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257B1 -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257B1
KR101257257B1 KR1020110008769A KR20110008769A KR101257257B1 KR 101257257 B1 KR101257257 B1 KR 101257257B1 KR 1020110008769 A KR1020110008769 A KR 1020110008769A KR 20110008769 A KR20110008769 A KR 20110008769A KR 101257257 B1 KR101257257 B1 KR 10125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area
cast
valu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523A (ko
Inventor
하태준
문홍길
장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2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몰드 탕면의 레벨변동을 탕면레벨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탕면레벨센서에서 측정된 레벨신호의 주파수 중 제어장치에서 0.1Hz 이하의 주파수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분류된 주파수의 탕면적(A)을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어장치에서 산출된 탕면적의 주파수 레벨중 기준치를 ±5mm를 초과한 횟수(N)를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산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기준치 초과횟수를 통해 침지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개재물의 탈락 결함 지수(C)를 상기 제어장치에서 계산후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DEVICE FOR EVALUATING STEEL PLATE QUALITY USING LEVEL OF MOLTEN STEEL}
본 발명은 몰드 탕면의 레벨변동을 검출하여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는,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ndish)에 받았다가 연속주조기용 몰드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연속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연속주조기용 몰드와, 상기 몰드에 연결되어 몰드에서 형성된 스트랜드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래들과 턴디쉬에서 출강된 용강은 몰드에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형상을 가지는 스트랜드로 형성되어 핀치롤을 통해 이송되고, 핀치롤을 통해 이송된 스트랜드는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소정 형상을 갖는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 탕면의 레벨변동을 검출하여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므로 레벨변동으로 인한 품질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는, 몰드 탕면의 변동 레벨을 측정하는 탕면레벨센서; 및 상기 탕면레벨센서에서 측정된 탕면레벨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설정된 대역의 면적(A)을 산출하고, 상기에서 탕면레벨센서를 통해 측정된 탕면 레벨 중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N)를 산출하며, 상기 면적(A)과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N)를 이용하여 침지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개재물의 탈락 결함 지수(C)를 계산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C)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112012096347163-pat00012

여기서, A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면적이고, N은 주편단위로 얻어진 탕면 레벨 중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이며, B는 상수값(측정되는 면적의 값이 너무 낮기 때문에 상수값을 곱하여 면적값이 크게 나타나도록 함)임.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은, 탕면레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탕면 레벨의 주파수를 주편단위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개재물 탈락이 없는 기준기간과 탈락이 발생하는 기간의 면적을 산출하고, 기준기간과 개재물 탈락 기간의 주파수 횟수를 비교 측정하여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므로 미리 주편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평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재물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재물의 탈락이 발생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평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2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은 제1 단계(S10)와, 제2 단계(S20)와, 제3 단계(S30)와, 제4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계(S10)는 몰드의 탕면을 탕면레벨센서(3)를 통해 탕면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제1 단계(S10)는 탕면레벨센서(3)를 통해 몰드 탕면의 레벨 중 0초과 내지 1Hz이하의 주파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2 단계(S20)는 상기 탕면레벨센서(3)에서 측정된 탕면 레벨신호의 주파수 중 제어장치(4)에서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분류된 주파수를 통해 0초과 내지 0.1Hz 이하 주파수의 면적(A)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제2 단계(S20)는 상기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된 탕면 레벨 범위 중 0초과 내지 0.1Hz이하의 주파수를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구분하여 분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분류된 주파수의 면적(A)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S20)는 수집단계(S100)와, 분류단계(S200)와, 분석단계(S300)와, 계산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집단계(S100)는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탕면레벨센서(3)에서 측정된 탕면 레벨의 주파수를 제어장치(4)에서 수신받아 수집하는 단계로서, 0Hz ~ 1Hz의 범위로 조사된 주파수를 모두 수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분류단계(S200)는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수집된 주파수를 주편단위로 분류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집단계(S100)에서 수집된 주파수를 주편 단위 즉 시간에 따른 최대 피크별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분석단계(S300)는 상기 주편단위로 분류된 탕면레벨신호에서, 탕면레벨신호를 시간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0초과 0.1Hz 이하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계산단계(S400)는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분석된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 면적(A)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96347163-pat00013

