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387B1 -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387B1
KR101253387B1 KR1020090105210A KR20090105210A KR101253387B1 KR 101253387 B1 KR101253387 B1 KR 101253387B1 KR 1020090105210 A KR1020090105210 A KR 1020090105210A KR 20090105210 A KR20090105210 A KR 20090105210A KR 101253387 B1 KR101253387 B1 KR 10125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current
unit
current path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424A (ko
Inventor
유영규
이승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3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power line carrier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램프를 사용하는 항공등화 시스템에서 절연변압기와 LED 램프의 교류/직류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아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특정 LED 램프의 고장시에도 다른 LED 램프에 영향을 주지 않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일정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 정전류조정기와,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되 해당 LED 램프가 고장나면 전류통로를 인접 LED 램프부 측으로 절환하는 전류경로선택부, 및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한다.
항공등화램프, LED 램프, 직류전원, 경로선택

Description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AIRPORT LIGHTING SYSTEM USING LED LAMP}
본 발명은 항공등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램프를 사용하는 항공등화 시스템에서 절연변압기와 LED 램프의 교류/직류변환기를 사용하지 않아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특정 LED 램프의 고장시에도 다른 LED 램프에 영향을 주지 않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등화는 항공법에서 불빛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공보안시설로서 교통부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조종사는 항공기 조작의 대부분을 시각과 청각에 의거 실시하고 있으나, 이 정보의 대부분을 눈으로 수집하고 있으므로 항공등화의 역할은 대단히 크다.
이러한 항공등화 시스템으로서 기존에는 할로겐 램프를 주로 사용하였지만, 할로겐 램프는 연색성 및 소형화에 유리한 반면 효율이 낮고 많은 열을 방출함으로 인해 수명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에너지 효율화 요 구로 인해 효율 높은 기기들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조명 산업계에서는 기존 광원에 비해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광원인 LED(발광다이오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LED의 강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에너지 소비를 기존 백열등 또는 할로겐 램프에 비해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휘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점이 있으나, 최근에는 관련기술과 원재료 기술의 개선으로 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고 있다. 이에 따라 LED는 이제 백열전구나 형광등, 할로겐 램프 등 그 동안 우리와 친숙했던 여러 조명용 광원들을 대신하여 생활 속에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항공업계에서도 할로겐 램프를 LED 램프로 교체하여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항공등화는 등화 램프(15a~15n)가 일정한 광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동일한 전류로 점등 제어하는 정전류 배전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각 등화의 정전류공급장치로는 교류 정전류조정기(11)가 사용되며, 공항 내의 조명 변전소라고 하는 변전소에 설치된다.
현재 사용되는 정전류조정기(11)는 최대 출력용량 30[kVA]로서, 5단계의 광도제어 기능을 갖고, 최대 출력전류는 6.6[A]이다.
각 등화 램프(15a~15n)로의 전원공급은 정전류조정기(11)에서 연결된 1개의 항공등화용 고압 케이블로 루프회로를 구성한다.
각각의 등화 램프(15a~15n)마다 직렬로 설치되는 절연변압기(13a~13n)를 거쳐 전력이 공급된다. 절연변압기(13a~13n)는 일반적으로 전류비 1대1의 비율로 1차측 고압전류를 2차측 저압전류로 변환하는 변류기로 동작한다. 2차측 램프가 끊어진 경우 변류기 소손 등에 의해 회로가 단선, 다른 등화의 광도가 저하되거나 소등 등과 같은 트러블이 발생하므로 가포화형 변압기가 사용된다. 각 등화 램프(15a~15n)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이며 절연변압기(13a~13n)의 1차의 전류에 따라 등의 밝기가 조절된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의한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LED 램프의 구성도로서, 도 1과 차이점은 할로겐 램프(15a~15n)가 LED 램프(17a~17n)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LED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정전압을 인가해서 어느 전압 이하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발광도 하지 않는다. 어느 전압 이상이 되면 전압 상승에 대하여 전류가 빠르게 흘러서, 전류량에 비례해서 빛이 발생된다.
