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723B1 - 스마트 마우스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마우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23B1
KR101253723B1 KR20120070956A KR20120070956A KR101253723B1 KR 101253723 B1 KR101253723 B1 KR 101253723B1 KR 20120070956 A KR20120070956 A KR 20120070956A KR 20120070956 A KR20120070956 A KR 20120070956A KR 101253723 B1 KR101253723 B1 KR 10125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ouse
smart
battery
smart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7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2012007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23B1/ko
Priority to JP2015520005A priority patent/JP6165246B2/ja
Priority to CN201380034935.5A priority patent/CN104583914B/zh
Priority to US14/409,484 priority patent/US9417715B2/en
Priority to PCT/KR2013/005450 priority patent/WO2014003359A1/ko
Priority to EP13808669.9A priority patent/EP2869164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광센서,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포함하고, 다양한 형태의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마우스 장치 {Smart Mouse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센서 및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마우스들은 단편화된 통신규격만을 사용한다. 마우스들마다 전용리시버를 이용하여야만 하거나, 블루투스, USB, 와이파이 중에서 하나의 통신방법만 이용하여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우스들은 그 기능이 마우스 휠 기능이나, 좌우 페이지 넘기기 등 초기의 마우스기능에서 발전이 거의 없고, 단순한 작업만 할 수 있다.
최근, 마우스의 기능이 발전하면서, 터치마우스가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의 터치마우스들은 마우스 상단에 터치패드를 구현해야 되는바, 가격이 비싸고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광센서,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부는 OTG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틀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부와 장치 접속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컴퓨터 단말에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컴퓨터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 접속부는, 충전기와 접속하거나, 상기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된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들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컴퓨터 단말로 송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 및 버튼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마우스 송수신기 없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마우스, 또는 스마트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고, 컴퓨터와 연결을 통해 기본 마우스 또는 터치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통신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에 편리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일방적으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방향 입력장치인 마우스를 컴퓨터 및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쌍방향 입, 출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할 때의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할 때의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할 때의 모습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광센서,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는 광센서(110), 압력센서(120),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로 구성되며, 장치 접속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160)에 접속하여 무선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터치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60)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 수행하는 스마트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단말(170)에 직접 접속하거나, 무선 마우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60) 없이, 마우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마우스를 구현하는 장치이다.
광센서(110)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센서(110)는 광 마우스의 광센서 역할을 하는 센서로써,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60)은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60)에는 광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바, 사용자 단말(160)을 마우스로 이용하기에 하드웨어적 한계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센서(110)가 광 마우스의 광센서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광, 레이저, 블루트랙, 다크필드 등 다양한 광을 이용할 수 있으며, 광센서(110)는 상기 발광소자의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110)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 등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위치데이터는 마우스 커서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에 대응한다.
압력센서(120)는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120)는 압력여부와 압력의 임계 값을 이용하여 압력신호를 출력한다. 압력센서(120)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압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는 마우스 신호의 생성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신호는 본 발명의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하였을 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의 터치스크린을 클릭하였는지 아니면 아무런 마우스 신호 입력의사 없이 손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올려놓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을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마우스 신호를 생성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압력 값을 임계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임계 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될 때만 상기 마우스 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압력센서가 없는 경우, 상기 압력신호의 임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아무런 마우스 신호 입력의사 없이 손을 사용자 단말(160)에 올려놓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입력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20)는 마우스의 클릭버튼 또는 터치마우스의 터치패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압력센서(120)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버튼일 수 있다. 기존 마우스의 클릭버튼에 대응한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스크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120)는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 또는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 또는 버튼은 마우스의 우클릭, 좌클릭, 스크롤 등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복사, 페이지 넘김 등의 단축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30)는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마우스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에 해당하는, 광센서(110)와 압력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위치데이터와 마우스신호를 해당 컴퓨터 단말(170)에 전송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30)는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60)에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160)에 송신된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는 사용자 단말(160)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들과 함께 사용자 단말(160)로부터 컴퓨터 단말(170)로 송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160)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는 사용자 단말(160)의 터치 스크린 및 버튼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은 스마트 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60)이 이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다양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컴퓨터 단말(17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마우스 송수신기 없이 무선으로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 마우스들은 단편화된 통신규격이 있어야 하며, 무선마우스의 경우, 별도의 수신기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60)의 통신경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수신기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60)의 터치 스크린, 버튼, 및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는바, 단순한 클릭뿐만 아니라 입력 또는 편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바로 컴퓨터 단말(170)과 접속하거나, 무선 마우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단말(170)에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마우스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경로는 유선 통신 경로를 우선으로 하고, 유선 통신 경로가 끊어진 경우, USB,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기타 경로 순으로 