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491B1 - 오토바이용 헬멧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491B1
KR101253491B1 KR1020070016634A KR20070016634A KR101253491B1 KR 101253491 B1 KR101253491 B1 KR 101253491B1 KR 1020070016634 A KR1020070016634 A KR 1020070016634A KR 20070016634 A KR20070016634 A KR 20070016634A KR 101253491 B1 KR101253491 B1 KR 10125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air
mouse
shiel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548A (ko
Inventor
김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글로벌
Priority to KR10200700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4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멧에 시일드를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는 동시에 헬멧을 구성하는 시일드결합뭉치, 마우스공기개폐뭉치, 시일드, 마우스공기유입판,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고무밴드 등을 간편하게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작업의 편리함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헬멧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시 산소부족에 대한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개발한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용 헬멧은,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되며 전면에 시일드(20)를 장착하는 개방부(11)를 포함하는 헬멧본체(10)와, 시일드베이스(31)에 코일스프링(33)에 의하여 탄력있게 록킹되도록 하는 록커(32)를 설치하여 시일드(20)의 양측 결합구(21)가 조립되게 헬멧본체(10)의 양측에 장착하여 구성되는 시일드결합뭉치(30)로 이루어진 헬멧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결합뭉치(30)는, 상기 결합구(21)의 조립 전에는 록커(32)가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록커(32)를 탄력있게 잡아주다가 결합구(21)의 조립시에는 가압력에 의하여 록커(32)로 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록커(32)를 상승시켜 결합구(21)를 결합하도록 시일드베이스(31)에 탄성편(317)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헬멧본체, 시일드, 시일드결합뭉치, 시일드베이스, 록커, 코일스프링, 마우스공기개폐뭉치, 마우스공기통로몸체, 공기조절노브, 마우스개폐판, 조립판

Description

오토바이용 헬멧{Helmet of autobicycle}
도 1은 본 발명 헬멧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헬멧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시일드결합뭉치의 조립을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시일드결합뭉치의 정면도로써 시일드의 조립 전 상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 시일드결합뭉치의 정면도로써 시일드의 조립 후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일드와 시일드결합뭉치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고무목밴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의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공기구멍이 개방된 상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공기구멍이 차단된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조립상태를 발췌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판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일부 예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헬멧본체 11:개방부
13:끼움홈 14:끼움공
16:목걸림턱 17:헬멧끼움돌기
18:헬멧끼움홈 20:시일드
21:결합구 23:제2시일드걸림턱
30:시일드결합뭉치 31:시일드베이스
32:록커 33:코일스프링
34:조립나사 40:고무패킹
41:끼움돌기 50:고무목밴드
51:조립고리 60:마우스공기개폐뭉치
61:마우스공기통로몸체 62:공기조절노브
63:마우스개폐판 70:조립판
71:걸림돌기 316:가이드홈
317:탄성편 323:베이스걸림턱
325:조립돌기 611:공기구멍
612:가이드걸림돌기 613:축구멍
614:스톱돌기 615:마우스끼움돌기
616:마우스끼움홈 621:축관
622:슬라이딩돌기 623:안내축
624:탄력스톱편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멧에 시일드를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는 동시에 헬멧을 구성하는 시일드결합뭉치, 마우스공기개폐뭉치, 시일드, 마우스공기유입판,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고무밴드 등을 간편하게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작업의 편리함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헬멧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시 산소부족에 대한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개방한 헬멧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등 이륜차를 승차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머리보호용 헬멧을 착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헬멧의 전방에는 시일드를 설치하여 운행시 전방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나 눈, 비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호흡장애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드는 투명형(clear type)이나 차광형(sun shadl type)등으로 제작한 뒤 헬멧본체에 개폐가능하도록 시일드의 양단을 헬멧본체에 장착된 시일드베이스에 조립하여 설정된 각도로 자유로이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주행시 바람이나 눈, 비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헬멧본체의 페이스부 테두리에 고무패킹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부위로 바람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시일드의 밀폐기능으로 사용자의 얼굴로는 공기의 공급을 기대할 수가 없으며, 더욱이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얼굴로의 