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037B1 -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 Google Patents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037B1
KR101252037B1 KR1020110034672A KR20110034672A KR101252037B1 KR 101252037 B1 KR101252037 B1 KR 101252037B1 KR 1020110034672 A KR1020110034672 A KR 1020110034672A KR 20110034672 A KR20110034672 A KR 20110034672A KR 101252037 B1 KR101252037 B1 KR 10125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rts
component
alignmen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7117A (en
Inventor
김태석
이승형
홍승표
김주열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1003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037B1/en
Publication of KR2012011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0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바텀 샤시에 조립되는 스터드나 리벳 등의 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설비에서 스터드나 리벳 등의 부품을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샤시의 로딩에서부터 스터드 삽입 후 샤시의 언로딩까지의 전체적인 공정에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는 한편, 이러한 자동화 공정하에서 스터드를 정렬한 후에 픽업 위치까지 공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터드 공급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터드 공급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불량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스터드 공급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supplying parts such as studs and rivets in a facility for automatically inserting parts such as studs and rivets assembled in the bottom chassis of the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n automation concept to the overall process from loading the chassis to unloading the chassis after inserting the studs, while embodying a new type of stud feeding system that feeds the studs to the pick-up position after aligning the studs under this automated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stud supply, and to completely eliminate problems such as poor assembly, there is a component supply device for an automatic part inserter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ud supply process as a whole.

Description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Part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본 발명은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바텀 샤시에 조립되는 스터드나 리벳 등의 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설비에서 스터드나 리벳 등의 부품을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upply device for an automatic component inserter, and more particularly, an automation for supplying a component such as a stud or a rivet in a facility for automatically inserting a component such as a stud or a rivet assembled in a bottom chassis of a display device. Relates to a device.

최근 정보처리장치의 발달과 더불어 사용자와 정보처리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화상 표시장치 또는 영상 표시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the demand for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n image display apparatus 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ing as an interface between a user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rapidly increasing.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부품들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 및 고정을 위하여 샤시 등에 수납되며, 보통 샤시의 내부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는 여러 부품들이 수납되어 샤시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고정된다.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are accommodated in a chassis or the like for protection and fixing from external shocks, and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and the like are usually housed inside the chassis and fixed in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on the chassis side.

예를 들면, 상기 샤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거나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되는 전후 위치에 따라서 탑 샤시와 바텀 샤시로 구분되며,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료로 제작된다.For example, the chassis is installed to support or protect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display panel assembly. The chassis is divided into a top chassis and a bottom chassis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thereof,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

보통 금속 판재로 되어 있는 샤시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성형 가공되어, 상부면과 네 측면을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러한 샤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의 프레스 공정을 거쳐야 한다. The chassis, which is usually made of a metal plate, is molded through a press process, and is manufactured in a quadrangular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four sides.

예를 들면, 먼저 금속 원판을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하는데,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절단하며, 컴파운드 금형을 이용하여 외형과 일부 구멍을 동시에 따내는 방법으로 가공한다. For example, first, a metal disc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which is cut to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processed by simultaneously cutting out the outer shape and some holes using a compound mold.

다음으로 판재에 후가공의 기준이 되는 위치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작은 홀을 가공하는 피어싱(piercing), 국부적인 돌기를 만드는 엠보싱(embossing), Z 벤딩(Z bending), 버링(burring), 슬리팅(slitting), 각인 등의 추가적인 공정을 실시한다.Next, mark the plate as a base for post-processing, piercing the small holes as needed, embossing to create local protrusions, Z bending, burring, slits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slitting and engraving are performed.

이후 판재의 사방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 형성하는 과정으로, 판재의 사방 가장자리를 일정 폭만큼 'ㄱ'자 형태로 절곡(bending)하는 박스 벤딩(box bending)을 실시하며, 이로서 판재는 상부면과 네 측면으로 구성되어진다. Then, as a process of forming the sides along the four sides of the plate, the box bending (bending) bending the four sides of the plate in a 'b' shape by a certain width, so that the plate is the upper surface and four sides It consists of.

상기와 같이 측면 형성을 위한 박스 벤딩을 실시한 후에는 프레임의 상부면 중앙에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피어싱 다이에 올려진 프레임의 상부면 중앙부분을 피어싱 펀치로 개구(opening)하게 되고, 이렇게 성형 가공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압출 바 등과 같은 부속 부품을 조립하는 것으로서 샤시의 제작과정이 모두 완료된다.After the box bending for forming the side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mounted on the piercing die is opened with a piercing punch to form a square hol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fter all of this is completed, the chassis is completed by assembling accessory parts such as extrusion bars.

이러한 샤시의 제작과정 중 버링 공정은 샤시에 스터드를 압입하기 위해 홀을 뚫거나 넓히는 공정으로서, 버링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홀에는 각종 스터드나 리벳 등이 압입된다. The burring process is a process of drilling or widening a hole to press the studs into the chassis, and various studs or rivets are press-fitted into the holes made by the burring process.

이때, 상기 스터드는 내부 구성부품들을 샤시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디스플레이장치 전체를 벽체 등에 설치할 때 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In this case, the stud is a member that not only serves as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internal components to the chassis side, but also serves as a supporting means when the entire display apparatus is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이러한 스터드의 결합 형태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00)에는 버링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홀이 형성되고, 이때의 홀 내에 각종 스터드나 리벳 등과 같은 부품(110)이 압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Looking at the coupling form of such a stud, as shown in Figure 7, the chassis 100 is formed with a hole made by the burring process, in which the various parts such as studs or rivets 110 are pressed into the hole at this time Combined.

하나의 샤시에는 보통 10개 내지 15개 정도의 부품, 예를 들면 스터드가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되는 각각의 스터드는 해당 위치에서 부품들과 체결되거나,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One chassis usually has ten to fifteen parts, for example studs, with each stud bein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that location or serving as a support.

보통 샤시에 스터드를 조립하는 공정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며, 샤시 조립 파트에 대략 10명에서 15명 정도의 많은 수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스터드를 일일이 삽입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 Normally,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uds in the chassis is performed by hand, and a large number of workers (about 10 to 15 people are arranged in the chassis assembly parts) are working by inserting studs one by one.

이렇게 수작업에 의존하는 스터드 삽입작업은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 측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 삽입이나 미 삽입 등과 같은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조립 불량이나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The stud insertion work that relies on manual operation is not onl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but also frequently causes errors such as misinsertion or non-insertion due to a worker's mistake, resulting in assembly failure or product failure.

이에 본 발명은 스터드 등과 같은 부품의 조립 공정에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면서 자동화 공정에 대응할 수 있는 부품 공급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capable of coping with the automation process while introducing the automation concept to the assembly process of parts such as stud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샤시의 로딩에서부터 스터드 삽입 후 샤시의 언로딩까지의 전체적인 공정에 자동화 개념을 도입하는 한편, 이러한 자동화 공정하에서 스터드를 정렬한 후에 픽업 위치까지 공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터드 공급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터드 공급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불량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스터드 공급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introduces an automation concept to the entire process from loading the chassis to inserting the stud and unloading the chassis, while aligning the studs under such an automation process to the pick-up position. Implementing a new type of stud supply, which improves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stud supply and completely eliminates problems such as poor assembly, it automatically inserts parts to impr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stud supply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nent suppl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of the automatic component insert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호퍼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을 낱개로 구분한 후에 유도로를 따라 낙하시켜 하나씩 부품을 공급하는 복수의 부품공급 유니트와, 상기 각각의 부품공급 유니트로부터 건네받은 부품들을 한 곳으로 모아서 정렬하는 부품정렬 유니트와,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에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을 동시에 흡착한 후에 픽업 헤드의 픽업위치까지 옮겨주는 트랜스퍼 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호퍼 속에 무작위로 채워져 있는 부품들을 몇 개씩 인출하여 정렬시킨 후에 픽업위치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divides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hopper into pieces, and then drops a plurality of component supply units for supplying the components one by one along the induction path, and collects the components passed from each component supply unit into one place. And a transfer unit for aligning the parts sorting unit to be aligned and the parts arranged in the parts sorting unit at the same time, and then moving them to the pick-up position of the pick-up head. It can be automatically fed to the pick-up position after taking out each one and aligning.

여기서,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는 부품을 담고 있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에서 상하 동작하면서 낱개의 부품을 위로 올려주는 선별블럭 및 이 선별블럭을 작동시켜주는 선별 실린더와, 상기 호퍼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배치되며 아래로 하향 경사진 구조의 유도로를 이용하여 부품의 진행을 유도하는 유도블럭 및 상기 유도블럭의 유도로 선단에 위치되어 부품의 인출을 단속하는 스톱퍼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mponent supply unit is a hopper containing the component, the sorting block for lifting up the individual parts while operating up and down inside the hopper and the sorting cylinder for operating the sorting block, and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pp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ucture including an induction block extending to the induction path of the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to guide the progress of the part and a stopper device located at the tip of the induction path of the induction block to control the withdrawal of the part. desirable.

