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41B1 -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41B1
KR101254041B1 KR1020110097858A KR20110097858A KR101254041B1 KR 101254041 B1 KR101254041 B1 KR 101254041B1 KR 1020110097858 A KR1020110097858 A KR 1020110097858A KR 20110097858 A KR20110097858 A KR 20110097858A KR 101254041 B1 KR101254041 B1 KR 10125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smetic raw
cosmetic
material capsul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899A (ko
Inventor
서웅진
장유영
Original Assignee
장유영
서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영, 서웅진 filed Critical 장유영
Priority to KR102011009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41B1/ko
Priority to PCT/KR2012/007879 priority patent/WO2013048167A2/ko
Priority to US14/110,792 priority patent/US9278800B2/en
Publication of KR2013003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01F31/83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comprising a supplementary stir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01F31/85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with a vibrating element inside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3Feed mechanisms comprising breaking packages or parts thereof, e.g. piercing or opening sealing elements between compartments or cartridges
    • B01F35/7137Piercing, perforating or melting membranes or closures which seal th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함으로써,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화장품 원재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 모두 포함하여 간편히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에 따르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함으로써,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여 필요한 소량의 화장품을 즉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신선한 화장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COSMETIC CAPSULE FOR PACKING COSMETIC MATERIALS, THE MATERIALS OF WHICH ARE SEPARATELY STORED, AND A COSMETIC MANUFACTURING DEVICE BY USING THE CAPSULE}
본 발명은 화장품 원재료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통상적으로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화장품의 종류에는 피부의 청결 또는 보습과 같은 건강을 위한 크림류, 유액, 화장수, 팩제 등의 기초화장품,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변경시키기 위한 페이스 파우더, 리퀴드,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의 색조 화장품, 모발을 보호하고 가꾸기 위한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오일, 샴푸, 헤어스프레이 등의 두발용 화장품, 및 애프터 셰이브 로션, 셰이빙 크림, 남성 로션 등의 남성용 화장품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향수, 방향용 제품 등의 다양한 화장품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제조회사에서 제조되어 판매되는 화장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기존에 제조되고 있는 모든 화장품은 제조회사를 통해 대량적으로 생산되어 판매되는 것이어서 다양한 피부 조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모든 피부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개인별 피부 특성을 고려하여 구입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제조회사에서 제조되어 판매되는 화장품은 1회 또는 2회 정도만 사용할 수 있는 소량이 아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양으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방부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판매 가격도 고가여서 경제적으로도 이용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재료 자체 또는 이를 분쇄하여 고형화하거나 액상 형태로 제조한 다양한 화장품 원재료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고, 이용자는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 원재료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량만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수용성 원료와 지용성 원료가 모두 필요한데, 기존의 화장품 원재료 제품들은 하나의 용기 안에 둘 중 하나의 원재료만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각각의 원재료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가정에서 화장품 원재료 제품들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냄비,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기구 등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조리용으로 사용되었던 냄비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를 깨끗이 세척하고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불순물이 섞일 가능성이 커 위생적인 면이나 화장품의 품질 면에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화장품 원재료를 이용하여 소량의 화장품을 즉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 특별히 고안된 것도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함으로써,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화장품 원재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 모두 포함하여 간편히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함으로써,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여 필요한 소량의 화장품을 즉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신선한 화장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상기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110)는,
유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111); 및
수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은,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보호막(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차단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막(120)은,
상기 보호막(120)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막(12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막(130)은,
종이 또는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막(130)은,
열에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상기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상기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부(210)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거치부(211);
상기 거치부(2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덮기 위한 덮개부(212); 및
상기 덮개부(212)와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관통하여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 내에 수용된 화장품 원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부(213)는,
