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935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935B1
KR101251935B1 KR1020100140017A KR20100140017A KR101251935B1 KR 101251935 B1 KR101251935 B1 KR 101251935B1 KR 1020100140017 A KR1020100140017 A KR 1020100140017A KR 20100140017 A KR20100140017 A KR 20100140017A KR 101251935 B1 KR101251935 B1 KR 10125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supply
voltage
pow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892A (ko
Inventor
이재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9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 H02H7/125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responsive to overvoltage in input or output, e.g. by load d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for d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와;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Controller IC와;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통해 Controller IC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대기 모드 동작부와; Controller IC를 통해 제 2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하고, 제 1 기준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역률 보상부와; 역률 보상부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AC/DC 변환부; 및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전원 공급 스위칭부에 제공하거나,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Controller IC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서로 래치(Latch)시키는 제 2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기기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기기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변압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AC/DC 컨버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전원 공급 장치는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킬 시에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에 의해 손상된 내부 부품을 교체해야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에 의해 손상된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횟수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와;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Controller IC와;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통해 Controller IC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대기 모드 동작부와; Controller IC를 통해 제 2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하고, 제 1 기준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역률 보상부와; 역률 보상부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AC/DC 변환부; 및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전원 공급 스위칭부에 제공하거나,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Controller IC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서로 래치(Latch)시키는 제 2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에 의해 손상된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횟수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등가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부(102),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 Controller IC(106), 대기모드 동작부(108), 역률 보상부(110), AC/DC 변환부(112), 제 2 전원 공급부(114)등을 포함한다.
제 1 전원 공급부(102)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단자(102a)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전원 공급부(114)는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는 제 2 전원 공급부(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포토 커플러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D4)와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D4)는 제 1단이 이후에 진술할 Controller IC(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이후에 진술할 대기모드 동작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D4)는 Controller IC(106)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제 1 동작 전압을 일방향으로 정류시켜 대기모드 동작부(108)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D4)는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D4)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는 제 3단이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4단이 Controller IC(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는 제 2 전원 공급부(114)를 통해 제 1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전원 전압을 Controller IC(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는 스위칭 동작시의 스위칭 손실율을 고려하면서, 전력공급시에 스위칭 동작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는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Controller IC(106)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공되고, 대기모드 동작부(108)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를 통해 Controller IC(106)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공된다.
역률 보상부(110)는 Controller IC(106)를 통해 제 2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하고, 제 1 기준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역률 보상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는 제 1단이 Controller IC(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ontroller IC(106)를 통해 제 2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는 제 5 스위칭 소자(SW5)와 제 6 스위칭 소자(SW6)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5 스위칭 소자(SW5)는 제 1단이 Controller IC(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단이 이후에 진술할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3단이 제 6 스위칭 소자(SW6) 및 이후에 진술할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제 6 스위칭 소자(SW6)는 제 1단이 Controller IC(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단이 제 5 스위칭 소자(SW5)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3단이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110a) 및 이후에 진술할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는 일단이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1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110a)로부터 제 1 기준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는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와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7) 및 제 3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8)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는 일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이후에 진술할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7)는 일단이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110a)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제 3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8)는 일단이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는 일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는 타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에 저장된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시간적으로 조절하여 AC/DC 변환부(112)로 공급한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L1, L2)는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L1)와 제 2 역률 보상용 인덕터(L2)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L1)는 일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6, C7, C8) 및 AC/DC 변환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 및 AC/DC 변환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제 2 역률 보상용 인덕터(L2)는 일단이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L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D5, D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SW5, SW6)의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일방향으로 정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D5, D6)는 제 1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D5)와 제 2 역률 보상용 다이오드(D6)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D5)는 제 5 스위칭 소자의(SW5)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D6)는 제 6 스위칭 소자(SW6)의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AC/DC 변환부(112)는 역률 보상부(110)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AC/DC 변환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미도시)에 변환된 직류 전압을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미도시)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AC/DC 변환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2a)와 적어도 하나의 AC/DC 변환 수단(112b)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2a)는 역률 보상부(110)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의 레벨을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로 가변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2a)는 1차측에 형성된 제 3 인덕터(L3)와, 2차측에 형성된 제 4, 5, 6, 7 인덕터(L4, L5, L6, L7)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AC/DC 변환 수단(112b)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2a)를 통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AC/DC 변환 수단(112b)은 제 1 AC/DC 변환 수단(112b1)과 제 2 AC/DC 변환 수단(112b2)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제 1 AC/DC 변환 수단(112b1)은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L8),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L9),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 적어도 하나의 제 12 저항(R12)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L8)는 제 4 인덕터(L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L8)는 하나의 제 8 인덕터(L8)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는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L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L8)에 의해 시간적으로 조절된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을 정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는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L9)는 제 5 인덕터(L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L9)는 하나의 제 9 인덕터(L9)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는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L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L9)에 의해 시간적으로 조절된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을 정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는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와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 및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D7) 