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128B1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128B1
KR101252128B1 KR1020110082756A KR20110082756A KR101252128B1 KR 101252128 B1 KR101252128 B1 KR 101252128B1 KR 1020110082756 A KR1020110082756 A KR 1020110082756A KR 20110082756 A KR20110082756 A KR 20110082756A KR 101252128 B1 KR101252128 B1 KR 10125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248A (ko
Inventor
곽준섭
박민주
손광정
최영환
송용우
박기영
박민희
심인식
송영준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1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8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하는 빛 신호의 다양한 광 패턴을 잠금 장치의 암호코드로 이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LOCKING APPARATUS AND SECURITY METHOD USING LIGHTING EMMI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의 광 패턴을 암호화하여 잠금 장치에 이용하여 보안 및 안전성을 강화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금 장치의 종류는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밀번호, 지문인식, 안면인식, 카드 등을 디지털 도어락에 적용하여 일반 자물쇠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락은 전기적인 충격에 매우 약하여 그에 대한 피해 사례 또한 적지 않아 가정에 디지털 도어락 뿐 아니라 일반 열쇠까지 추가로 설치하는 곳이 증가하였다. 또한 학교나 기업체에서 볼 수 있는 카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역시 편리하지만 전기적 충격에 약함은 물론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에 따라 혹은 각 출입 구역 별로 카드가 달라 개인이 여러 개의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휴대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의 빛 신호의 다양한 광 패턴을 잠금 장치의 암호코드로 이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신호가 아닌 빛 신호를 이용하므로 절연체로 자물쇠를 커버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서 외부의 전기적 충격에 강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의 다양한 광 패턴을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개인 또는 단체를 의미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를 생성하여 여러 영역의 잠금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모든 기기에 적용되어 열쇠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켜 상기 센서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절연체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는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특성을 조합하여 디지털 신호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사스템은 사전에 지정한 고유 광 패턴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열쇠; 및 임의의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임의의 발광다이오드의 고유 광 패턴에 대한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로 구성된 자물쇠를 포함한다.
상기 열쇠는 상기 자물쇠에 삽입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물쇠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열쇠를 동작시키는 전원접속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물쇠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쇠 삽입시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쇠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사전에 지정한 광 패턴은 임의의 패턴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물쇠를 암호 변경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 변경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는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열쇠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빛이 자물쇠 내부로 입력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열쇠의 삽입을 인지하고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광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잠금부가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물쇠에 삽입되는 상기 열쇠의 규격이 미리 정해진 규격에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쇠는 상기 자물쇠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하는 빛 신호의 다양한 광 패턴을 잠금 장치의 암호코드로 이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적신호가 아닌 빛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절연체로 자물쇠를 커버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서 외부의 전기적 충격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의 다양한 광 패턴을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개인 또는 단체를 의미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를 생성하여 여러 영역의 잠금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모든 기기에 적용되어 열쇠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 및 휴대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에 대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는 메모리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잠금부(140) 및 커버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에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하는 빛의 고유한 광 패턴에 대한 정보가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부(110)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고유 광 패턴 정보가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어 있다. 