그리고,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는 각 부품공급 유니트에 하나씩 배속되는 동시에 중앙에 위치되는 하나를 제외하고 와이어 견인력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부품 수용을 위한 부품 안착부를 가지고 있고 각 부품공급 유니트로부터 건네받은 부품을 한 곳으로 정렬시켜주는 각각의 정렬블럭과, 상기 정렬블럭을 움직여주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정렬블럭을 동시에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측 위치로 벌렸다가 중앙의 한 곳으로 모아주는 와이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s alignment unit is assigned to each parts supply unit one at a time and moves along the rail by a wire traction force except for the one located at the center, and has a component seat for accommodating parts, and the parts received from each parts supply unit. And a wire driving device for aligning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in one place and spreading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to the corresponding parts supply unit side at the same time as a means for moving the alignment blocks, and collecting them in one place in the center.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특히, 상기 와이어 구동장치의 경우, 중앙에 배치되면서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와,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면서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메인 슬라이더 및 이 메인 슬라이더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메인 실린더와,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슬라이더와, 상기 서브 슬라이더와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 및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를 경유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정렬블럭과 연결되어 당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정렬블럭을 움직여주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서브 슬라이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이 서브 슬라이더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서브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wire drive device, a fixed roller assembly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ase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center, a main slid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ase while having a movable roller assembly, and a main raising and lowering the main slider A plurality of sub slider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alignment block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alignment blocks at the same time via the sub sliders, the fixed roller assembly, and the movable roller assembly. And a sub cylinder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 sliders to raise and lower the sub sliders.

또한,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의 경우에는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부품을 주고받는 1차 트랜스퍼장치와 2차 트랜스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부품정렬 유니트의 각 정렬블럭이 한 곳에 모이는 중앙에 위치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수단으로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노즐을 가지면서 상하 작동하는 업다운 블럭 및 이 업다운 블럭을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업다운 가이드와, 상기 업다운 블럭의 저면에 로드를 통해 연결되는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한쪽 단부를 축으로 하여 90°회전가능하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품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업다운 블럭의 저부와 나란한 위치에서 부품을 건네받은 후에 재차 픽업위치로 복귀하는 로타리 블럭 및 이 로타리 블럭을 회전시켜주는 로타리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imary transfer device and a secondary transfer device for exchanging parts whil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each component of the alignment un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ssembly unit An up-down block that operates up and down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nozzles that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adsorb components, and an up-down guide for guiding the up-and-down operation, and a ro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as a means for adsorption. A rotary block having an up-down cylinder which is rotated about 90 ° with one end thereof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which is returned to the pick-up position after receiving a part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Including rotary cylinder to rotate this rotary block It is preferabl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는 호퍼 내에 쌓여 있는 부품들을 하나씩 선별하여 공급한 후, 이들을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픽업 헤드의 픽업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이동시켜서,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터드 자동 공급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터드 공급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스터드 공급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ponent feeder of the automatic part insert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sorts and supplies the components stacked in the hopper one by one, and then stably moves them to the pickup position of the pickup hea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in a line, so that pickup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stud automatic feeding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ud feeding process, such as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stud feeding.

또한, 전체 공정이 자동화 방식에 의한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많은 수량의 스터드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ntire process is made of a continuous process by an automated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supply a large number of studs.

또한, 스터드 공급과 관련한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cycle time associated with the stud supply can be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overall productivity, such as increas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equipment.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공급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정렬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서 부품이 부품공급 유니트에서 부품정렬 유니트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샤시에 스터드나 너트 등과 같은 부품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ponent supply unit of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ponent alignment unit of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component from a component supply unit to a component alignment unit in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i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s such as studs, nuts, and the like are assembled to the chassi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부품 조립 자동화 라인에서 부품, 예를 들면 스터드를 픽업하여 샤시에 삽입하는 픽업헤드측에 스터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호퍼 내에 무작위로 저장되어 있는 스터드를 몇 개의 단위로 나란하게 정렬시킨 후, 이 상태 그대로 픽업헤드의 픽업위치까지 옮겨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component feeder is a means for providing a stud on the pick-up head side for picking up and inserting a component, for example, a stud, into a chassis in a component assembly automation line, which is randomly stored in a hopper. The stud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several units and then moved to the pickup position of the pickup head as it is.

이를 위하여, 상부에 베이스(27)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46)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27)의 상부와 하부에 걸쳐 부품공급 유니트(10), 부품정렬 유니트(11) 및 트랜스퍼 유니트(12)가 배치된다. To this end, a frame 46 having a base 27 installed thereon is provided, and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and the transfer unit 12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27. ) Is placed.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27)의 상부 뒷쪽 라인으로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부품공급 유니트(10)가 배치되고, 상부 앞쪽 라인으로는 부품공급 유니트(10)와 나란하게 부품정렬 유니트(11)가 배치되며, 중앙 위치에는 트랜스퍼 유니트(12)가 배치된다. For example,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in an upper rear line of the base 27, and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is parallel to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n an upper front line. Is arranged, and the transfer unit 12 is arranged in the central position.

여기서, 좌우 길이방향은 베이스(27)의 좌우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앞쪽과 뒷쪽은 베이스(27)의 전후 폭방향을 기준한 위치를 의미하며, 중앙 위치는 베이스(27)의 좌우 길이방향의 중간과 전후 폭방향의 중간이 만나는 영역을 의미한다. Here,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7, the front and rear means a posi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width direction of the base 27, the center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7 It means the area where the middle and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width direction meet.

그리고, 상기 베이스(27)의 하부에는 와이어 구동장치(26)의 실린더 수단과 슬라이더 수단들이 배치되고, 와이어(33)의 경우에는 베이스(27)를 관통하여 상부와 하부에 걸쳐 연장 배치되면서 베이스측에 고정되거나 부품정렬 유니트(11)의 정렬블럭(25)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cylinder means and the slider means of the wire driving device 26 are disposed below the base 27, and in the case of the wire 33, the base side extends through the base 27 and extends over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It is fixed to o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alignment block 25 side of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따라서, 부품공급 유니트(10)의 호퍼(13)에 채워져 있는 부품들은 낱개로 빠져나와 부품정렬 유니트(11)의 정렬블럭(25)으로 건네지게 되고, 각각의 부품을 건네받은 정렬블럭(25)들은 중앙으로 모여서 정렬되며, 이렇게 일렬로 정렬된 부품들은 트랜스퍼 유니트(12)에 의해 몇 차례 옮겨진 후, 최종 픽업위치까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arts filled in the hopper 13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are individually pulled out and passed to the alignment block 25 of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and each of the components is passed the alignment block 25. They are gathered and aligned in the center, and these lined parts are moved several times by the transfer unit 12, and then can be supplied to the final pick-up position.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모두 5개의 부품공급 유니트(10)가 마련되는 동시에 각 부품공급 유니트(10)에서 2개씩의 부품이 빠져나오게 되고, 부품정렬 유니트(11)에 있는 5개의 정렬블럭(25)은 각각 2개씩의 부품을 건네받아 중앙으로 모임으로써 10개의 부품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가 되며, 일렬로 정렬된 10개의 부품이 픽업위치로 공급되는 방식을 제공한다.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ve parts supply units 10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two parts are ejected from each parts supply unit 10, and five alignment blocks 25 in the parts alignment unit 11 are provided. ) Is passed two parts each to gather in the center, so that 10 parts are arranged in a row, and 10 pieces are arranged in a pick-up position.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10)와 부품정렬 유니트(11)에 대한 구성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트랜스퍼 유니트(12)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and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the transfer unit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2)는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부품을 픽업위치로 옮겨주는 수단으로서, 부품정렬 유니트(11)측으로부터 정렬된 부품을 건네받는 1차 트랜스퍼장치(36)와, 상기 1차 트랜스퍼장치(36)로부터 정렬된 부품을 재차 받아서 픽업위치로 옮겨주는 2차 트랜스퍼장치(37)를 포함한다. The transfer unit 12 is a means for moving the parts arranged in a row to the pick-up position,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which receives the aligned parts from the part alignment unit 11 side, and the primary transfer device. And a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which receives the aligned parts from 36 and moves them back to the pick-up position.

상기 1차 트랜스퍼장치(36)는 부품정렬 유니트(11)의 각 정렬블럭(25)들이 한 곳에 모이는 중앙에 위치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수단으로서, 중앙의 상부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업다운 블럭(39)을 포함하며, 이때의 업다운 블럭(39)은 양쪽의 업다운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is a means for adsorbing a component,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where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25 of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is gathered in one place. And a block 39, in which the up-down block 39 is supported by both up-down guides 40 and can be operated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업다운 블럭(39)을 동작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업다운 실린더(41)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업다운 실린더(41)는 베이스(27)의 저면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업다운 실린더(41)의 로드(51)는 베이스(27)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면서 업다운 블럭(39)의 저면에 연결된다. In addition, an up-down cylinder 41 is provided as a means for operating the up-down block 39, wherein the up-down cylinder 41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27, and the up-down cylinder ( The rod 51 of 41 extends upwardly through the base 27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39.

