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520B1 -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520B1
KR101253520B1 KR1020120122796A KR20120122796A KR101253520B1 KR 101253520 B1 KR101253520 B1 KR 101253520B1 KR 1020120122796 A KR1020120122796 A KR 1020120122796A KR 20120122796 A KR20120122796 A KR 20120122796A KR 101253520 B1 KR101253520 B1 KR 10125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insulation
mounting
vertic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2012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에 삽입된 정형단열재에 의하여 외장재와 옹벽사이의 폭 방향 공간의 공기층을, 외장재와 정형단열재가 이루는 공기층과, 그리고 정형단열재와 옹벽이 이루는 공기층[즉 2중 공기층(Double Air Bed)]이 되게 함으로써 2중 공기층(Double Air Bed) 중, 외장재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되게 하고, 옹벽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되게 하여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게 한 발명이다.
그뿐 아니라 지역별 관류율의 편차에 따라, 정형단열재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동일 건축물에서도 입지 여건을 고려하여 단열재두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 아주 큰 장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Enhanced rain water shielding & thermal insulating open―joint facade structure with double air bed and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비정형 단열재 대신 정형의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2중의 작업공정을 하나의 작업공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단열재 설치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면서도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고,
특히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에 삽입된 정형단열재에 의하여 외장재와 옹벽사이의 폭 방향 공간의 공기층을, 외장재와 정형단열재가 이루는 공기층과, 그리고 정형단열재와 옹벽이 이루는 공기층[즉 2중 공기층(Double Air Bed)]이 되게 함으로써 2중 공기층(Double Air Bed) 중, 외장재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 되게 하고, 옹벽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되게 하여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게 한 발명이다.
그뿐 아니라 지역별 관류율의 편차에 따라, 정형단열재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동일 건축물에서도 건축물의 서북면, 동남면 등에 따라 입지 여건을 고려하여 단열재두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 아주 큰 장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의해 외장재(20)가 설치되는 평판 타입, 혹은 테라코타 타입의 건식시공방식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외장재(20)는 세라믹 타일, 시멘트 보드(FC Board), 고밀도 압축 패널, FRP 패널, 건식 석재 패널, 건식 목재 패널 등이다. 그 크기는 300x600 이상의 와이드 팬 타일(Wide Pan Tile)이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는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 연결부(18)로 이루어졌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는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있다.
외장재(20)는 상ㆍ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에 의하여 지지ㆍ고정된다.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구조는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체결되는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 외장재 수직 돌출부(34),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졌다.
외장재 수직 돌출부(34)는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를 중심으로 상향돌출부(34a)와 하향돌출부(34b)로 구분된다.
외장재(20)의 상ㆍ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ㆍ하향돌출부(34a)(34b)는 외장재(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는 외장재(20)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외장재(20)의 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는 외장재(20)의 하부삽입부(22b)에 상향으로 삽입되고,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하향돌출부(34b)는 외장재(20)의 상부 삽입부(22a)에 하향으로 삽입된다.
외장재(20)의 중량은 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에 의해 지지된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은 연결부(18)와 세트(set)앙카(42)의 볼트체결에 의하여 옹벽(40)에 고정된다.
외장재(20)와 접면되고 있는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접착제를 토출시켜 도포한다. 접착제 도포홈(14)의 접착제(14a)는 외장재(20)를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수직줄눈의 틈새를 밀폐ㆍ차수시키기 위해서다.
도1과 같은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구조에서 외단열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의 외단열 방식은 옹벽(40)벽면에 통상 Non-Woven 타입의 암면이나 글라스 울(Glass Wool), 미네랄 울, 폴리에스터 울 등의 비정형의 단열재를 압정, 타카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밀착시키는 방식이다. 비정형 단열재는 옹벽(40) 벽면굴곡과의 밀착성이 좋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외단열 방식은 외장재(20)와 옹벽(40)사이의 공기층과, 옹벽(40)에 밀착된 비정형 단열재에 의하여 단열성능이 발휘된다. 공기층은 외장재(20) 쪽의 단열과 옹벽(40) 쪽의 단열을 공동으로 공유하고 있다.
단열성능은 열전도율과 열관류율(K)로 나타낸다.
열전도율이 작을수록 단열이 잘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열전도율은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작아진다.
열관류율(K)은 열전도율을 단열재의 두께로 나눈 값이다.
즉, [ 열관류율(K) = 열전도율 / 두께 ] 이다.
열관류율(K)이 작을수록 단열재의 단열성능이 좋다.