광 패턴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압 레벨 셋트 또는 전류 레벨 셋트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광 패턴에 대한 조합은 개인을 위한 맞춤형 패턴 일 수 있으며, 또는 특정 단체가 공유하려는 패턴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10)에 저장되는 고유 광 패턴은 교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메모리부(110)는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모든 메모리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입사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센서부(120)는 고체표면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는 외부 광전효과, 전자나 분자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는 광이온화, 절연체나 반도체등의 고체 내부에서 전도전자가 생성되어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내부광전효과, 물질의 경계면에 기전력이 생기는 광기전력 효과 등을 이용하여 빛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20)는 외부광전효과, 광이온화, 내부광전효과, 광기전력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빛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시킬 수 있는 광전변환 소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수용하는 센서부(1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가 센서부(120)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외부에서 빛이 입사되더라도 센서부(120)는 빛을 수용하지 않고, 빛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신호, 예를 들면 자물쇠(100)의 삽입부에 정해진 규격의 열쇠(200)가 삽입되면 센서부(120)를 작동시켜서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수용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평상시의 경우 태양 또는 형광등과 같은 주변의 각종 광원으로부터 센서부(120)에 빛이 입사되더라도 제어부(130)가 센서부(120)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는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물쇠(100)의 규격에 맞는 열쇠(200)가 삽입되는 경우 제어부(130)가 센서부(120)를 작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제어부(130)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정해놓고, 이에 일치하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30)가 센서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메모리부(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화된 고유 광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 신호를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양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발광다이오드는 점 광원이 아니므로 일정영역에 빛이 퍼져서 입사하며, 일정면적에서의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가 모두 불규칙하므로 발광다이오드의 빛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다양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화된 고유 광 패턴은 일종의 암호코드로 볼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이 이러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화된 고유 광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 신호를 출력하여 잠금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자물쇠(100)를 암호 변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암호 변경 모드에서 센서부(120)는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며,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11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새로운 암호로 저장한다. 이는 변경 모드에서 열쇠(200)를 자물쇠(100)에 삽입시키게 되면 메모리부(110)에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광 패턴이 자동 갱신 되는 것으로, 열쇠(200)의 변경된 고유 광 패턴이 자물쇠(100)와 자동 동기화 됨을 의미한다.
잠금부(140)는 잠금 메커니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기계 또는 전기적으로 임의의 공간에 대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잠금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잠금상태 해제 신호를 받게 되면 기계 또는 전기적으로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현재의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제어부(130)로부터 잠금상태 유지 신호를 받게 되면 기계 또는 전기적으로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잠금부(140)는 제어부(130)의 신호 이외에도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가 집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경우 집 안쪽에서 잠금부(140)의 잠금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커버부(150)는 빛 신호를 산란시켜 센서부(120)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센서부(120)를 둘러싸는 구조를 한다.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 신호는 직진성을 갖기 때문에 빛이 입사하는 면적이 넓지 않다. 따라서 빛 신호가 커버부(150)를 통과하여 산란된 상태로 센서부(120)에 입사하게 된다면 넓은 면적에 빛 신호가 분포하게 되고 더욱 다양한 광 패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잠금 장치의 다양한 암호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150)는 외부의 전기적 충격에 강한 절연체 소재로 구성되어 센서부(1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열쇠(200)는 발광다이오드(210)와 전원접속부(220)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210)는 사전에 지정한 고유의 광 패턴을 발산하며, 고유의 광 패턴은 자물쇠(100)의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광 패턴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발광다이오드(210)에 사용되는 재료인 AlGaAs, GaP, GaAs, GaAsP, GaP, GaP, AlGaAs, GaAs등에 따라 발광다이오드(210)의 특성들이 각기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암호 코드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의 개수의 변경, 인가되는 전류량의 조절,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변경 또는 발광다이오드 자체를 교체하는 방법등을 통하여 발광다이오드(210)에 사전에 지정된 고유의 광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전원접속부(220)는 자물쇠(100)에 삽입되는 경우 자물쇠(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발광다이오드(210)로 공급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열쇠(200)에 배터리를 추가한다면 휴대성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열쇠(200) 자체에는 배터리를 제외하고 자물쇠(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발광다이오드(210)를 작동시킬 수 있게 설계함으로써 열쇠(200)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쇠(200)를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개념적인 의미에 지나지 않으므로 휴대폰, USB, 레이져 포인트 및 기타 디스플레이에 발광다이오드(210)를 내장시킴으로써 우리가 평상시에 지니고 다니는 전자기기를 열쇠로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발광다이오드(210)를 포함한 열쇠(200)가 자물쇠(100)의 키입력부에 삽입되고 발광다이오드(210)에서 발산된 빛이 자물쇠(100) 내부로 입사한다. (S301)
제어부(130)는 자물쇠(100)에 삽입된 열쇠(200)가 크기, 형상등 정해진 규격에 일치하는 경우 센서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신호를 보낸다. (S302)
센서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동작신호를 받는 경우 도달한 빛 신호를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S303)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S304)
제어부(130)는 변환된 전기신호와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광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한다. (S305)
