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834B1 -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834B1
KR101252834B1 KR1020110120453A KR20110120453A KR101252834B1 KR 101252834 B1 KR101252834 B1 KR 101252834B1 KR 1020110120453 A KR1020110120453 A KR 1020110120453A KR 20110120453 A KR20110120453 A KR 20110120453A KR 101252834 B1 KR101252834 B1 KR 10125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let
housing
space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송진환
삼손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환, 삼손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진환
Priority to KR102011012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08Single-component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장이나 야외 분수대, 대형 수족관, 조경용 폭포 등에 사용되는 용수를 정화하기 위한,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재를 폴리에텔렌 수지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수처리시 용수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역세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동일한 필터 공간 내에 여과재의 단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수처리 효율과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처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펌프(30)와 연결되며 제1밸브(131)가 구비된 제1배관(121)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드레인(drain)되며 제3밸브(133)가 구비된 제3배관(123)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펌프(30)와 연결되며 제2밸브(132)가 구비된 제2배관(122)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용수를 공급하며 제4밸브(134)가 구비된 제4배관(124)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여과 전 영역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여과 후 영역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것이 특징인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BACK WASHABLE FILTER FOR TREATING WATER}
본 발명은 수영장이나 분수대에 사용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틸렌 섬유사로 직조된 여재를 적용함으로써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이나 야외 분수대, 대형 수족관, 조경용 폭포 등에 사용되는 용수는 일정기간 반복해서 사용하여 오염되기 쉬우므로 일정 수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 위와 같은 용수의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는 모래를 사용하는 샌드필터 방식과 마이크로 필터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샌드 필터 방식은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래 하우징의 크기가 대형이므로 부피가 커서 설치 공간에 제약이 있고, 모래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면 이물질 등에 의해서 오염되거나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세척을 해햐 하는데 이때 많은 양의 세척수가 필요할 뿐 아니라 세척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일정 기간이 경과한 모래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이나 취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유비보수 비용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필터 방식은 여과재의 역세척이 불가능하므로 여과재를 빈번하게 교체하게 되어 유지 관리가 어려운 동시에 관리 비용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수처리 장치에 내포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과재를 폴리에틸렌 수지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수처리시 용수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역세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동일한 필터 공간 내에 여과재의 단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수처리 효율과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처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펌프(30)와 연결되며 제1밸브(131)가 구비된 제1배관(121)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드레인(drain)되며 제3밸브(133)가 구비된 제3배관(123)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펌프(30)와 연결되며 제2밸브(132)가 구비된 제2배관(122)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용수를 공급하며 제4밸브(134)가 구비된 제4배관(124)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여과 전 영역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여과 후 영역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각 밸브의 개폐 제어를 통해 용수의 수치리(정화) 또는 필터의 역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하단에 연결되어 드레인되며 제5밸브(135)가 구비된 드레인관(125)을 더 포함하여, 하우징 내부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여과재 선택시 합성수지의 일종인 폴리에틸렌섬유사로 직조한 것을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역세척이 가능하여 수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필터 챔버 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여과재의 단면적을 최대화한 구조에 의해서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물을 정화할 수 있으므로 여과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설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여 설비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가 적용된 수처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배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내부 필터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먕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필터링 작용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역세척 작용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세척 작용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가 적용된 수처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배관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내부 필터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처리 시스템은, 용수(10)를 집수관(20)으로 유도하고 펌프(30)로 이송된 용수(10)를 수처리 장치(100)에서 부유물을 여과한 다음 오존 발생기(50) 또는 약품 처리기(60) 등을 통해 살균 처리하는 공정을 이룬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100)는, 펌프(30)를 통해 송기되는 용수(10)에서 부유물 등을 걸러내는 일종의 여과 장치이며, 또한 필요시 역세척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처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상기 유입구(111)는 펌프(30)에서 송기된 용수(10)를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통로이고, 상기 배출구(112)는 여과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유입구(111)에는 재1배관(121)과 제3배관(123)이 각각 분기(分岐) 연결된다.
