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06B1 - 미용 분무 장치 - Google Patents

미용 분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06B1
KR101255606B1 KR1020110055818A KR20110055818A KR101255606B1 KR 101255606 B1 KR101255606 B1 KR 101255606B1 KR 1020110055818 A KR1020110055818 A KR 1020110055818A KR 20110055818 A KR20110055818 A KR 20110055818A KR 101255606 B1 KR101255606 B1 KR 10125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upport
unit
seating groove
spr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711A (ko
Inventor
최정훈
박창한
Original Assignee
박창한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한, 최정훈 filed Critical 박창한
Priority to KR102011005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6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미용 분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분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점도가 높은 액상을 분무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미용 분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용 분무 장치{mistifier}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액상을 분무시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분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판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분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점도가 높은 액상을 분무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미용 분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서 수동식 펌프가 설치된 분무기를 이용하여 피부에 물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수분을 공급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분무기는 수분의 입자 크기가 커서 피부의 모공으로 일부만 흡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음파진동 방식의 분무장치가 개발되었다.
초음파진동 방식의 분무장치는 액상을 미세한 안개상태로 만들어서 수분을 공급하므로 피부에 잘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진동 방식의 분무장치를 휴대용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한된 전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초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진동이 약해서 액상의 점도가 큰 경우 액상을 분무상태로 만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판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분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점도가 높은 액상을 분무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미용 분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액상이 수용되는 저장부와,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본체 외부로 분무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전후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기 저장부에 결합시키는 진동판설치부 및 진동판지지부를 구비한 분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진동판에 공급 또는 해제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설치부는 상기 진동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진동판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안착홈의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판안착홈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진동판안착홈에 의해 아래에서 지지되며 상기 진동판지지부는 상기 진동판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지지부의 상기 지지면이 상기 진동판의 내측부분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진동판지지부와 상기 진동판설치부가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분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진동판지지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진동판안착홈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분이 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진동판의 진동 세기를 극대화시킴으로써, 분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도가 큰 액상도 분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전력으로도 진동판의 효율이 우수하여 많은 양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서 분무 장치의 작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버튼을 마그넷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작동만으로 분사구멍의 개폐 및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판이 고장이 나더라도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상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하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분무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회전커버의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분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분무부의 초기지지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분무부의 진동판의 굽힘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상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하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분무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회전커버의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저장부와 분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 분무 장치는 본체(1), 저장부(2), 분무부(3) 및 스위치부(4)를 포함한다.
본체(1)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이루고 제1몸체(11), 회로기판(14), 제2몸체(12), 제3몸체(13), 배터리커버(17), 회전커버(15) 및 잠금버튼(16)을 포함한다.
제1몸체(11)는 하부 배면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수납공간(111)이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 배면에 저장부(2)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12)이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1몸체(11)는 저장부(2)의 배출구(211)가 제1몸체(11)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용공간(112)의 일 영역이 제1몸체(11)의 전방으로 관통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회로기판(14)은 배터리와 연결되고 배터리의 전원을 분무부(3)에 공급하도록 제1몸체(11)의 전면에 장착된다.
제2몸체(12)는 외형의 둘레가 제1몸체(11)의 둘레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고 전면에 후술할 도어(41)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121)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12)는 슬라이드홈(121)의 한 부분에 액상이 분사되는 분사구멍(122)이 관통형성되고, 회로기판(14) 및 분무부(3)를 고정하도록 제1몸체(11)와 결합한다.
제3몸체(13)는 외형이 제2몸체(12)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41)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몸체(12)의 슬라이드홈(121)에 대응하는 슬라이드구멍(131)이 형성되며, 제1몸체(11)와 결합한다.
배터리커버(17)는 수납공간(111)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제1몸체(11)에 끼워져 탈착한다.
회전커버(15)는 상단에 힌지축(151)이 형성되고, 힌지축(151)이 제1몸체(11) 및 제2몸체(12) 사이에 끼워지며 회전커버(15)가 회전하면서 수용공간(112)을 개폐한다. 그리고 회전커버(15)는 후술할 저장용기(21)의 잔여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회전커버(15)의 배면에 슬릿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커버(15)를 열고 닫음으로써, 저장부(2)를 본체(1)로부터 탈착할 수 있고, 슬릿을 통해 저장부(2)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잠금버튼(16)은 배터리커버(17)와 회전커버(15) 사이에 배치되고 제1몸체(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회전커버(15)를 잠금 또는 해제한다. 이때 잠금버튼(16)은 회전커버(15)가 외부충격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본체(1)에 내장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서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커버(15)를 열기 위해서는 잠금버튼(16)을 아래로 당긴 후 회전커버(15)를 상부로 회전시킨다.
