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231U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231U
KR20170000231U KR2020150004609U KR20150004609U KR20170000231U KR 20170000231 U KR20170000231 U KR 20170000231U KR 2020150004609 U KR2020150004609 U KR 2020150004609U KR 20150004609 U KR20150004609 U KR 20150004609U KR 20170000231 U KR20170000231 U KR 20170000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id
outer cover
contain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635Y1 (ko
Inventor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2020150004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63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주변을 감싸는 외측 커버; 상기 외측 커버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탈부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커버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방향에 상기 브러시부가 내장되는 브러시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브러시 보관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를 비껴서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브러시부가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비껴서 마련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 커버를 닫았을 때 브러시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브러시가 떠 있게 하면서도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은 퍼프 이외에 브러시로 접촉되어 소정 양만큼 화장품이 묻도록하여 화장이 이용될 수 있는데, 컴팩트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 퍼프 또는 브러시가 수용될 때 화장품 용기에 눌려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고, 컴팩트에 구비되는 거울 또는 용기에 퍼프나 브러시가 눌리게 됨에 따라 퍼프 등에 묻어난 화장품이 용기 및 거울에 묻어나게 됨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퍼프나 브러시를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에 적층함으로써 컴팩트와 같은 화장품 용기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시가 눌리지 않고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면서, 화장품 용기의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주변을 감싸는 외측 커버; 상기 외측 커버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탈부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커버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방향에 상기 브러시부가 내장되는 브러시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브러시 보관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를 비껴서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고정부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 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시부는, 일단에는 상기 금속체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솔부재가 설치되는 브러시 몸체; 및 상기 브러시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되 상기 브러시 몸체에 맞닿거나 접히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금속체를 두르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솔부재가 하측으로 향하고 상기 금속체가 상부를 향하여 상기 브러시 보관부에 세워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시 보관부는, 그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뚜껑까지의 길이가 상기 브러시부의 길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브러시부의 단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시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외측 커버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브러시부가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비껴서 마련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러시부의 솔부재가 화장품 용기 내부에 눌리지 않게 수용될 수 있어 솔부재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며, 화장품이 묻어난 솔부재로 인하여 화장품 용기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브러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브러시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브러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브러시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외측 커버(120), 뚜껑(130) 및 브러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100)는 퍼프(도시하지 않음) 또는 브러시부(140)에 의해 화장품이 묻혀지는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컴팩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한다. 용기 본체(110)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품은 고형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같이 압축된 가루 또는 점성이 높은 액상의 물질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브러시부(140)에 화장품이 묻혀져 사용자의 안면으로 옮겨짐으로써 화장을 이룰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내부 공간에 화장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면(뚜껑과 마주한 면)에 메탈판(111)(일례로, 금속 재질이거나 금속 박막이 덮인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형성되어 메탈판(111)의 복수의 구멍을 통해 액상의 화장품이 가압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 본체(110)는 메탈판(111)의 하부에서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화장품이 수용되는 하부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상부 본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본체가 상부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10)가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를 하부와 상부로 구분하는 것은 용기 본체(110)에 화장품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하부 본체는 내부가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해서 우선 하부 본체의 내부에 화장품을 담고, 상부 본체를 하부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부 본체가 하부 본체를 덮도록 하면, 용기 본체에 간단히 화장품을 채워넣을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10)를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용기 본체(110)에는 별도의 화장품 공급용 개폐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화장품이 개폐구를 통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뒤 개폐구가 밀폐되도록 해 용기 본체(110)에 화장품을 충전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뚜껑(130)이 개방된 외측 커버(120) 내에서 화장품이 노출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용기 내에 고형 파우더가 수용되거나, 액상의 화장품이 함침된 스폰지가 내장된 형태를 이루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10)의 형태나 구조 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태의 용기 본체든 사용 가능하다.
외측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의 주변을 감싸는 구성이다. 외측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가 안착되도록 하는 공간을 가지며, 다만 외측 커버(120)에는 하방에 용기 본체(110)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외측 커버(120)의 개방부를 통해 용기 본체(11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용기 본체(110) 등이 분리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의 교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이다.
