다면 즉, 평상시 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제어부(133)는 이 전 영상 데이터 출력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는 명령 신호를 명령출력부(137)를 통하여 각 표출서버(120)로 전송한다.
이에 반해, 만약 상기 특성정보가 조건 정보에서 벗어나 이벤트(특정 상황)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이 이벤트(상황)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별하고, 이벤트(상황) 발생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환경 정보를 명령 정보에 포함시켜 해당 표출서버(120)로 전송한다.
영상 출력 환경 정보는 상황이나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에서 예시된 현실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 이러한 조건 정보는 각 상황에 부합되는 다양한 상황 조건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범 침입 상황이 설정된다면, 파싱 결과 관심 영역에 사람(객체)이 감지되면 사람을 추적하여 이동 경로를 통하여 침입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입 상황이라고 자동 판단되면 시스템은 모니터링 요원에게 알리기 위해 각 상황에 해당하는 카메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별하고, 그 상황 발생에 대응되는 영상이 월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각 상황에 따른 화면 구성 환경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에서 예시된 현실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만약 80개의 CCTV가 20개의 개별디스플레이모듈(111)로 구성된 월 디스플레이(110)에 표출된다면 개별 디스플레이모듈(111)은 4개의 분할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가 80개의 화면을 주시하여야 한다는 의미가 되는데 관리자가 상당 수 배치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소수의 관리자가 80개의 화면 주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CCTV 카메라 영상에서 위급 상태 또는 화재, 재난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관리자가 이를 쉽게 발견하기 어렵고 그러므로 초동 대체가 늦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은 이러한 현실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이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의 경우 물리적인 절환동작에 의하여 영상 표출이 제어되므로 특정 이벤트(상황) 발생에 유기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평상 시 즉, 긴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개별 CCTV 영상 데이터(#1 데이터 ~ #N 데이터)가 N개의 개별 디스플레이모듈(111)에 각각 표출되도록 하고, 이벤트(상황)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 출력 환경 정보를 이벤트(상황) 발생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환경으로 설정해 두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조건 환경에서 #1 영상데이터에서 이벤트(상황)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의 제어부(133)는 #1 영상 데이터가 전체 월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표출 단위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어부(133)는 #1 영상 데이터를 N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첫 번째 영상 영역이 표출되도록 하는 명령 정보를 #1 표출서버(120-1)로 전송하고, 두 번째 영상 영역이 표출되도록 하는 명령 정보를 #2 표출서버(120-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수순에 의하여 마지막 영상 영역이 표출되도록 하는 명령 정보는 마지막 표출서버(120-1)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유기적이고 즉각적인 명령 정보의 전환에 의하여 각 표출서버(120)는 해당하는 영역의 영상데이터만 해당 디스플레이모듈(111)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므로 결국 #1 영상 데이터는 월 디스플레이 전체에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설혹 관리자의 화면 주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주의 내지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영상이 자동적으로 화면 전환되어 표출되므로 간과되거나 지연 확인되는 상황 진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WDC 시스템 즉, Wall Display Control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예는 물론, 다양한 화면 표출 환경 설정과 명령 정보 전달에 의한 소프트웨어적 제어를 통하여 적응적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어 통합관제센터의 관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화 컴퓨터 기술은 특정 물리적인 하드웨어나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거나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인프라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체 운용 시스템까지 컴퓨팅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총칭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상화 컴퓨팅 기술을 융합하여 상기와 같은 WDC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면 전환에 대한 적응적 구성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모듈(111)(A로 지칭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화면 분할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A 디스플레이모듈은 표출서버(120)의 제어를 통해 4개의 화면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영역은 도 7의 (a)와 같이 동일한 #1 영상이 4개로 분할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표출서버(120) 및 표출제어서버(130)의 제어를 통해 도 7의 (b)와 같이 4개로 분할된 화면에는 #1 내지 #4의 영상이 각각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7의 (c)와 같이 #1 영상이 각각 분할영역마다 분할 표출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1 영상이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A~F 6개의 디스플레이모듈을 예시하고 있는데, 표출서버(120) 및 표출제어서버(130)의 제어를 통해 A디스플레이모듈에는 #1 영상이, B디스플레이모듈에는 #2 영상, C디스플레이모듈에는 #3 영상, D디스플레이모듈에는 #4 영상, E디스플레이모듈에는 #5 영상 및 E디스플레이모듈에는 #5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의 확장된 예로서, 도 9와 같이 A와 B디스플레이모듈에는 #1 영상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C디스플레이모듈에는 #3 영상, D디스플레이모듈에는 #4 영상 및 E, F 디스플레이모듈에는 #6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면 구성은 표출제어서버(13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를 기초로, 표출서버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각 표출서버마다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며 전송된 명령 정보에 따라 각 표출서버가 영상 표출을 프로세싱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가상화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종래 비디오메트릭스스위치에서는 전혀 구현할 수 없는 화면 구성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한 사용자 의사 또는 후술되는 자동화된 방법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통계적 데이터 활용, 관제 정책 수립 등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의 활용을 위하여 이벤트(상황) 발생 시간, 위치, CCTV ID 정보 등에 대한 다양한 이력 데이터 정보가 소정의 저장부(132)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저장부(132)는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성된 월디스플레이(110) 화면 구성에 대한 상황화면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후, 본 발명의 제어부(133)는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벗어난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황화면정보를 상기 저장부(132)로부터 독출한다.