상기 제1배관(121)은 펌프(30)와 연결되는 동시에 제1배관(121)을 개폐하는 제1밸브(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관(123)은 드레인(drain)과 연결되는 동시에 제3배관(123)을 개폐하는 제3밸브(133)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12)에는 제2배관(122)과 제4배관(124)이 각각 분기(分岐) 연결된다.
상기 제2배관(122)은 펌프(30)와 연결되는 동시에 제2배관(122)을 개폐하는 제2밸브(132)가 구비되고, 상기 제4배관(124)은 수영장이나 분수대 등으로 용수(10)를 공급하는 것으로 제4배관(124)을 개폐하는 제4밸브(1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하단에는 드레인과 연결된 드레인관(12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관(125)에는 이를 개폐하기 위한 제5밸브(135)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용수(10)에서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이때 상기 필터(200)의 여과 전 영역은 상기 유입구(111)와 연결되게 하고, 필터(200)의 여과 후 영역은 상기 배출구(112)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격판(201)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200)는, 필터(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프레임(210)과, 상기 필터프레임(210) 내측에 설치되는 코어(220) 및 상기 필터프레임(210)과 코어(220)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210)은 일정 길이를 가진 원통형일 수 있고, 상기 코어(2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코어(220) 내부 공간은 상기 배출구(112)와 연통된다.
상기 필터(20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하우징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는 격판(201)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유입구(111)는 격판(201)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출구(112)는 격판(201)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200)는 상기 격판(201) 상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며, 이때 상기 코어(220)의 하단이 개방되어 그 내부 공간이 격판(201)의 하부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필터프레임(210)의 외부 공간은 상기 유입구(111)가 형성된 격판(201)의 상부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여과재(230)는, 그 단면적을 크게 하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또는 파형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어느 정도의 강도와 신축성을 가지도록 하여 역세척을 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사를 직조(織造; Weaving: 직기를 이용하여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하도록 엮어서 직물을 생산하는 공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역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여과재(230)는 홑겹(single layer)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필터(200)는 하우징(110) 내에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필터(200)의 개수나 배열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수처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필터링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7a는 각 밸브의 개폐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7b는 용수(10)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밸브(131)와 제4밸브(134)를 열어서 제1배관(121)과 제4배관(124)을 개방하고, 제2밸브(132)와 제3밸브(133)를 닫아서 제2밸브(122)와 제3밸브(123)를 폐쇄한 후, 펌프(30)(도 1 및 도 2 참조)를 가동하면, 용수(10)가 제1배관(121)과 유입구(111)를 경유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고, 용수(10)가 필터(200)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는 동안 부유물(11)이 필터 외부에 걸러진다.
필터(200) 내부의 코어(220)(도 4 및 도 5 참조)로 통과된 용수(10)는 배출구(112)와 제4배관(124)을 경유하여 재사용된다.
[필터 역세척]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필터 역세척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8a는 각 밸브의 개폐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8b는 용수(10)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밸브(131)와 제4밸브(134)를 닫어서 제1배관(121)과 제4배관(124)을 폐쇄하고, 제2밸브(132)와 제3밸브(133)를 열어서 제2밸브(122)와 제3밸브(123)를 개방한 후, 펌프(30)(도 1 및 도 2 참조)를 가동하면, 용수(10)가 제2배관(122)과 배출구(112)를 경유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고, 용수(10)가 필터(200) 내측 코어(220) 내부에서 필터프레임(210) 외부로 통과하는 동안 수압에 의해서 여과재(230)에 걸러진 부유물(11) 등의 찌꺼기가 필터 외측으로 떨어져 나간다.
이후 부유물(11)이 포함된 용수는 유입구(111)와 제3배관(123)을 경유하여 드레인(drain) 됨으로써 필터(200)를 분해하지 않고도 세척이 가능하다.