여기서, 상기 업다운 실린더(41)는 상승 및 하강 작동이 적어도 두 단계의 높이로 제어될 수 있는 통상의 서보제어형 실린더나 그 밖에 액추에이터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up-down cylinder 41 may employ a conventional servo-controlled cylinder or other actuator means in which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o at least two levels of height.

이에 따라, 업다운 실린더(41)가 작동하면, 업다운 블럭(39)은 양쪽의 업다운 가이드(40)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p-down cylinder 41 is operated, the up-down block 39 can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both up-down guides 40.

특히, 상기 업다운 블럭(39)에는 실질적으로 부품을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노즐(38)이 장착되며, 이때의 흡착노즐(38)은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In particular, the up-down block 39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nozzles 38 which adsorb substantially the components, in which the adsorption nozzles 38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예를 들면, 상기 흡착노즐(38)은 부품정렬 유니트(11)의 각 정렬블럭(25)들이 중앙 한 곳에 모였을 때, 이때의 각 정렬블럭(25)에 있는 부품 안착부 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For example, the suction nozzle 38, when the respective alignment blocks 25 of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is gathered in the center, the spacing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component seating portion in each alignment block 25 at this time Are placed side by side in line.

이러한 흡착노즐(38)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튜브 등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이때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품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the suction nozzle 38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tube or the like can be connected to receive a vacuum pressure from the outside, and at this time, the components can be sucked using the vacuum pressure.

상기 2차 트랜스퍼장치(37)는 상기 1차 트랜스퍼 장치(36)로부터 부품을 건네받아 90°회전한 후, 픽업헤드가 부품을 픽업하는 위치인 픽업위치까지 부품을 위치시켜주는 수단이다. The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is a means for locating the part to the pick-up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pick-up head picks up the part after passing the part from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and rotating it by 90 °.

이를 위하여, 길다란 막대형 부재로 이루어진 로타리 블럭(43)이 마련되고, 이때의 로타리 블럭(43)은 한쪽 단부를 축으로 하여 약 90°의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으로 왕복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To this end, a rotary block 43 made of a long rod-shaped member is provided, and the rotary block 43 at this time has a structure capable of horizontally reciprocating rotational movement within an angle range of about 90 ° with one axis as an axis. Is installed.

즉, 베이스(27)에는 로타리 실린더(44)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로타리 실린더(44)의 축에는 로타리 블럭(43)의 한쪽 단부가 결합된다. That is, the rotary cylinder 44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27, and one end of the rotary block 43 is coupled to the axis of the rotary cylinder 44.

이에 따라, 상기 로타리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로타리 블럭(43)의 자유단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ree end of the rotary block 43 can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cylinder 44.

이러한 로타리 블럭(43)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부품 수용부(42)가 구비되며, 이때의 부품 수용부(42)는 1차 트랜스퍼장치(36)의 업다운 블럭(39)에 있는 각 흡착노즐(38)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면서 흡착노즐(38)에 있는 부품을 그대로 하나씩 건네받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The rotary block 4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 accommodating parts 42 arranged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art accommodating part 42 is an up-down block (1) of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Each of the components in the suction nozzle 38 is passed one by one, as it corresponds to each suction nozzle 38 in 39), and can be seated.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2)는 베이스(27)상에 설치되면서 로타리 블럭(43)의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고정장치(45)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장치(45)는 로타리 블럭(43)이 픽업위치에 도착했을 때, 즉 로타리 블럭(43)이 베이스 좌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자세를 취했을 때 로타리 블럭 자유단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12 includes a position fixing device 45 which is installed on the base 27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otary block 43, and the position fixing device 45 includes the rotary block 43. When it reaches this pickup position, that is, when the rotary block 43 is in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it serves to prevent the rotary block free end from rotating further.

따라서, 1차 트랜스퍼장치(36)와 2차 트랜스퍼장치(37)로 이루어진 트랜스퍼 유니트(12)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transfer unit 12 including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and the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is as follows.

부품정렬 유니트(11)의 각 정렬블럭(25)들이 중앙 한 곳에 모이게 되면, 업다운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업다운 블럭(39)이 하강한 후, 흡착노즐(38)을 이용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을 그대로 흡착하게 되고, 이렇게 부품을 흡착한 상태로 상승하여 대기하게 된다. When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25 of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is collected at the center, the up-down block 39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cylinder 41, and then aligned in a line using the suction nozzle 38. The parts are adsorbed as they are, and ascends and waits in the state where the parts are adsorbed.

계속해서, 로타리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로타리 블럭(43)이 회전하여 부품이 흡착되어 있는 업다운 블럭(39)의 저부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흡착노즐(38)에 작용했던 진공압 해제와 동시에 부품들은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부품 수용부(42) 내로 들어가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rotary block 43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cylinder 44 and positioned next to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39 on which the components are adsorbed, the vacuum pressure release acting on the suction nozzle 38 and At the same time, the parts enter into the part receiving portion 42 which is located directly below.

다음, 부품을 수용한 로타리 블럭(4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즉 회전을 통해 픽업위치로 오게 되면, 로타리 블럭(43)상에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을 픽업헤드(미도시)가 픽업하는 것으로 부품의 공급과정이 완료된다. Next, when the rotary block 43 containing the parts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when the rotary block 43 is returned to the pickup position through rotation, the pick-up head (not shown) is arranged on the rotary block 43. Picking up completes the supply process.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공급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ponent supply unit of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10)는 호퍼(13)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부품을 낱개로 끌어 올린 후, 유도로(16)를 통해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부품을 하나씩 공급하는 수단이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arts supply unit 10 pulls up the parts filled in the hopper 13 individually, and supplies the parts one by one by dropping them through the induction path 16. It is a means to.

이를 위하여, 소정의 용적을 가지면서 베이스(27)상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부품을 담고 있는 호퍼(13)가 마련되고, 상기 호퍼(13)의 내부에는 부품을 낱개로 적어도 한개 이상씩 위로 올려주는 선별블럭(14)이 설치되며, 상기 호퍼(13)의 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배치되는 구조의 유도블럭(17)이 호퍼(13)의 앞쪽으로 설치된다. To this end, a hopper 13 installed on the base 27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arts is provided, and the hopper 13 raises at least one of the parts individually. The sorting block 14 is installed, and an induction block 17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pper 13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opper 13.

상기 선별블럭(14)은 호퍼(13)의 내부에서 유도블럭(17)의 후단부에 곡면을 이용하여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상하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도홈(47)을 이용하여 호퍼(13)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부품들 중에서 무작위로 한 개 또는 몇 개씩 위로 올려주게 된다. The sorting block 14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block 17 by using a curved surface in the hopper 13 and can be operated up and down, the induc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47), one or several of the parts filled inside the hopper 13 are lifted up at random.

즉, 상기 선별블럭(14)의 하단부는 베이스(27)의 저면에 있는 브라켓상에 후단 지지되는 구조의 선별 실린더(15)의 로드가 연결되고, 이때의 선별 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선별블럭(14)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block 14 is connected to the rod of the sorting cylinder 15 having a structure supported rearward on the bracket on the bottom of the base 27, and sorting by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cylinder 15 at this time Block 14 moves up and down.

따라서, 상기 선별블럭(14)은 하강 위치에서 부품들 속에 파뭍혀 있는 상태로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선별 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선별블럭(14)이 곡면의 안내를 받으며 위로 상승하게 되면, 선별블럭(14)의 유도홈(47) 내에는 몇 개의 부품이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되며, 이렇게 선별된 부품들이 호퍼(13)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sorting block 14 remains in the state in the lowered position, and in this state, when the sorting block 14 is raised by the guide of the curved surface by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cylinder 15. In the guide groove 47 of the sorting block 14, some parts are in a state in which the sorted parts are able to escape the hopper 13.

상기 유도블럭(17)은 호퍼(13)를 빠져나온 부품을 아래로 유도하는 부분으로서, 상면에는 후단쪽에서 선단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의 유도로(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은 유도로(16)를 따라 자유낙하의 형태로 진행되면서 아래쪽의 선단부 끝까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The induction block 17 is a part for guiding the parts exiting the hopper 13 downward, and an induction path 16 having a structu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s it progresses in the form of free fall along the furnace 16, it can be positioned to the tip of the lower end.

예를 들면, 유도블럭(17)의 유도로(16)는 호퍼 내측으로 위치되는 후단쪽이 높고 호퍼 밖으로 위치되는 선단쪽이 낮으며, 또 선별블럭(14)에 있는 유도홈(47)과도 통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선별블럭(14)의 유도홈(47) 내에 들어 있는 부품은 유도로(16)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낙하하여 선단부 끝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induction path 16 of the induction block 17 has a higher rear end located inside the hopper, a lower end side located outside the hopper, and also communicates with an induction groove 47 in the sorting block 14. Since it has a structure,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guide groove 47 of the sorting block 14 may slide along the guideway 16 to be positioned at the tip end.

이때, 상기 유도블럭(17)의 유도로(16)는 서로 나란한 두 개로 이루어지는 듀얼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선별블럭(14)에 있는 유도홈(47)도 각 유도로(16)와 통하는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듀얼 타입에서는 부품을 2열씩 동시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duction path 16 of the induction block 17 may be applied to the dual type consisting of two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duction groove 47 in the sorting block 14 also communicates with each induction path 16. In the dual type, it is possible to supply two rows of components simultaneously.

