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132B1 -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132B1
KR101256132B1 KR1020110029220A KR20110029220A KR101256132B1 KR 101256132 B1 KR101256132 B1 KR 101256132B1 KR 1020110029220 A KR1020110029220 A KR 1020110029220A KR 20110029220 A KR20110029220 A KR 20110029220A KR 101256132 B1 KR101256132 B1 KR 10125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verse osmosis
seawater
control unit
trea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997A (ko
Inventor
민계식
설신수
소용신
오호영
윤중근
정몽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1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소규모로 집약된 해수의 담수화 구조를 통해 장비의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도서지방에서도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펌핑 공급되는 해수를 ABF(Auto-Back Flushing Filter)(11) 및 UF(Ultra-Filter)(12)로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부(10)와; 상기 전처리부(10)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해수에 함유된 이온을 CF(Cartridge Filter)(21),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22) 및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23)로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처리부(20); 상기 역삼투처리부(20)에서 펌핑 공급되는 담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배출하기 위한 담수농도조절부(30)와; 상기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에 응집제, pH 조정제, 스케일 방지제, 살균제 및 환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공급부(40)와; 상기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 및 약품공급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APPARATUS FOR DESALINATING SEAWATER IN CONTAINER}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규모로 집약된 해수의 담수화 구조를 통해 장비의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도서지방에서도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를 담수화하는 정수장치나 정제장치의 경우 최근 들어 여러가지 방법이 도입되어 개발되고 있는 바, 해수로부터 인공적으로 음용수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역침투막법이나 전기분해식 등이 주로 이용되고,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담수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역침투막법에 의한 담수화 장치는 강우량이 적은 지역이나 댐이 적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바, 상기 역침투막법 담수화 장치는 그 설비가 대단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어 그 설비비가 비싸지는 결점이 있고, 또한 장비의 가격에 비해 효율이 좋지 않아 담수의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식을 이용한 담수화 장치의 경우도 역침투막법 담수화 장치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사용 및 설비의 유지 관리 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그 설비비용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국내의 환경변화에 따른 강우량 부족과 담수능력의 한계로 도서지방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의 공급에 따른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음에 따라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소규모로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규모로 집약된 해수의 담수화 구조를 통해 장비의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도서지방에서도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핑 공급되는 해수를 ABF(Auto-Back Flushing Filter) 및 UF(Ultra-Filter)로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해수에 함유된 이온을 CF(Cartridge Filter),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및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로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처리부; 상기 역삼투처리부에서 펌핑 공급되는 담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배출하기 위한 담수농도조절부와; 상기 전처리부, 역삼투처리부 및 담수농도조절부에 응집제, pH 조정제, 스케일 방지제, 살균제 및 환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공급부와; 상기 전처리부, 역삼투처리부, 담수농도조절부 및 약품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삼투처리부에서 생성된 압력을 회수하기 위한 에너지회수부와; 상기 에너지회수부에 이송된 압력을 통해 상기 전처리부, 역삼투처리부 및 담수농도조절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부와;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제어기(Charge Controller)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로 이루어져, 해수 또는 담수의 펌핑 공급을 위한 복수개의 모터 및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는 ABF 및 UF를 구비한 전처리부와 역삼투처리부를 통해 컨테이너와 같은 적은 공간에서도 해수의 담수화 설비로 운용가능하여 장비의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도서지방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을 통한 자가발전과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의 전력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자가발전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는 기본적으로 해수 