자동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단말(170) 이외에 스마트 TV와 같이 자체 프로세서가 있고, 마우스 작업이 필요한 단말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30)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와 장치 접속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160)과 컴퓨터 단말(170)에 송신하거나, 사용자 단말(160)과 컴퓨터 단말(170)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을 통해, 무선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60)의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마우스 및 터치 마우스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컴퓨터 단말(170)과 접속을 통해, 기존 마우스와 같이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60) 및 컴퓨터 단말(170)과의 접속을 통해, 스마트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 및 컴퓨터 단말(170)과의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60)을 통해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컴퓨터 단말(170)에 송신할 필요 없이 바로 컴퓨터 단말(17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60)로 구현되는 다양한 마우스 기능을 컴퓨터 단말(170)로 전송하는 중계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가 OTG(On-The-Go)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130)가 OT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호스트로 동작하는 컴퓨터 없이 사용자 단말(160)과의 접속을 통해 바로 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사용자 단말(160)에 송신하고,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160) 및 컴퓨터 단말(170)과 모두 접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60)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SB(범용 직렬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용 사용자 단말(160)이 있는 경우, 전용 사용자 단말(160)과 연결되는 접속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OTG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USB OTG 기능을 구비하여, 컴퓨터 없이 바로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OTG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고, 장치 접속부(150)에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카메라 등을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46)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는 압력센서(120), 사용자 단말(160)에 포함된 버튼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클릭, 마우스 휠, 단축키, 확대, 축소, 취소, 또는 소정의 명령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압력센서(120)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60)의 버튼 및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양한 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12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자 단말(160)에 포함된 버튼 및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마우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의 버튼은 마우스 신호를 생성하거나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6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정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6e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장치 접속부(150)는 컴퓨터 단말(170)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접속부(150)는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컴퓨터 단말(170)에 송신하고,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160) 및 컴퓨터 단말(170)과 모두 접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60)의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17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과의 접속 없이 컴퓨터 단말(170)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는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컴퓨터 단말(170)에 송신하는 즉,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다.
장치 접속부(150)는 충전기와 접속하거나, 상기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장치 접속부(150)는 USB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 단말(170) 이외에 충전기와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고, 외장하드 또는 카메라와 같은 다른 기기들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하고,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다른 USB 주변기기들을 접속하여 컴퓨터 없이 바로 상기 기기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장치 접속부(150)가 아닌 다른 접속부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주변기기들과 접속할 수도 있다. 다른 기기들과의 접속하는 구성은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내장 배터리(210), 추가접속부(220), 배터리 접속부(230), 또는 메모리 접속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마우스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들을 추가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용량의 추가 또는 충전, 다른 기기와의 통신, 또는 외부 메모리의 연결 등을 할 수 있다. 도 2의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도 1의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
내장 배터리(210)는 사용자 단말(160)의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과 같이, 이동 단말인 사용자 단말(160)은 배터리가 필요한데, 휴대용 배터리의 경우 용량의 제한이 있는바, 스마트 마우스 장치(100)에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 전원이 방전된 경우,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장치 접속부(150)는 컴퓨터 단말 또는 충전기(250)와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충전기와 접속함으로써, 내장 배터리(210)가 충전된다.
추가 접속부(220)를 통해 컨트롤러(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접속부(220)는 장치 접속부(150)와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을 추가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른 장치는 다른 컴퓨터 단말일 수도 있으며, 외장하드 또는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추가 접속부(220)는 USB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접속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를 접속할 수 있고, 배터리 접속부(230)는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를 추가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60)의 보조 배터리를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치 접속부(150)에 충전기를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배터리 접속부(230)에 접속한 배터리를 같이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 접속부(230)는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와 접속할 수 있는 접속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접속부(240)를 통해 메모리와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저장장치인 메모리는 USB로 연결되는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도 있으나, SD카드와 같이, 해당 메모리의 전용 접속부가 필요한 메모리가 있다. 메모리 접속부(240)는 상기 SD카드를 접속할 수 있는 슬롯 등으로 구현되어, 다른 메모리와 접속하고, 상기 메모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 평면도(310), 스마트 마우스 장치 정면도의 사용자 단말(160)과의 결합 전(320)과 결합 후(330), 후면도의 결합 전(340)과 결합 후(350), 배면도(360), 측면도의 결합 전(370)과 결합 후(380)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내부에 접속단자를 구현하여,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사용자 단말(160)과 결합할 때, 사용자 단말(160)과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40)는 OTG 기능이 있어,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여 바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장치 접속부(150)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외부에 접속단자를 구현하여 컴퓨터 단말과 같은 다른 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우스 장치 후면에 광센서(110)가 구현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결합된 사용자 단말(160)의 이동에 따른 위치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스마트 마우스 장치 정면에 압력센서(120)를 구현하여, 압력신호 등을 출력한다. 광센서(110)와 압력센서(120)는 사용자 단말(160)의 하드웨어를 보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 단말(160)로 송신되고, 사용자 단말과 컴퓨터 단말 간의 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160)과 결합하지 않고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컴퓨터 단말과 연결하면,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기본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확장된 형태로써, 추가 접속부(491)와 메모리 접속부(492)를 더 포함한다. 추가 접속부(491)와 메모리 접속부(492)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외부에 접속단자를 구현하여 다른 장치 또는 메모리와 결합할 수 있다. 추가 접속부(491)에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과 접속할 수 있고, 메모리 접속부(492)에는 SD카드와 같은 메모리와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과 결합하지 않고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컴퓨터 단말과 연결하고, 메모리 접속부(492)에 SD카드를 연결하면,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SD카드 리더기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과 접속한 모습이다.