공기층의 열관류율(K)은 0.15인데 비하여 콘크리트는 0.142이고, 석고보드는 0.069이다.
이와 같이 인위적으로 설정된 공기층은 여타 단열재 못지아니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바, 외장재(20)와 옹벽(40)사이의 공기층에 두께가 얇은 여러 개의 고형(정형)단열재를 삽입하게 되면 여러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하나의 공기층두께 T에 비하여 열관류율(K)이 향상되게 된다.
즉, 외장재(20)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하게 되고, 옹벽(40)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구조는 벽면 밀착성이 좋은 암면이나 글라스 울(Glass Wool)의 비정형의 단열재를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구조로는 고형(정형) 단열재의 시공을 할 수 없다. 여기서 고형(정형) 단열재는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은 연질의 비정형의 단열재와는 달리 정형 우레탄 폼, 정형 폴리스티렌 폼 등과 같이 경질의 단열재를 말한다. 이하 정형단열재로 통일한다.
암면이나 글라스 울(Glass Wool)의 비정형 단열재는 건물 외벽면과의 밀착성은 좋으나, 시공 후 장시간의 시간이 경과될시 고정핀 등의 노후, 기타 영향으로, 또한 결로수, 빗물 등을 머금게 되면 흡수된 수분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쉽게 외벽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단물기를 머금게 되면 이미 단열재로서 기능을 상실할 뿐 아니라 흘러내린 외벽면에는 단열재가 탈루된 상태이므로 무단열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단열재는 수분 흡수율이 낮을수록 단열성능이 좋다.
이제 암면이나 글라스 울(Glass Wool)의 비정형 단열재를 옹벽(40)면에 설치하는 과정과, 그리고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의하여 옹벽(40)에 외장재(3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옹벽(40)면에 비정형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1과 같은 구조에서의 외단열 방식은 외장재(30)를 시공하기 전에 먼저 선 공정으로 비정형 단열재를 옹벽(40)에 선 시공해야만 한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설치한 후에 비정형 단열재를 옹벽(40)에 시공해야 됨으로써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이 장애가 되어 시공자체가 용이하지 않고, 단열재의 시공이 불량해짐은 물론,단열의 중단이 발생되는 결정적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옹벽(40)에 앙카된 세트(set)앙카(42)와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연결부(18)를 볼트 고정하여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비정형 단열재를 수직 프로파일의 사이사이에 고정핀 등으로 타정 시공한다.
2개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일조로 하여 그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볼트 고정된 상ㆍ하부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에 의하여 외장재(30)가 설치된다.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은 외장재(20)의 상ㆍ하부에 설치되어있다.
외장재(20)의 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는 외장재(20)의 하부 삽입부(20)(22b)에 삽입되고,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하향돌출부(34b)는 외장재의 상부 삽입부(22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ㆍ하향돌출부(34a)(34b)가 외장재(20)의 상ㆍ하부 삽입부(22a)(22b)에 삽입된 상태는 상하부의 고정에 의하여 외장재(2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접착제(14a)를 주입하게 되면 접착제(14a)가 외장재(20)의 배면부에 밀착되게 된다. 밀착된 접착제(14a)는 외장재(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빗물 등에 대한 건축물의 차수기능을 한다.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는 그 위에 설치될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에 삽입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 삽입하여 새로운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새로운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볼트 고정한다.
또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는 그 위에 설치될 다른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에 삽입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2개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일조로 하여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고, 다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에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가고정시키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ㆍ고정한다.
여기서 외장재(20)→(20-1)→(20-2)ㆍㆍㆍ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외장재가 설치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고, 외장재 고정용 탭(tap)(30)→(30-1)→ㆍㆍㆍㆍ역시 외장재 고정용 탭(tap)이 설치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다.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에는 수직틈새와 수평틈새가 있게 마련이다.
수직틈새는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주입된 접착제(14a)에 의하여 차단되고, 수평틈새는 실란트로 처리된다.
도1의 구조에서는 외장재(30)를 본격 시공하기 전에 비정형 단열재를 미리 선 시공한 후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외장재(30)를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2개의 공정이 필요하다. 2개의 공정에 따라 인건비가 2중으로 투입됨으로 작업이 비경제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비정형 단열재를 압정, 타카 등에 의하여 옹벽(40)에 타정, 고정, 시공하는 방식이므로 시공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우수, 결로, 동파 기타의 요인으로 고정 핀이 부식되게 되어 옹벽면에 현가되어있던 단열재들이 이탈, 건축물 하부층으로 내려쌓이게 됨은 물론, 그 결과 상층부 일부층에서는 옹벽이 그대로 대기에 노출되게 됨으로써, 단열재가 탈락, 옹벽으로부터 이탈되어 옹벽이 무단열 상태로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이미 알려진 주지의 사실이다.