저장부(2)는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것으로 제1몸체(11)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되고 저장용기(21) 및 마개(22)를 포함한다.
저장용기(21)는 전면 하부에 배출구(211)가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배면 상부에 주입구(212)가 형성되며 외형이 수용공간(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저장용기(21)는 내용물의 잔여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저장한다.
마개(22)는 저장용기(21)의 주입구(212)에 끼워지면 주입구(212)를 밀폐하기 위해서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분무부(3)는 저장용기(21)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초음파진동으로 본체(1)의 외부로 분무시키는 것으로, 제1몸체(11) 및 제2몸체(12) 사이에 배치되고 진동판(32), 진동판설치부(311), 진동판지지부(312) 및 고정케이스(33)를 포함한다.
진동판(32)은 대략 둥근 원판 형태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진동을 발생시켜 저장용기(21)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진동시켜 본체(1)의 외부로 분무시킨다. 진동판(32)에는 미세한 구멍들이 다수개 형성(도 7 및 도 8 참조)되어 구멍들을 통과하여 액상이 안개상태로 분출된다. 여기서 진동판(32)은 초음파진동장치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미 널리 공지되고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동판설치부(311)는 대략 둥근 사각 패널형태로 중앙 부분에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구멍의 전방 주변은 진동판(32)이 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되며, 구멍의 후방 주변은 저장용기(21)의 배출구(211)에 끼워지도록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진동판설치부(311)는 둘레에 후술할 제1케이스(331)가 끼워지도록 제1결합홈(311a)이 형성되고, 진동판설치부(311)의 함몰된 부분의 상단에는 진동판(32)과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인출되도록 제1인출홈(311b)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진동판지지부(312)는 대략 둥근 사각 패널형태로 중앙에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둘레에 후술할 제1케이스(331)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제2결합홈(312a)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상단에 진동판(32)과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도록 제2인출홈(312b)이 형성되고, 진동판(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진동판지지부(31)는 진동판(32)의 상부에서 진동판(32)의 진동 세기를 최대화하도록 진동판(32)을 진동판설치부(311)에 대해서 지지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고정케이스(33)는 진동판설치부(311)와 진동판지지부(312)의 사이에 진동판(32)이 장착된 상태에서 진동판설치부(311)와 진동판지지부(31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동판설치부(311)와 진동판지지부(312)를 결합시키며, 제1케이스(331) 및 제2케이스(332)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331)는 진동판지지부(312)를 감싸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고, 진동판설치부(311)의 제1결합홈(311a)에 끼워진다. 이때 제1케이스(331)는 후술할 제2케이스(332)의 클립부(332b)가 끼워지도록 제1케이스(331)의 둘레에 4개의 클립홈(331a)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제2케이스(332)는 대략 납작한 둥근 사각박스 형태로 후방이 개구되고 둘레에 제1케이스(331)의 클립홈(331a)에 끼워지는 후크 형태의 4개의 클립부(33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332)는 전면에 진동판지지부(312)가 끼워지도록 진동판지지부(312)의 제2결합홈(312a)에 대응하는 구멍이 관통형성되며, 구멍 윗부분에 진동판설치부(311)의 제2인출홈(312b)에 대응하는 관통공(33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분무부(3)는 제1케이스(331)에 진동판설치부(311)가 끼워지고 제2케이스(332)의 구멍에 진동판지지부(312)가 끼워지며, 진동판설치부(311)의 함몰된 부분에 진동판(32)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케이스(331)와 제2케이스(332)를 결합한다. 그리고 분무부(3)는 저장부(2)가 제1몸체(11)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몸체(11)의 전방에서 결합된 분무부(3)의 진동판설치부(311)를 저장용기(21)의 배출구(211)에 끼운다. 이때 진동판(32)과 연결된 전선은 제1인출홈(311b) 및 제2인출홈(312b)을 거쳐 관통공(332a)을 통해 인출되며 인출된 전선은 회로기판(14)과 연결된다.
스위치부(4)는 도어(41), 마그넷(42), 탄성체(43) 및 전원버튼(44)을 포함한다.