그리고, 상기 유도블럭(17)의 유도로 선단에서 부품의 인출을 단속하는 스톱퍼장치(18)가 마련된다. In addition, a stopper device 18 is provided to control the extraction of parts at the tip of the induction furnace 17 of the induction block 17.

상기 스톱퍼장치(18)는 유도블럭(17)의 유도로 선단부 윗쪽에 설치되어, 부품이 유도로(16)를 타고 내려와 끝에 도달하면 이를 막아주는 역할과, 또 가장 끝에 있는 부품이 유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topper device 18 is installed above the tip of the induction furnace 17 of the induction block 17 to prevent the parts from coming down on the induction furnace 16 to reach the end and to prevent the parts at the end of the induction from the induction. It will open the door for you.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톱퍼장치(18)는 실질적으로 부품을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역할의 스톱퍼 플레이트(19)와 이 스톱퍼 플레이트(19)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구동수단인 스톱퍼 액추에이터(2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topper device 18 includes a stopper plate 19 which substantially holds or releases the part and a stopper actuator 20 which is a driv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topper plate 19.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9)는 유도블럭(17)의 선단부 유도로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단부의 꺽인 부분을 이용하여 부품을 막아주거나 놓아주게 되는 한편, 상기 스톱퍼 액추에이터(20)는 유도블럭(17)상의 브라켓 상에 고정설치되면서 그 하단의 로드를 통해 스톱퍼 플레이트(19)의 상면에 연결되어, 스톱퍼 플레이트(19)를 위아래로 움직여주게 된다. The stopper plate 19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top of the guide block 17 induction, and blocks or releases the components using the bent portion of the guide block 17, while the stopper actuator 20 is the guide block 17.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late 19 through the rod of the lower end while being fixed to the bracket on the), thereby moving the stopper plate 19 up and down.

이때, 상기 스톱퍼 액추에이터(20)는 상단부에 튜브 등을 연결하여 에어압으로 작동하는 통상의 액추에이터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opper actuator 20 may be applied to the normal actuator means for operating the air pressure by connecting a tube or the like to the upper end.

이에 따라, 상기 스톱퍼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해 스톱퍼 플레이트(19)가 하강 위치에 있게 되면, 가장 앞쪽에 있는 부품, 즉 유도로(16)의 끝에 있는 부품은 스톱퍼 플레이트(19)에 의해 걸리게 되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스톱퍼 플레이트(19)가 상승 위치에 있게 되면, 가장 앞쪽에 있던 부품은 단속이 해제되면서 앞으로 빠져나가 정렬블럭(25)측으로 건네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topper plate 19 is in the lower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actuator 20, the frontmost part, that is, the part at the end of the induction path 16 is caught by the stopper plate 19. When the stopper plate 19 is in the ascending position, the parts that were at the forefront can be moved forward and passed to the alignment block 25 while the control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10)는 유도블럭(17)상의 부품을 가지런히 정리해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ncludes means for arranging components on the induction block 17.

상기 유도블럭(17)의 경우, 밑에서 위로 올라오면서 그 유도홈(47) 내에 한 개 또는 몇 개의 부품을 담게 되는데, 이때 유도홈(47) 내에는 부품이 정확히 안착된 상태(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부품의 몸체는 유도홈 내에 삽입되고 부품의 헤드는 유도홈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상태)로 들어가게 되지만, 그렇지 않고 유도홈(47)에 걸친다거나 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로 놓여져 있을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induction block 17, the one or several parts are contained in the induction groove 47 while rising from the bottom, wherein the parts are correctly seated in the induction groove 47 (as shown in FIG. 2B). As can be seen, the body of the componen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head of the component enters the state where it extends over the edge of the guide groove, but otherwise it may be placed in an abnormal state such as across the guide groove 47.

이를 감안하여, 상기 유도블럭(17)의 유도로 후단부에는 부품을 밀어주는 푸셔(21) 및 이 푸셔(21)의 전후진 동작을 위한 푸셔 실린더(22)가 설치되며, 이때의 푸셔(21)가 전진하게 되면 유도로 내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놓여져 있는 부품은 호퍼(13) 내로 재차 떨어지게 되므로, 올바르게 유도홈(47) 내에 수용된 부품만이 유도로(16)를 따라 낙하할 수 있게 된다. In view of this, a pusher 21 for pushing a part and a pusher cylinder 22 for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pusher 21 ar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furnace 17 of the induction block 17, and the pusher 21 at this time When the) is advanced, parts placed in an abnormal state in the induction furnace fall back into the hopper 13, so that only the parts correctly accommodated in the induction groove 47 can fall along the induction furnace 16.

이때, 상기 푸셔 실린더(22)는 유도블럭(17)의 상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푸셔(21)의 경우에는 그 밑면이 유도블럭 상면에 밀착지지되면서 전후진되고, 이때의 밑면은 단차구조로 이루어져 전후진 동작시 정상적으로 유도홈(47)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과는 간섭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pusher cylinder 22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on the bracket install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block 17, in the case of the pusher 21 while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block 17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a stepped structure so that the interference with the parts normally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47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can be excluded.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정렬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ponent alignment unit of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11)는 각각의 부품공급 유니트(10), 예를 들면 5개의 부품공급 유니트(10)로부터 건네받은 부품들을 가져가기 좋게, 즉 한 번에 용이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한 곳으로 모아주는 수단이다. 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parts sorting unit 11 may take the parts passed from each parts supply unit 10, for example, five parts supply unit 10, i.e., once It is a means of gathering them in one place so that they can be easily taken.

즉,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11)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졌다가 중앙으로 모이는 반복적인 작동을 통해 부품을 공급받아 한 곳에 정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component sorting unit 11 serves to align the parts by receiving the parts through repetitive operations that are spread out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and are collected at the center.

이를 위하여, 베이스(27)에 있는 부품공급 유니트(10)의 앞쪽으로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일(23)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23) 위에는 와이어 견인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다수의 정렬블럭(25)이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front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n the base 27 is provided with a rail 23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ovable on the rail 23 by a wire traction force The alignment block 25 is installed.

이때의 상기 정렬블럭(25)에는 상단에서 뒷쪽으로, 즉 부품공급 유니트(10)가 있는 쪽으로 연장되는 요홈 형상의 부품 안착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부품 안착부(24)를 통해 부품을 건네받을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lignment block 25 is formed with a recess portion 24 of the groove shap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ack, that is,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s located, through the component seat 24 at this time You will be able to pass the parts.

여기서, 상기 부품 안착부(24)의 경우 양옆으로 나란한 두 개로 구성되는 듀얼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동시에 부품 2개를 건네받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mponent seating part 24 can be made of a dual type consisting of two side by side side, it is possible to receive two parts received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레일(23)의 경우 LM 가이드 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rail 23, an LM guide type may be used.

이러한 정렬블럭(25)은 모두 5개가 구비되어 5개의 부품공급 유니트(10)에 하나씩 배속될 수 있게 되며, 중앙에 위치되는 정렬블럭(25), 즉 5개의 정렬블럭(25) 중에서 가운데 위치되는 정렬블럭(25)은 베이스(27)상에 고정되는 블럭이 되고, 나머지 양편 2개씩의 정렬블럭(25)은 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블럭이 된다. The alignment blocks 25 are all provided five to be assigned to one of the five parts supply unit 10, the center of the alignment blocks 25, tha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ve alignment blocks 25 The alignment block 25 becomes a block fixed on the base 27, and the remaining two alignment blocks 25 become blocks that move along the rail 23.

이와 같은 정렬블럭(25)들은 바깥쪽으로 벌려지는 경우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10)의 바로 앞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중앙 한 곳에 모이는 경우 가운데의 정렬블럭(25)을 기준하여 서로가 나란히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When the alignment blocks 25 are spread outward, the alignment blocks 25 may be positioned directly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supply unit 10, and when they are gathered in the center, the alignment blocks 2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alignment blocks 25 in the center. To be.

특히, 상기 정렬블럭(25)을 움직여주는 수단으로 와이어 구동장치(26)가 마련되며, 이러한 와이어 구동장치(26)는 각각의 정렬블럭(25)을 동시에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10)측 위치로 벌렸다가 중앙의 한 곳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particular, a wire driving device 26 is provided as a means for moving the alignment block 25, and the wire driving device 26 simultaneously moves each alignment block 25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supply unit 10 side. It opens up and collects them in a central place.

이를 위하여, 베이스(27)의 상부 중앙에는 다수의 롤러조합으로 이루어진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 예를 들면 4개의 롤러가 연속해서 붙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가 설치되고, 이와 함께 상기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를 기준하여 양쪽으로는 각각 2개씩의 아이들 롤러(35)가 설치된다. To this end, a fixed roller assembly 28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 combinations, for example, a fixed roller assembly 28 having a shape in which four rollers are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27, is installed. Two idle rollers 3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roller assembly 28,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는 베이스(27)상의 브라켓과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정렬블럭(25) 사이의 축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이들 롤러(35)는 베이스(27)에 설치되어 있는 각 브라켓상에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fixed roller assembly 28 may be mounted on an axis between the bracket on the base 27 and the alignment block 25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and may be freely rotatable, and each idle roller 35 may be freely rotatable. Can be supported by a rotatable structure on each bracket installed in the base 27.