조명 용도의 LED는 구동전류가 1[A] 이상이고 소비전력이 수[W] 단위의 고출력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LED 램프부(17a~17n)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해주는 교류직류변환기(17-1)와, LED 칩 또는 패키지(17-2), 렌즈와 같은 광학기구(17-3), 조명기구(17-4),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 구 및 구동 회로(17-5)로 구분할 수 있다.
LED 램프는 할로겐 램프와 달리 교류직류변환기(17-1)가 필요하다. 교류직류변환기(17-1)의 효율은 최대 85%이하며, 나머지는 열로 방출되어 LED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부품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방열 기구 및 회로가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LED 램프를 사용하는 항공등화 시스템에서 절연변압기와 LED 램프의 교류직류변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류 정전류조정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LED 램프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수명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LED 램프를 사용하는 항공등화 시스템에서 특정 LED 램프의 고장시에도 다른 LED 램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공등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일정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 정전류조정기;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되 해당 LED 램프가 고장나면 전류통로를 인접 LED 램프부 측으로 절환하는 전류경로선택부; 및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거나 또는 인접된 다른 LED 램프부로 전달하는 전류통로전환부; 및 상기 LED 램프부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LED 램프부가 고장날 경우 상기 전류통로전환부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인접된 다른 LED 램프부로 출력되도록 전류통로전환부를 제어하는 오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는, 상기 전류통로전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되 상기 출력된 전류가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설정된 밝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전류이면 그 오차값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 측정된 전류 오차값을 입력받아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설정된 해당 밝기 레벨로 전류를 보정하여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는 전류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항공등화 시스템은, 상기 전류경로선택부와 LED 램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위에서 전달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LED 램프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개별등화제어기; 및 상위에서 전달된 명령에 따라 각 개별등화제어기와 통신하여 LED 램프부들을 점등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등화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이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은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LED 램프부에 직접 인가함에 따라 LED 램프부에 교류직류변환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LED 램프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에 교류직류변환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LED 램프부의 교류직류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전력소모가 없어 발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전체 항공등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LED 램프부로 직류 전류가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절연변압기가 필요 없어 절연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없으므로 전체 항공등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는 교류직류변환기와 절연변압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항공등화 제품의 가격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개별등화제어기를 통해 LED 램프들을 개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LED 램프들을 개별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류경로선택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항공등화 시스템(100)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와 복수의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 및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항공등화 시스템(100)은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는 1개의 항공등화용 고압 케이블에 의해 폐루프가 형성된다.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공받아 항상 일정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는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150a~150n)로 각각 공급하되 해당 LED 램프가 고장나면 전류통로를 인접한 LED 램프부 측으로 절환하여 폐루프가 끊기지 않도록 한다.
LED 램프부(150a~150n)는 상기 각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LED 램프부(150a)는 복수의 LED 램프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해당 전류경로선택부(120a)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경우 도 2와는 다르게 직류 정전류조정기(110)가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LED 램프부(150a~150n)에 직접 직류를 인가하기 때문에서 LED 램프부(150a~150n)의 내부에 교류직류변환기가 필요없다. 따라서 기존의 LED 램프부(150a~150n)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교류직류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전력소모가 없으므로 LED 램프부(150a~150n)의 발열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며, 전체 항공등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정 LED 램프부(150a)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폐회로인 전류통로가 끊기게 되며, 이러한 경우 전체 LED 램프부(150a~150n)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램프부(150a)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램프부(150a)로 흐르는 전류통로를 다른 LED 램프부(150b~150n)로 연결해주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은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가 사용된다.
상기 각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통로전환부(121)와 전류측정부(123), 전류보정부(125) 및 오류검출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전류통로전환부(121)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150a)로 공급하거나 또는 인접된 다른 LED 램프부(150b; 정확하게는, 인접된 전류경로선택부)로 전달하게 된다.
전류측정부(123)는 상기 전류통로전환부(121)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되 상기 출력된 전류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에서 설정된 밝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전류이면 그 오차값을 계산하여 전류보정부(125)로 출력한다.