공기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얼굴체온의 열기가 헬멧내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내부가 더워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얼굴에 땀이 나 주행시 사고의 위험이 발생될 염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숨쉬기 위함과 헬멧내부의 온도조절을 위하여 헬멧내부로 공기의 공 급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코,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동시에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하고자 헬멧본체의 하단부,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각각 공기통로수단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상술한 헬멧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헬멧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술한 종래의 시일드 부착구조의 경우 시일드의 양단 내측에 부설된 결합구를 헬멧본체의 양측에 부착된 시일드결합뭉치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도록 한 뒤 록커를 이용하여 결합구가 삽입된 입구를 차단하여 결합구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록커는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결합구가 삽입되는 입구를 차단하고 있다가 시일드의 조립시 록커를 강제적으로 가압(눌러줌)하여 줌으로써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하여 입구를 개방시켜 주어야만 결합구를 조립할 수가 있어, 록커를 강제적으로 가압하여야 되는 작업자 조립이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헬멧 착용자의 코로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하여 헬멧본체의 하단부 내부에 마우스공기개폐뭉치를 장착함으로써 개폐량을 조절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데, 즉 마우스공기개폐뭉치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공기구멍을 횡방향으로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개 형성된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공기구멍을 횡방향으로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개 형성된 마우스개폐판을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에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조립하여 구성한 것 으로, 마우스개폐판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마우스개폐판의 공기구멍이 겹쳐지게 되어 있어 그 겹쳐지는 구멍크기에 따라서 공기의 유입량이 결정된다. 그런데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마우스개폐판은 각 공기구멍사이의 간격이 각 공기구멍과 일치되거나 커야 공기구멍의 차단(닫힘)시 완전히 막아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결국 공기유입량의 조절시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마우스개폐판의 공기구멍과 간격(공기구멍사이)의 겹친부분에 따라서 결정되며, 이때 공기유입량을 최대로 하고자 하는 경우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마우스개폐판의 각 공기구멍을 완전히 일치시킨다고 하여도 간격(공기구멍사이)만큼은 공기 유입을 할 수가 없어 착용자에게 원활한 공기 공급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상기 시일드결합뭉치와 마우스공기개폐뭉치는 헬멧본체에 조립시 각각 별도의 조립나사로 조립하여야 되므로 작업의 불편함과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넷째, 마우스공기개폐뭉치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헬멧본체의 하단부 전면에 3개의 마우스공기유입판을 장착하되 그 마우스공기유입판의 배열은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규격범위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마우스공기유입판을 통해 마우스공기개폐뭉치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헬멧본체에 구멍을 천공하였으나, 상기 마우스공기유입판은 헬멧본체에 접착제로 일일이 접착하여야 되고, 또한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헬멧본체의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등을 접착제로 부착하여야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헬멧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헬멧본체의 개방 부 테두리에 부착하는 고무패킹과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하도록 헬멧본체의 테두리에 부착하는 고무목밴드도 일일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써 접착제도료작업과 건조과정 등으로 인해 작업능률과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헬멧에 시일드를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는 동시에 헬멧을 구성하는 시일드결합뭉치, 마우스공기개폐뭉치, 시일드, 마우스공기유입판,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고무밴드 등을 간편하게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작업의 편리함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헬멧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산소부족에 대한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헬멧의 구조는,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되며 전면에 시일드를 장착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본체와, 시일드베이스에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있게 록킹되도록 하는 록커를 설치하여 시일드의 양측 결합구가 조립되게 헬멧본체의 양측에 장착하여 구성되는 시일드결합뭉치로 이루어진 헬멧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결합뭉치는, 상기 결합구의 조립 전에는 록커가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록커를 탄력있게 잡아주다가 결합구의 조립시에는 가압력에 의하여 록커로 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록커를 상승시켜 결합구를 결합하도록 시일드베이스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탄성편은 3방면이 절취되어 자유단이 전방으로 탄력있게 절곡되도록 사출성형하여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를 