도 5는 도 4의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확장된 형태로써, 배터리 접속부(57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접속부(570)는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를 추가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 접속부(570)에 사용자 단말(160)의 보조 배터리를 접속하여 배터리 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장치 접속부(150)에 충전기를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160)의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과 결합하지 않고 장치 접속부(150)를 통해 충전기와 연결하고, 배터리 접속부(570)에 배터리를 연결하면,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배터리 충전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5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버튼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클릭, 마우스 휠, 단축키, 확대, 축소, 취소, 또는 소정의 명령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압력센서(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의 압력센서(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하, 도면을 중심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은 터치 스크린, 카메라, 및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과 접속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 바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기본 마우스 동작기능, 복사기능, 확대 축소기능, 또는 단축키기능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눌림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①은 좌클릭 및 ②는 우클릭의 클릭기능을 구현한다. ③은 마우스 휠로써,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스크롤기능이 구현되고,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눌림에 의해 휠 클릭기능이 구현된다. ④ 내지 ⑤는 단축기기능으로, ④와 ⑤를 좌우로 당기면 단축키를 확장할 수 있다. ⑥은 화면 확대, 축소기능을 구현하거나, 편집하는 문서의 폰트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두 손가락을 오므리고 펼치는 동작으로 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확대 및 축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⑦은 사용자 단말의 취소버튼으로 그래도 취소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다. ⑧은 사용자 단말의 메뉴버튼으로 다양한 설정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잡이용 설정, 상하좌우 움직임방향, 화면회전조절 등이 구현할 수 있고, 제스쳐 등록도 가능하며, 화면 내리기, 페이지 이동 등을 구현할 수 있다. ⑨는 홈 버튼으로 사용자 단말의 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b는 복수와 붙여넣기 기능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①은 복사단축키이고 ②는 붙여넣기 단축키이다.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①을 짧게 누르면 바로 복사가 되고, 이후, ②를 짧게 누르면 바로 붙여넣기가 된다. 또한,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①을 길게 누르면 ③의 숫자 패드가 화면에 출력되고, 숫자 패드를 선택하면, 해당 숫자에 상기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이 저장된다. 이후, ②를 길게 누르면 다시 숫자 패드가 화면에 출력되고, 숫자 패드를 선택하면, 상기 숫자에 저장된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이 ④의 화면에 표시된다. ④의 화면을 누르면 해당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이 붙여 넣어지게 된다. ◀ 또는 ▶를 누르면 숫자 패드가 이동되어 더 많은 숫자 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복사 대상들을 저장하고, 붙여넣기를 할 수 있는바, 복사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c는 단축키기능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①을 위로 밀어올리면 ②와 같이, 아이콘 바가 올라오고, ③과 같이, 좌우로 밀면 더 많은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시 ④처럼 내리면 아이콘 바가 사라진다.
