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533B1 -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533B1
KR101255533B1 KR1020120114959A KR20120114959A KR101255533B1 KR 101255533 B1 KR101255533 B1 KR 101255533B1 KR 1020120114959 A KR1020120114959 A KR 1020120114959A KR 20120114959 A KR20120114959 A KR 20120114959A KR 101255533 B1 KR101255533 B1 KR 10125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peaker
sound
broadcas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오에이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에이전자 filed Critical (주)오에이전자
Priority to KR102012011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04H40/4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receiving
    • H04H40/7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receiving for noise sup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되, 스피커의 배치 위치와, 가청 영역의 중첩에 따라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방송하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 및 외부에서 상기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진행할 수 있고, 앰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BROADCASTING APPARATUS ENABLING ADJUSTMENT OF INTERFERENCE BETWEEN OUTPUT SOUNDS OF OUTDOOR SPEAKER AND BROADCAS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도 전화를 이용하여 음의 간섭을 최소화한 동보 방송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지역에서는 마을 주민들에게 긴급을 요하는 방송이나 공지사항에 대한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 시스템인 앰프와 옥외 스피커를 설치하여 주민들에게 방송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관계자가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농촌지역 인구 감소로 인하여 최소 행정단위인 리의 통합으로 리의 면적이 적게는 2배에서 5, 6 배 넓어지게 되어 행정단위인 리에 다수의 옥외 방송 스피커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계곡, 하천, 유원지, 해수욕장, 댐 하류 등에는 다수의 옥외 방송 스피커를 설치하여 긴급한 일 또는 공지 사항 등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시스템은 방송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관계자가 앰프와 스피커가 위치한 곳에 직접 가서 방송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옥외 방송을 통하여 공지사항 등을 안내할 수 없는 경우 실내 스피커를 설비하여 방송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관리 대상지가 넓은 경우 고출력의 방송 설비를 다수 설치하여 운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옥외 스피커간의 거리와 방향 등에 의하여 방송음이 중첩되는 지역이 넓게 발생하게 된다. 방송음 중첩지역에서 방송을 청취하게 되는 경우 방송음을 인지 하지만 서로 다른 지점에서 발생하는 음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내용을 인지하기가 매우 어려워 방송내용이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방송을 담당하는 관계자가 원격지에 있고, 넓은 지역에 다수의 스피커시설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다양한 수단을 이용해 안내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공지사항 전달이나 긴급 방송을 효과적으로 방송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재난 위험 정보 안내 및 주민행정관련 안내를 목적으로 하는 동시 동보방송에 있어서 방송안내 정보는 일반적으로 약 30초에서 3분미만의 분량으로 안내를 하게 되는데, 방송음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 동작 시점을 달리하여 정보를 전달하여도 동시 동보 장치 본래의 목적과 신속한 동시 정보 전달의 목적을 충분히 발휘한다.
마을 방송, 재난 방송 및 공지사항 방송 등과 같은 시스템 설치 목적에 따라 방송을 원격에서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실시하고 이와 같은 방송 시스템의 경우 전달된 음성을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옥외로 출력을 한다.
이때,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음은 스피커의 방향에 따라 광범위한 공간으로 파동 형태, 즉, 음파로 전파된다. 이 경우 방송음이 중복되는 공간에서는 중첩되어 방송음은 들리지만 청취자가 내용을 인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송 장치에 접속하여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방송음이 중첩되는 지역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되,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방송하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 및 외부에서 상기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진행할 수 있고, 앰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의 방송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설치지점의 시간대별 주변소음을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등록하여 스피커 출력음과 주변소음과의 차에 의하여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차 5dB 내지 관심을 유발시켜 들을 수 있는 출력음압의 차인 9dB 이상의 차를 갖도록 방송음 도달거리를 산정하고 방송 앰프시스템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상기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스피커의 가청 거리를 입력받아 가청 거리의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와, 각 스피커의 위치에 의하여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스피커의 가청 거리를 입력받아 가청 거리의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와, 각 스피커의 위치에 의하여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를 구비하여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여 방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의 가청 거리가 50m 내지 3000m인 것과, 최대 출력은 20W 내지 2000W이며, 유선 또는 무선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다수의 스피커에 방송용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와, 다수의 스피커와 방송 신호 출력부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방송용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부와, 통신 을 통한 사용자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부와, 통신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멘트를 방송 신호 출력부에 제공하는 방송 재생부와, 상기 스위치부 및 방송 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선택 제어부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술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와, 상기 방송용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송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방송 멘트를 등록/저장하는 방송 멘트 등록부와, 다양한 환경에 맞는 방송 멘트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선택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스피커 제어 통신부는 무선 스피커에 전송되는 호(호출) 신호를 제어하여 방송신호 출력부의 신호가 