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168B1 -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 Google Patents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68B1
KR101257168B1 KR1020110018329A KR20110018329A KR101257168B1 KR 101257168 B1 KR101257168 B1 KR 101257168B1 KR 1020110018329 A KR1020110018329 A KR 1020110018329A KR 20110018329 A KR20110018329 A KR 20110018329A KR 101257168 B1 KR101257168 B1 KR 10125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
weight
impact
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854A (ko
Inventor
김영득
Original Assignee
김영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득 filed Critical 김영득
Priority to KR102011001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63B60/04Movable ballas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8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3B2059/581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characterised by the shape with a continuously tapered barr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트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트 스윙시 임팩트 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히 임팩트 되도록 교정할 수 있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중공체인 원통형 몸체; 상기 원통형 몸체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금속 이동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금속 이동추를 당기는 자석; 상기 몸체의 선단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자석이 부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자석과 금속 이동추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구; 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배트링은 임팩트 되는 순간 이동추가 움직여 타격음을 발생함으로써, 배트의 무게를 증대시킴은 물론 임팩트 되는 순간을 감지하여 정확히 임팩트 되어야 하는 순간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타격음이 발생되는 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윙 스피드에 따라 임팩트 순간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고, 무게추를 증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bat ring for speed control}
본 발명은 배트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트 스윙시 임팩트 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히 임팩트 되도록 교정할 수 있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트링은 배트에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타격에 들어서기 전에 배트의 무게감을 증대시켜 스윙하다가 실제 타격시 배트링을 제거함으로써 배트가 가볍게 스윙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트링은 단순히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테이퍼 진 배트에 끼워 사용하게 되는데, 그 무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자신의 체형에 맞는 배트링을 선택하여 배팅 연습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트링은 단순히 배트의 무게를 증대시킬 뿐 별다른 기능이 없었다. 특히 배트링 장착 후에는 증대되는 무게감으로 인해 임팩트 되는 배팅 포인트가 흐트러지기 쉽고 결국 성공적인 배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배트의 무게를 증대시킴은 물론 스윙시 임팩트 되는 순간을 소리로 알림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하나의 배트링으로 무게를 증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에 따라 여러 개의 배트링을 구비할 필요 없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은,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 중공부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금속 이동추;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동추를 당기는 자석; 지석과 이동추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구;로 구성하되,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조절구는 몸체로부터 공회전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이송부재와 나선 결합되고, 이송부재는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안내봉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중공부 내에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동추를 자석 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은 임팩트 되는 순간 이동추가 움직여 타격음을 발생함으로써, 배트의 무게를 증대시킴은 물론 임팩트 되는 순간을 감지하여 정확히 임팩트 되어야 하는 순간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격음이 발생되는 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윙 스피드에 따라 임팩트 순간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무게추를 증감할 수 있어 여러 개를 소지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조절기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에 무게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조절기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은 중공체인 원통형 몸체(10); 상기 원통형 몸체(1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금속의 이동추(20); 상기 몸체(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동추(20)를 당기는 자석(30); 상기 몸체(10)의 선단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자석(30)이 부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자석(30)과 이동추(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구(40); 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링 형상을 갖되 내부가 빈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이중 벽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11)의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중 벽 중 내측의 벽은 배트(B)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트(B)에 끼워지면 내측 벽의 안지름에 해당되는 배트(B)의 부위에 걸리며 고정된다.