상기 교반부(213) 하단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는,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함으로써,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화장품 원재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 모두 포함하여 간편히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에 따르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함으로써,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여 필요한 소량의 화장품을 즉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신선한 화장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에서, 손잡이부(12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에서, 차단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에서, 주입부(2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에서, 제어부(2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은 수용부(110), 보호막(120) 및 분리막(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0)는 유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111) 및 수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에 수용될 수 있는 유상 원료는 밍크오일, 라벤더, 캐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팔마로사, 호호바 오일 등일 수 있으며,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는 수상 원료는 정제수, 녹차추출물, 캐모마일워터, 로즈마리워터 등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부(110)는 원통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가열부(220)에 의한 열이 유상 및 수상 원료에 잘 전달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120)은 수용부(110)에 배치되어 수용부(110)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막(120)은 수용부(110)의 상부에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며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호막(120)에는 해당 화장품 원재료에 대한 광고이미지가 인쇄되어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보호막(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120) 말단에 손잡이부(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이용하여 후술할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화장품을 제조한 후,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용부(110)로부터 보호막(120)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21)는 보호막(120) 말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막(12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손잡이부(121)가 보호막(120)의 말단 부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손잡이부(121)가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막(130)은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리막(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를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와 같이, 적어도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된 화장품 원재료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유통하거나 보관할 경우에는 분리막(130)에 의하여 화장품 원재료들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지만, 이를 이용하여 후술할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화장품이 제조되기 위해서는 분리막(130)이 적절히 제거되어 화장품 원재료들이 서로 교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분리막(130)은 종이, 투명/불투명 비닐 등의 찢어지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분리막(13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열을 가하면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에서, 차단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후술할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교반부(213)를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삽입하여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서로 교반시킬 때 화장품 원재료가 교반부(213)가 삽입된 구멍 부분을 통해 빠져나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차단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213)가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로 삽입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교반할 때 화장품 원재료들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수용부(110)와 보호막(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단부(140)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교반부(213)가 홈을 통해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로 삽입되어 화장품 원재료들을 교반시키기 때문에, 화장품 원재료들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동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는, 주입부(210), 가열부(220) 및 냉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주입부(210)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교반하면서 화장품을 제조하는 동안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거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200)에서, 주입부(2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주입부(2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거치부(211)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이 거치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이 거치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의 외관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211)의 상단 면은 덮개부(212)와 단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교반하면서 화장품 제조하는 동안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덮개부(212)는 거치부(211)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거치부(211)와 결합하여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덮개부(212)의 하단 면은 거치부(211)와 단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화장품 제조하는 동안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반부(213)는 덮개부(212)와 결합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교반하여 에멀젼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213)는, 거치부(211)에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위치시키고 덮개부(212)를 덮어 밀폐시킬 때,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의 보호막(120)을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반부(213)는 후술할 메인 제어부(240)에 연결된 교반부 제어부(242)를 통해 작동이 조절되고 교반부(213)의 하부에 임펠러(impeller)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부착된 임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신속하게 혼합,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교반부(213)는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초음파의 진동에 의하여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혼합, 교반시킬 수 있도록 초음파 진동자(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삽입된 교반부(213)를 통하여 화장품 원재료들이 혼합, 교반되기 위해서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의 수용부(110) 상에 배치된 분리막(130)이 적절히 제거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분리막(130)의 재질과 관련하여, 분리막(130)이 종이 또는 투명/불투명 비닐 등의 찢어지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삽입된 교반부(213)가 분리막(130)도 관통함으로써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된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 교반시킬 수 있다. 분리막(130)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열을 가하면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후술할 가열부(220)에 의해 열이 가해짐으로써 분리막(130)이 자연스럽게 녹아서 없어지기 때문에,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된 각각의 원료가 혼합되고, 교반부(213)를 통해 신속히 에멀젼화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반부(213)에 의하지 않고 거치부(211)에 위치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된 각각의 원료를 교반시킬 수도 있다.