잡아주도록 하여 시일드베이스와 록커사이의 간격이 결합구의 외경보다 크게 유지시켜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시일드결합뭉치는, 상기 탄성편의 하부에 위치되게 시일드베이스에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홈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조립 전에는 가이드홈으로 부터 벗어나 있다가 조립시에는 상승되는 록커에 의하여 가이드홈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베이스걸림턱과, 상기 시일드의 결합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구의 조립시 가이드홈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상승되는 베이스 걸림턱에 걸려서 시일드를 헬멧본체에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2시일드걸림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시일드결합뭉치의 조립구조는, 시일드베이스가 조립되는 위치의 헬멧본체에 시일드베이스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시일드베이스자리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시일드베이스의 설정된 위치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서 조립되게 하는 조립돌기와, 그 후 헬멧본체와 시일드베이스를 조립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나사로 구성하여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또, 헬멧본체의 개방부 주연테두리에 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수단은, 헬멧본체의 개방부 주연테두리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과, 주연테두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돌출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워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끼움돌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무패킹의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또,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하도록 헬멧본체의 테두리에 부착하는 고무목밴드 조립수단은, 헬멧본체의 목입구테두리의 내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돌출형성하는 목걸림턱과, 고무목밴드의 하단부 주연에 내측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절곡하여 고무목밴드를 목입구테두리에 감싸도록 끼워서 목걸림턱에 걸려 조립되도록 하는 조립고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무목밴드의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코로 공기를 공급시키도록 헬멧본체에 장착되는 마우스공기개폐뭉치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헬멧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의 하단에 좌,우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공기조절노브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공기조절노브에 각각 조립되어 공기조절노브의 좌,우 회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운동하면서 장공의 공기구멍을 개폐 및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마우스개폐판으로 구성하여, 공기구멍을 완전히 개방시킬 때 많은 양의 공기유입량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는, 공기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걸림돌기와, 하부에 공기조절노브를 회 동되게 지지하여 주는 축구멍으로 구성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축구멍에 끼워져 조립되는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축관과, 일단에 돌출되어 마우스개폐판을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딩돌기와, 마우스개폐판이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안내축으로 구성되는 공기조절노브와; 상기 가이드걸림돌기와 안내축에 각각 조립되어 마우스공기통로몸체와 공기조절노브와 일체화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세로 장공의 안내구멍과,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끼워져서 공기조절노브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장공의 원호안내구멍으로 구성된 마우스개폐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에 형성된 공기구멍은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하여 각 공기구멍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이거나 각 공기구멍을 하나의 공기구멍으로 형성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의 유입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는, 축구멍과 설정된 거리를 두고 동심원상으로 마우스공기통로몸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톱돌기와, 공기조절노브의 일단에 연장되어 회동시 상기 스톱돌기에 탄력있게 걸리도록 하여 마우스개폐판이 자유로이 상,하 작동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탄력스톱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유입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조립수단은, 내측면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끼움돌기 및 헬멧끼움홈으로 형성되는 헬멧본체와, 헬멧본체의 내측면과 대 접하는 일측면의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본체의 헬멧끼움돌기 및 헬멧끼움홈에 각각 끼워 조립되도록 마우스끼움돌기 및 마우스끼움홈으로 형성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로 구성하여 조립작업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코,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헬멧본체의 정면,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마우스공기유입판,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등의 조립판을 조립수단으로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조립작업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조립수단은, 헬멧본체에 다수 천공되는 조립공과, 조립판의 저면에 돌출되게 하여 상기 조립공에 탄력있게 끼워 