상기 이동추(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몸체(10)의 중공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이동추(20)는 몸체(10)의 개방된 곳을 통해 중공부(11)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으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0)의 트인 곳으로부터 걸림턱(12)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이동추(20)는 몸체(10)의 중공부(11) 내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동추(20)와 몸체(10)의 밀폐된 공간 내에는 압축스프링(50)이 구비되어 이동추(20)를 개방된 방향으로 밀게 된다. 또한, 스프링(50)이 위치한 이동추(20)의 둘레는 축소된 지름의 스프링 수용부(21)를 형성하여 압축 스프링(50)이 압축되었을 때 스프링 수용부(21) 내에 모두 삽입됨에 따라 이동추(20) 슬라이딩 시 몸체(10)의 단부에 부딪혀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구(40)는 몸체(10)의 개방된 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절구(40) 또한 그 내부로 배트(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구(40)는 그 가장자리가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내주연에 암나사산(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는 개방된 부위에 수나사산(13)이 형성되어 몸체(10)와 조절구(40)는 나선 결합에 의해 조립된다. 이와 같은 조절구(40)와 몸체(10)의 외주연에는 어느 한 쪽에 눈금을 표시하여 수치를 표기하고 다른 한쪽에는 눈금을 가리키는 표시부를 표기하여 조절구(40)가 회전함에 따라 자석(30)이 이격되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절구(40)의 내부에는 자석(30)이 부착되는데, 몸체(10)의 개방된 부위에 위치한 이동추(20)와 아주 근접되도록 한다. 상기 자석(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아니면 다수의 조각으로 구비하여 원형의 배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석(30)은 조절구(40)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조절구(4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이동추(20)와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절구(40)는 몸체(10)의 개방된 부위를 마감하는 커버의 역할과 내부에 설치되는 자석(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40)의 말단 내주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는 스토퍼(49)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몸체(10)의 외주연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40)가 회전되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트링을 배트(B)에 장착하기 위해 배트(B)의 자루가 위를 향하도록 바닥에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배트(B)의 자루 부위로 배트링을 끼운다. 이때, 몸체(10)가 하부를 향하고 조절구(40)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주의한다. 끼워지는 배트링은 자중에 의해 하향하다가 몸체(10)의 내경에 해당되는 배트(B) 부위에 걸리며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트(B)의 자루를 손으로 쥐어 잡고 스윙을 하면 배트(B)가 몸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몸체(10) 내에 설치된 이동추(10)에 큰 원심력이 작용하여 바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힘이 이동추(20)를 당기는 자력의 힘보다 클 경우 이동추(20)가 배트(B)의 끝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몸체(10)의 단부에 부딪힘과 동시에 타격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스윙이 느려지는 순간 이동추(20)는 압축스프링(5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만약 스윙에 의한 원심력이 이동추(20)를 당기는 자력의 힘보다 작을 경우 이동추(20)는 슬라이딩하지 않아 타격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충분한 스윙 스피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좀더 빠른 스윙을 통해 타격음을 얻음으로써 적정한 스윙 스피드를 내는 훈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느린 스윙 동작에도 타격음이 발생하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조절기(40)를 돌려 자석(30)과 이동추(20) 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느린 스윙에도 불구하고 자력이 약해져 이동추(2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타격음이 발생된다. 반대로 빠른 스윙 동작에만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조절기(40)를 반대로 돌려 자석(30)과 이동추(20) 간의 간격을 좁혀 자력이 강해지도록 함으로써 빠른 스윙에서만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조절기(40) 및 몸체(10)에 표기된 눈금을 보면서 원하고자 하는 눈금으로 적절히 맞추어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적정한 스윙 스피드에 도달할 때 즉 임팩트 순간에 타격음이 발생되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복 연습함으로써 스피드 감을 체득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에 무게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트링의 무게를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그 후면에 무게추(60)가 연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60)는 그 후면에 내경보다 큰 나사공(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60)는 배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되, 그 일면에는 몸체(10)의 나사공(15)에 결합하는 나선축(61)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는 또 다른 무게추(60)의 나선축(61)이 결합되는 나사공(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몸체(10)의 후면에 무게추(60)를 연속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트링의 교체 없이도 무게를 차츰 줄여가며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은 상기 조절구(40)의 내부에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70)가 설치되고 이송부재(70)에 자석(30)이 부착된 것이다.