가열부(220)는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주입부(210)에 거치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명의 편의상 가열부(220)가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가열부(220)가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에멀젼 상태가 되도록 혼합, 교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열부(220)는 후술할 메인 제어부(241)에 연결된 가열부 제어부(243)를 통해 작동이 조절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30~100℃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가열부(220)는 전원을 통한 히터를 이용하여 발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부(230)는 주입부(210) 측면에 배치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명의 편의상 냉각부(230)가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냉각부(230)가 배치되는 위치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제조된 화장품은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에멀젼 상태가 되도록 혼합, 교반한 것인바, 바로 사용하기에는 그 온도가 높아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적정 온도까지 냉각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냉각부(230)는 후술할 메인 제어부(241)에 연결된 냉각부 제어부(244)를 통해 작동이 조절되어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제조된 화장품을 제조됨과 동시에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바로 사용하기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230)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제조된 화장품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되거나 컴프레서 냉각 방식을 통하여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로부터 제조된 화장품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구동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에서, 제어부(2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메인 제어부(241), 교반부 제어부(242), 가열부 제어부(243) 및 냉각부 제어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교반부 제어부(242), 가열부 제어부(243) 및 냉각부 제어부(244)를 통해 교반부(213), 가열부(220) 및 냉각부(23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41)를 통해 화장품 제조 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맞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간편하게 즉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화장품 원재료 캡슐(100) 수용부(110)
제1 수용부(111) 제2 수용부(112)
보호막(120) 손잡이부(121)
분리막(130) 차단부(140)
화장품 제조 장치(200) 주입부(210)
거치부(211) 덮개부(212)
교반부(213) 가열부(220)
냉각부(230) 제어부(240)
메인 제어부(241) 교반부 제어부(242)
가열부 제어부(243) 냉각부 제어부(244)

Claims (10)

  1. 화장품 원재료 캡슐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110)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보호막(120); 및
    상기 수용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는,
    유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111); 및
    수상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은,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보호막(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차단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120)은,
    상기 보호막(120)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막(12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130)은,
    종이 또는 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130)은,
    열에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7. 제1항에 따른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장치로서,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0);
    상기 주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20); 및
    상기 주입부(2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10)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거치부(211);
    상기 거치부(2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덮기 위한 덮개부(212); 및
    상기 덮개부(212)와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을 관통하여 상기 화장품 원재료 캡슐 내에 수용된 화장품 원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213)는,
    상기 교반부(213) 하단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는,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0110097858A 2011-09-27 2011-09-27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KR10125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58A KR101254041B1 (ko) 2011-09-27 2011-09-27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PCT/KR2012/007879 WO2013048167A2 (ko) 2011-09-27 2012-09-27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US14/110,792 US9278800B2 (en) 2011-09-27 2012-09-27 Cosmetic raw material capsule for separating and accommodating cosmetic raw material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smetics using the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58A KR101254041B1 (ko) 2011-09-27 2011-09-27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899A KR20130033899A (ko) 2013-04-04
KR101254041B1 true KR101254041B1 (ko) 2013-04-12

Family