스피커에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되, 모든 스피커가 동시에 동일한 방송용 신호에 따라 방송하거나, 각기 시간차를 두어 방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스피커에 동시 방송을 할 것인지, 스피커 출력음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피커 출력 시점을 달리 하여 방송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방송멘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방송멘트를 저장하고, 방송을 시작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멘트는 스위치를 통해 각 스피커에 제공되고,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스피커가 각기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방송 동작 명령 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방송 멘트를 전달하는 단계 및 방송 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멘트 신호는 스위치를 통해 각 스피커에 제공되고,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스피커가 각기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방송음이 전달되어야할 곳의 주변 소음(dB)과, 스피커 음이 전달되어야 할 곳의 지형에 따른 음파의 물리적 특성(굴절, 반사, 회절)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즉, 스피커 출력음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방송 내용을 인지할 수 없는 공간)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스피커 동작 결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 앰프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방송음은 들리나 내용을 알 수 없는 방송음의 중첩구간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음의 직진성과, 방송음의 이동 속도, 도달 거리 및 감쇠와, 주변 소음 및 방송음 출력 지점과 송출 방향들을 고려하여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여 명료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앰프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스피커의 가청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배치도 및 방송음 간섭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의 도달 거리별 출력음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피커 간의 음의 중첩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방송 내용이 시간차를 두고 중첩되어 인식할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동작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 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앰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피커의 가청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배치도 및 방송음 간섭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의 도달 거리별 출력음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피커 간의 음의 중첩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장치는 다양한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400)와, 상기 스피커(400)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되, 방송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과, 외부에서 상기 앰프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방송을 진행할 수 있고, 앰프 시스템(200)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40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앰프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400)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즉, 음파)로 변환하여, 방송음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스피커는 그 세기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커버되는 방송음의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가청 거리가 50m 내지 3000m인 것이 효과적이다. 가청 거리는 스피커에 의해 방송음이 들리는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가청 거리는 스피커를 중심으로 원형상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피커의 최대 출력은 20W 내지 2000W 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피커(400)에 의한 소리의 크기(즉, 세기)는 스피커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로는 지향성 스피커로 나팔모양의 혼 스피커를 사용한다. 그리고, 사방으로 방송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를 각기 90도의 각으로 방향을 달리 4개의 스피커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를 통해 스피커의 출력 형태를 원형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지향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출력을 송출하기 위해 스피커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스피커의 방향 전화를 위한 전동 모터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스피커가 고정배치되어 있다면 동서남북 방향의 스피커를 개별제어하여 송출되는 음의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스피커(400)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되, 방송하고자 하는 모든 영역에 커버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인접하는 스피커(400)의 가청 영역이 중첩된다. 앞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스피커의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공간에서는 스피커의 방송음이 들리지만 내용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방송음은 스피커의 방향에 따라 개방되어 있는 광범위한 공간으로 파동형태로 전파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다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발생하게 되면 방송음이 중복되는 공간(방송 내용을 인지 할 수 없는 미 청취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방송음의 이동 속도에 의하여 지점별로 방송음의 시간차가 발생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방송음이 서로 간섭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방송음이 명확히 전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간의 음의 간섭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더욱이 도 5에서와 같이 A지점의 스피커와 G 지점의 스피커의 출력 음압이 110(dB)일 경우 각 지점의 음압과 소리 전달 시점을 보면, C, D, E 구간에서 그 음이 중첩 즉, 음 간섭 구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방송음은 온도, 바람, 주변소음, 언덕 등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이동속도, 이동방향, 감쇠현상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방송음의 파장 및 주파수 특성에 따라 음의 도달 거리 및 감쇠현상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소리의 세기를 비교적 작은 수치로 나태 내기 위해서 보통은 음압과 소리의 파워를 데시벨(dB) 척도로 나타낸다.
소리의 감각적 요소는 비악음은 별도로 하고, 모든 소리는 일정한 높이, 크기, 음색이라는 감각상의 요소를 지니며 이것에 의해서 서로 다른 소리로 인식된다. 그중에서 소리의 높이는 음파의 주파수, 크기는 음압, 음색은 파형이라는 물리적 요소에 대응하는데, 청각의 감음특성은 일반적으로 복잡하므로 감각상의 3요소가 그것에 대응하는 물리량만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고는 할 수 없다.