그 후, 독출된 상황화면정보에 해당하는 월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명령 정보를 각 표출서버마다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정보를 해당 표출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형태는 관리자의 주의 또는 집중을 요하는 정도, 간과되지 않아야 할 상황에 대한 차등적 모니터링 및 대처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평상 시 영상 데이터의 명도 정보와 대조하여 10% 초과된 특성 정보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 100개의 분할 화면 영역(25개의 디스플레이모듈과 4개의 분할된 화면으로 가정한다) 중 20개의 분할 화면 영역 전체에서 해당 영상 데이터가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20% 초과된 특성 정보에 의하여 상황(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100개의 분할 화면 영역 중 50개의 분할 화면 영역 전체에서 해당 영상 데이터가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함께 시스템에 함께 구비된 알람 수단 등이 함께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표출되는 영상의 명암 반전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의 환기 및 시선 집중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체 화면으로 특정 영상이 표출되는 경우 나머지 분할 화면 영역은 종래 출력 영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동일 영상이 함께 표출되도록 하거나 집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영상이 암전되도록 하는 등의 구성을 조합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특성정보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성 등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픽셀의 명도 정보 등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픽셀의 명도 정보에 의한 조건 설정은 이력 데이터, 주변 상황(밤, 낮, 주변 밝기 등) 정보 등을 함께 고려하여 픽셀 전체의 평균 밝기 내지 명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효과적으로 인지 반영할 수 있다.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는 사람들의 군집 여부, 긴급 피난, 충돌 등과 같은 이벤트(상황)을 감지하는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람의 신체로 인지되는 피사체의 개수 등을 기준으로 상기 특성 정보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상황)가 발생되는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월 디스플레이의 화면 구성을 차등적으로 구현하는 구성 이외에 기 저장된 관리자 모바일 장치로 SMS 등을 통하여 이벤트(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이 수행하는 프로세싱을 도 6을 참조하여 보충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CCTV(50)로부터 CCTV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면(S600), 본 발명의 표출제어서버(130)는 영상 분석 등을 수행하고 설정된 조건 정보 내지 데이터를 호출한다(S610).
입력된 영상 즉, 영상 데이터에서 파싱된 특성 정보가 상기 조건 데이터에서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20), 정상 범위의 특성 정보라고 간주될 수 있다면 영상 출력에 대한 기존 표출 명령 신호를 유지하여(S630) 표출 서버로 명령 정보를 전송한다(S640).
명령 정보가 표출제어서버(130)로부터 전달되면 표출서버(120)는 표출명령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모듈(111)에 영상을 표출시킨다(S650).
이에 반해 만약 특성 정보가 조건 데이터를 이탈하는 즉, 정상 범위의 특성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조건 데이터를 이탈한 이벤트(상황) 영상을 분석하여 조건 데이터를 이탈한 정도를 산출한다(S660).
이러한 분석 및 산출 결과에 해당하는 상황화면정보(이벤트화면정보)를 기준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영상 출력 환경이 이루어지도록 각 표출서버마다 각각의 영상표출에 대한 명령 정보를 생성한다(S670).