이로 인해 외벽 단열의 열관류율 또한 그 요구조건을 지속적으로 외장자재의 내구년수 내지는 건축물의 내구연한 까지 충족시키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본 발명은 비정형 단열재대신 정형의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2중의 작업공정을 하나의 작업공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단열재 설치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면서도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레임 4각 파이프 또는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에 삽입된 정형단열재에 의하여 외장재와 옹벽사이의 폭 방향 공간의 공기층을, 외장재와 정형단열재가 이루는 공기층과, 그리고 정형단열재와 옹벽이 이루는 공기층[즉 2중 공기층(Double Air Bed)]이 되게 함으로써 2중 공기층(Double Air Bed) 중, 외장재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되게 하고, 옹벽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되게 하여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의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은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에다 연결부(18)의 배면위치에 수직줄눈(P-1)이 형성되고, C자형 삽입홈(P-2)과 지지부(P-3)가 양단부에 형성된 구성이다. 수직줄눈(P-1)은 외장재(20)와 외장재(20)가 이루는 수직틈새에 삽입되어 수직틈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은 C자형 삽입홈(P-2)에 조립ㆍ체결된다.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구성은 C자형 삽입홈(P-2)에 삽입되는 체결돌출부(S-1)와, 지지턱(S-2)과, 정형단열재 조립부(S-3)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4)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체결돌출부(S-1)는 C자형 삽입홈(P-2)에 삽입ㆍ체결된다. 이때 체결은 볼트공(S-5)에 삽입된 볼트(S-6)에 의한 체결이다. C자형 삽입홈(P-2)에는 볼트공이 도시되지 않았다. 체결돌출부(S-1)의 볼트공(S-5)과 일치되어야하므로 현장 조립시 뚫어야하기 때문이다.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에 의한 외장재(20)의 설치과정은 도1의 종래구조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애서의 설치과정과 동일하다. 즉, 2개의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을 일조로 하여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볼트 고정된 상ㆍ하부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에 의하여 외장재(30)가 설치된다.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구조와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가 서로 다른 점은,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에는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가 체결되는 C자형 삽입홈(P-2)의 구성이 있는 점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이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있는 점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에 정형단열재(Q)가 조립에 의하여 설치되는 점과, 그리고 정형단열재(Q)가 외장재(20)와 평행되게 설치되면서 외장재(20)와 옹벽(40)사이의 2중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점이 서로 다르다.
특히, 정형단열재(Q)에 의하여 외장재(20)와 옹벽(40)사이에 2중 공기층(Double Air Bed)]이 형성됨으로써 외장재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하게 하고, 옹벽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하게 되어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2중 공기층이란, 하나로 형성된 정형단열재(Q)를 단열재 지지부(S-4)에 삽입할 경우이지만 정형단열재(Q)를 2~3개로 나누어 단열재 지지부(S-4)에 삽입하게 되면 단열성능이 향상된 3중, 4중의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2중 공기층에는 3중, 4중의 공기층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외장재(20)가 시멘트 보드, 고밀도 압축 패널 등인 경우 수평 4각 파이프(H)와 수직 4각 파이프(V)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10a)에다 직접 고정볼트(리벳 등)(B)로 외장재(20)를 고정한다. 이때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의 체결부(Sa-1)가 옹벽(40)쪽을 향한 수직 4각 파이프(V)의 양면에 고정되어있다.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은 외장재(20)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은 체결부(Sa-1)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a-3)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a-2)로 형성되어있다.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에 삽입되는 정형단열재(Q)의 구조와 그 설치과정 및 2중 공기층의 단열성능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의 구성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세트(set)앙카(42)에 체결되는 연결부(18)가 형성된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있어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부에는 C자형 삽입홈(P-2)과 지지부(P-3)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상기 C자형 삽입홈(P-2)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를 조립ㆍ체결하되 체결돌출부(S-1)의 일측에는 지지턱(S-2)이, 그리고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S-4)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3)가 체결돌출부(S-1)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이다.