그리고, 각 정렬블럭(25)을 움직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와이어(33)가 구비되며, 각각의 와이어(33)는 와이어 고정판(49)에 의해 정렬블럭(25)측에 일측이 고정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wires 33 are provided as a means for moving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25, and each wire 33 is fixed to one side of the alignment block 25 by the wire fixing plate 49.

이에 따라, 와이어(33)가 어느 한쪽으로 당겨지거나 복원되는 경우 해당 정렬블럭(25) 또한 이때의 와이어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wire 33 is pulled or restored to either side, the corresponding alignment block 25 may also move together according to the wire movement at this time.

본 발명에서는 레일(23)상에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4개의 정렬블럭(25)측과 한 줄씩 연결되는 총 네 줄의 와이어(33a,33b,33c,33c)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four wires 33a, 33b, 33c, 33c connected one by one with four alignment block 25 sides arranged to move on the rail 23 are provided.

이러한 각각의 와이어(33) 중에서 두 줄의 와이어(33a,33b)는 기본적으로 한 쪽 끝이 베이스(27)의 저면에 고정되고, 계속해서 다른 한 쪽 끝은 베이스(27)의 홀을 관통하여 베이스(27)의 상부로 연장된 후, 재차 베이스(27)의 홀을 관통하여 베이스(27)의 하부로 내려온 다음, 베이스(27)의 저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나머지 두 줄의 와이어(33c,33d)는 한 쪽 끝이 베이스(27)의 저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위와 같은 경로를 경유한 후에 서브 슬라이더(34)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Of these wires 33, two rows of wires 33a and 33b are basically fixed at one end to the bottom of the base 27, and then at the other end to penetrate the holes in the base 27. After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7, it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base 27 agai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27, and then install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27, while the other two lines One end of the wires 33c and 33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27,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s 33c and 33d is fixed to the sub slider 34 after passing through the above path.

특히, 베이스(27)의 하부에는 상부 중앙에 상응하는 위치에 메인 슬라이더(30)가 배치되며, 이때의 메인 슬라이더(30)는 베이스(27)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나란한 가이드바(48)에 지지되어 이 가이드바(48)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main slider 3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27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enter, and the main slider 30 is provided at both side-by-side guide bars 48 provided at the base 27. It is supported and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bar 48.

즉, 상기 가이드바(48)의 하단을 연결하는 브라켓상에는 메인 실린더(31)가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메인 실린더(31)의 로드가 메인 슬라이더(30)의 저면에 결합되므로서, 메인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메인 슬라이더(30)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the main cylinder 31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racket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48, and the rod of the main cylinder 31 installed in this way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lider 30, thereby maintaining the main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the (31), the main slider 30 is raised and lowered.

이때, 상기 메인 실린더(31)는 정렬블럭(25)들을 중앙으로 모으기 위해 와이어(33)를 당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main cylinder 31 can be used for pulling the wire 33 to collect the alignment blocks 25 to the center.

이러한 메인 슬라이더(30)에는 와이어(33)를 아래로 당길 때 와이어(33)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 예를 들면 4개의 롤러가 연속해서 붙어 있는 형태의 가운데의 롤러조합과 이 롤러조합의 양옆으로 배치되는 각 두 개씩의 롤러로 이루어진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가 장착되며, 이때의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가 갖는 4개의 롤러조합은 상기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가 갖는 2개의 롤러조합과 베이스(27)를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된다. This main slider 30 has a movable roller assembly 29 for guiding the progress of the wire 33 when the wire 33 is pulled down, for example, a roller combination in the center in which four rollers are continuously attached. And a movable roller assembly 29 composed of two rollers each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combination, and the four roller combinations of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are mounted on the fixed roller assembly 28. It is possible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ame position at the top and bottom with the two roller combination and the base 27 between.

이러한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에는 와이어(33)가 아래로 당겨질 때 네 줄의 와이어(33)가 동시에 경유하게 되면서 진행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When the wire 33 is pulled down in such a movable roller assembly 29, four lines of wire 33 pass through at the same time to be guided.

그리고,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를 가지는 메인 슬라이더(30)의 양편으로는 각각 두 개씩의 서브 슬라이더(32)가 배치되며, 각 서브 슬라이더(32)는 베이스(27)의 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나란한 가이드바(48)에 지지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wo sub sliders 3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lider 30 having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and each of the sub sliders 32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base 27. While being supported by both side by side guide bar 48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특히, 가장 바깥쪽(좌우 길이방향을 기준할 때 좌측 또는 우측 끝)에 위치되는 양쪽 두 개의 서브 슬라이더(32)에는 2개의 나란한 아이들 롤러(35)가 각각 장착되고, 이때의 각 서브 슬라이더(32)의 상부 베이스(27)의 저면상에는 1개의 아이들 롤러(35)가 배치되며, 이때의 3개의 아이들 롤러(35)는 서로 삼각형 배치구조를 이루게 된다. In particular, two side-by-side idle rollers 35 are mounted on each of the two sub sliders 32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left or right ends when referring to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respectively. One idle roller 35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e 27 of), and the three idle rollers 35 form a triangle arrangement structur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각 서브 슬라이더(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슬라이더(32), 즉 가장 바깥쪽에 위치되는 서브 슬라이더(32) 중 어느 하나에는 서브 실린더(34)가 배속되고, 이때의 서브 실린더(34)의 로드가 서브 슬라이더(32)의 저면에 연결되므로서, 서브 실린더(34)의 작동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32)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a sub cylinder 34 is assigned to any one of the sub sliders 32, that is, the sub slider 32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the sub cylinder 34 at this time. Since the ro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b slider 32, the sub slider 32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sub cylinder 34.

이때, 상기 서브 실린더(34)는 정렬블럭(25)들을 바깥쪽으로 벌리기 위해, 즉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10)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와이어(33)를 당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b-cylinder 34 can be used to pull the wire 33 to open the alignment blocks 25 outward, that is to return to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side.

한편, 정렬블럭(25)을 움직여주는 와이어(33)의 궤적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trajectory of the wire 33 for moving the alignment block 2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 33a는 제1와이어, 33b는 제2와이어, 33c는 제3와이어, 33d는 제4와이어로 각각 정의한다. As shown in FIG. 3C,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 33a is defined as a first wire, 33b as a second wire, 33c as a third wire, and 33d as a fourth wire, respectively.

먼저, 상기 제1와이어(33a)의 한 쪽 끝은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베이스 하부에서 서브 슬라이더에 있는 2개의 아이들 롤러(35)와 이와 삼각배치구조를 이루는 1개의 아이들 롤러(35)를 경유한 후, 베이스 홀을 통해 상부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베이스 상부의 1개의 아이들 롤러(25)를 경유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면서 가장 바깥쪽의 정렬블럭(도 3a에서 왼쪽 끝에 있는 정렬블럭)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안쪽의 정렬블럭의 와이어 관통홀(도 3a에서 도면부호 50)을 통과한 다음, 베이스 상부의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세번째 롤러를 경유하여 베이스 홀을 통해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세번째 롤러를 경유하게 되며, 계속해서 4개의 롤러조합 좌측에 있는 2개의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후에 베이스 저면에 고정된다. First, one end of the first wire 33a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33a has two idle rollers 35 on the sub slider at the bottom of the base and one idle which forms a triangular arrangement therewith. After passing through the roller 35, it extends upwards through the base hole, and then continues straightly through one idle roller 25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the outermost alignment block (at the left end in Fig. 3a).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50 in FIG. 3A) of the alignment block at the same time, and then through the third roller in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stationary roller assembly 28 at the top of the base.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base hole and at the same time passes through the third roller from the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and then continues the two rollers on the left of the four roller combinations. After passing in turn, it is fixed to the base bottom.

다음, 상기 제2와이어(33b)의 한 쪽 끝은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베이스 하부에서 서브 슬라이더에 있는 2개의 아이들 롤러(35)와 이와 삼각배치구조를 이루는 1개의 아이들 롤러(35)를 경유한 후, 베이스 홀을 통해 상부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베이스 상부의 1개의 아이들 롤러(25)를 경유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면서 가장 바깥쪽의 정렬블럭(도 3a에서 오른쪽 끝에 있는 정렬블럭)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안쪽의 정렬블럭의 와이어 관통홀(도 3a에서 도면부호 50)을 통과한 다음, 베이스 상부의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네번째 롤러를 경유하여 베이스 홀을 통해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네번째 롤러를 경유하게 되며, 계속해서 4개의 롤러조합 우측에 있는 2개의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후에 베이스 저면에 고정된다. Next, one end of the second wire 33b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33b has two idle rollers 35 on the sub slider at the bottom of the base and one idle which forms a triangular arrangement therewith. After passing through the roller 35, it extends upward through the base hole, and continues straight through the one idle roller 25 at the top of the base, while the outermost alignment block (at the right end in FIG. 3A).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50 in FIG. 3A) of the alignment block at the same time, and then through the fourth roller in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stationary roller assembly 28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It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base hole and at the same time passes through the fourth roller from the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and continues with the two rollers to the right of the four roller combinations. After the via is then fixed on the bottom of the base.