걸리도록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조립이 간단히 완료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 헬멧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헬멧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시일드결합뭉치의 조립을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시일드결합뭉치의 정면도로써 시일드의 조립 전 상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 시일드결합뭉치의 정면도로써 시일드의 조립 후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일드와 시일드결합뭉치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고무목밴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의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공기구멍이 개방된 상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공기구멍이 차단된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헬멧본체와 마우스공기개폐뭉치의 조립상태를 발췌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판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일부 예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부호 10은 헬멧본체이며, 그 헬멧본체(10)에는 헬멧을 구성하는 구성부품, 즉 시일드(20), 시일드결합뭉치(30), 고무패킹(40), 고무목밴드(50),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 마우스공기유입판(70-1), 프론트공기유입판(70-2), 톱공기유입판(70-3), 리어공기배출판(70-4) 등의 조립판(70)이 조립되며, 헬멧본체(10)에는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내부에 쿠션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헬멧본체(10)는 전면에 시일드를 장착하는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우스공기유입판(70-1), 프론트공기유입판(70-2), 톱공기유입판(70-3), 리어공기배출판(70-4) 등의 조립판(70)이 조립되는 위치의 헬멧본체(10)에 구멍(12)을 천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부(11)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시일드(20)의 양단에는 헬멧본체(10)와 조립되는 결합구(21)와, 개폐각도를 제어하는 레크기어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드결합뭉치(3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헬멧본체(10)에 조립되 는 시일드베이스(31), 시일드베이스(31)에 조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작동되면서 시일드(20)를 잡아주거나 해제시키는 록커(32)와, 시일드베이스(31)와 록커(32)사이에 조립되어 헬멧본체(10)와 시일드(20)의 조립시 탄발력의 작용으로 록커(32)를 가압하여 시일드(20)의 결합구(21)를 잡아주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일드베이스(31)는, 상부 중앙에 제1시일드걸림턱(311)을 형성한 반원형의 결합구삽입홈(31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삽입홈(312)과 동심원으로 결합구삽입홈(312) 보다 큰 록커작동공간(313)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커작동공간(313)과 연결되게 수직방향으로 록커안내홈(3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구삽입홈(312) 및 록커작동공간(313)의 일측에 그 결합구삽입홈(312)과 동심원상으로 제1탄력편(3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록커작동공간(313)의 하부에 위치되게 원호형의 가이드홈(316)을 형성한다. 이때, 결합구삽입홈(312) 및 록커작동공간(313)사이의 조립 전 간격은 시일드(20)의 결합구(21)의 외경보다 크게 유지시켜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구삽입홈(312) 및 록커작동공간(313)에 위치되게 상부는 연결되고 나머지 3방면은 절취되어 자유단이 전방으로 탄력있게 절곡되도록 탄성편(317)을 형성한다.
상기 록커(32)는 시일드베이스(31)의 록커안내홈(314)에 수직방향으로 상,하작동되게 조립하여 시일드(20)의 조립 전에는 탄성편(317)의 자유단에 의해서 상승이 제어되는 록커슬라이더(321)와, 록커슬라이더(3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록커작동공간(313)내에 위치시켜 시일드(20)의 조립시 제1시일드걸림턱(311)과 함께 결합구(21)를 잡아주도록 하는 반원형의 록커걸림턱(322)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슬라이더(3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조립 전에는 가이드홈(316)으로 부터 벗어나 있다가 조립시에는 상승되는 록커(32)에 의하여 가이드홈(316)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베이스걸림턱(323)과, 시일드베이스(31)와 베이스걸림턱(323)사이에 설치되어 조립시 탄력있게 록커슬라이더(321)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과, 상기 시일드(20)의 결합구(21)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구(21)의 조립시 가이드홈(316)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상승되는 베이스걸림턱(323)에 걸려서 시일드(20)를 헬멧본체(10)에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2시일드걸림턱(23)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헬멧본체(10)와 시일드결합뭉치(30)의 조립수단은, 시일드베이스(31)가 조립되는 위치의 헬멧본체(10)에 시일드베이스(31)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시일드베이스자리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끼움홈(13)과, 시일드베이스(31)의 설정된 위치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서 조립되게 하는 조립돌기(325)와, 그 후 헬멧본체(10)와 시일드베이스(31)를 조립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나사(34)로 구성한다.
또, 헬멧본체(10)의 개방부(11) 주연테두리에 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수단은, 헬멧본체(10)의 개방부(11) 주연테두리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14)과, 주연테두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40)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돌출되어 상기 끼움공(14)에 끼워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끼움돌기(41)로 이루 어지도록 한다.