외측 커버(120)에는 용기 본체(110)의 측방향에 브러시부(140)가 내장되는 브러시 보관부(121)가 형성된다. 브러시 보관부(121)는 브러시부(140)를 보관하는데, 뚜껑(130)이 닫힌 상태에서 뚜껑(130)에 고정된 브러시부(140)가 용기 본체(110)에 눌리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일례로, 브러시 보관부(121)는 그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뚜껑(130)까지의 길이가 브러시부(140)의 길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브러시 보관부(121)의 내부 바닥면은 브러시부(140)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부(140)는 고정부(132)에 고정된 상태로서 브러시 보관부(121) 상에서 떠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보관부(121)의 단면은 브러시부(140)의 단면보다 크게 이루어져 브러시부(140)의 둘레면 또한 브러시 보관부(121)의 내측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외측 커버(120)에는 걸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걸이부가 뚜껑(130)을 구속함으로써 임의로 뚜껑(13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의 화장품을 보호하고 화장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부는 뚜껑(130)의 개방을 차단하도록 뚜껑(130)에 결합되는데, 버튼(도시하지 않음)과 걸쇠(도시하지 않음)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걸이부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걸쇠 역시 가압 방향으로 움직여서, 걸쇠가 뚜껑(13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뚜껑(1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뚜껑(130)은, 외측 커버(12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을 개폐한다. 뚜껑(130)은 일측이 외측 커버(1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외측 커버(12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뚜껑(130)은 앞서 설명한 걸이부에 의해 외측 커버(120)의 상부를 밀폐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뚜껑(130)은 외측 커버(120)에 힌지 결합되되, 힌지 결합 부분에는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걸이부에 의해 뚜껑(130)의 잠금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뚜껑(13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뚜껑(130)의 내측에는 거울(131)이 구비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뚜껑(130)을 열고 거울(131)을 보면서 용기 본체(110)로부터 화장품을 묻혀 사용할 수 있다. 거울(131)은 뚜껑(130)이 외측 커버(120)를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0)와 대향하되, 브러시부(1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뚜껑(130)의 일정 영역을 비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뚜껑(130)은 거울(131)에 인접하여 고정부(132)가 마련된다. 고정부(132)는 브러시부(14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브러시 보관부(121)에 대향하도록 용기 본체(110)를 비껴서 마련되어, 거울(131)은 고정부(132)를 가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고정부(132)는 브러시부(140)를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영구 자석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32)는 뚜껑(130)의 내측에 일면이 노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심미감을 위해 거울을 제외한 뚜껑(130)의 하면(거울이 마련되는 면일 수 있음)이 금속, 스티커 등의 각종 재질이 자성체의 자력을 무력화시키지 않는 한도로 커버되어 고정부(132)가 가려질 수도 있다.
그리고 화장품이 화장품 용기(1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용기 본체(110)가 뚜껑(130)의 힌지 결합 부위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이에 대비하여 고정부(132)는 뚜껑(130)의 힌지 결합 부위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0)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외부와 격리시키고, 용기 본체(110)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시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브러시부(140)는 사용자의 얼굴 등에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화장품이 묻어지는 구성으로서, 화장품 용기(100)에 눌리지 않도록 뚜껑(130)에 탈부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뚜껑(130)을 개방하면, 뚜껑(130)에 부착된 브러시부(140)가 뚜껑(130)에 딸려서 이동함으로써 브러시 보관부(121)로부터 꺼내진다. 이때, 사용자는 뚜껑(130)의 하면에 부착된 브러시부(140)를 잡아당겨, 고정부(132)에 발생되는 자력으로부터 브러시부(140)를 이격시킴으로써 뚜껑(130)과 브러시부(140)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시부(140)는 브러시 몸체(141), 금속체(142), 손잡이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몸체(141)는 금속체(142)와 솔부재(143)가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일단에 금속체(142)가 설치되고 타단에 솔부재(143)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브러시 몸체(141)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등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물의 하부에 화장품을 묻힐 수 있는 솔부재(143)가 브러시 몸체(141)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단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 몸체(141)의 단면은 용기 본체(110)의 외측 둘레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용기 본체(110)에 대향하여 브러시 몸체(141)의 일측이 오목하게 이루어지고 브러시 몸체(141)의 타측이 외측 커버(120)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외측 커버(120)와 용기 본체(110) 사이의 공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장품 용기(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 몸체(141)의 상면에는 고정부(132)와 대향하여 금속체(1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 몸체(141)의 상면에는 뚜껑(130)의 하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금속체(142)가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사출물(자성체의 자력을 무력화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로 커버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부(140)는 단면적이 브러시 몸체(141)로부터 솔부재(143)까지의 총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화장품 용기(100)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솔부재(143)가 하측으로 향하고 금속체(142)가 상부를 향하여 브러시 보관부(121)에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금속체(142)는 브러시부(140)를 고정부(132)에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고정부(132)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체(142)가 자석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체(142)와 고정부(132) 간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금속체(142)는 고정부(132)의 자성체와 반대되는 극을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일례로 금속체(142)에 대향하는 고정부(132)의 일면은 N극이고, 고정부(132)에 대향하는 금속체(142)의 일면은 S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재(144)는 사용자가 브러시부(14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손잡이부재(144)가 브러시 몸체(14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손잡이부재(144)의 외측 단면은 브러시 몸체(141)의 외측 단면과 형태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재(144)는 브러시 몸체(141)의 일단에 마련되되 