여기에다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연결부(18)의 배면위치에 수직줄눈(P-1)이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C자형 삽입홈(P-2)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의 체결은 볼트공(S-5)에 삽입된 볼트(S-6)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체결볼트에 의하여 외장재(20)를 고정ㆍ거치하는 수평 4각 파이프(H)와 수직 4각 파이프(V)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10a)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10a)의 수직 4각 파이프(V)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를 고정볼트(B)에 의하여 고정하되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은 체결부(Sa-1)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a-3)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a-2)로 형성되어있고,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의 체결부(Sa-1)는 상기 수직 4각 파이프(V)의 옹벽(40)쪽을 향한 양면에 설치되어 외장재(20)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 본 발명은 비정형 단열재대신 정형의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2중의 작업공정을 하나의 작업공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어 단열재 설치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레임파이프 또는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에 삽입된 정형단열재에 의하여 외장재와 옹벽사이의 폭 방향 공간의 공기층을, 외장재와 정형단열재가 이루는 공기층과, 그리고 정형단열재와 옹벽이 이루는 공기층[즉 2중 공기층(Double Air Bed)]이 되게 한 것이므로 2중 공기층(Double Air Bed) 중, 외장재 쪽의 공기층은 외기에 동조되게 하고, 옹벽 쪽에 존재하는 공기층은 옹벽에 동조되게 하여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 현재 적용되고 있는 지역별 관류율의 편차에 따라, 정형단열재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동일 건축물에서도 건축물의 서북면, 동남면 등에 따라 입지 여건을 고려하여 단열재두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 아주 큰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에 의하여 외장재의 거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 본 발명의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에 의하여 외장재와 정형단열재의 거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3] 도2의 “A”의 확대도면
[도4] 본 발명의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5] 다른 실시예로서 수평 4각 파이프(H)와 수직 4각 파이프(V)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에 의하여 외장재와 정형단열재의 거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외장재(20) 및 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연결부(18)와, 그리고 양단부에 C자형 삽입홈(P-2)과 지지부(P-3)가 형성되어있는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연결부(18)와, 일정한 간격으로 옹벽(40)상에 설치된 세트(set)앙카(42)를 서로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다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와, 상ㆍ하향돌출부(34a)(34b)를 갖는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진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외장재(20)가 거치될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부에 형성된 C자형 삽입홈(P-2)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를 볼트(S-6)고정하되 지지턱(S-2)과, 체결돌출부(S-1)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4)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3)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단열재 지지부(S-4)에 정형단열재(Q)의 삽입홈(Q-1)을 맞추고, 정형단열재(Q)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리누르면서 단열재 지지부(S-4)에 삽입ㆍ조립하는 단계;
⒠ 2개의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을 일조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고, 다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에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가고정시키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접착제(14a)를 주입하여 외장재(20)와 접착시키는 단계;
⒢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외장재(20) 및 정형단열재(Q)를 순차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외장재(20) 및 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전체 시공면에 대하여 외장재(20)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시공면 테두리의 외장재(20), 정형단열재(Q) 및 옹벽(40)사이를 유연성있는 단열재를 사용하여, 폐색시키고, 그 끝단은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마감처리하면서, 시공 작업을 마무리 한다.
이는 2중 공기층이 각각의 공간내부에서만 대류되게 함으로써 Air Insulation 역할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Double Skin 효과를 획득하게하기 위한 마무리 공정이다.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설치단계인 ⒝단계와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부에 형성된 C자형 삽입홈(P-2)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를 체결하는 단계인 ⒞단계는 종속관계가 아닌 서로 독립된 관계이다. 기재의 형식상 ⒝단계가 ⒞단계의 순서보다 먼저 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그 순서가 바뀐다 해도 동일한 것이다.