소리의 크기는 음파의 세기, 즉 파동의 진폭에 관계되는 값으로 음압으로 나타낸다. 하지만 청각기의 감도는 주파수에 따라 다르므로 소리의 감각상의 크기는 일반적인 파동의 세기와는 달리 주파수에 관계되는 복잡한 값을 갖는다. 이 때문에 음향학에서는 소리의 감각적인 크기를 소리의 크기라 하여 소리의 물리적인 세기 와 분명히 구별한다.
소리의 음색은 같은 높이, 같은 크기의 소리라도 발음체의 종류가 다르면 소리의 질이 다르다. 또 같은 종류의 발음체라도 주의해서 들으면, 각각의 발음체에서 나오는 소리에는 그 발음체 고유의 특징이 있다. 이런 소리의 개성을 음색이라고 하며, 물리적으로는 그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상음의 구성의 차이에 의해 설명된다. 즉 소리의 높이는 주로 그 소리의 기음의 주파수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상음의 구성이 다르면 같은 높이라도 음색의 차이로 이를 분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음속은 공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온도에 의한 밀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하기 식과 같이 표현된다.
음속 = 340 + 0.6(기온-15)m/s
소리는 반사, 굴절, 회절, 간섭, 울림, 공명, 잔향 등의 특성이 있으며, 주변 환경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된다.
사람의 음성(목소리)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서 생긴 음이 구강, 비강, 후두 등 유연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공명기 안에서 변조되어 나오는 것이며, 그 진동수 범위는 100~800Hz이다. 그러나 성대가 짧은 사람일수록 목소리가 높다. 여성이나 어린이의 목소리가 높은 것도 성대가 남성의 성인에 비해서 얇고 짧기 때문이다.
옥외 음향 방송장치는 얼마나 멀리 공기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지 사람들로 하여금 인지가능토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소리의 크기는 진동을 내는 원천으로부터 멀어지면 그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소를 거리에 의한 감소라고 한다.
사람들에게 인지될 수 있는 소리 크기는 아래의 방정식으로 간단히 계산된다.
[사람들에게 인지될 수 있는 소리의 크기(dB)] = [음향방송장치가 낼 수 있는 소리의 크기(dB)] - [거리에 의한 소리 감소량(dB)]
따라서, 거리변화에 따른 음압 변화는 다음 공식에 의해 예측할 수 있다.
SPL = 20 log D1/D0 (D1:측정지점의 거리, D0: 기준지점)
스피커에서 1m 인 지점의 음압레벨 = 스피커의 출력음압 레벨 + 10 log 스피커에 공급된 동력(Power)을 식으로 만들면
Lp,1m = Lo + 10 log Psp
(Lp,1m: 스피커 1m인 점의 음압레벨, Lo: 스피커의 출력음압레벨,
Psp: 스피커에 공급된 동력)
거리가 2배가 되면 음압 값은 6dB 만큼씩 감소하게 된다.
거리가 2배가 되면 소리의 강도 값은 1/4로 줄어든다.
청취는 어느 정도의 소리의 양이 사람들에게 정확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가는 여러 요소들을 감안해야 한다. 소리는 소음을 포함하여 대기를 통해 전달된다. 대기중의 소음은 듣는 사람과 소음의 주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끊임없이 그 음정의 높이와 크기가 변한다. 소리를 듣는 주체의 집중 여부에 의해서 그 효과가 달라진다. 다른일에 집중하고 있는 사람에게 관심을 유발시키기 위해서 집중해서 듣는 사람의 청취소리보다 약 9dB 크게 전달해야 한다.
사람에 따라서 스피커에서 나오는 방송음을 듣고 내용을 인지하는 능력이 다소 차이가 있다.
수백 미터에서 수 키로미터 이내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들려오는 두개 이상의 소리는 청취자로 하여금 방송내용의 변별을 어렵게 하게 된다.
평균소음은 관측지점별로 상이 하지만, 녹지 지역 (야간: 38~39dB,주간: 43~45dB), 주거지역 (야간: 51~54dB, 주간: 55~58dB), 상업 준공업지역 (야간: 57~61dB, 주간: 61~65dB)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각종 관측 자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방송 내용이 시간차를 두고 중첩되어 인식할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송 내용을 방송하더라고 일정 시간차를 두고 내용이 중첩되어 청취자가 내용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스피커(400)에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교번으로 제공하거나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이와 같은 가청 영역의 중첩 공간에서 방송음이 들리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400)로 무선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선 없이도 신호를 제공 받아 방송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가능하다.