도어(41)는 대략 둥근 사각 패널형태로 제2몸체(12)의 슬라이드홈(121)에 삽입되고 제3몸체(13)의 슬라이드구멍(131)을 통해 노출된다. 이 때 도어(41)는 제3몸체(13)의 슬라이드구멍(13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도어(41)의 양측 일 부분이 확장되어 돌출된다. 이에 따라 도어(41)는 슬라이드홈(121)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2몸체(12)의 분사구멍(122)을 개폐한다.
마그넷(42)은 도어(41)의 배면에 설치되고 전원버튼(44)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탄성체(43)는 도어(41)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어(41)와 제2몸체(12) 사이에 설치되고 판스프링 또는 리턴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도어(41)는 탄성체(43)에 의해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41) 및 탄성체(43)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기술은 공지된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등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버튼(44)은 회로기판(14)의 전면에 설치되고 마그넷(42)에 의해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도어(41)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마그넷(42)이 함께 이동하여 전원버튼(44)의 전방에서 자력이 발생하고, 마그넷(42)의 자력이 전원버튼(44)의 내부에 있는 단자(미도시)를 끌어당겨 진동판(32)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도어(41)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마그넷(42)이 상부로 함께 이동하여 전원버튼(44)의 전방에서 발생한 자력이 해제되고, 전원버튼(44)의 내부에 있는 단자가 후방으로 복원되어 진동판(32)에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에 따른 기술은 이미 공지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 분무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버튼(16)을 하부로 밀어서 회전커버(15)를 열고, 마개(22)를 열어서 저장용기(21)에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주입한다.
주입이 끝나면 저장용기(21)의 주입구(212)에 마개(22)를 닫고 회전커버(15)를 닫는다.
배터리커버(17)를 열고 배터리를 수납공간(111)에 장착한 후 배터리커버(17)를 닫고, 도어(41)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배터리의 전원이 진동판(32)에 공급되면서 진동판(32)에서 초음파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판(32)에서 초음파진동이 발생하면 저장용기(21)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의 화장품이 진동판(32)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진동으로 인하여 분자상태의 알갱이로 쪼개지면서 진동판지지부(312)의 구멍을 거쳐 제2몸체(12)의 분사구멍(122)을 통해 본체(1) 밖으로 분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분무부의 초기지지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분무장치의 분무부의 진동판의 굽힘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진동판(32)은 진동판설치부(311)의 진동판안착홈(311c)에 놓여진 상태에서 위로는 진동판지지부(312)가 진동판(32)을 누르고 있다.
진동판지지부(312)가 진동판(32)을 지지하는 부분은 원형의 진동판(32)에서 가장자리보다 내측의 부분이므로 진동판(32)이 진동할 때에 진동판(32)의 굽힘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동판안착홈(311c)에 진동판(32)이 놓여지면 진동판(32)의 가장자리는 진동판안착홈(311c)에 의해 아래쪽에서만 지지된다. 진동판지지부(312)는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서 눌러서 지지한다. 따라서 진동판(32)을 위에서 눌러주는 진동판지지부(312)의 지지면(312c)을 수직하방으로 투사하면 진동판지지부(312)의 지지면(312c)과 진동판안착홈(311c)의 내측단부가 겹쳐지는 부분(이하 '중첩부분(A)'이라 함)은 진동판(32)의 내측이면서 매우 작은 폭에 해당한다. 따라서 중첩부분(A)에서 진동판(32)을 잡아주는 형태가 되며, 진동판(32)의 아래면을 중심으로 보면 중첩부분(A)의 내측으로는 진동판설치부(311)의 액통과공(311d)이 있어서 공간이 마련되므로 진동판(32)에서 중첩부분(A)의 내측에 위치한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이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진동판(32)의 윗면을 기준으로 보면 중첩부분(A)의 외측으로는 진동판(32)이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진동판(32)의 가장자리는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32)에 전원이 공급되어 진동판(32)이 진동하면 진동판(32)은 중첩부분(A)을 중심으로 하여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이 아래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고 반대로 진동판(32)의 가장자리부분은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이 아래방향으로 하강할 때에 진동판(32)의 가장자리부분이 'B'만큼 위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이 아래방향으로 하강하는 폭은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진동판(32)의 내측부분은 진폭이 큰 진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8을 보면 진동판(32)은 중첩부분(A)을 중심으로 하여 굽힘변형을 하는 것이다. 진동판(32)은 얇은 구조로 형성되므로 굽힘변형(휨변형)이 쉽게 일어난다.