한편,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와 함께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을 병행하게 되면 가로줄눈의 틈새를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에 의하여 빗물이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만 가능할 정도로 최소화됨으로써 전통적 오픈조인트방식의 문제, 즉 여름철 태풍 통과 시의 과도한 순간 풍압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10a; 수평 4각 파이프(H)와 수직 4각 파이프(V)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 B; 고정볼트
14;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 14a; 접착제, 16;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 18; 연결부
P;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P-1; 수직줄눈, P-2; C자형 삽입홈, P-3; 지지부,
S;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S-1; 체결돌출부, S-2; 지지턱, S-3; 정형단열재 조립부, S-4; 단열재 지지부, S-5; 볼트공, S-6; 볼트,
Sa;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Sa-1; 체결부, Sa-2; 정형단열재 조립부, Sa-3; 단열재 지지부
Q; 정형단열재, Q-1; 삽입홈
20; 외장재
22a; 상부 삽입부, 22b; 하부 삽입부,
30; 외장재 고정용 탭(tap)
32; 고정수직부, 32a; 볼트공, 34; 외장재 수직 돌출부, 34a; 상향돌출부, 34b; 하향돌출부, 36;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
40; 옹벽

Claims (5)

  1.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세트(set)앙카(42)에 체결되는 연결부(18)가 형성된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있어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부에는 C자형 삽입홈(P-2)과 지지부(P-3)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상기 C자형 삽입홈(P-2)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를 조립ㆍ체결하되 체결돌출부(S-1)의 일측에는 지지턱(S-2)이, 그리고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S-4)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3)가 체결돌출부(S-1)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연결부(18)의 배면위치에 수직줄눈(P-1)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C자형 삽입홈(P-2)과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의 체결은 볼트공(S-5)에 삽입된 볼트(S-6)에 의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4. 체결볼트에 의하여 외장재(20)를 고정ㆍ거치하는 수평 4각 파이프(H)와 수직 4각 파이프(V)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10a)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거치용 수직 프로파일(10a)의 수직 4각 파이프(V)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를 고정볼트(B)에 의하여 고정하되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은 체결부(Sa-1)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a-3)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a-2)로 형성되어있고,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a)의 체결부(Sa-1)는 상기 수직 4각 파이프(V)의 옹벽(40)쪽을 향한 양면에 설치되어 외장재(20)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5. ⒜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연결부(18)와, 그리고 양단부에 C자형 삽입홈(P-2)과 지지부(P-3)가 형성되어있는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연결부(18)와, 일정한 간격으로 옹벽(40)상에 설치된 세트(set)앙카(42)를 서로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다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와, 상ㆍ하향돌출부(34a)(34b)를 갖는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진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외장재(20)가 거치될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양단부에 형성된 C자형 삽입홈(P-2)에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체결돌출부(S-1)를 볼트(S-6)고정하되 지지턱(S-2)과, 체결돌출부(S-1)와, 그리고 단열재 지지부(S-4)를 갖는 정형단열재 조립부(S-3)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정형단열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S)의 단열재 지지부(S-4)에 정형단열재(Q)의 삽입홈(Q-1)을 맞추고, 정형단열재(Q)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리누르면서 단열재 지지부(S-4)에 삽입ㆍ조립하는 단계;

    ⒠ 2개의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을 일조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고, 다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에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가고정시키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접착제(14a)를 주입하여 외장재(20)와 접착시키는 단계;

    ⒢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외장재(20) 및 정형단열재(Q)를 순차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외장재(20) 및 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20122796A 2012-11-01 2012-11-01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25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6A KR101253520B1 (ko) 2012-11-01 2012-11-01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6A KR101253520B1 (ko) 2012-11-01 2012-11-01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520B1 true KR101253520B1 (ko) 2013-04-11

Family

ID=4844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96A KR101253520B1 (ko) 2012-11-01 2012-11-01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099B1 (ko) * 2013-04-25 2014-12-15 주종복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217B2 (ja) * 2001-11-02 2005-10-05 株式会社総合経営研究所 コンクリート外壁の断熱構造
JP3934764B2 (ja) * 1997-12-10 2007-06-20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外壁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764B2 (ja) * 1997-12-10 2007-06-20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外壁材
JP3702217B2 (ja) * 2001-11-02 2005-10-05 株式会社総合経営研究所 コンクリート外壁の断熱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099B1 (ko) * 2013-04-25 2014-12-15 주종복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7800C (en) Anchor system for composite panel
AU2012357032B2 (en) A facade system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US20100242394A1 (en) Fully insulated timber frame building panel system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JP2009035998A (ja) 外断熱・隣地空き無しrc建築工法
KR101709253B1 (ko)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KR101035973B1 (ko) 외단열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JP4480181B2 (ja) 木造建物の外張り断熱構造
KR101253520B1 (ko) 2중 공기층 단열 성능을 갖는 정형단열재 수직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정형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20130098239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20150002707U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마감재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마감재 결합구조
CN114277986A (zh) 一种建筑幕墙断热桥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CN209011629U (zh) 一种复合壁板及包含该壁板的整体卫浴
RU2278229C2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с вентилируемым фасадом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варианты)
CN218323244U (zh) 一种保温复合板及保温墙
CN215716810U (zh) 保温装饰一体化板及卡槽压网件和安装结构
EP3931407B1 (en) Watertight anchoring for fastening elements to a building
TWM561109U (zh) 用於建築物外部牆體之預組牆板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KR101303569B1 (ko)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EP2449185A2 (en) Supplementary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insulating a façade
CN115142585A (zh) 外墙系统、构筑方法及建筑物
CN112814217A (zh) 一种可吊挂物品的装配式墙体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