잠금부(140)는 제어부(130)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130)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S306)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0: 자물쇠 110: 메모리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잠금부 150: 커버부
200: 열쇠 210: 발광다이오드
220: 전원접속부

Claims (14)

  1.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를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외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은 발광다이오드 개수, 인가되는 전류량,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재료, 또는 발광다이오드 자체의 변경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는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특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켜 상기 센서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절연체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7. 사전에 지정한 광 패턴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열쇠; 및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로 구성된 자물쇠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은 발광다이오드 개수, 인가되는 전류량,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재료, 또는 발광다이오드 자체의 변경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는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특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는 상기 자물쇠에 삽입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물쇠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열쇠를 동작시키는 전원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쇠 삽입시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사전에 지정한 광 패턴은 임의의 패턴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물쇠를 암호 변경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 변경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는 외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시스템.
  12. 열쇠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빛이 자물쇠 내부로 입력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열쇠의 삽입을 인지하고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을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잠금부가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해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의 잠금상태 유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현재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이 갖는 광 패턴은 발광다이오드 개수, 인가되는 전류량,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재료, 또는 발광다이오드 자체의 변경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광 패턴의 디지털 신호는 발광면적, 조도, 휘도, 광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특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물쇠에 삽입되는 상기 열쇠의 규격이 미리 정해진 규격에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는 상기 자물쇠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잠금 장치를 이용한 보안방법.
KR1020110082756A 2011-08-19 2011-08-19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KR10125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56A KR101252128B1 (ko) 2011-08-19 2011-08-19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56A KR101252128B1 (ko) 2011-08-19 2011-08-19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48A KR20130020248A (ko) 2013-02-27
KR101252128B1 true KR101252128B1 (ko) 2013-04-08

Family

ID=4789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756A KR101252128B1 (ko) 2011-08-19 2011-08-19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8582A1 (en) * 2018-05-15 2021-07-15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for quantum-based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796A (ko) * 2008-10-08 2010-04-1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프리즘형태 자물쇠 및 열쇠 보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796A (ko) * 2008-10-08 2010-04-1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프리즘형태 자물쇠 및 열쇠 보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48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5220A (ja) キーライト機能を備えた鍵
KR20100039796A (ko) 프리즘형태 자물쇠 및 열쇠 보안
WO2006101580A3 (en) Signaling assembly
US20090097244A1 (en) Led lamp with remote control device
CN202976293U (zh) 一种光控锁具
CN105723808B (zh) 照明设备和保护照明设备的方法
US9780874B2 (en) Light signal-base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130223065A1 (en) Street lamp
JP2015213081A (ja) 照明システム
KR10125212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JP2012074378A (ja) 多色光源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装置および照明装置
TW201623062A (zh) 免電源智慧鑰匙、車輛解鎖系統和車輛解鎖方法
JP5687904B2 (ja) 制御装置及びエネルギー負荷の制御方法
US20170167717A1 (en) Diffractive and prismatic oled wireless and led wireless underwater pool light sources
US108636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n auxiliary load to a driver
CN104008588B (zh)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智能光控钥匙
US7655934B2 (en) Data on light bulb
EP2781821A1 (en) Lamp device and luminaire
CN110910540B (zh) 锁定装置、开锁装置以及安防系统
KR101570315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TWM353975U (en) Unlocking key for nano optical shutter
CN112672470A (zh) 智能灯具控制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161343B2 (ja) 光学的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送信装置
TWM461839U (zh) 可開啟開關或門禁系統的光訊號發射及接收裝置
Kumar et 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