중첩부분(A)의 폭이 커진다면 진동판(32)을 잡아주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진동판(32)의 진동의 폭은 작아진다. 본 발명은 진동판지지부(312)의 지지면(312c)의 전체가 아닌 지지면(312c)의 외측부분과 안착홈의 내측단부가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중첩부분(A)의 폭을 진동판지지부(312)의 지지면(312c)의 폭(진동판지지부(312)의 지지면의 반경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중첩부분(A)의 폭이 작아서 진동판(32)의 진동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32)을 상부에서 눌러주는 진동판지지부(312)는 탄성이 있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진동판(32)이 진동을 할 때에 진동판(32)을 잡아주는 진동판지지부(312)가 탄성변형되는 수준까지 진동판(32)의 움직임이나 진동판(32)의 변형이 허용되므로 진동판(32)의 굽힘변형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진동판지지부(312)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진동판(32)을 지지하면서도 진동판(32)이 움직이거나 변형하는 것을 허용한다. 만약 진동판지지부(312)가 경질재료로 형성된다면 진동판지지부(31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진동판(32)을 꽉 잡아주게 되어 진동판(32)이 움직이거나 변형되기 어렵고 따라서 진동판(32)의 굽힘변형의 크기가 작아서 진동판(32)의 진동의 폭이 작아진다.
또한, 분무부(3)를 저장용기(21)의 배출구(211)에 끼워서 장착시킴으로써, 본체(1) 및 저장용기(21)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고, 진동판(32)이 고장이 나더라도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제1몸체
12; 제2몸체
13; 제3몸체
14; 회로기판
15; 회전커버

Claims (3)

  1. 배터리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액상이 수용되는 저장부;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본체 외부로 분무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전후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기 저장부에 결합시키는 진동판설치부 및 진동판지지부를 구비한 분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진동판에 공급 또는 해제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설치부는 상기 진동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진동판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안착홈의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판안착홈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진동판안착홈에 의해 아래에서 지지되며 상기 진동판지지부는 상기 진동판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지지부의 상기 지지면이 상기 진동판의 내측부분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진동판지지부와 상기 진동판설치부가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분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지지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분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안착홈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분이 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분무 장치.
KR1020110055818A 2011-06-09 2011-06-09 미용 분무 장치 KR10125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18A KR101255606B1 (ko) 2011-06-09 2011-06-09 미용 분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18A KR101255606B1 (ko) 2011-06-09 2011-06-09 미용 분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11A KR20120136711A (ko) 2012-12-20
KR101255606B1 true KR101255606B1 (ko) 2013-04-16

Family

ID=4790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818A KR101255606B1 (ko) 2011-06-09 2011-06-09 미용 분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6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582A (ko) * 2000-08-22 2002-02-28 홍재의 미용 및 치료를 위한 분무장치
KR20020033995A (ko) * 2000-11-01 2002-05-08 이승렬 초음파 미용기용 미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582A (ko) * 2000-08-22 2002-02-28 홍재의 미용 및 치료를 위한 분무장치
KR20020033995A (ko) * 2000-11-01 2002-05-08 이승렬 초음파 미용기용 미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11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1395B (zh) 喷水装置及水舞音响
CN104203428B (zh) 雾化装置
KR101224336B1 (ko) 통기공의 개폐 조절기능을 갖춘 미스트 분무기
JP2013533051A (ja) 携帯用液状化粧品電動ミスト供給器
CN1630562A (zh) 液体喷头及包含这种液体喷头和容器的装置
TWI268179B (en) Improved structure of atomizing nozzle the plate can be vibrated by the vibrator element to compress the fluid, so that the fluid is jet from the perforations in form of tiny particle
JP2012509734A (ja) 超音波を用いた多機能美顔器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200475589Y1 (ko) 화장품 용기
US20180070702A1 (en) Vertically pressed compact container provided with pouch container
CN109905819A (zh) 一种扬声器结构、移动设备及扬声器结构的组装方法
KR101255606B1 (ko) 미용 분무 장치
KR101155302B1 (ko) 진동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수분공급장치
CN207518841U (zh) 一种发声装置
JP2019501765A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有する噴霧システム
JP2016043286A (ja) 超音波霧化装置
WO2015035629A1 (zh) 一种音响
JP2013233490A (ja) 液体噴霧装置
CN206745759U (zh) 一种超声美容装置
KR20170000231U (ko) 화장품 용기
KR101173984B1 (ko) 진동 퍼프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지지체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01740A (ko)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87437A (ko) 피부 마사지 장치
KR20170058633A (ko) 피부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