또,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하도록 헬멧본체(10)의 테두리에 부착하는 고무목밴드조립수단은 도 7과 같이, 헬멧본체(10)의 목입구테두리(15)의 내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돌출형성하는 목걸림턱(16)과, 고무목밴드(50)의 하단부 주연에 내측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절곡하여 고무목밴드(50)를 목입구테두리(15)에 감싸도록 끼워서 목걸림턱(16)에 걸려 조립되도록 하는 조립고리(51)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코로 공기를 공급시키도록 헬멧본체(10)에 장착되는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공기구멍(611)이 형성되어 헬멧본체(10)의 내측에 조립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하단에 좌,우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공기조절노브(62)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공기조절노브(62)에 각각 조립되어 공기조절노브(62)의 좌,우 회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면서 장공의 공기구멍(611)을 개폐 및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마우스개폐판(63)으로 구성하여, 공기구멍을 완전히 개방시킬 때 많은 양의 공기유입량을 공급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는, 공기구멍(61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걸림돌기(612)와, 하부에 공기조절노브(62)를 회동되게 지지하여 주는 축구멍(613)으로 구성되며,
공기조절노브(62)는,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축구멍(613)에 끼워져 조립되는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축관(621)과, 일단에 돌출되어 마우스개폐판(63)을 상,하방 향으로 수직운동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딩돌기(622)와, 마우스개폐판(63)이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안내축(623)으로 구성하며,
마우스개폐판(63)은, 상기 가이드걸림돌기(612)와 안내축(623)에 각각 조립되어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공기조절노브(62)와 일체화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세로 장공의 안내구멍(631)(632)과, 상기 슬라이딩돌기(622)에 끼워져서 공기조절노브(62)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축(623)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장공의 원호안내구멍(633)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에 형성된 공기구멍(611)은 도 5 및 도 6a와 같이,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하여 각 공기구멍(611)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각 공기구멍(611)을 하나의 공기구멍으로 형성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의 유입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는, 축구멍(613)과 설정된 거리를 두고 동심원상으로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에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톱돌기(614)와, 공기조절노브(62)의 일단에 연장되어 회동시 상기 스톱돌기(614)에 탄력있게 걸리도록 하여 마우스개폐판(63)이 자유로이 상,하 작동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탄력스톱편(624)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유입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의 조립수단은, 내측면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끼움돌기(17) 및 헬멧끼움홈(18)으로 형성되는 헬멧본체(10)와, 헬멧본 체(10)의 내측면과 대접하는 일측면의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본체(10)의 헬멧끼움돌기(17) 및 헬멧끼움홈(18)에 각각 끼워 조립되도록 마우스끼움돌기(615) 및 마우스끼움홈(616)으로 형성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로 구성한다.
그리고 코,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헬멧본체(10)의 정면,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마우스공기유입판(70-1), 프론트공기유입판(70-2), 톱공기유입판(70-3), 리어공기배출판(70-4) 등의 조립판(70)을 도 11과 같이 조립수단으로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이 완료되게 한다.
즉, 상기 조립수단은, 헬멧본체(10)에 다수 천공되는 조립공(19)과, 조립판(70)의 저면에 돌출되게 하여 상기 조립공(19)에 탄력있게 끼워 걸리도록 걸림돌기(71)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조립이 간단히 완료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헬멧의 조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헬멧본체(10)와 시일드(20)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헬멧본체(10)에 시일드결합뭉치(30)를 먼저 조립하여야 된다.
즉, 도 4와 같이 시일드결합뭉치(30)의 시일드베이스(31)에 돌출되어 있는 조립돌기(325)를 헬멧본체(10)의 끼움홈(13)에 끼워서 헬멧본체(10)의 시일드베이스자리부에 시일드베이스(31)가 안치되게 하고, 그 후 헬멧본체(10)와 시일드베이스(31)를 조립나사(34)로 조립하여 줌으로써, 1개의 조립나사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도록 하여 종래 2개 이상의 조립나사로 조립하였던 조립과정을 간단화하여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시일드결합뭉치(30)의 조립 후 시일드(20)를 헬멧본체(10)에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시일드(20)의 결합구(21)가 조립하기 전에는 록커(32)가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록커(32)를 탄성편(317)이 탄력있게 잡아주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록커(32)의 록커슬라이더(321)가 하강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33)은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압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구(21)의 조립시에는 결합구(21)가 절곡되게 휘어져 있던 탄성편(317)을 미러주게 되므로 