다음, 상기 제3와이어(33c)의 한 쪽 끝은 서브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베이스 홀을 통해 상부로 연장되면서 베이스 상부의 아이들 롤러(35)를 경유한 후, 바깥쪽에서 두번째 위치되는 정렬블럭(도 3a에서 왼쪽에서 두번째에 있는 정렬블럭)에 연결되고, 계속해서 베이스 상부의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첫번째 롤러를 경유한 다음, 베이스 홀을 통해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첫번째 롤러를 경유한 후에 베이스 저면에 고정된다. Next, one end of the third wire 33c is fixed to the sub slider,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 through the base hole and passes through the idle roller 35 on the upper part, and then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outside. Connected to the alignment block (alignment block from the left to the second in FIG. 3A), and then continues through the first roller in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fixed roller assembly 28 on the base, and then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base hole. At the same time,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after passing the first roller in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마지막으로, 상기 제4와이어(33d)의 한 쪽 끝은 서브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베이스 홀을 통해 상부로 연장되면서 베이스 상부의 아이들 롤러(35)를 경유한 후, 바깥쪽에서 두번째 위치되는 정렬블럭(도 3a에서 오른쪽에서 두번째에 있는 정렬블럭)에 연결되고, 계속해서 베이스 상부의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두번째 롤러를 경유한 다음, 베이스 홀을 통해 하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의 4개의 롤러 중 앞에서 두번째 롤러를 경유한 후에 베이스 저면에 고정된다. Finally, one end of the fourth wire 33d is fixed to the sub slider,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 through the base hole via the idle roller 35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then second from the outside. Connected to the alignment block (located second from the right to the right in FIG. 3A), and subsequently via the second roller in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stationary roller assembly 28 at the top of the base, and then downwards through the base hole. It is extended and fixed to the base bottom after passing the second roller from the front of the four rollers of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따라서, 메인 실린더(31)의 하강 작동에 의해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 및 메인 슬라이더(30) 전체가 하강하게 되면 4줄의 와이어(33)가 아래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 서브 슬라이더(32) 또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의 와이어(33)의 움직임에 의해 각 와이어(33)에 연결되어 있는 정렬블럭(25)들은 중앙으로 이동하여 모이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and the entire main slider 30 are all lowered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main cylinder 31, four wires 33 are pulled down, and at the same time, each sub slider ( 32) also moves to the upper side, by the movement of the wire 33 at this time, the alignment blocks 25 connected to each wire 33 is moved to the center to gather.

물론, 메인 실린더(31)의 하강 작동에 상응하여 서브 실린더(34)도 상승 작동을 하게 된다. Of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main cylinder 31, the sub-cylinder 34 also performs the upward operation.

반대로, 상기 서브 실린더(34)의 하강 작동에 의해 이 서브 실린더(34)의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 슬라이더(32)가 하강하게 되면, 이때의 와이어(33)의 당김에 의해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30)가 상승하게 되고, 결국 나머지 서브 슬라이더(32)들 또한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와이어(33) 움직임에 의해 각 와이어(33)에 연결되어 있는 정렬블럭(25)들도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해당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ub slider 32 connected to the rod of the sub cylinder 34 is lowered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ub cylinder 34, the movable roller assembly ( The main slider 30 including 29 is raised, and the rest of the sub sliders 32 are also moved downward by using their own weight, and are connected to each wire 33 by the movement of the wire 33. Alignment blocks 25 are also spread out to be return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물론, 서브 실린더(34)의 하강 작동에 상응하여 메인 실린더(31)도 상승 작동을 하게 된다. Of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ub-cylinder 34, the main cylinder 31 is also u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서 부품이 부품공급 유니트에서 부품정렬 유니트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component from a component supply unit to a component alignment unit in a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부품공급 유니트(10)에서부터 부품정렬 유니트(11)까지 부품(110)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4, the process of moving the component 110 from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to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is illustrated.

부품공급 유니트(10)의 선별 실린더(15)가 전진 작동하게 되면, 선별 블럭(14)은 낱개의 부품(110)을 가지고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선별블럭(14)에 의해 선별된 부품(110)은 곧바로 유도블럭(17)에 있는 유도로(16)를 따라 아래로 낙하하여 유도로 끝의 스톱퍼장치(18)에 의해 구속되며, 계속해서 스톱퍼장치(18)의 스톱퍼 플레이트(19)가 상승하게 되면, 이때의 부품(110)은 유도로(16)의 바로 앞에 대기하고 있던 정렬블럭(25)의 부품 안착부(24) 내에 안착 수용된다. When the sorting cylinder 15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s moved forward, the sorting block 14 is moved upward with the individual parts 110, and thus the sorting part 110 selected by the sorting block 14. ) Immediately falls down along the induction path 16 in the induction block 17 and is constrained by the stopper device 18 at the end of the induction path, and then the stopper plate 19 of the stopper device 18 is raised. In this case, the component 110 at this time is seated and accommodated in the component seating portion 24 of the alignment block 25 which is waiting in front of the induction furnace 16.

즉, 상기 유도로(16)의 전체 구간에는 부품(110)들이 일렬로 연이어 붙어 있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 되고, 스톱퍼 플레이트(19)가 열리는 순간 맨 앞쪽의 부품(110)이 밀려서 바로 앞에 대기하고 있던 정렬블럭(25)의 부품 안착부(24) 내로 들어가게 됨과 동시에 스톱퍼 플레이트(19)가 재차 닫히게 된다. That is,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induction furnace 16, parts 110 are waiting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in a row, and at the moment when the stopper plate 19 is opened, the front part 110 is pushed to stand in front of each other. The stopper plate 19 is closed again while entering the component seating portion 24 of the alignment block 25 that has been present.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부품(110)이 하나씩 정렬블럭(25)측으로 건네질 수 있게 된다.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parts 110 can be passed to the alignment block 25 one by one.

그리고, 위와 같이 부품(110)을 건네받은 정렬블럭(25)은 중앙으로 이동하여 한 곳에 모이게 된다. Then, the alignment block 25 is passed to the part 110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o the center and collected in one place.

다른 실시예로서, 유도로(16)의 상부에 부품 진행방향쪽으로(유도블럭에서 정렬블럭쪽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부품이 정렬블럭측으로 넘어갈 때 부품의 뒷쪽에서 에어를 불어줌으로써, 부품이 좀더 원활하게 정렬블럭측으로 건네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n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path 16 is provided with means for injecting air in the direction of component travel (from the induction block to the alignment block) to blow air from the rear of the component as it passes over the alignment block. By zooming in, the component can be passed to the alignment block more smoothl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150)는 부품, 예를 들면 스터드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자동화 설비에서 스터드 삽입 공정 영역(140) 한 쪽 옆에 위치되고, 스터드 삽입 공정의 영역 내에 로딩되는 샤시(100)의 각 스터드 삽입 위치를 찾아가면서 스터드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일을 수행하는 픽업헤드(120)에 부품을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omponent feeder 150 is located next to one side of the stud insertion process region 140 in an automated facility for automatically inserting parts, for example studs, and within the region of the stud insertion process. The parts ar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pickup head 120 which performs the task of automatically inserting the studs while searching for each stud insertion position of the chassis 100 to be loaded.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0은 설비 본체를 나타낸다. Here,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n installation main body.

이러한 부품 공급장치(150)로부터 스터드를 공급받은 이후의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The process after receiving the studs from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150 proceeds as follows.

스터드를 공급받은 픽업헤드(120)는 X축 리니어 모션의 작동, Y축 리니어 모션의 작동 및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X축 리니어 모션에 의해 X축 방향(설비 폭 방향), Y축 방향(설비 길이 방향) 및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제어로직에 따라 스터드를 픽업하는 것은 물론, 픽업한 스터드를 샤시(100)측의 정해진 위치에 스터드를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The pick-up head 120 supplied with the stud has the X-axis direction (equipment width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equipment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X-axis linear motion, the Y-axis linear motion, and the X-axis linear motion itself. ) And Z-axis (up-down direction) while picking up the studs according to the control logic pre-programmed, as well as inserting the stud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hassis 100 side.