고정부(132)로부터 금속체(142)로 자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손잡이부재(144)의 전체 재질이 자성을 이루거나 금속체(142) 상의 재질이 자성을 이루거나 이와 달리, 손잡이부재(144)가 금속체(142)를 가리지 않도록 금속체(142)가 관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재(144)는 금속체(142)의 외곽을 두르되 금속체(142)의 외측에서, 브러시 몸체(141)의 일단에 맞닿거나 접히는 날개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브러시 몸체(141) 상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100) 내부에 보관시에는 손잡이부재(144)가 브러시 몸체(141)에 맞닿아 총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데, 브러시부(140)를 이용시에는 브러시부(14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144)가 서로 대향하게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재(144)는 금속체를 두르는 고정체(1441)와 고정체(144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날개(1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날개(1442)는 고정체(1441)로부터 젖혀져 서로 대향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날개(1442)를 맞잡아 사용자가 브러시부(140)를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재(144)는 사용자가 브러시부(140)를 편히 잡을 수 있게 그립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브러시 몸체(141)의 길이에 비해 넓이가 크게 이루어지는 브러시 몸체(141)에 대응하는 손잡이부재(144)의 날개(1442)를 이용하여, 브러시 몸체(141)의 상하 길이를 늘리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솔부재(143)에 손이 닿지 않도록 브러시부(14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브러시부(140)가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10)의 측방향으로 비껴서 마련됨으로써 화장품 용기(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솔부재(143)가 화장품 용기(100) 내부에 눌리지 않게 수용될 수 있어 솔부재(143)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며, 화장품이 묻어난 솔부재(143)로 인하여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화장품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메탈판 120: 외측 커버
121: 브러시 보관부 130: 뚜껑
131: 거울 132: 고정부
140: 브러시부 141: 브러시 몸체
142: 금속체 143: 솔부재
144: 손잡이부재 1441: 고정체
1442: 날개

Claims (7)

  1.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주변을 감싸는 외측 커버;
    상기 외측 커버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탈부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커버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방향에 상기 브러시부가 내장되는 브러시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브러시 보관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를 비껴서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고정부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 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일단에는 상기 금속체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솔부재가 설치되는 브러시 몸체; 및
    상기 브러시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되 상기 브러시 몸체에 맞닿거나 접히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금속체를 두르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솔부재가 하측으로 향하고 상기 금속체가 상부를 향하여 상기 브러시 보관부에 세워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보관부는,
    그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뚜껑까지의 길이가 상기 브러시부의 길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브러시부의 단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외측 커버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50004609U 2015-07-08 2015-07-08 화장품 용기 KR200483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09U KR200483635Y1 (ko) 2015-07-08 2015-07-0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09U KR200483635Y1 (ko) 2015-07-08 2015-07-0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31U true KR20170000231U (ko) 2017-01-18
KR200483635Y1 KR200483635Y1 (ko) 2017-06-07

Family

ID=5796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609U KR200483635Y1 (ko) 2015-07-08 2015-07-0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6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856A (zh) * 2018-11-02 2020-07-10 株式会社Lg生活健康 涂抹器及包括该涂抹器的化妆品容器
WO2022246145A1 (en) * 2021-05-20 2022-11-24 Boos Joshua B Magnetic hair color bowl and bru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319B1 (ko) * 2018-11-02 2020-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730A (ja) * 2003-09-05 2005-03-31 Kamaya Kagaku Kogyo Co Ltd 塗布具付き容器
JP2008519666A (ja) * 2004-11-10 2008-06-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色合いを示す化粧品ケース
KR20100008874U (ko) * 2009-03-02 2010-09-10 애경산업(주) 파운데이션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730A (ja) * 2003-09-05 2005-03-31 Kamaya Kagaku Kogyo Co Ltd 塗布具付き容器
JP2008519666A (ja) * 2004-11-10 2008-06-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色合いを示す化粧品ケース
KR20100008874U (ko) * 2009-03-02 2010-09-10 애경산업(주) 파운데이션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856A (zh) * 2018-11-02 2020-07-10 株式会社Lg生活健康 涂抹器及包括该涂抹器的化妆品容器
WO2022246145A1 (en) * 2021-05-20 2022-11-24 Boos Joshua B Magnetic hair color bowl and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635Y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US10334935B2 (en) One-touch compact case having refillable structure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521340B1 (ko) 비틀림 가능한 뚜껑을 가진 화장품 콤팩트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US7028843B2 (en) Cosmetics case
KR200483635Y1 (ko) 화장품 용기
KR100905815B1 (ko) 밀폐 구조의 화장품용기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100526307B1 (ko) 휴대용 화장품케이스
KR101886143B1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0484166Y1 (ko) 화장품 용기
KR200425540Y1 (ko)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2383572B1 (ko) 콤팩트 용기
KR101119485B1 (ko) 화장용 브러쉬
KR20190079896A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KR200405176Y1 (ko) 아이새도우 화장용 용기
KR200483398Y1 (ko) 꺾인 안내슬릿을 구비한 립스틱 용기
CN214103573U (zh) 眉毛印章
KR10147441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3663Y1 (ko) 뚜껑 개폐와 동시에 화장료 도포가 가능한 립스틱 용기
KR200467970Y1 (ko) 콤팩트 용기
KR200490447Y1 (ko) 화장품 용기
KR101717957B1 (ko) 화장품용 액상 화장료를 내장한 화장품용 퍼프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