내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부(10)와, 전처리부(10)를 거친 해수로부터 이온성분을 제거하는 역삼투처리부(20)와, 역삼투처리부(20)를 거쳐 담수화된 물, 즉 담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담수농도조절부(30)와,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에 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약품공급부(40)와,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 및 약품공급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처리부(10)는 해수를 모터(1), 펌프(2) 등의 종래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킨 다음 종래 ABF(Auto-Back Flushing Filter)(11) 및 UF(Ultra-Filter)(12)로 통과시킴으로써 해수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ABF(11)는 자동 세정기능을 갖는 필터로 필터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일정압력까지 도달하게 될 때 필터를 플러싱하여 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UF(12)는 필터 여과면적을 크게 증가시켜 단위면적당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유로 전처리부(10) 크기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해수의 탁도를 낮출 수 있어 역삼투처리부(20)의 운전효율을 높이고 역삼투처리부(20) 교체 및 세척주기를 연장하여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하게 되며, 이러한 ABF(11) 및 UF(12)는 종래 공지된 것임에 따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역삼투처리부(20)는 전처리부(10)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해수에 함유된 이온을 CF(Cartridge Filter)(21),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22) 및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23)를 통해 제거하여 담수화하게 되는데, 여기서 CF(21)는 카트리지 내 해수의 1차 이온제거를 위한 고형물을 수용하고 있고 SWRO(22)는 역삼투막을 사이에 두고 해수측에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해 해수로부터 순수한 물이 반투막을 통해 빠져 나오도록 하며 BWRO(23)는 해수 농도보다 작은 기수(Brackish Water)를 다시 역삼투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담수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담수농도조절부(30)는 역삼투처리부(20)에서 펌핑 공급되는 담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배출함으로써 유입되는 담수의 부하변동을 최소화하게 되며, 이를 위해 약품공급부(40)로부터 응집제를 공급받아 담수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약품공급부(40)는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에 응집제, pH 조정제, 스케일 방지제, 살균제 및 환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처리부(10) 또는 담수농도조절부(30)에 pH 조정제, 스케일 방지제, 살균제 및 환원제를 공급하여 스케일(해수에 용해된 칼슘, 마그네슘 등의 이온이 탄산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등으로 치환된 고형상의 석출물)이 생성되는 것을 pH 조정을 통해 방지하거나 필터나 역삼투막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한편, 응집제 공급을 통해 담수농도조절부(30)에서 담수의 농도 부하변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 및 약품공급부(40)를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로의 해수 또는 담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에너지회수부(60)는 역삼투처리부(20)에서 생성된 압력을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에너지회수부(60)에 이송된 압력을 통해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부(70)로 그 회수된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세정부(70)는 담수농도조절부(30)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담수를 일부 저장하였다가 모터(1), 펌프(2)와 같은 펌핑수단을 통해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로 공급하여 세척되도록 하며, 담수 공급 시 에너지회수부(60)를 통해 이송된 압력이 담수 펌핑라인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에너지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의 전력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자가발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는 전력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태양광 패널(81)과, 태양광 패널(8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82)와, 배터리(82)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제어기(Charge Controller)(83)와, 배터리(8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84)로 이루어진 자가발전부(80)를 통해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 약품공급부(40), 세정부(50) 등에서 해수 또는 담수의 펌핑 공급을 위한 복수개의 모터(1) 및 이송펌프(2)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3)

  1. 펌핑 공급되는 해수를 ABF(Auto-Back Flushing Filter)(11) 및 UF(Ultra-Filter)(12)로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부(10)와;상기 전처리부(10)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해수에 함유된 이온을 CF(Cartridge Filter)(21),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22) 및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23)로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처리부(20);상기 역삼투처리부(20)에서 펌핑 공급되는 담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배출함으로써, 유입되는 담수의 부하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담수농도조절부(30)와;상기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에 응집제, pH 조정제, 스케일 방지제, 