그리고, 스터드 삽입이 완료된 샤시(100)는 후속 공정인 스터드 압입 공정으로 진행된다. Then, the chassis 100 is completed, the stud insertion is proceeded to the stud indentation process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품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looking at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component suppl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6a 내지 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a to 6i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품공급 유니트(10)의 호퍼(13) 내에 채워져 있는 부품은 선별블럭(14)에 의해 낱개로 선별된 후, 계속해서 유도블럭(17)의 유도로(16)를 따라 낙하되어 그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정렬블럭(25)으로 건네지게 되고, 따라서 각 정렬블럭(25)은 2개씩의 부품을 가지게 된다.As shown in FIG. 6A, the parts filled in the hopper 13 of each part supply unit 10 are individually sorted by the sorting block 14, and then the induction path 16 of the induction block 17 is continued. ) Is passed down to the alignment block 25 that was waiting in front of it, and thus each alignment block 25 has two parts.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을 건네받은 각 정렬블럭(25)들은 와이어 구동장치(26)의 작동에 의해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정렬블럭(25)의 양옆으로 한 곳에 모이게 된다. As shown in FIG. 6B,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25 to which the component is passed is gathered in one place on both sides of the alignment block 25 fixed in the center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drive unit 26.

이렇게 중앙 한 곳에 모여 있는 각 정렬블럭(25)에는 10개의 부품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In this way, each of the alignment blocks 25 gathered at one center is in a state in which ten parts are arranged side by side.

도 6c 및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트랜스퍼장치(36)의 업다운 실린더(미도시)가 하강 작동하게 되면, 중앙 한 곳에 모여 있는 정렬블럭(25)의 바로 위에서 이와 나란히 대기하고 있던 업다운 블럭(39)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10개의 흡착노즐(38)에는 각각 하나씩의 부품이 흡착된다. As shown in FIGS. 6C and 6D, when the up-down cylinder (not shown) of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is operated to descend, the up-down block waiting in parallel with it is directly above the alignment block 25 gathered at the center. 39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one component is adsorbed to each of the ten adsorption nozzles 38.

이렇게 부품 흡착 후, 업다운 실린더의 상승 작동에 의해 부품을 포함하는 업다운 블럭(39) 전체는 재차 원래의 높이로 상승하여 복귀된다. After the adsorption of the parts in this way, the entire up-down block 39 including the parts is raised to the original height again by the upward operation of the up-down cylinder and returned.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트랜스퍼장치(36)의 업다운 블럭(39)측으로 부품을 건네 준 정렬블럭(25)들은 와이어 구동장치(26)의 작동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10)의 바로 앞으로 복귀하여, 다음 부품을 건네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E, the alignment blocks 25 which have passed the parts to the up-down block 39 side of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are spread outwar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drive unit 26, and the corresponding part supply unit Returning to just before (10), you are ready to receive the next part.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트랜스퍼장치(37)의 로타리 실린더(44)가 작동하게 되면, 로타리 블럭(43)은 90°회전하여 부품이 흡착되어 있는 업다운 블럭(39)의 하부에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F, when the rotary cylinder 44 of the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is operated, the rotary block 43 rotates by 90 ° to be parallel to the lower part of the up-down block 39 on which the components are adsorbed. Will be located.

도 6g 및 6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다운 블럭(39)과 로타리 블럭(44)이 위아래로 나란히 위치된 상태에서, 업다운 블럭(39)의 하강, 흡착노즐(38)에 가해진 진공압의 해제 및 업다운 블럭(39)의 상승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업다운 블럭(39)측에 있던 부품들은 일렬로 정렬된 상태 그대로 로타리 블럭(44)측으로 건네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6G and 6H, with the up-down block 39 and the rotary block 44 positioned up and down side by side, the up-down block 39 is lowered,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suction nozzle 38 and As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up-down block 39 is performed in sequence, the parts on the up-down block 39 side can be passed to the rotary block 44 side as they are in line.

도 6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을 건네받은 로타리 블럭(44)은 로타리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90°회전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 상태에서 픽업헤드(120)가 이동하여 로타리 블럭(44)에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을 픽업하는 것으로 부품 공급을 위한 과정이 완료된다. As shown in FIG. 6I, the rotary block 44 to which the parts are delivered is rotated 90 °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cylinder 44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in this state, the pickup head 120 moves to rotate the rotary block 44. The process for supplying the parts is completed by picking up the parts arranged in the block 44.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호퍼로부터 부품들을 낱개로 선별한 후에 이들을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픽업 헤드의 픽업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스터드 자동 공급과 관련한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스터드 공급 공정의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률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automatic part feeder capable of stably moving parts from the hopper to the picked-up position of the pickup head while sorting the parts individually from the hopp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stud supply process, such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to shorten the overall cycl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facility by improving the utilization rate.

10 : 부품공급 유니트 11 : 부품정렬 유니트
12 : 트랜스퍼 유니트 13 : 호퍼
14 : 선별블럭 15 : 선별 실린더
16 : 유도로 17 : 유도블럭
18 : 스톱퍼장치 19 : 스톱퍼 플레이트
20 : 스톱퍼 액추에이터 21 : 푸셔
22 : 푸셔 실린더 23 : 레일
24 : 부품 안착부 25 : 정렬블럭
26 : 와이어 구동장치 27 : 베이스
28 :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 29 :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
30 : 메인 슬라이더 31 : 메인 실린더
32 : 서브 슬라이더 33 : 와이어
34 : 서브 실린더 35 : 아이들 롤러
36 : 1차 트랜스퍼장치 37 : 2차 트랜스퍼장치
38 : 흡착노즐 39 : 업다운 블럭
40 : 업다운 가이드 41 : 업다운 실린더
42 : 부품 수용부 43 : 로타리 블럭
44 : 로타리 실린더 45 : 위치고정장치
46 : 프레임 47 : 유도홈
48 : 가이드바 49 : 와이어 고정판
50 : 와이어 관통홀 51 : 로드
100 : 샤시 110 : 부품
120 : 픽업헤드 130 : 설비 본체
140 : 스터드 삽입공정 영역 150 : 부품 공급장치
10: parts supply unit 11: parts alignment unit
12: transfer unit 13: hopper
14: sorting block 15: sorting cylinder
16: induction furnace 17: induction block
18: stopper device 19: stopper plate
20: stopper actuator 21: pusher
22: pusher cylinder 23: rail
24: component seating portion 25: alignment block
26: wire drive device 27: base
28: fixed roller assembly 29: movable roller assembly
30: main slider 31: main cylinder
32: sub slider 33: wire
34: sub cylinder 35: idle roller
36: primary transfer apparatus 37: secondary transfer apparatus
38: adsorption nozzle 39: up-down block
40: Up Down Guide 41: Up Down Cylinder
42: part receiving portion 43: rotary block
44: rotary cylinder 45: position fixing device
46: frame 47: guide groove
48: guide bar 49: wire fixing plate
50: wire through hole 51: rod
100: chassis 110: parts
120: pickup head 130: equipment body
140: stud insertion process area 150: parts supply device

Claims (13)