생성된, 상황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가 표출서버(120)로 전달되면(S680) 각 표출서버(120)는 상황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모듈(111)에 영상을 표출하게 된다(S69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시스템 110 : 월 디스플레이
120 : 표출서버
130 : 표출제어서버
131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32 : 저장부
133 : 제어부 134 : 영상입력부
135 : 파싱부 136 : 조건설정부

Claims (5)

  1. 복수 개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화면 형태로 표출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되는 월 디스플레이;
    상기 각 디스플레이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영상 데이터의 표출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표출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표출에 대한 명령 정보를 각 표출 서버마다 생성하여 해당 표출 서버로 전송하는 표출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표출서버는,
    상기 표출제어서버로부터 명령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화면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되도록 프로세싱하고,
    상기 표출제어서버는,
    상기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파싱부;
    상황 발생에 대한 조건 정보가 설정 저장되는 조건설정부;
    상기 특성 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월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에 대한 상황화면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파싱부로부터 분석된 특성 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에서 벗어나 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황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영상데이터가 평상 시 출력되는 화면보다 더 큰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환경 정보가 포함된 명령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 정보를 벗어나는 정도에 대응하는 상기 상황화면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read)하고 이에 해당하는 차등적인 월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각 표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제어서버는,
    표출될 영상 데이터의 선택 환경 및 영상 데이터가 표출될 디스플레이모듈의 조합에 대한 선택 환경을 포함하는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정보를 메인디스플레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GUI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픽셀의 명도 정보이며, 상기 조건정보는 움직임 벡터 또는 명도 정보에 대한 기준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정보가 상기 조건정보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통합관제센터 WDC시스템.
KR1020120140340A 2012-12-05 2012-12-05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KR10125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40A KR101257382B1 (ko) 2012-12-05 2012-12-05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40A KR101257382B1 (ko) 2012-12-05 2012-12-05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382B1 true KR101257382B1 (ko) 2013-04-25

Family

ID=4844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340A KR101257382B1 (ko) 2012-12-05 2012-12-05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3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012A (ko) * 2014-01-06 2015-07-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영상의 단일 비트 스트림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KR20150103920A (ko) * 2014-03-04 2015-09-14 (주)한위드정보기술 Vdi의 클라이언트 제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KR20170093573A (ko) * 2016-02-05 2017-08-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222928A1 (en) * 2016-06-23 2017-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avigation on industrial operator console using touchscreen
KR102520581B1 (ko) * 2022-08-29 2023-04-12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디지털 트윈 환경의 가상 카메라뷰를 이용한 섬네일 기반 공간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11B1 (ko) * 2003-08-18 2005-06-23 김종무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KR20080044038A (ko) *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56423A (ko) * 2007-11-30 2009-06-03 가이아에이티 주식회사 버추얼 매트릭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00045791A1 (en) * 2008-08-20 2010-02-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finite recursion of monitors in surveillanc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11B1 (ko) * 2003-08-18 2005-06-23 김종무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KR20080044038A (ko) *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56423A (ko) * 2007-11-30 2009-06-03 가이아에이티 주식회사 버추얼 매트릭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00045791A1 (en) * 2008-08-20 2010-02-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finite recursion of monitors in surveillance applicatio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012A (ko) * 2014-01-06 2015-07-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영상의 단일 비트 스트림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KR102111436B1 (ko) * 2014-01-06 2020-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영상의 단일 비트 스트림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KR20150103920A (ko) * 2014-03-04 2015-09-14 (주)한위드정보기술 Vdi의 클라이언트 제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KR101580037B1 (ko) 2014-03-04 2015-12-23 (주)한위드정보기술 Vdi의 클라이언트 제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KR20170093573A (ko) * 2016-02-05 2017-08-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05625B1 (ko) * 2016-02-05 2022-06-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222928A1 (en) * 2016-06-23 2017-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avigation on industrial operator console using touchscreen
KR102520581B1 (ko) * 2022-08-29 2023-04-12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디지털 트윈 환경의 가상 카메라뷰를 이용한 섬네일 기반 공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82B1 (ko) 가상화 기술을 융합한 cctv 통합관제센터 wdc 시스템
US113817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treams
KR102412905B1 (ko)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시스템,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US8751067B2 (en) Electronic flight bag system and method
AU2021201574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7633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calable multi-camera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urveillance system
US10917557B2 (en) Human-automation collaborative tracker of fused object
EP2438583B1 (fr) Dispositif de simulation d'un environnement d'un système de supervision d'une infrastructure
EP3111428A1 (en) Smart emergency exit signs
KR10185505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040B1 (ko) 통합관제시스템
US202102167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living safety response from control center and savior in view of facility and industrial safety based on extended reality and internet of thing
US20160357492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 aircraft
JP2007180647A (ja) 境界監視システム
JP2013003420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EP1751723B1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CN112800947A (zh) 视频监控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86036B1 (ko) 소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3285B1 (ko) 엣지 클라우드에서 현장 경계와 지휘 통제 간 실감 콘텐츠 기반의 원격 협업 시스템 및 방법
Suss et al. Don't overlook the human! Applying the principles of 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to the design of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s
KR102082262B1 (ko) Sop 시나리오 관리를 위한 재난재해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111712B (zh) 用于高熵信息安全威胁的3d抽象对象建模的系统和方法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JP2018155985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214483B1 (ko) 스마트 시티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