이때, 무선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동작 및 구현 방식이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방송엠프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무선 스피커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CDMA 모듈을 무선스피커 개수만큼 실장하여 구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를 스피커 거리 제한이 없다. 즉, 방송엠프 시스템에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의 CDMA 통신모듈과, 다수의 무선스피커가 있는 경우 이의 제어를 위한 무선스피커 개수만큼의 CDMA통신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방송엠프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무선 스피커를 호출하기위해서는 BCDMA 송수신모듈을 1개 만을 탑재하여 구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근거리의 수 KM 이내 스피커 제어가 가능하고, 고음질 방송이 가능하다. 즉, 방송엠프 시스템에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기위한 1개의 CDMA 통신모듈과, 무선스피커가 다수(수십개~200여개 미만)개 있을 경우라도 1개의 BCDMA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를 통해, 총 1개의 BCDMA통신모듈과 1개의 BCDMA 송순신 모듈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방송엠프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무선 스피커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1개의 무전기 송수신모듈을 탑재하여 구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또한, 근거리의 수 십 KM 이내 스피커 제어가 가능하다. 즉, 방송엠프 시스템에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1개의 CDMA 통신모듈과, 무선스피커 가 다수(수십개 미만)개 있을 경우 라도 1개의 무전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은 다수의 스피커(400)에 방송용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210)와, 다수의 스피커(400)와 방송 신호 출력부(210)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방송용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부(220)와, 전화를 포함하는 통신 회선을 통한 사용자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부(230)와,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방송 멘트(방송 시나리오)를 등록/저장하는 방송 멘트 등록부(240)와, 다양한 환경에 맞는 방송 멘트(시나리오)가 저장된 저장부(250)와, 새로이 등록된 방송 멘트 또는 기 저장된 방송 멘트 중 하나의 방송 멘트를 방송용 신호로 변환하여 방송 신호 출력부(210)에 제공하는 방송 재생부(260)와, 상기 스위치부(220) 및 방송 재생부(2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술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은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290)와,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 저장된 동작 메뉴를 설명하는 메뉴 안내부(300)와, 상기 방송용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송 조절부(310)와, 멘트 입력 및 실시간 방송을 위한 별도의 마이크(320)와, 전원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스피커의 가청 거리를 입력받아 가청 거리의 중첩 영역(즉, 방송 미 청취 공간)을 산출하는 중첩 공간 산출부(340)와, 각 스피커마다 고유 번호를 인식하고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 및 스피커 주변의 소음을 측정 등록하는 스피커 주변 소음 측정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는 중첩 공간 산출부(340)와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에 의해 저장된 스피커 그룹별로 스피커가 동작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는 스피커 주변 소음 측정부(미도시)의 소음 측정 결과와 스피커 출력음간의 차를 이용하여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차 5dB 내지 관심을 유발시켜 들을 수 있는 출력음압의 차인 9dB의 차를 갖도록 방송음 도달거리를 산정하고 시스템의 출력 즉,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가청 거리의 중첩 영역을 산출하는 중첩 공간 산출부(340)의 기능과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를 원격지 사용자 단말기(100)에 마련하여 방송용 앰프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를 통해 각 지점에서 출력되는 방송 음간의 중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의 동작 시점을 각 영역별 스피커마다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동작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피커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C지점에서 좌, 우측 방향으로 방송이 전파되면, 방송음은 B지점과 D지점을 각기 지나 A지점과 E지점으로 진행한다.
C 지점에서 발생한 음이 B, D 지점에 도착하는 시점에 B, D 지점의 스피커가 동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출력음을 전파하면, 방송음간의 중첩에 의하여 방송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A 지점과 E 지점의 스피커의 동작 시점도 이와 같이 C와 B지점 및 C와 D지점에서 발생한 음이 A와 E지점에 도착하였을때, 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이를 통해 음의 중첩에 따라 방송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오히려 해당 지점에서의 방송음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위해 스피커 동작 결정부(350)는 해당 방송음이 해당 지점에 도착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이 공기중에서 전파되는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방송음 측정 장치를 각 지점의 스피커에 배치하여 해당 방송음이 스피커가 위치한 지점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피커의 동작 시점을 결정할 경우, 전체 방송시간이 단축되어 방송 기기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 되고, 신속한 방송 내용의 전파가 가능하다.