도 6d는 오토 마우스 기능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오토 마우스는 단순하고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이다. 도 6c의 아이콘에서 오토 마우스를 선택하면 오토 마우스가 실행된다. 녹화버튼(①)을 클릭하면 녹화가 시작되고 빨간 불이 깜박인다. 반복할 작업을 1회 수행하고, 다시 녹화버튼(①)을 클릭하면 파란불이 들어온다. 시작버튼(②)를 클릭하면 상기 녹화된 작업이 무한 반복된다. 상기 작업 수행 중, 일시정지버튼(③)을 클릭하면 작업을 일시 정지한다. 자주 사용되는 반복 작업은 아이콘으로 저장하여 필요시 클릭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도 6e는 각종 아이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아이콘에 설정, 숫자 패드(610), 조그셔틀(620), 계산기(630), 음성문자입력, 스마트폰 사진 불러오기, 스마트폰 인터넷 스크랩 불러오기, 스마트폰 메모장 불러오기, 진동 온/오프, 태블릿, 마우스감도(DPI)조절 들 다양한 기능을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다.
숫자 패드(610) 아이콘을 선택하면, 노트북이나 스마트 패드의 USB 숫자패드를 대체할 수 있다. 조그셔틀(620) 아이콘을 선택하면 조그셔틀 미디어 편집기가 실행된다. 별도의 조그셔틀 없이 저렴한 가격에 정밀한 동영상 미디어 편집에 필요한 편집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얼을 회전시, 진동과 소리 등 효과를 주어 편집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산기(630) 아이콘을 선택하면, 계산기가 화면에 표시되고, 계산 후 결과는 ①에 나타나고, 상기 화면 ①을 클릭하여 문서나 필요한 위치에 바로 삽입할 수 있다. 사진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하고,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바로 사진이 삽입된다.
이외에도, 컴퓨터 단말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선택하여 캡처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으며, 컴퓨터 단말의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바로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바로 연결하여 컴퓨터 단말의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에 저장된 자료를 불러올 수 있다. 최근에 작업했던 문서, 포토샵, 동영상편집, 웹검색 등의 작업을 다른 장소, 다른 컴퓨터 단말에 바로 불러와 작업을 이어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을 통해 컴퓨터 단말에서 별도의 로그인 없이 원하는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 자동인증을 통하여 e-메일, SNS, 금융결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문서 또는 웹 페이지 등, 수행하려는 작업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마우스 장치는 추가 접속부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키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마우스 장치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출력된 화면을 보면서 상기 스마트 마우스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 및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을 마우스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마우스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로 활용되는바, 사용자 단말 내에서 수행하려는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TV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수행하려는 작업을 출력하고, 상기 연결된 입력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작업 수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다양한 기능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 마우스 장치
110: 광센서
120: 압력센서
130: 컨트롤러
140: 사용자 단말 접속부
150: 장치 접속부
160: 사용자 단말
170: 컴퓨터 단말
210: 내장 배터리
220: 추가 접속부
230: 배터리 접속부
240: 메모리 접속부

Claims (14)

  1.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광센서;
    사용자 단말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눌림에 의한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상기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는 마우스 신호의 생성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부는 OTG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틀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부와 장치 접속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외부 단말 간의 통신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접속부는,
    충전기와 접속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된 위치데이터와 압력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들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외부 단말로 송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 및 버튼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소정의 시간 이상 압력이 일정하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추가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접속할 수 있는 메모리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를 접속할 수 있는 배터리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접속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를 추가로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장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버튼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클릭, 마우스 휠, 단축키, 확대, 축소, 회전, 취소, 또는 소정의 명령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마우스 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내부에서 수행하려는 작업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는 마우스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우스 장치.



KR20120070956A 2012-06-29 2012-06-29 스마트 마우스 장치 KR10125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956A KR101253723B1 (ko) 2012-06-29 2012-06-29 스마트 마우스 장치
JP2015520005A JP6165246B2 (ja) 2012-06-29 2013-06-20 スマートマウス装置
CN201380034935.5A CN104583914B (zh) 2012-06-29 2013-06-20 智能鼠标装置
US14/409,484 US9417715B2 (en) 2012-06-29 2013-06-20 Smart mouse device having an optical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PCT/KR2013/005450 WO2014003359A1 (ko) 2012-06-29 2013-06-20 스마트 마우스 장치
EP13808669.9A EP2869164A4 (en) 2012-06-29 2013-06-20 INTELLIGENT MOUS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956A KR101253723B1 (ko) 2012-06-29 2012-06-29 스마트 마우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723B1 true KR101253723B1 (ko) 2013-04-12

Family

ID=4844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70956A KR101253723B1 (ko) 2012-06-29 2012-06-29 스마트 마우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7715B2 (ko)
EP (1) EP2869164A4 (ko)
JP (1) JP6165246B2 (ko)
KR (1) KR101253723B1 (ko)