전류보정부(125)는 상기 전류측정부(123)에 측정된 전류 오차값을 입력받아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에서 설정된 해당 밝기 레벨로 전류를 보정하여 해당 LED 램프부(150a)로 공급한다.
상기 LED 램프의 광도는, 예컨대 5단계 정도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광도는 시간대별 또는 날씨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직류 정전류조정기(110)가 5단계 중 제3 단계의 밝기를 갖는 전류를 LED 램프부(150a~150n)로 공급하는 경우, 전류통로전환부(121)의 전류측정부(123)는 공급된 전류를 측정하여 설정된 범위(제3 단계)를 벗어나는 전류가 공급되면 오차값을 전류보정부(125)로 출력하고, 전류보정부(125)는 오차값에 따라 전류레벨을 설정된 레벨(제3 단계)로 보정하여 해당 LED 램프부(150a)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와 전류경로선택부(120)는 시간대별 또는 날씨별 광도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오류검출부(127)는 해당 LED 램프부(150a)가 고장나서 회로가 개방(open)된 상태 또는 상기 전류보정부(125)가 고장나서 전류통로가 끊겼을 때를 각각 감지하고, 회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전류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류통로전환부(121)로 출력한다.
따라서, 전류통로전환부(121)는 전류측정부(123)와 전류보정부(125)를 통해 해당 LED 램프부(150a)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항상 일정한 레벨로 공급하여 해당 LED 램프부(150a)를 일정한 밝기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LED 램프부(150a)가 고장나 전류통로가 개방될 경우에도 전류통로전환부(121)가 고장된 LED 램프부(150a)로 공급되는 전류통로를 인접 LED 램프부(150b)로 절환함에 따라 고장난 LED 램프부(150a)를 제외한 나머지 LED 램프부들(150b~150n)을 폐루프 상태로 만들어 LED가 점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항공등화 시스템(100)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와 복수의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 메인등화제어기(130) 및 개별등화제어기(140a~140n)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항공등화 시스템(100)은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복수의 LED 램프부(150a~150n)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는 1개의 항공등화용 고압 케이블에 의해 폐루프가 형성된다.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항상 일정한 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조정한다.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는 직류 정전류조정기(110)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150a~150n)로 공급하되 해당 LED 램프가 고장나면 전류통로를 인접 LED 램프부(150a~150n) 측으로 절환하여 폐루프가 끊기지 않도록 한다.
LED 램프부(150a~150n)는 상기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를 통해 공급된 직 류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LED 램프부(150a~150n)는 복수의 LED 램프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와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 및 LED 램프부(150a~150n)의 구성은 상기 도 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등화제어기(130)는 상위제어기에서 내려진 명령에 따라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에서 LED 램프부(150a~150n)로 공급되는 전류통로를 온/오프하거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개별등화제어기(140a~140n)와 통신하여 개별 LED 램프부(150a~150n)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와 메인등화제어기(130) 사이에 전류경로선택부(120)를 설치하여 메인등화제어기(130)의 고장시 전류통로가 LED 램프부(150a)의 전류경로선택부(120a) 측으로 절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등화제어기(140a~140n)는 메인등화제어기(130)에서 내려진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LED 램프부(150a~150n)를 온/오프하고 해당 램프부(150a~150n)의 상태를 감시하여 메인등화제어기(13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전체 LED 램프부(150a~150n)는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에 의해 램프의 밝기 또는 온/오프 가 일괄 조절되고, 메인등화제어기(130)의 명령에 의해 개별등화제어기(140a~140n)가 해당 LED 램프를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류경로선택부(120a~120n)가 LED 램프부(150a~150n)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전류경로선택 부(120a~120n)는 LED 램프부(150a~150n)에 내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은 직류 정전류조정기(11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LED 램프부(150a~150n)에 직접 인가함에 따라 LED 램프부(150a~150n)에 교류직류변환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LED 램프부(150a~150n)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150a~150n)에 교류직류변환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LED 램프부(150a~150n)의 교류직류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전력소모가 없어 발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전체 항공등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LED 램프부(150a~150n)로 직류 전류가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절연변압기가 필요 없어 절연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없으므로 전체 항공등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150a~150n)는 교류직류변환기와 절연변압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항공등화 제품의 가격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개별등화제어기(140a~140n)를 통해 LED 램프들을 개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LED 램프들을 개별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의한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LED 램프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3의 전류경로선택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항공등화 시스템 110: 직류 정전류조정기