물론, 본 실시예의 방송음은 C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A지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B 지점, C지점, D지점 및 E지점으로 이동하는 방법에서도 해당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E지점에서 D지점, C지점, B지점 및 A지점으로의 방향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작 시점의 결정은 지형지물, 주변환경 및 음의 전파 방향과 속도, 스피커의 배치에 의해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의 동작 시점은 방송 장비의 기계적인 현상에 의해 지연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계적인 지연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방송용 앰프 시스템(장치)은 장치에 근접하여 마이크 또는 기 저장된 멘트를 통해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 즉, 전화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에 접속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장치의 동작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멘트를 입력하거나, 원격 동작하도록 하여 방송 출력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화기 이외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단말기가 가능하다. 즉, 인터넷망, 전화망, VHF, 와이브로, VOIP, 위성통신, 테트라, 이동통신 망등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가능하고, 방송 수단으로 전화기 이외에 동보장치, 무전기, 소프트웨어가 깔려 있는 컴퓨터 및 해당 어플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도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그 일예로서 전화기를 사용함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인 전화기를 통한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부(230)를 구비한다.
통신 모듈부(230)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단말기(100)인 전화기와의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 모듈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인 전화기의 접속 요청 신호(즉, 호 신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하고, 통신 연결 명령을 생성한다. 이 통신 연결 명령에 따라 앞서 언급한 메뉴 안내부(300)가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저장된 동작 메뉴에 관한 설명을 진행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원부(330)를 제어하여 대기 모드인 전체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모듈부(230)는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만이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메뉴 설명전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 다음 비밀 번호가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부(230)는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순간 부터 전체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재난 방송 등은 긴급하게 방송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화연결 요청 신호 입력과 동시에 활성화하여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200)에 접속한 사용자는 메뉴 안내부(300)의 설정에 따라 방송 멘트 등록부(240)를 통해 자신이 방송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야기하고, 이를 방송 멘트 등록부(240)는 1차로 저장한다.
즉, 방송 멘트 등록부(240)는 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내용을 방송 멘트로 등록 저장한다. 물론, 방송 멘트 등록부(240)는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라 그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저장부 즉,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50)는 사전에 사용자가 입력하였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입력되어 있는 방송 멘트를 저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통해 별도의 방송 멘트를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멘트를 방송할 수도 있다.
방송 재생부(260)는 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사용자 동작 신호가 제공되면, 동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방송 멘트 등록부(240)를 통해 등록한 방송 멘트를 방송하거나, 저장부(250)에 저장된 멘트 중 하나의 방송 멘트를 방송용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같이 변화된 방송용 신호를 방송 신호 출력부(210)에 제공한다. 방송 재생부(260)는 방송 시점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출력부(210)는 기 설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방송용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송 신호 출력부(210)는 신호 변환 모듈, 신호 증폭 모듈 및 노이즈 제거 모듈을 구비하여 입력된 방송 신호의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깨끗한 방송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출력부(210)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송 조절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조절부(310)는 방송 신호 출력부(210)의 세기를 조절하여 방송음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물론 방송 조절부(310)의 기능이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210)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가청 영역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210)가 하나의 출력 단자를 통해 다수의 스피커(400)에 접속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출력 단자를 통해 각기 다른 스피커(400) 그룹에 방송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스피커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스피커(400)의 출력을 달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로와 인접한 지역의 경우에는 스피커(400)의 출력을 상승시켜야 하지만, 상대적으로 평야나 주택 단지의 경우는 스피커(400)의 출력을 상승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방송 신호 출력부(210)는 스피커(400)의 개수 만큼의 신호출력단자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각 스피커(400)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400)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의 출력음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400)의 출력음 방향 조절을 위한 제어부 및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신호 출력부(210)의 기본 세팅(즉, 각 스피커에 제공할 출력의 세기)은 사전에 스피커(4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 조절부(310)를 구비하여 방송 신호 출력부(210)가 스피커(400)로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방송 신호 출력부(210)의 기본 세팅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세팅에 의한 비율들, 즉, 각 스피커(400)로 출력되는 방송신호의 세기 비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전체적인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낮 시간대에는 전체 출력을 높여 방송을 하고 저녁 시간대 또는 심야 시간대에는 출력을 상대적으로 낮추어서 방송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송 신호 출력부(210)는 방송용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400)에 제공하여 스피커(400)를 통한 방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 신호 출력부(210)에 의해 출력되는 방송용 신호가 다수의 스위치부(220)를 거쳐 다수의 스피커(400)에 각기 전달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는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에 의해 그 온/오프 동작 및 방송 재생부(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모든 스피커가 동시에 동일한 방송용 신호를 전송하거나 각기 시간차를 두어 방송용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는 전화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다수의 스피커(400)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거나, 기 입력된 제어 방식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기 입력된 제어 방식에 따라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가 동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는 스피커(400)의 가청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스피커만이 동작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는 스위치 동작 신호를 스피커의 가청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스피커에만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은 동일 방송을 2회 이상 연속하여 방송한다. 