및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D8)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는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2 저항(R12)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 및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C9)에 저장된 하나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제 2 전원 공급부(114)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2 저항(R12)은 하나의 제 12 저항(R12)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AC/DC 변환 수단(112b2)은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 적어도 하나의 제 13 저항(R13)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는 제 6 인덕터(L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는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는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L10)에 의해 시간적으로 조절된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을 정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는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는 제 7 인덕터(L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는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L11)에 의해 시간적으로 조절된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을 정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는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와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 및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D9)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D10)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는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3 저항(R13)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 및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C10)에 저장된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제 2 전원 공급부(114)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3 저항(R13)은 하나의 제 13 저항(R13)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전원 공급부(114)는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즉, 제 2 전원 공급부(114)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 제공하거나,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2 전원 공급부(114)는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은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인가를 판단하거나,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은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1)과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2)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1)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C1), 적어도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ZD1)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은 AC/DC 변환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은 하나의 제 1 저항(R1)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C1)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을 통해 직류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하나의 직류 전압을 저장하여 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C1)는 하나의 제 1 커패시터(C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ZD1)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 (R1)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이후에 진술할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2) 및 이후에 진술할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ZD1)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중 하나의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하나의 직류 전압을 항복시키거나,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중 하나의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하나의 직류 전압을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ZD1)는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ZD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2)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 적어도 하나의 제 3 저항(R3),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은 AC/DC 변환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은 하나의 제 2 저항(R2)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을 통해 직류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는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저항(R3)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에 저장된 직류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3 저항(R3)은 하나의 제 3 저항(R3)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 (R2)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C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1) 및 이후에 진술할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항복시키거나,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이후에 진술할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는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은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을 통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으로 판단될 경우,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은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은 일단이 제 1 전원 공급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이후에 진술할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 및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 9, 10 저항(R9, R10)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에 의해 전원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전원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는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에 저장된 전원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전원 전압의 레벨을 다른 전원 전압의 레벨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은 하나의 제 11 저항(R11)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는 제 1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는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C5)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을 통해 다른 전원 전압의 레벨로 조절되어 저장된 다른 전원 전압으로 스위칭 턴온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R9, R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R11)을 통해 제 1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전원 전압을 공급받아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는 스위칭 동작시의 스위칭 손실율을 고려하면서, 전력공급시에 스위칭 동작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는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류 다이오드(D1, D2, D3)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의 제 1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의 제 3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류 다이오드(D1, D2, D3)는 다른 전원 전압의 레벨로 조절되어 저장된 다른 전원 전압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를 스위칭 턴온 동작시킬 시에 일방향으로 정류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전원 전압을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로 제공할 시에 일방향으로 정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류 다이오드(D1, D2, D3)는 제 1 정류 다이오드(D1), 제 2 정류 다이오드(D2), 제 3 정류 다이오드(D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제 1 정류 다이오드(D1)느 애노드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의 제 1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정류 다이오드(D2)는 캐소드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SW3)의 제 3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정류 다이오드(D3)는 캐소드단이 제 1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애노드단이 제 2 정류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은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을 통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을 통해 Controller IC(10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서로 래치(Latch)시킨다.
이때, 전원 공급 차단 수단(114c)은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 적어도 하나의 제 7 저항(R7),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 적어도 하나의 제 8 저항(R8)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은 일단이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접지되어 전압 레벨 판단 수단(114a)을 통해 AC/DC 변환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인 변환된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 4, 5 저항(R4, R5)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에 의해 직류 전압의 레벨이 조절된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인 변환된 직류 전압을 저장하면서 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는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제 1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단이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3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에 저장된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인 변환된 직류 전압으로 스위칭 턴온 동작하고,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받아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로 저장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스위칭 동작시의 스위칭 손실율을 고려하면서, 전력공급시에 스위칭 동작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는 일단이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의 제 2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는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의 일단 및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에 저장된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은 하나의 제 6 저항(R6)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7 저항(R7)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 및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의 제 2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7 저항(R7)은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 및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에 의해 전압의 레벨이 조절되어 저장된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다른 전원 전압의 레벨로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7 저항(R7)은 하나의 제 7 저항(R7)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제 1단이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3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의 스위칭 턴온 동작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R6) 및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C4)에 의해 전압의 레벨이 조절되어 저장된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으로 스위칭 턴온 동작을 하게 된다.