탄성편(317)의 자유단은 자체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펼쳐지게 되므로 록커(32)의 록커슬라이더(321)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탄성편(317)이 록커슬라이더(321)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33)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록커(32)를 밀어주게 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록커(32)의 록커걸림턱(322)이 결합구삽입홈(312) 및 록커작동공간(313)으로 삽입되어 있던 결합구(21)를 밀어주게 되며, 결합구(21)는 상방으로 밀리면서 시일드베이스(31)의 제1시일드걸림턱(311)으로 밀려나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록커걸림턱(322)에도 동시에 걸려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결국 결합구(21)는 축의 역할을, 제1시일드걸림턱(311)과 록커걸림턱(322)은 축구멍의 역할을 하면서 록킹역할도 동시에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록커(32)의 록커걸림턱(322)이 결합구삽입홈(312) 및 록커작동공간(313)으로 삽입되어 결합구(21)를 밀어 줄 때,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슬라이더(3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걸림턱(323)은 조립 전에는 시일드베이스(31)의 가이드홈(316)으로 부터 벗어나 있다가 조립시에는 상승되는 록 커(32)에 의하여 가이드홈(316)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승되는 베이스걸림턱(323)이 가이드홈(316)으로 삽입된 제2시일드걸림턱(23)에 걸리게 되어 시일드(20)를 헬멧본체(10)에 이중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일드(20)의 조립작업은 단순히 끼우는 동작만으로 모든 조립작업이 완료하게 되므로 전문가가 아닌 누구나 간단히 조립할 수 있어 조립작업의 간단화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착용자의 코로 공기를 공급시키도록 헬멧본체(10)에 장착되는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의 조립수단은, 헬멧본체(10)의 헬멧끼움돌기(17) 및 헬멧끼움홈(18)에 단순히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마우스끼움돌기(615) 및 마우스끼움홈(616)을 각각 끼워 줌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의 조립 후 헬멧내부로의 공기공급을 위해서 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공기를 유입시키고자 개방시킬 시킬 경우 도 9a와 같이 공기조절노브(6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축구멍(613)과 공기조절노브(62)의 축관(621)은 동일중심에서 회동하게 되므로 공기조절노브(62)의 슬라이딩돌기(622)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슬라이딩돌기(622)의 원호운동의 회동으로 마우스캐폐판()의 원호안내구멍(633)의 안내를 받게 되는데 이때 원호안내구멍(633)은 축구멍(613)과 축관(621)에 대해서 편심되어 있어 슬라이딩돌기(622)가 원호안내구멍(633)을 타고 슬라이딩하면서 강제적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마우스개폐판(63)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고, 마우스개폐판(63)의 하강시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양측 가이드걸림돌기(612)와 공기조절노브(62)의 안내축(623)에 의해서 마우스개폐판(63)의 안내구멍(631)(632)이 안내를 받아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절노브(6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각도에 의하여 마우스개폐판(63)의 하강거리를 조절하게 되는데, 공기조절노브(62)의 회동각도에 따라 탄력스톱편(624)이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스톱돌기(614)에 걸려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마우스개폐판(63)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마우스개폐판(63)의 하강거리에 따라서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공기구멍(611)의 개방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마우스공기유입판(70-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그 공기구멍(611)을 통해서 밀폐되어 있는 헬멧내부로 공급되므로 헬멧착용자에게 원활한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공기를 차단시킬 시킬 경우 도 9b와 같이 공기조절노브(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술한 작동의 반대로 작동하여 마우스개폐판(63)이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공기구멍(611)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각 공기구멍(611)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이거나 각 공기구멍을 하나의 공기구멍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최대한 많은 공기의 유입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어 고속주행시 산소부족에 의한 졸도의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헬멧을 구성하는 부품을 조립식으로 개선하여 줌으로써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는 것으로, 즉 헬멧본체(10)의 개방부(11) 주연테두리에 형성된 끼움공(14)에 고무패킹(40)의 끼움돌기(41)를 끼워서 빠지지 않도록 조립하는 것이며, 또, 착용자의 목부분에 해당되는 고무목밴드(50)의 경우 고무목밴드(50)를 목입구테두리(15)에 감싸도록 끼워서 목걸림턱(16)에 조립고리(51)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코,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헬멧본체(10)의 정면,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마우스공기유입판(70-1), 프론트공기유입판(70-2), 톱공기유입판(70-3), 리어공기배출판(70-4) 등의 조립판(70)을 조립하는 경우에도 헬멧본체(10)의 조립공(19)에 조립판(70)의 걸림돌기(71)가 탄력있게 끼워 걸리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헬멧에 시일드를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는 동시에 헬멧을 구성하는 시일드결합뭉치, 마우스공기개폐뭉치, 시일드, 마우스공기유입판, 프론트공기유입판, 톱공기유입판, 리어공기배출판, 고무밴드 등을 간편하게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작업의 