즉, 스피커 가청 영역의 중첩 여부에 따라 2회 이상의 방송을 구간별로 분할하여 방송한다. 이는 스피커(400)의 가청 영역이 스피커(400)를 기준으로 대략 원형상을 갖기 때문에 스피커의 방송음(즉, 방송 소리)이 모든 영역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스피커의 가청 영역이 중첩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피커(400)의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공간에서는 오히려 스피커(400)의 방송음이 들리지만 내용을 인지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피커(400)를 통해 방송되는 방송음을 순차적으로 방송한다. 이때, 동일 방송내용에 대한 최대 방송횟수는 스피커(400)의 가청 영역의 최대 중첩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예를 들어 스피커들의 가청 영역의 중첩이 최대 2개의 스피커(400)에 의한 중첩만이 있을 경우에는 2번의 동일 방송이 진행되고, 중첩이 최대 4개의 스피커(400)에 의해 중첩되는 경우에는 4번의 동일 방송이 진행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5개의 스피커(400a, 400b, 400c, 400d, 400e)가 있고, 최대 중첩이 3개의 스피커에 의해 중첩된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3번의 동일 방송이 진행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1번, 2번 및 5번이 동시에 방송되고, 3번과 4번이 각기 순차적으로 방송된다. 이와 같이 총 3번의 동일 방송이 진행됨으로 인해 가청 영역의 중첩으로 인하여 방송음이 들려도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를 통한 방송음의 직진성과, 방송음의 이동 속도, 도달 거리 및 감쇠와, 주변 소음 및 방송음 출력 지점과 송출 방향들을 고려하여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피커 주변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주변 영역의 지형지물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가청 영역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청 영역에 관한 정보는 사전에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피커는 이동하지 않고, 한 곳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가청 영역의 변화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방송 조절부(310)를 통한 스피커의 음량 세기를 조절하고,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를 통해 스위치를 통해 스피커에 제공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주변 소음, 지형지물의 차이 및 중첩에 의하여 방송음이 잘 들리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선택 제어부(270)는 별도의 시스템 내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접속하더라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220)도 전자 스위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격에서 스피커의 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유선 스피커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무선 스피커를 사용할 경우에는 무선이라는 차이로 인해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전원 및 신호 증폭부를 더 구비하고, 무선 통신부는 CDMA, VHF, BCDMA, 와이파이, 슈퍼 와이파이 및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스피커 제어 통신부(360)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유선의 경우 스위치부의 출력 단자를 제어를 통한 ON/OFF 제어가 가능하지만, 무선의 경우 호출에 의한 방송 및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물론 이와 같은 호출 신호의 전송 여부를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상술한 각부의 동작은 방송 제어부(280)에 의해 제어된다. 즉, 프로그램화 형태의 전체 시스템을 방송 제어부(280)에서 제어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음성 또는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및 장치를 원거리에서도 원격으로 조절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화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무전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성통신 단말기등도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의 경우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깔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스피커의 출력 시기를 조절하여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를 구비하고,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음이 전달 되어야할 곳의 주변 소음(dB)과, 스피커 음이 전달되어야 할 곳의 지형에 따른 음파의 물리적 특성(굴절, 반사, 회절)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즉, 스피커 출력음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방송 내용을 인지 할 수 없는 공간)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를 두고,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는 갖는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어 직접 접속하여 방송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를 이용한 접속을 진행한다(S110). 또한, 사용자는 동보 방송을 위한 정보를 입수하였을 경우, 해당 정보를 방송을 통해 알리게 된다.
상기 접속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망을 사용하는 전화의 경우 전화접속일 수 있다. 즉,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전화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를 구비한다. 즉,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이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게 되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외에, 인터넷망, CDMA망, VHF, 와이브로, VOIP, 위성통신, 테트라, 이동통신망 등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각 망에 맞는 접속을 진행한다.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메뉴 안내를 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다(S120).
이어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기 저장된 방송 멘트를 방송할 것인지 사용자가 새로이 방송 멘트를 입력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30).
새로운 방송 멘트의 입력일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멘트를 입력받고 이를 저장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스피커로 동시 방송을 할 것인지 아니면 스피커 출력음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피커의 출력 시점을 달리하여 방송할 것인지를 사전에 선택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새로이 저장되거나 기 저장된 방송 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한다(S140).