여기서, i는 인덱스(자연수), n은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에 대한 분할 개수, P는 분할된 주파수 영역의 i번째 스펙트럼의 중간값, F는 분할된 주파수 영역의 i번째 주파수이다.
삭제
여기서, 상기 분류된 주파수는 0 초과 ~ 0.1Hz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상기 제어장치(4)에서 산출된 면적의 탕면 레벨 중 기준치를 ±5mm를 초과한 횟수(N)를 상기 제어장치(4)를 통해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제3 단계(S30)에서 기준치는 개재물의 탈락이 없는 일정시간의 탕면 레벨의 높이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4 단계(S40)는 상기 기준치 초과횟수를 통해 침지노즐(2)의 내부에 형성된 개재물의 탈락 결함 지수(C)를 상기 제어장치(4)에서 계산 후 표시장치(5)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4 단계(S40)에서 상기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C)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07105324-pat00002
A는 0초과 내지 0.1Hz 이하 영역의 면적이고, N은 주편단위로 얻어진 탕면 레벨 중 기준치(탕면 요동중 몰드 파우더 슬래그가 용탕에 유입되지 않는 범위에서 탕면레벨의 높이)를 ±5mm 초과한 횟수이며, B는 상수값(측정되는 면적의 값이 너무 낮기 때문에 상수값을 곱하여 면적값이 크게 나타나도록 함)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침지노즐(2)의 내주연에 형성된 개재물이 탈락되면 갑작스럽게 턴디쉬에서 주입되는 용강의 양이 증가되므로 몰드(1)의 용탕면이 요동을 치게 된다.
이로 인해 탕면의 몰드 파우더 슬래그(6)가 용강 내로 유입되어 제작되는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측정하여 주편의 품질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쉽도록 품질 평가 자료를 작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먼저, 몰드(1)의 탕면 레벨을 상기 탕면레벨센서(3)를 통해 측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탕면레벨센서(3)에서 측정된 레벨신호의 주파수 중 상기 제어장치(4)에서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만 따로 분류하고 이를 이용해 면적을 구한다.
그리고 나서, 탕면적에 요동이 없는 일정 시간대의 면적값을 기준치로 정하고, 침지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개재물이 탈락될 때 측정되는 면적값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탕면 레벨의 횟수를 구한다.
여기서 상기 면적은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구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개재물의 탈락 결함 지수(C)를 기준치를 초과하는 탕면 레벨의 횟수(N)와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면적(A)과 상수값(B)을 대입한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와 연결된 표시장치(5)를 통해 결과값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재물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재물의 탈락이 발생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재물 탈락이 없는 상태의 면적값을 구하여 기준값으로 삼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재물 탈락이 이루어지면 이를 비교하여 표시장치(5)를 통해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이 되는 개재물 탈락이 없는 탈락 결함 지수(C)는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면적이 0.0001이고,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가 0회이며, 상수값을 10000으로 지정하여 계산하는 경우 아래 수학식 3의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07105324-pat0000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재물 탈락이 이루어진 탈락 결함 지수(C)는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면적이 평균 0.0007이고,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가 2회이며, 상수값을 10000으로 지정하여 계산하는 경우 아래 수학식 4의 결과를 통해 기준치를 초과한 탈락 결함지수가 '14'인 것을 알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1007105324-pat00004
이렇게 표시되는 결과값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몰드(1)의 용탕이 냉각되어 형성되는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탕면레벨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탕면 레벨의 주파수를 주편 단위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개재물 탈락이 없는 기준기간과 탈락이 발생하는 기간의 면적을 산출하고, 기준기간과 개재물 탈락 기간의 주파수 횟수를 비교 측정하여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므로 미리 주편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비슷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몰드 2 : 침지노즐
3 : 조사장치 4 : 측정장치
5 : 제어장치 6 : 표시장치

Claims (4)

  1. 몰드 탕면의 변동 레벨을 측정하는 탕면레벨센서; 및
    상기 탕면레벨센서에서 측정된 탕면레벨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설정된 대역의 면적(A)을 산출하고, 상기에서 탕면레벨센서를 통해 측정된 탕면 레벨 중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N)를 산출하며, 상기 면적(A)과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N)를 이용하여 침지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개재물의 탈락 결함 지수(C)를 계산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C)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수학식
    Figure 112012096347163-pat00014