편리함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헬멧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산소부족에 대한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되며 전면에 시일드(20)를 장착하는 개방부(11)를 포함하는 헬멧본체(10)와, 시일드베이스(31)에 코일스프링(33)에 의하여 탄력있게 록킹되도록 하는 록커(32)를 설치하여 시일드(20)의 양측 결합구(21)가 조립되게 헬멧본체(10)의 양측에 장착하여 구성되는 시일드결합뭉치(30)로 이루어진 헬멧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결합뭉치(30)는, 상기 결합구(21)의 조립 전에는 록커(32)가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록커(32)를 탄력있게 잡아주다가 결합구(21)의 조립시에는 가압력에 의하여 록커(32)로 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록커(32)를 상승시켜 결합구(21)를 결합하도록 시일드베이스(31)에 탄성편(317)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317)은 3방면이 절취되어 자유단이 전방으로 탄력있게 절곡되도록 사출성형하여 코일스프링(33)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32)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결합뭉치(30)는, 상기 탄성편(317)의 하부에 위치되게 시일드베이스(31)에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홈(316)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록커(3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조립 전에는 가이드홈(316)으로 부터 벗어나 있다가 조립시에는 상승되는 록커(32)에 의하여 가이드홈(316)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베이스걸림턱(323)과, 상기 시일드(20)의 결합구(21)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구(21)의 조립시 가이드홈(316)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상승되는 베이스걸림턱(323)에 걸려서 시일드(20)를 헬멧본체(10)에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제2시일드걸림턱(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베이스(31)가 조립되는 위치의 헬멧본체(10)에 시일드베이스(31)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시일드베이스자리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끼움홈(13)과, 시일드베이스(31)의 설정된 위치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서 조립되게 하는 조립돌기(325)와, 그 후 헬멧본체(10)와 시일드베이스(31)를 조립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나사(3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5. 제 1 항에 있어서, 헬멧본체(10)의 개방부(11) 주연테두리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14)과, 주연테두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40)에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돌출되어 상기 끼움공(14)에 끼워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끼움돌기(41)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6. 머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되는 헬멧본체(10)의 전면에 시일드(20)가 개폐되게 장착되며, 착용자의 코로 공기를 공급시키도록 헬멧본체(10)에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를 장착하고, 코, 이마, 머리부위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헬멧본체(10)의 정면, 상단부, 정수리부 및 후방부에 마우스공기유입판(70-1), 프론트공기유입판(70-2), 톱공기유입판(70-3) 및 리어공기배출판(70-4)의 조립판(70)을 조립하며, 착용자의 목부분으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헬멧본체(10)의 목입구테두리에 고무목밴드(50)를 조립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공기구멍(611)이 형성되어 헬멧본체(10)의 내측에 조립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의 하단에 좌,우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공기조절노브(62)와,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공기조절노브(62)에 각각 조립되어 공기조절노브(62)의 좌,우 회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운동하면서 장공의 공기구멍(611)을 개폐 및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마우스개폐판(6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는, 공기구멍(61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걸림돌기(612)와, 하부에 공기조절노브(62)를 회동되게 지지하여 주는 축구멍(613)으로 구성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축구멍(613)에 끼워져 조립되는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축관(621)과, 일단에 돌출되어 마우스개폐판(63)을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딩돌기(622)와, 마우스개폐판(63)이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안내축(623)으로 구성되는 공기조절노브(62)와; 상기 가이드걸림돌기(612)와 안내축(623)에 각각 조립되어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와 공기조절노브(62)와 일체화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세로 장공의 안내구멍(631)(632)과, 상기 슬라이딩돌기(622)에 끼워져서 공기조절노브(62)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축(623)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장공의 원호안내구멍(633)으로 구성된 마우스개폐판(6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에 형성된 공기구멍(611)은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 형성하여 각 공기구멍(611)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에 형성된 공기구멍(611)은 하나의 공기구멍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는, 축구멍(613)과 설정된 거리를 두고 동심원상으로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에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톱돌기(614)와, 공기조절노브(62)의 일단에 연장되어 회동시 상기 스톱돌기(614)에 탄력있게 걸리도록 하여 마우스개폐판(63)이 자유로이 상,하 작동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탄력스톱편(624)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공기개폐뭉치(60)의 조립수단은, 내측면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끼움돌기(17) 및 헬멧끼움홈(18)으로 형성되는 헬멧본체(10)와, 헬멧본체(10)의 내측면과 대접하는 일측면의 상,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헬멧본체(10)의 헬멧끼움돌기(17) 및 헬멧끼움홈(18)에 각각 끼워 조립되도록 마우스끼움돌기(615) 및 마우스끼움홈(616)으로 형성되는 마우스공기통로몸체(6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12. 