이 후,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받아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SW1)를 지속적으로 스위칭 턴온 동작시켜, 서로 래치(Latch)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제 2 전원 공급 수단(114b)을 통해 Controller IC(10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스위칭 동작시의 스위칭 손실율을 고려하면서, 전력공급시에 스위칭 동작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8 저항(R8)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의 제 3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 및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R4, R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 8 저항(R8)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SW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C3)로 저장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8 저항(R8)은 하나의 제 8 저항(R8)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DP TV, OLED TV, LCD TV, 3D PDP TV, 3D OLED TV, 3D LCD TV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부(102),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 Controller IC(106), 대기모드 동작부(108), 역률 보상부(110), AC/DC 변환부(112), 제 2 전원 공급부(11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킬 시에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과전압에 의해 손상된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횟수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제 1 실시예에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제 1 전원 공급부(102),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 Controller IC(106), 대기모드 동작부(108), 역률 보상부(110), AC/DC 변환부(112), 제 2 전원 공급부(114)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전압 검출기(414)와 식별부(416)를 포함한다.
전압 검출기(414)는 AC/DC 변환부(112) 및 제 2 전원 공급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을 검출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전압 검출기(414)는 제 1 전압 검출기(414a)와 제 2 전압 검출기(414b)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전압 검출기(414a)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전압 검출기(414b)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식별부(416)는 전압 검출기(4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 검출기(414)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식별부(416)는 제 1 식별부(416a)와 제 2 식별부(416b)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식별부(416a)는 제 1 전압 검출기(414a)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식별부(416b)는 제 2 전압 검출기(414b)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4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창(미도시)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표시창(미도시)은 전압 검출기(414)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을 7 segment로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4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는 전압 검출기(414)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발광하거나, 전압 검출기(414)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발광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4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경보기(미도시)는 전압 검출기(414)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경보음을 울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DP TV, OLED TV, LCD TV, 3D PDP TV, 3D OLED TV, 3D LCD TV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제 1 전원 공급부(102), 전원 공급 스위칭부(104), Controller IC(106), 대기모드 동작부(108), 역률 보상부(110), AC/DC 변환부(112), 제 2 전원 공급부(114), 전압 검출기(414), 식별부(41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AC/DC 변환부(112)를 통해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킬 시에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과전압의 상태를 빠르게 식별할 수가 있으므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보다 전원 공급 장치(400)의 내부 부품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보다 과전압에 의해 손상된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횟수를 더욱 줄일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400 : 전원 공급 장치 102 : 제 1 전원 공급부
104 : 전원 공급 스위칭부 106 : Controller IC
108 : 대기모드 동작부 110 : 역률 보상부
112 : AC/DC 변환부 112a : 트랜스포머
112b : AC/DC 변환 수단 112b1 : 제 1 AC/DC 변환 수단
112b2 : 제 2 AC/DC 변환 수단 114 : 제 2 전원 공급부
114a : 전압 레벨 판단 수단 114a1 :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
114a2 :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 114b: 제 2 전원 공급 수단
114c : 전원 공급 차단 수단 414 : 전압 검출기
414a : 제 1 전압 검출기 414b : 제 2 전압 검출기
416 : 식별부 416a : 제 1 식별부
416b : 제 2 식별부

Claims (45)

  1.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 2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Controller IC와;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Controller IC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대기모드 동작부와;
    상기 Controller IC를 통해 제 2 동작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하고 제 1 기준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역률 보상부; 및
    상기 역률 보상부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AC/DC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는,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 제공하거나,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는,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인가를 판단하거나,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전압 레벨 판단 수단과;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제 2 전원 공급 수단; 및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을 통해 상기 Controller IC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서로 래치(Latch)시키는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은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과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은,
    상기 AC/DC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 및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 레벨 판단 수단은,
    상기 AC/DC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 판단 수단 및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전압 레벨 판단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와;
    제 1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와;
    일단이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제 2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의 일단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커패시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제 2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7 저항과;
    제 1단이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6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의 제 3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커패시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8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저항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 4, 5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공급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 및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커패시터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 및
    제 1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1 저항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의 제 1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의 제 3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류 다이오드는,
    애노드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의 제 1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정류 다이오드와;
    캐소드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의 제 3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정류 다이오드; 및
    캐소드단이 상기 제 1 정류 다이오드의 캐소드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애노드단이 상기 제 2 정류 다이오드의 애노드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저항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 9, 10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커플러는,