방송 진행은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동작 시점을 결정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음이 전달 되어야할 곳의 주변 소음(dB)과, 스피커 음이 전달되어야 할 곳의 지형에 따른 음파의 물리적 특성(굴절, 반사, 회절)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즉, 스피커 출력음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방송 내용을 인지 할 수 없는 공간)을 산출하고,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방송 멘트의 신호를 변화하고, 이를 스위치를 통해 각 스피커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하여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S150). 이때, 사전에 입력된 스피커의 가청 영역 정보와, 인접 스피커 간의 가청영역 중첩정보를 통해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가청영역이 중첩되는 스피커는 각기 순차적으로 방송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중첩영역에서의 방송음이 들리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 인해 스피커의 출력과 출력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을 다수 번에 나누어 안내 방송을 진행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안내 방송의 경우 방송시간이 타 방송에 비하여 짧은 특징이 있다. 즉, 연속 방송 시간에서 일반적으로 약 30초 내지 3분미만의 시간차가 발생하여도 동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음의 소거 또는 주변 소음으로 인해 방송음이 불명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좀 더 명료한 방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방송용 앰프 시스템
210 : 방송 신호 출력부
220 : 스위치부
230 : 통신 모듈부
240 : 방송 멘트 등록부
250 : 저장부
260 : 방송 재생부
270 : 스위치 선택 제어부
280 : 방송 제어부
400 : 스피커

Claims (18)

  1. 다양한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되,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스피커 그룹을 별로 동작시켜 방송하는 방송용 앰프 시스템; 및
    외부에서 상기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진행할 수 있고, 앰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의 방송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설치지점에서부터 스피커의 가청 거리 내의 시간대별 소음을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등록하여, 스피커 출력음과 상기 소음과의 차이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차인 5dB 내지 관심을 유발시켜 들을 수 있는 출력음압의 차인 9dB를 갖도록 방송음 도달거리를 산정하고, 방송 앰프시스템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상기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스피커의 가청 거리를 입력받아 가청 거리의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와, 각 스피커의 위치에 의하여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스피커의 가청 거리를 입력받아 가청 거리의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부와, 각 스피커의 위치에 의하여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부를 구비하여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여 방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가청 거리가 50m 내지 3000m인 것과, 최대 출력은 20W 내지 2000W이며, 유선 또는 무선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다수의 스피커에 방송용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와,
    다수의 스피커와 방송 신호 출력부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방송용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부와,
    통신 을 통한 사용자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모듈부와,
    통신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멘트를 방송 신호 출력부에 제공하는 방송 재생부와,
    상기 스위치부 및 방송 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선택 제어부와,
    무선 스피커의 제어를 위한 무선 스피커 제어 통신부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술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와, 상기 방송용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송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앰프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방송 멘트를 등록/저장하는 방송 멘트 등록부와,
    다양한 환경에 맞는 방송 멘트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선택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스피커 제어 통신부는 무선 스피커에 전송되는 호(호출) 신호를 제어하여 방송신호 출력부의 신호가 스피커에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되, 모든 스피커가 동시에 동일한 방송용 신호에 따라 방송하거나, 각기 시간차를 두어 방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12. 다수의 스피커에 동시 방송을 할 것인지, 스피커 출력음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피커 출력 시점을 달리하여 그룹별 방송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마이크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방송멘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방송멘트를 저장하고, 방송을 시작 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멘트는 스위치를 통해 각 스피커에 제공되고,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스피커가 각기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방송되도록 하고,
    방송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설치지점에서부터 스피커의 가청 거리 내의 시간대별 소음을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등록하여, 스피커 출력음과 상기 소음과의 차이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차인 5dB 내지 관심을 유발시켜 들을 수 있는 출력음압의 차인 9dB를 갖도록 방송음 도달거리를 산정하고, 방송 앰프시스템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3.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방송 동작 명령 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방송 멘트를 전달하는 단계; 및
    방송 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멘트 신호는 스위치를 통해 각 스피커에 제공되고, 가청 영역이 중첩되는 스피커가 각기 시간차를 두어 그룹별로 방송되도록 하고,
    방송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설치지점에서부터 스피커의 가청 거리 내의 시간대별 소음을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등록하여, 스피커 출력음과 상기 소음과의 차이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차인 5dB 내지 관심을 유발시켜 들을 수 있는 출력음압의 차인 9dB를 갖도록 방송음 도달거리를 산정하고, 방송 앰프시스템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스피커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가청영역의 중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송음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방송용 앰프시스템의 각 스피커 출력음의 방향을 조절하여 방송음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방송멘트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방송음이 전달 되어야할 곳(즉, 스피커의 가청거리 내)의 소음(dB)과, 스피커 음이 전달되어야 할 곳의 지형에 따른 음파의 물리적 특성(굴절, 반사, 회절)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즉, 스피커 출력음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방송 내용을 인지 할 수 없는 공간)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송용 앰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스피커의 이격 거리와 출력 및 환경을 고려하여 중첩영역을 산출하는 중첩공간 산출, 중첩 공간을 갖지 않는 스피커 그룹을 산출하여 동작그룹과 시점을 결정하는 스피커 동작 결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스피커 동작 결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 앰프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방법.