몸체(10)는 그 내측 벽이 외측 벽보다 길게 돌출되며, 그 말단에 커버(80)가 결합되고, 외측 벽에는 이동추(20)의 이동을 한정하는 멈춤링(90)이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80)와 멈춤링(90) 간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조절구(40) 및 이송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구(40)는 링 형상을 갖으며, 그 일면에는 끼움턱(45)이 돌출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는 끼움홈부(46)가 형성된다. 그리고 멈춤링(90)에는 조절구(40)의 끼움홈부(46)에 삽입되는 지지턱(91)이 돌출 형성되고, 커버(80)에는 조절구(40)의 끼움턱(45)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81)을 형성하여 몸체(10)로부터 조절구(40)가 공회전 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절구(40)의 외주면에는 널링 가공되어 손으로 돌릴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80)와 멈춤링(90) 간에는 수평의 안내봉(14)이 복수 개 고정 설치되고, 이 안내봉(14)을 따라 이송부재(7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부재에 안내봉(14)이 관통되는 관통공(7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이송부재(7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자석(30)이 부착된 것으로 상기 자석(3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작은 조각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나사에 의해 견고히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관통공(71)이 형성되어 안내봉(14)을 따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재(70)의 외주면과 조절구(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선결합됨으로써 조절구(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송부재(70) 및 자석(30)이 이동추(20)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80)의 이탈방지홈(81)에는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85)가 설치되고 조절구(40)의 끼움턱(45)에는 스토퍼(85)가 걸림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40)가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가 둘레에는 원통 형상의 장식부재(19)가 끼워지도록 하면서 장식부재(19)는 여러 모양으로 디자인함으로써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측 벽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패킹 장착홈을 형성하여 패킹(P)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배트(B)에 장착시 미끄러짐 없이 견고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이 배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가 걸림되는 요철부를 조절구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조절구의 일부를 장식부재가 덮이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다.
10 : 금속재 11 : 중공부 12 : 걸림턱
13 : 수나사부 14 : 안내봉 15, 62 : 나사공
20 : 이동추 21 : 스프링 수용부 30 : 자석
40 : 조절구 41 : 암나사부 45 : 끼움턱
46 : 끼움홈부 50 : 압축 스프링 60 : 무게추
61 : 나선축 70 : 이송부재 80 : 커버
81 : 이탈방지홈 90 : 멈춤링 91 : 지지턱
B : 배트

Claims (5)

  1. 중공부(11)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10); 중공부(1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금속의 이동추(20); 몸체(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동추(20)를 당기는 자석(30); 자석(30)과 이동추(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구(40); 로 구성하되,
    상기 조절구(40)는 몸체(10)로부터 공회전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자석(30)이 부착된 이송부재(70)와 나선 결합되고, 이송부재(70)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안내봉(14)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중공부(11) 내에 압축 스프링(50)을 구비하여 이동추(20)를 자석(30) 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18329A 2011-03-02 2011-03-02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KR10125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29A KR101257168B1 (ko) 2011-03-02 2011-03-02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29A KR101257168B1 (ko) 2011-03-02 2011-03-02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854A KR20120099854A (ko) 2012-09-12
KR101257168B1 true KR101257168B1 (ko) 2013-04-22

Family

ID=4710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329A KR101257168B1 (ko) 2011-03-02 2011-03-02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20B1 (ko) * 2019-05-16 2021-05-26 양진영 타격 타이밍 연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916A (ja) 1997-02-25 1998-09-08 Katsumi Hashimoto 素振り練習器具
KR20090119712A (ko) * 2008-05-16 2009-11-19 김현수 야구 스윙 연습기
KR20100093998A (ko) * 2009-02-18 2010-08-26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916A (ja) 1997-02-25 1998-09-08 Katsumi Hashimoto 素振り練習器具
KR20090119712A (ko) * 2008-05-16 2009-11-19 김현수 야구 스윙 연습기
KR20100093998A (ko) * 2009-02-18 2010-08-26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854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027B2 (en) Tape measure with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
US20150209644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EP2108409B1 (en)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US20120169199A1 (en) Control mechanism for drawer slide assembly
US9144726B2 (en) Bat swing training device
JP2014159336A5 (ko)
KR101257168B1 (ko) 임팩트 교정용 배트링
US20170348578A1 (en) Portable cocking practice device
US20080066273A1 (en) Lace adjuster
JP2012206193A5 (ko)
KR101321665B1 (ko)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KR101098668B1 (ko) 스윙 연습기
US8474838B1 (en) Hidden braking device
USD868914S1 (en) Golf training device
US7241236B1 (en) Dart with dual action arrangement
KR101135883B1 (ko) 헤드 각도 조절 골프채
US20150375080A1 (en) Golf swing trainer
KR101143265B1 (ko) 밸런스 및 무게중심 조절기능을 갖는 라켓
JP6298760B2 (ja) スプールに巻回された釣糸を案内する釣糸案内体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KR101627838B1 (ko) 미닫이 도어용 롤러조립체
KR100618514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20220036682A1 (en) Disk feeding device
JP5753421B2 (ja) グラウンドゴルフ用ホールポスト
KR102418717B1 (ko) 스윙 스피드 연습기
KR101809083B1 (ko) 헤딩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