호퍼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을 낱개로 구분한 후에 유도로를 따라 낙하시켜 하나씩 부품을 공급하는 복수의 부품공급 유니트(10);
상기 각각의 부품공급 유니트(10)로부터 건네받은 부품들을 한 곳으로 모아서 정렬하는 부품정렬 유니트(11);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11)에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을 동시에 흡착한 후에 픽업 헤드의 픽업위치까지 옮겨주는 트랜스퍼 유니트(12);
를 포함하며, 호퍼 속에 무작위로 채워져 있는 부품들을 몇 개씩 인출하여 정렬시킨 후에 픽업위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A plurality of component supply units (10) for supplying the components one by one by dropping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hopper individually and dropping along the induction path;
A part sorting unit (11) for collecting and sorting the parts passed from each of the parts supply units (10) into one place;
A transfer unit 12 which simultaneously absorbs the parts aligned in the parts alignment unit 11 and then moves them to the pickup position of the pickup head;
Includes, the component feeder of the automatic part inserter, it is possible to supply to the pick-up position after aligning the number of randomly filled parts in the hopper several tim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10)는 부품을 담고 있는 호퍼(13)와, 상기 호퍼(13)의 내부에서 상하 동작하면서 낱개의 부품을 위로 올려주는 선별블럭(14) 및 이 선별블럭(14)을 작동시켜주는 선별 실린더(15)와, 상기 호퍼(13)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배치되며 아래로 하향 경사진 구조의 유도로(16)를 이용하여 부품의 진행을 유도하는 유도블럭(17) 및 상기 유도블럭(17)의 유도로 선단에 위치되어 부품의 인출을 단속하는 스톱퍼장치(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s a hopper (13) containing the components, the sorting block 14 for lifting up the individual parts while operating up and down inside the hopper 13 and the sorting block Induction block for guiding the progress of the part by using the sorting cylinder 15 for activating the 14 and the induction path 16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pper 13 and downwardly inclined. (17) and a stopper device (18)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induction path of the induction block (17) to control the extraction of the par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장치(18)는 유도블럭(17)의 유도로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 동작하며서 부품을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스톱퍼 플레이트(19)와,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9)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플레이트 후단에 연결되어 스톱퍼 플레이트(19)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스톱퍼 액추에이터(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stopper device (18)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per device (18)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top of the guide block (17) and moves up and down to hold or release parts,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plate (19). It is disposed on the plat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mponent feeder of the automatic par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opper actuator 20 for operating the stopper plate 19 up and dow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공급 유니트(10)는 유도블럭(17)의 유도로 후단부에 설치되어 유도로 내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놓여져 있는 부품을 제거해주는 푸셔(21) 및 푸셔 실린더(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pusher 21 and the pusher cylinder 22 of claim 2, wherein the component supply unit 1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furnace 17 of the induction block 17 to remove a component that is abnormally placed in the induction furnace. Component feeder of the automatic par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블럭(17)은 서로 나란한 두 개의 유도로(16)를 가지는 듀얼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compon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induction block (17) is of a dual type having two induction furnaces (16) parallel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11)는 각 부품공급 유니트(10)에 하나씩 배속되는 동시에 중앙에 위치되는 하나를 제외하고 와이어 견인력에 의해 레일(23)을 따라 이동하며 부품 수용을 위한 부품 안착부(24)를 가지고 있고 각 부품공급 유니트(10)로부터 건네받은 부품을 한 곳으로 정렬시켜주는 각각의 정렬블럭(25)과, 상기 정렬블럭(25)을 움직여주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정렬블럭(25)을 동시에 해당 부품공급 유니트(10)측 위치로 벌렸다가 중앙의 한 곳으로 모아주는 와이어 구동장치(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nent alignment unit (11) moves along the rail (23) by wire traction force except for the one positioned at the same time and assigned to each component supply unit (10) at the same time. Each alignment block 25 having a seat 24 and aligning the components passed from each component supply unit 10 into one place, and each alignment block as a means for moving the alignment block 25. And a wire driving device (26) which simultaneously opens (25) to the corresponding part supply unit (10) side position and collects them in one place in the cent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장치(26)는 중앙에 배치되면서 베이스(27)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와,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를 가지면서 베이스(27)의 하부에 위치되는 메인 슬라이더(30) 및 이 메인 슬라이더(30)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메인 실린더(31)와, 베이스(27)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슬라이더(32)와, 상기 서브 슬라이더(32)와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 및 가동형 롤러 어셈블리(29)를 경유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정렬블럭(25)과 연결되어 당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정렬블럭(25)을 움직여주는 다수의 와이어(33)와, 상기 다수의 서브 슬라이더(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슬라이더(32)에 연결되어 이 서브 슬라이더(32)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서브 실린더(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27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re driving device 26 has a fixed roller assembly 28 and a movable roller assembly 29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ase 27 while being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 main slider 30 positioned at the main slider 30 and a main cylinder 31 which raises and lowers the main slider 30, a plurality of sub sliders 32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positioned below the base 27; A plurality of moving the alignment block 25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alignment block 25 at the same time via the sub slider 32 and the fixed roller assembly 28 and the movable roller assembly 29 to be pulled or released. And a sub cylinder 34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 sliders 32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ub sliders 32 to raise and lower the sub sliders 32. Characteristic A component supply device of the parts to automatic insert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슬라이더(32)측과 고정형 롤러 어셈블리(28)측을 경유하는 와이어(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35)에 의한 진행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ire (33) via the sub slider (32) side and the stationary roller assembly (28) side is guided by at least one idle roller (35). Component feeder of auto inserter.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정렬 유니트(11)의 정렬블럭(25)은 양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부품 안착부(24)를 가지는 듀얼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9. The automatic insertion of par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alignment block (25) of the parts alignment unit (11) is of a dual type having two parts seating portions (24) side by side. Parts supply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2)는 부품정렬 유니트(11)의 각 정렬블럭(25)이 한 곳에 모이는 중앙에 위치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1차 트랜스퍼장치(36)와, 상기 1차 트랜스퍼장치(36)로부터 건네받은 부품을 90°회전하여 픽업위치로 옮겨주는 2차 트랜스퍼장치(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transfer unit (1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12) is located at the center where each alignment block (25) of the parts sorting unit (11) is gathered in one place, and the primary transfer device (36) for sucking the components, and the primary transfer And a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for rotating the parts passed from the device (36) by 90 ° to the pick-up posi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트랜스퍼장치(36)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노즐(38)을 가지면서 상하 작동하는 업다운 블럭(39) 및 이 업다운 블럭(39)을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업다운 가이드(40)와, 상기 업다운 블럭(39)의 저면에 로드(51)를 통해 연결되는 업다운 실린더(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The up-and-down block 39 and the up-down block 39 which operate vertically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nozzles 38 for adsorbing part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row. Component supply of the automatic par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down guide 40 for guiding the up and down operation, and an up-down cylinder 41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39 via a rod 51.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차 트랜스퍼장치(37)는 한쪽 단부를 축으로 하여 90°회전가능하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품 수용부(42)를 가지고 있으며 업다운 블럭(39)의 저부와 나란한 위치에서 부품을 건네받은 후에 재차 픽업위치로 복귀하는 로타리 블럭(43) 및 이 로타리 블럭(43)을 회전시켜주는 로타리 실린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11. The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ary transfer device (37) has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42) rotatable 90 degrees about one end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of the up-down block (39). After supplying the parts from the rotary block 43 is returned to the pick-up position again and the rotary cylinder 43 for rotating the rotary block 43,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onent supply device of the automatic inserter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2)는 로타리 블럭(43)이 픽업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고정장치(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13. The component auto inser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transfer unit (12)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g device (45) for positioning the rotary block (43) so that it can be stopped accurately at the pick-up position. Feeder.
KR1020110034672A 2011-04-14 2011-04-14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KR101252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72A KR101252037B1 (en) 2011-04-14 2011-04-14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72A KR101252037B1 (en) 2011-04-14 2011-04-14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117A KR20120117117A (en) 2012-10-24
KR101252037B1 true KR101252037B1 (en) 2013-04-10

Family

ID=4728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72A KR101252037B1 (en) 2011-04-14 2011-04-14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0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416B1 (en) 2013-10-23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
KR20200030185A (en) 2018-09-12 2020-03-20 오토이엠 주식회사 Parts suppl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81B1 (en) 2014-07-25 2016-04-22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eeder for Supplying Oriented Elements with a Distribution Rail
KR101700857B1 (en) 2015-02-02 2017-01-31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A Lens Feeder for Suppling a Plural Lens
KR101716338B1 (en) * 2015-12-01 2017-03-14 김병기 Auto-apparatus for inserting stud of display devicechassis
CN110436161A (en) * 2019-08-06 2019-11-12 苏州领裕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arts aligner
KR102265122B1 (en) * 2019-12-18 2021-06-15 (주)씨엠에스코리아 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 capable of controlling posture and consecutive circular provi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972U (en) * 1996-10-24 1998-07-15 김광호 Screw fastener
KR20020057080A (en) * 2000-12-30 2002-07-11 이승복 Factory automation system having stopper assembling members for seat belt assembly
KR20030091896A (en) * 2003-11-13 2003-12-03 구자천 Auto conclusion system for bolt
KR20050097628A (en) * 2004-04-02 2005-10-10 (주)신흥산업 Stud(pem-nut) auto-supply equipments for stud caulking pr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972U (en) * 1996-10-24 1998-07-15 김광호 Screw fastener
KR20020057080A (en) * 2000-12-30 2002-07-11 이승복 Factory automation system having stopper assembling members for seat belt assembly
KR20030091896A (en) * 2003-11-13 2003-12-03 구자천 Auto conclusion system for bolt
KR20050097628A (en) * 2004-04-02 2005-10-10 (주)신흥산업 Stud(pem-nut) auto-supply equipments for stud caulking pr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416B1 (en) 2013-10-23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
KR20200030185A (en) 2018-09-12 2020-03-20 오토이엠 주식회사 Parts supply apparatus
KR102127214B1 (en) * 2018-09-12 2020-06-26 오토이엠 주식회사 Parts suppl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117A (en)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037B1 (en) Stud supply device for auto stud insert equipment
US9901019B2 (en) Tape feeder and method for moving a carrier tape towards a picking position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10087447B (en) Automatic cutting, forming and pin cutting device for braid components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CN105269639B (en) A kind of batten punching two ends equipment
KR101244239B1 (en) Auto stud insert equipment
TWI588074B (en) Automatic material storage machine for storage equipment
CN112571006B (en) Pipe penetrating device
CN207038336U (en) A kind of magnet automatic assembling
CN213163975U (en) Nut feeding device
CN103143615A (en) Cutter blade punching device
CN107009120B (en) Feeding mechanism for assembling puncture type bare needle protection cover
KR880001802B1 (en) Component inserting machine
KR1011077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hip tray
CN216029109U (en) Quick kludge of oil cup subassembly
ITFI990125A1 (en) MAINTENANCE EQUIPMENT FOR NEEDLE PLATES OF NEEDLE MACHINES
CN110102992B (en) Method suitable for automatic loosening treatment of steel wire balls
CN115647806A (en) Welding machine
CN107863261A (en) A kind of switch terminal bending assembly machine
CN209736953U (en) On-line loader of loudspeaker
CN112809338A (en) Automatic sample adding needle filter element mounting device and using method
CN203018540U (en) Device for punching blade
CN208790646U (en) Valve fixinig plate delivery device
KR100685373B1 (en) Pneumatic halving system and punch tool
CN215478179U (en) Feeding equipment with section bar extraction element
CN110605554B (en) Automatic copper thorn ring pin inse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