ID=479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858A KR101254041B1 (ko) 2011-09-27 2011-09-27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78800B2 (ko)
KR (1) KR101254041B1 (ko)
WO (1) WO20130481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3373A1 (en) * 2014-10-23 2016-04-28 Silvia Cristina Gherlan Eyebrow and/or eyelash tinting kit for home application
KR20170004404U (ko)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새롬코스메틱 막으로 구분되는 화장품 용기
FR3088811B1 (fr) * 2018-11-23 2022-03-18 Oreal Dispositif de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associé
AT522673A1 (de) * 2019-06-14 2020-12-15 Haslauer Paul Kosmetikbehältnis
US11660578B2 (en) 2019-10-15 2023-05-30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US11497692B2 (en) 2019-10-15 2022-11-15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302Y2 (ja) * 1990-07-03 1997-04-23 日本パック 株式会社 納豆容器
JP2001328676A (ja) * 2000-05-24 2001-11-27 Nikkiso Co Ltd 透析用剤の容器
JP2005153996A (ja) * 2003-11-26 2005-06-16 Yoshida Cast Kogyo Kk 二液用飲料容器
KR20100119990A (ko) * 2009-05-04 2010-11-12 금호정공 (주) 화장품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09Y2 (ja) * 1988-09-27 1994-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剤混合用容器
US5052553A (en) * 1989-09-27 1991-10-01 Sanctis Attilio J De Container having manually openable closure for mixing
US5284275A (en) * 1990-01-22 1994-02-08 John Shomer Dispensing container for multi-component curable compositions using a heating element to cause mixing
US6021642A (en) * 1998-06-24 2000-02-08 Guinn; Bernadette Cosmetic storage and refrigeration unit
US6655388B2 (en) * 2001-02-05 2003-12-02 Rachel Stevenson Cosmetic device and method
FR2843101B1 (fr) * 2002-07-15 2005-09-23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d'au moins 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US7028869B2 (en) * 2002-07-15 2006-04-18 L'oreal S.A.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at least one product and method for mixing at least two products
US7344299B2 (en) * 2003-10-21 2008-03-18 Mp Equipment Company Mixing system and process
JP5006124B2 (ja) * 2007-07-03 2012-08-2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容器およびこれに用いる中蓋およびこれに食品を収納した食品収納体
JP5101941B2 (ja) * 2007-07-25 2012-12-19 麒麟麦酒株式会社 複合カップ
US8079373B2 (en) * 2007-09-18 2011-12-2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pplicator with helical applicator surface
US20110019496A1 (en) * 2009-07-21 2011-01-27 Chang-Wei Hsieh Emulsific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302Y2 (ja) * 1990-07-03 1997-04-23 日本パック 株式会社 納豆容器
JP2001328676A (ja) * 2000-05-24 2001-11-27 Nikkiso Co Ltd 透析用剤の容器
JP2005153996A (ja) * 2003-11-26 2005-06-16 Yoshida Cast Kogyo Kk 二液用飲料容器
KR20100119990A (ko) * 2009-05-04 2010-11-12 금호정공 (주) 화장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899A (ko) 2013-04-04
US9278800B2 (en) 2016-03-08
WO2013048167A3 (ko) 2013-05-23
WO2013048167A2 (ko) 2013-04-04
US20140050044A1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041B1 (ko)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CN108697227B (zh) 双端唇膏容器
US8518001B2 (en) Skin treatment device
US20060177410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container therefor
JP7446010B2 (ja) 固体シェル化粧品成分カプセルを混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混成可能な化粧品成分カプセル
AU2005221169A1 (en) Treatment of keratinous tissue
US20050050611A1 (en) Heated shower cap
US20080121665A1 (en) Spreadable food dispenser
WO2017207789A1 (fr)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CN111093600A (zh) 一种松露构型的化妆品制品
CA3116121A1 (en) Smart pods beauty care system
KR101301311B1 (ko) 레시피 코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KR200201740Y1 (ko) 가정용 간이화장품 제조장치
EP1334921B1 (en) Self-heating container for body care products, particulary muds, algae and epilatory products
US11590465B2 (en) System and device for customization of cosmetics
KR101796820B1 (ko) 화장품 용기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TWM420495U (en) Multi space pouch where cosmetics content discharge quantity control is possible
KR200459741Y1 (ko) 천연 팩 제조용기
EP1722656A1 (en) Treatment of keratinous tissue
KR20200098203A (ko) 고객 맞춤형 화장품 제조장치
DK3119478T3 (en) Anhydride consumable device for improvised preparation of a single dose cosmetic composition
US10301099B2 (en) Package of treatment material heated by microwave
KR101409200B1 (ko) 캡슐형 화장품 원재료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Cox et al. EcoBeauty: Scrubs, Rubs, Masks, Rinses, and Bath Bombs for You and Your Fri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