살균제 및 환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공급부(40)와;상기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담수농도조절부(30) 및 약품공급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와;상기 역삼투처리부(20)에서 생성된 압력을 회수하기 위한 에너지회수부(60)와;상기 에너지회수부(60)에 이송된 압력을 통해 상기 전처리부(10), 역삼투처리부(20) 및 담수농도조절부(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부(70);를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81)과, 상기 태양광 패널(8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82)와, 상기 배터리(82)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제어기(Charge Controller)(83)와, 상기 배터리(8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84)로 이루어져, 해수 또는 담수의 펌핑 공급을 위한 복수개의 모터(1) 및 펌프(2)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29220A 2011-03-31 2011-03-31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KR101256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20A KR101256132B1 (ko) 2011-03-31 2011-03-31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20A KR101256132B1 (ko) 2011-03-31 2011-03-31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97A KR20120110997A (ko) 2012-10-10
KR101256132B1 true KR101256132B1 (ko) 2013-04-23

Family

ID=4728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20A KR101256132B1 (ko) 2011-03-31 2011-03-31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74A (ko) * 2019-12-06 2021-06-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자폐수 재이용 방법 및 장치
KR102589925B1 (ko) * 2022-07-29 2023-10-1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폐수 재이용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8884B (zh) * 2016-04-16 2018-04-06 黄其江 一种高效小型海水淡化装置
KR101838172B1 (ko) 2016-09-12 2018-03-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화학 약품 투입량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2121841B1 (ko) * 2018-12-05 2020-06-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다중수원 상수 처리 최적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278A (ja) * 1995-09-14 1997-03-28 Noboru Kubo 無停電太陽光電源装置
JP2003245666A (ja) 2002-02-25 2003-09-02 Kobe Steel Ltd 海水の処理法
KR100796561B1 (ko) * 2006-08-16 2008-01-23 지은상 막분리를 이용한 발전소용 순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278A (ja) * 1995-09-14 1997-03-28 Noboru Kubo 無停電太陽光電源装置
JP2003245666A (ja) 2002-02-25 2003-09-02 Kobe Steel Ltd 海水の処理法
KR100796561B1 (ko) * 2006-08-16 2008-01-23 지은상 막분리를 이용한 발전소용 순수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74A (ko) * 2019-12-06 2021-06-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자폐수 재이용 방법 및 장치
KR102365536B1 (ko) * 2019-12-06 2022-02-2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자폐수 재이용 방법 및 장치
KR102589925B1 (ko) * 2022-07-29 2023-10-1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폐수 재이용 방법 및 장치
US11945744B2 (en) 2022-07-29 2024-04-02 Samsung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using waste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9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565B1 (ko) 기수의 농도별 염분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염분제거 방법
KR101256132B1 (ko) 컨테이너형 해수 담수화 장치
KR102207458B1 (ko)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KR100874269B1 (ko) 전처리 공정을 포함한 고효율 해수 전해장치 및 전해방법
KR102055255B1 (ko) 해수전지가 결합된 해수담수화 플랜트
KR102328974B1 (ko)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WO2021223369A1 (zh) 一种火电厂循环水无药剂化电法联合处理工艺系统及方法
CN111573971A (zh) 一种利用全膜法对城市再生水进行回用系统及其方法
CN209835849U (zh) 一种脱硫废水利用系统
KR100675375B1 (ko) 해산어 양식장의 수질관리시스템
TNSN06374A1 (en) Solar-powered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
CN111170524A (zh) 一种反渗透浓水回用方法
JP5731262B2 (ja) 脱塩処理方法及び脱塩処理システム
CN106422794A (zh) 一种膜法海水淡化中过滤膜清洗系统及方法
KR20170087005A (ko) 워터블랜딩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JP2009273973A (ja) 膜処理による海水淡水化システム
KR20170069614A (ko) 염수 담수화 시스템
CN211813892U (zh) 一种反渗透浓水回用系统
KR100670769B1 (ko) 역삼투막과 전기산화법을 이용한 무방류 정수장치
KR102180316B1 (ko) 자립형 에너지 및 정수 공급 관리 시스템
WO2015133049A1 (ja) 水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2117548B1 (ko) 광전기투석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염 및 오염물 산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수처리 방법
KR102038754B1 (ko) 정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WO2014057892A1 (ja) 造水方法
KR101903837B1 (ko) 신재생에너지와 통합·연동하는 마이크로그리드해수담수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