    여기서, A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면적이고, N은 주편단위로 얻어진 탕면 레벨 중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이며, B는 상수값(측정되는 면적의 값이 너무 낮기 때문에 상수값을 곱하여 면적값이 크게 나타나도록 함)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적(A)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수학식
    Figure 112012096347163-pat00015

    여기서, i는 인덱스(자연수), n은 0초과 내지 0.1Hz 이하의 주파수에 대한 분할 개수, P는 분할된 주파수 영역의 i번째 스펙트럼의 중간값, F는 분할된 주파수 영역의 i번째 주파수임.
  4. 삭제
KR1020110008769A 2011-01-28 2011-01-28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KR10125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69A KR101257257B1 (ko) 2011-01-28 2011-01-28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69A KR101257257B1 (ko) 2011-01-28 2011-01-28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23A KR20120087523A (ko) 2012-08-07
KR101257257B1 true KR101257257B1 (ko) 2013-04-23

Family

ID=4687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69A KR101257257B1 (ko) 2011-01-28 2011-01-28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60B1 (ko) * 2011-03-30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를 이용한 슬라브의 품질 예측방법
KR101320352B1 (ko) * 2011-09-28 2013-10-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시 연연주수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9283B1 (ko) * 2013-12-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제조방법
KR101529285B1 (ko) * 2013-12-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제조방법
KR101529281B1 (ko) * 2013-12-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제조방법
KR101529277B1 (ko) * 2013-12-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57A (ja) 1996-06-26 1998-01-13 Nkk Corp 連続鋳造鋳型内における溶鋼流動検知方法及び制御方法
JP2001259814A (ja) 2000-03-14 2001-09-25 Nkk Corp 連続鋳造機モールド内湯面レベル制御方法
KR100368730B1 (ko) 1998-09-22 2003-03-29 주식회사 포스코 탕면레벨주파수분석을통한동적벌징진단방법
KR20060077308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 내의 단주기 탕면 변동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57A (ja) 1996-06-26 1998-01-13 Nkk Corp 連続鋳造鋳型内における溶鋼流動検知方法及び制御方法
KR100368730B1 (ko) 1998-09-22 2003-03-29 주식회사 포스코 탕면레벨주파수분석을통한동적벌징진단방법
JP2001259814A (ja) 2000-03-14 2001-09-25 Nkk Corp 連続鋳造機モールド内湯面レベル制御方法
KR20060077308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 내의 단주기 탕면 변동 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23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257B1 (ko)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장치
KR100214229B1 (ko) 연주주편의 품질예측 및 품질제어
KR101257261B1 (ko)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
US20170067128A1 (en) Converter slagging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3100678A (zh) 连铸坯缺陷影响参数的在线控制系统与方法
CN116687363B (zh) 一种基于穿戴设备的有限空间作业人员身体状况监测系统
CN115388956A (zh) 一种基于连铸工艺流程的质量检测方法及系统
CN105014032A (zh) 铸坯切割长度异常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3111593B (zh) 一种连铸浇钢前基于压力反馈的扇形段辊缝设置方法
US97095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cracks in a solidified shell in a mold
KR101257260B1 (ko)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를 이용한 슬라브의 품질 예측방법
JP4259164B2 (ja) 連続鋳造鋳片の品質監視装置及び品質監視方法
CN102029368A (zh) 一种在线检测连铸坯二冷区固液相分数及凝固末端的方法
JP6119640B2 (ja)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
JP2012066278A (ja) 鋳片表層品質予測方法および鋳片表層品質予測装置
CN102207497A (zh) 连铸坯表面夹渣轧前预报方法
KR20140003314A (ko) 연속주조시 브레이크아웃 방지 방법
KR20150033718A (ko) 연속으로 주조된 금속 제품의 액체 원뿔체의 폐쇄 위치를 포함하는 주조 라인의 구간을 결정하는 방법
Duvvuri et al. Correlation for mold heat flux measured in a thin slab casting mold
KR101224964B1 (ko) 슬라브내 핀홀 분포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100965975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내의 막힘 물질의 탈락 검출 및이를 이용한 연주정정 조업방법
CN204035492U (zh) 一种钢包下渣的检测装置
KR101344897B1 (ko) 연속주조시 판재의 품질 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101455534B1 (ko) 실험용 프로브 장치
Gao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Strand Reduction Technology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Homogeneous High‐Carbon Steel Bi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