CN (1) CN104583914B (ko)
WO (1) WO2014003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06512A (zh) * 2014-08-12 2016-02-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與第二電子裝置進行無線通訊配對的第一電子裝置以及相對應方法
US10698504B2 (en) * 2015-06-15 2020-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input pressure on a stylus pen
CN105389007A (zh) * 2015-10-28 2016-03-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处理的装置、方法及移动终端
JP6132326B1 (ja) * 2016-02-19 2017-05-24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絵記号を用いた金融取引システム、金融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92009B2 (en) 2016-05-27 2020-03-17 Razer (Asia-Pacific) Pte. Ltd. Input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pu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a
JP6390064B2 (ja) * 2016-07-05 2018-09-19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絵記号を用いた商品購入システム、商品購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369767B2 (ja) * 2017-04-12 2018-08-0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絵記号を用いた金融取引システム、金融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68724B1 (en) * 2019-06-03 2020-09-08 Evga Corporation Mouse device and computer control system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77A (ko) * 2000-07-20 2000-10-05 신정훈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
KR20020086371A (ko) * 2002-09-30 2002-11-18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0891024B1 (ko) * 2006-09-29 2009-03-31 주식회사 와이텔포토닉스 휴대용 마우스
KR100943031B1 (ko) * 2008-08-22 2010-02-18 남건용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812B1 (ko) * 1995-08-31 1998-08-01 김광호 전화기 겸용 무선 마우스
JPH1165759A (ja) * 1997-08-21 1999-03-09 Sharp Corp 情報入力装置
US20030117376A1 (en) * 2001-12-21 2003-06-26 Elen Ghulam Hand gesturing input device
NL1020161C2 (nl) * 2002-03-13 2003-10-03 Welbergen Beheer B V Systeem voor het leveren van een invoersignaal en computerinvoerapparaat.
DE10229068B3 (de) * 2002-06-28 2004-02-05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it Touch-Screen Display
JP2004147272A (ja) 2002-10-23 2004-05-20 Takeshi Ogura 無線マウス及びテンキー機能付きで、本体が二分割可能な携帯電話兼モバイルpc用通信モジュール
US7199783B2 (en) * 2003-02-07 2007-04-0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Wake-up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mbodying the same
CN2689336Y (zh) * 2003-12-23 2005-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带有鼠标功能的便携装置
US20060007151A1 (en) * 2004-06-08 2006-01-12 Pranil Ram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CN2792049Y (zh) * 2004-10-13 2006-06-28 林轩羽 具有鼠标功能的移动电话
CN2769988Y (zh) * 2005-02-02 2006-04-05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电脑鼠标手机
KR20070008293A (ko) 2005-07-13 200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8049723B2 (en) * 2005-12-20 2011-11-01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remote GUI control
US20070202914A1 (en) * 2006-02-27 2007-08-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telephone handset with internet browsing capability
JP2010165289A (ja) * 2009-01-19 2010-07-29 Optim Corp 携帯電話機
US20120092253A1 (en) * 2009-06-22 2012-04-19 Pourang Irani Computer Input and Output Peripheral Device
KR20140035870A (ko) * 2010-11-15 2014-03-24 모베아 스마트 에어 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77A (ko) * 2000-07-20 2000-10-05 신정훈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
KR20020086371A (ko) * 2002-09-30 2002-11-18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0891024B1 (ko) * 2006-09-29 2009-03-31 주식회사 와이텔포토닉스 휴대용 마우스
KR100943031B1 (ko) * 2008-08-22 2010-02-18 남건용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4965A (ja) 2015-08-27
JP6165246B2 (ja) 2017-07-19
EP2869164A1 (en) 2015-05-06
US9417715B2 (en) 2016-08-16
EP2869164A4 (en) 2015-07-01
CN104583914B (zh) 2017-12-08
CN104583914A (zh) 2015-04-29
WO2014003359A1 (ko) 2014-01-03
US20150169087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23B1 (ko) 스마트 마우스 장치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US1034603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plural objects displayed on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US9298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9880642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6218418B2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携帯デバイス及び記録媒体
KR10202204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2830906B (zh) 基于用户界面进行文件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TW201408048A (zh) 重製內容的方法與系統、及其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20140025869A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5671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WO2006016225A2 (en) Embedde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575945B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2115727B1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6645A (ko)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장치의 결합
TW201516847A (zh) 執行操作的確認方法和裝置
CN104460856A (zh) 平板计算机
US9870061B2 (en) Input apparatus, input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program
WO2020000276A1 (zh) 一种快捷按键的控制方法及终端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5704B1 (ko) 이종 운영체제 컴퓨팅장치의 접속사용을 지원하는 사용자-개방형 전자칠판 장치
KR10262941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425957B1 (ko)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