120a~120n: 전류경로선택부 121: 전류통로전환부
123: 전류측정부 125: 전류보정부
127: 오류검출부 130: 메인등화제어기
140a~140n: 개별등화제어기 150a~150n: LED 램프부

Claims (6)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일정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 정전류조정기;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되 해당 LED 램프가 고장나면 전류통로를 인접 LED 램프부 측으로 절환하고, 상기 LED 램프부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항상 일정한 레벨로 제어하는 전류경로선택부; 및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되는 상기 LED 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경로선택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직류 정전류조정기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원을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거나 또는 인접된 다른 LED 램프부로 전달하는 전류통로전환부;
    상기 LED 램프부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LED 램프부가 고장인 경우 상기 전류통로전환부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인접된 다른 LED 램프부로 출력되도록 전류통로전환부를 제어하는 오류검출부;
    상기 전류통로전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되 상기 출력된 전류가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설정된 밝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전류이면 그 오차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 측정된 오차를 수신하여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설정된 밝기 레벨로 전류를 보정하여 해당 LED 램프부로 공급하는 전류보정부를 포함하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선택부와 LED 램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위에서 전달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LED 램프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개별등화제어기; 및 상위에서 전달된 명령에 따라 각 개별등화제어기와 통신하여 LED 램프부들을 점등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등화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등화제어기는 상위에서 전달된 명령에 따라 직류 정전류조정기에서 LED 램프부로 공급되는 전류통로를 온/오프하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 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등화제어기와 개별등화제어기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KR1020090105210A 2009-11-02 2009-11-02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KR10125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10A KR101253387B1 (ko) 2009-11-02 2009-11-02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10A KR101253387B1 (ko) 2009-11-02 2009-11-02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424A KR20110048424A (ko) 2011-05-11
KR101253387B1 true KR101253387B1 (ko) 2013-04-11

Family

ID=4423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210A KR101253387B1 (ko) 2009-11-02 2009-11-02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323B1 (ko) * 2011-09-06 2014-07-22 이상범 고효율 항공등화 전원장치 및 조명 제어시스템.
KR101631349B1 (ko) * 2012-08-07 2016-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항공등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70A (ja) * 2006-12-18 2008-07-03 Hitachi Ltd 灯器システムおよび破損灯器特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70A (ja) * 2006-12-18 2008-07-03 Hitachi Ltd 灯器システムおよび破損灯器特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424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4802B2 (en) Solid state device controller
CN106851894B (zh) 激光电源装置
CN104519642A (zh) 照明装置
CN103096561A (zh) 一种led光源的恒流驱动器
KR101020869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101253387B1 (ko) Led 램프를 이용한 항공등화 시스템
CN103313482A (zh) 一种led应急照明系统以及led照明灯具
KR101473573B1 (ko) 엘이디 전원 장치
KR20140018604A (ko) Led 등기구 on/off를 통한 디밍 제어 시스템
KR20180069373A (ko) 정전류 방식의 smps를 이용한 스마트 led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75240A (ko) 조명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장치
JP2012003864A (ja) Led灯器及びled点灯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020868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100944876B1 (ko) 엘이디 조명기구 제어시스템
KR20140085937A (ko)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
JP6369689B2 (ja) 標識灯および標識灯システム
KR101020866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CN107041033B (zh) 白炽灯泡仿真器的方法和装置
US11399422B2 (en) LED fixtures for constant current network
JP6369690B2 (ja) 標識灯システム
JP2016177958A (ja) 標識灯および標識灯システム
KR101020867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100952645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20210026704A (ko) 비상용 전원공급장치 제어기능을 포함한 smps 및 이를 이용한 led smps 제조방법
JP6948006B2 (ja) 標識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