KR1020120114959A 2012-10-16 2012-10-16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KR10125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59A KR101255533B1 (ko) 2012-10-16 2012-10-16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59A KR101255533B1 (ko) 2012-10-16 2012-10-16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533B1 true KR101255533B1 (ko) 2013-04-23

Family

ID=4844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959A KR101255533B1 (ko) 2012-10-16 2012-10-16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5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58B1 (ko) * 2014-02-06 2015-05-04 (주)오에이전자 안내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255653B1 (ko) * 2020-07-27 2021-05-25 (주)아미스 다국어 안전관리 방송장치
KR102378144B1 (ko) * 2021-05-26 2022-03-24 (주)원테크놀로지 시각장애인을 위한 열차 진행상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230006137A (ko) 2021-07-02 2023-01-10 동양이앤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기반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IoT 및 AI서비스 설계반영의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072659A (ko) * 2021-11-18 2023-05-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관방송 설비의 스피커 설치 시뮬레이션 방법, 전관방송 관리 시스템 및 전관방송 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105Y1 (ko) * 2004-02-03 2004-05-10 일신전자통신 주식회사 스피커를 이용한 주변소음 크기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장치
JP2005236737A (ja) 2004-02-20 2005-09-02 Toa Corp 放送装置
JP2006295285A (ja) 2005-04-06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装置
KR20110095435A (ko) * 2010-02-19 2011-08-25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Usn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105Y1 (ko) * 2004-02-03 2004-05-10 일신전자통신 주식회사 스피커를 이용한 주변소음 크기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장치
JP2005236737A (ja) 2004-02-20 2005-09-02 Toa Corp 放送装置
JP2006295285A (ja) 2005-04-06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装置
KR20110095435A (ko) * 2010-02-19 2011-08-25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Usn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58B1 (ko) * 2014-02-06 2015-05-04 (주)오에이전자 안내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255653B1 (ko) * 2020-07-27 2021-05-25 (주)아미스 다국어 안전관리 방송장치
KR102378144B1 (ko) * 2021-05-26 2022-03-24 (주)원테크놀로지 시각장애인을 위한 열차 진행상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230006137A (ko) 2021-07-02 2023-01-10 동양이앤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기반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IoT 및 AI서비스 설계반영의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072659A (ko) * 2021-11-18 2023-05-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관방송 설비의 스피커 설치 시뮬레이션 방법, 전관방송 관리 시스템 및 전관방송 관리방법
KR102549715B1 (ko) 2021-11-18 2023-06-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관방송 설비의 스피커 설치 시뮬레이션 방법, 전관방송 관리 시스템 및 전관방송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2033B (zh) 修改音频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255533B1 (ko) 옥외 스피커 출력음 간의 간섭을 조정하는 방송 장치 및 방송 방법
US10609475B2 (en)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CN102355748B (zh) 用于确定经处理的音频信号的方法及手持设备
CN106303836B (zh) 一种调节立体声播放的方法及装置
US20230336912A1 (en)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JP2008029002A (ja) 複数のデバイスが連携するオーディオ再生
US20100027806A1 (en) Distributed emitter voice lift system
CN110213707A (zh) 耳机及其助听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JP44391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6375908A (zh) 一种将超声波合成可听声音并控制可听空间范围的方法
CN108271111A (zh) 智能扩音的方法及系统
CN211128119U (zh) 一种ai智能语音控制蓝牙tws对耳耳机系统
JP2018166270A (ja) 同報放送システム及び子局装置
CN210298017U (zh) 一种ai智能语音控制蓝牙tws对耳耳机系统
KR200494601Y1 (ko) 오디오 입력 플러그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H1124619A (ja) 電波ならびに赤外線等送信式音声案内システム
KR102264776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모니터링 스피커 제어시스템
KR102126674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JP2018195903A (ja) 音声情報提供装置及び音声情報提供方法
JP2012194295A (ja) 音声出力システム
US11153675B1 (en) Wireless high-fidelity mesh network audio transmission system
JP3128487U (ja) 音源(歌伴奏及びマイク音声)の出力を個別調整可能にしたカラオケ用汎用型ワイヤレス送受信システム
JPH05168087A (ja) 音響装置及び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