제 6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하도록 헬멧본체(10)의 목입구테두리의 내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돌출형성하는 목걸림턱(16)과, 고무목밴드(50)의 하단부 주연에 내측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절곡하여 고무목밴드(50)를 목입구테두리에 감싸도록 끼워서 목걸림턱(16)에 걸려 조립되도록 하는 조립고리(51)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판(70)의 조립수단은, 헬멧본체(10)에 다수 천공되는 조립공(19)과, 조립판(70)의 저면에 돌출되게 하여 상기 조립공(19)에 탄력있게 끼워 걸리도록 걸림돌기(7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KR1020070016634A 2007-02-16 2007-02-16 오토바이용 헬멧 KR10125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634A KR101253491B1 (ko) 2007-02-16 2007-02-16 오토바이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634A KR101253491B1 (ko) 2007-02-16 2007-02-16 오토바이용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548A KR20080076548A (ko) 2008-08-20
KR101253491B1 true KR101253491B1 (ko) 2013-04-11

Family

ID=3987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634A KR101253491B1 (ko) 2007-02-16 2007-02-16 오토바이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01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마우스 벤트를 포함하는 헬멧
WO2023182633A1 (ko) * 2022-03-22 2023-09-28 (주) 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53B1 (ko) * 2019-01-15 2019-12-2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피팅 시스템
JP7017532B2 (ja) * 2019-02-22 2022-0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気流制御部材、および、ヘルメ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4941A1 (en) 1990-08-31 1992-03-18 Shoei Kako Kabushiki Kaisha Helmet with improved ventilation
US5461731A (en) 1993-06-18 1995-10-31 Shei Kako Kabushiki Kaisha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JP2001316929A (ja) 2000-05-09 2001-11-16 Shoei:Kk ヘルメット
KR100394293B1 (ko) 2001-04-06 2003-08-09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공기 흡입구 조립 및 착탈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4941A1 (en) 1990-08-31 1992-03-18 Shoei Kako Kabushiki Kaisha Helmet with improved ventilation
US5461731A (en) 1993-06-18 1995-10-31 Shei Kako Kabushiki Kaisha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JP2001316929A (ja) 2000-05-09 2001-11-16 Shoei:Kk ヘルメット
KR100394293B1 (ko) 2001-04-06 2003-08-09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공기 흡입구 조립 및 착탈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01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마우스 벤트를 포함하는 헬멧
US11672299B2 (en) 2018-08-31 2023-06-13 Hjc Corp. Helmet including mouth vents
WO2023182633A1 (ko) * 2022-03-22 2023-09-28 (주) 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548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9995C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KR101253491B1 (ko) 오토바이용 헬멧
US8250669B2 (en) Safety helmet with supplemental inner visor
US5388277A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JP5041906B2 (ja) ヘルメット
US20070124851A1 (en) Motorcycle helmet
US8127375B2 (en) Low profile helmet vents and venting system
EP1702527A1 (en) Shielding device for helmet
CN106264863A (zh) 一种焊接面罩
KR200428857Y1 (ko) 차광용 모자
US20040244798A1 (en) Nasal respirator
KR101218787B1 (ko) 방진 마스크
KR200484799Y1 (ko) 안면 그늘막
KR20110001044U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0457025Y1 (ko)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CN207666078U (zh) 一种双镜片赛车盔
KR200489396Y1 (ko) 통기성이 뛰어난 안면 그늘막
CN220966522U (zh) 一种头盔嘴部用风窗机构
CN111317217B (zh) 一种具有常闭式挡风镜的头盔
JPH0470408B2 (ko)
KR200440757Y1 (ko) 차광용 모자
CN111296982B (zh) 一种可实现挡风镜稳定调节的头盔
CN213720227U (zh) 一种通风档位可调节的全盔型头盔
KR20020096503A (ko) 다기능 썬캡
KR101005810B1 (ko) 헬멧의 시일드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