[하우징 세척]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하우징 세척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9a는 각 밸브의 개폐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9b는 용수(10)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밸브(131)와 제5밸브(135)를 열어서 제1배관(121)과 드레인관(125)을 개방하고, 제2밸브(132), 제3밸브(133) 및 제4밸브(134)를 모두 닫아서 제2밸브(122), 제3밸브(123) 및 제4밸브(124)를 모두 폐쇄한 후, 펌프(30)(도 1 및 도 2 참조)를 가동하면, 용수(10)가 제1배관(121)과 유입구(111)를 경유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고, 용수(10)가 필터(200)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한 다음, 하우징(110)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관(125)을 통해 외부도 드레인되며, 이때 하우징(110) 내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함께 드레인되므로 하우징(11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역세척 동작시 하우징(110) 내에 축적된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모두 배출할 수 있게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용수 30: 펌프
100: 수처리 장치 110: 하우징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21~124: 제1~4배관 125: 드레인관
131~135: 제1~5밸브
200: 필터 201: 격판
210: 필터프레임 220: 코어
230: 여과재

Claims (6)

  1. 내부에 수처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펌프(30)와 연결되며, 제1밸브(131)가 구비된 제1배관(121)과; 상기 유입구(111)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드레인(drain)되며, 제3밸브(133)가 구비된 제3배관(123)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일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펌프(30)와 연결되며, 제2밸브(132)가 구비된 제2배관(122)과; 상기 배출구(112)에서 타측으로 분기되어 용수를 공급하며, 제4밸브(134)가 구비된 제4배관(124)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200);를 포함하고, 여과되지 않은 원수가 접촉되는 상기 필터의 여과 전 영역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필터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가 접촉되는 필터의 여과 후 영역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200)는, 필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프레임(210)과, 상기 필터프레임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된 코어(220)와, 상기 필터프레임과 코어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재(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격판(201)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일정 길이를 가진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격판(201) 상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기 코어의 내부 공간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격판의 하부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부 공간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격판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재는 폴리에틸렌 수지사를 이용하여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하도록 엮어서 제조하되, 홑겹으로 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역세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0453A 2011-11-17 2011-11-17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KR10125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53A KR101252834B1 (ko) 2011-11-17 2011-11-17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53A KR101252834B1 (ko) 2011-11-17 2011-11-17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834B1 true KR101252834B1 (ko) 2013-04-11

Family

ID=4844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453A KR101252834B1 (ko) 2011-11-17 2011-11-17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8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51A (ko) * 1998-04-24 1998-07-25 대표이사김병삼 여과장치
JPH11503963A (ja) * 1995-04-21 1999-04-06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ひだ付き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6846U (ko) * 1998-09-22 2000-04-25 유한풍 코어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3963A (ja) * 1995-04-21 1999-04-06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ひだ付き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33551A (ko) * 1998-04-24 1998-07-25 대표이사김병삼 여과장치
KR20000006846U (ko) * 1998-09-22 2000-04-25 유한풍 코어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329B1 (ko) 하이브리드형 섬유여과장치
KR100932154B1 (ko) 무동력 정수처리장치
CN205461366U (zh) 一种新型水过滤装置
WO2010093026A1 (ja) ろ過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663776B (zh) 一种造纸白水的循环处理方法和处理装置
CN102274650A (zh) 高集成中空纤维柱过滤器
CN101972565A (zh) 自清洗式滤布滤池
KR20130077611A (ko)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KR101252834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장치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CN202270407U (zh) 全自动高浊度水过滤器
RU2174962C1 (ru) Кассетный фильтр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7081001A (zh) 一种纤维滤盘过滤系统
CN106316003A (zh) 一种雨水利用前处理无人机
KR100274759B1 (ko) 섬유호스를 이용한 정밀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CN214551799U (zh) 一种可再生预涂膜介质过滤机组
CN211585450U (zh) 一种过滤筒
KR20040070365A (ko) 간이상수도 복합 정수장치
CN217297587U (zh) 一种新型的过滤水净化器
CN220676874U (zh) 一种净水系统高效过滤装置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CN107823928A (zh) 一种新型长纤维滤池过滤及反冲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