    제 1단이 상기 Controll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단이 상기 대기모드 동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4 정류 다이오드; 및
    제 3단이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4단이 상기 Controll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보상부는,
    제 1단이 상기 Controll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일단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는 제 5 스위칭 소자와 제 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는,
    제 1단이 상기 Controll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는,
    제 1단이 상기 Controll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이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단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는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 및 제 3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 공급 단자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인덕터는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와 제 2 역률 보상용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는,
    일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 및 상기 AC/DC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 및 상기 AC/DC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률 보상용 인덕터는,
    일단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의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을 일방향으로 정류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 5 스위칭 소자는 제 5 스위칭 소자와 제 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는 제 1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와 제 2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는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의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률 보상용 정류 다이오드는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의 제 2단과 제 3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부는,
    상기 역률 보상부를 통해 역률 보상된 교류 전압의 레벨을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로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통해 가변된 다른 교류 전압의 레벨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AC/DC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는 1차측에 형성된 제 3 인덕터와, 2차측에 형성된 제 4, 5, 6, 7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C/DC 변환 수단은 제 1 AC/DC 변환 수단과 제 2 AC/DC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DC 변환 수단은,
    상기 제 4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8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와;
    상기 제 5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7 정류 다이오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8 정류 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2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6.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AC/DC 변환 수단은,
    상기 제 6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0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와;
    상기 제 7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1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9 정류 다이오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0 정류 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0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3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부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기는 제 1 전압 검출기와 제 2 전압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제 1 식별부와 제 2 식별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검출기는,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식별부는,
    상기 제 1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중 하나의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 검출기는,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식별부는,
    상기 제 2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중 다른 하나의 직류 전압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표시창을 포함하여 제공되고;
    상기 표시창은 상기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을 7 segment로 표시하는 전원 공급 장치.
  43.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상기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미만일 경우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발광하거나, 상기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발광하는 전원 공급 장치.
  44.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경보기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상기 경보기는,
    상기 전압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이미 저장된 제 2 기준 직류 전압 이상일 경우에 경보음을 울리는 전원 공급 장치.
  4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PDP TV, OLED TV, LCD TV, 3D PDP TV, 3D OLED TV, 3D LCD TV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00140017A 2010-12-31 2010-12-31 전원 공급 장치 KR10125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17A KR101251935B1 (ko) 2010-12-31 2010-12-31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17A KR101251935B1 (ko) 2010-12-31 2010-12-31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892A KR20120077892A (ko) 2012-07-10
KR101251935B1 true KR101251935B1 (ko) 2013-04-08

Family

ID=4671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017A KR101251935B1 (ko) 2010-12-31 2010-12-31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602B2 (en) 2018-05-04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8448A (zh) * 2015-06-19 2015-08-26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开关电源及其控制电路和开路保护设置电路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7A (ko) * 1998-07-28 2000-02-15 손욱 원통형 전지의 열 발산장치
KR20100066054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20100085378A (ko) * 2009-01-20 2010-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7A (ko) * 1998-07-28 2000-02-15 손욱 원통형 전지의 열 발산장치
KR20100066054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20100085378A (ko) * 2009-01-20 2010-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602B2 (en) 2018-05-04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892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523B2 (en) Power supply capable of protecting electric device circuit
US8581515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EP2360820B1 (en) Surge protection circuit
US9084320B2 (en) LED luminaire having high power LED drive circuit
AU2014355917B2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US7541746B2 (en) Lamp driver circui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oupled to direct-current to direct-current power converter
EP3537851A1 (en) Led light bar network current foldback circuit, driving power supply and tv set
KR101275415B1 (ko) 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US8867245B1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high-power integrated circuit and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therefor
TW201322576A (zh) 具備保護功能之切換電源電路
US9125260B1 (en) Control system for feedback controlled LED driving circuit
KR20110136537A (ko) 과전압 보호와 정전류 구동을 위한 led 구동 회로 및 방법
KR101540219B1 (ko) 역결선 보호용 엘이디 컨버터 회로
JP2005033994A (ja) 電源回路の保護装置
KR101251935B1 (ko) 전원 공급 장치
JP5606877B2 (ja) バックコンバータ
KR20110030244A (ko) Led 전원공급 장치
US9608434B2 (en) Inverter apparatus having primary-side and secondary-side driver circuits driven by respective DC/DC convert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54363A (ko) 엘이디 구동 제어 장치
KR101547898B1 (ko) Led 구동장치
KR101229733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KR100610365B1 (ko) 램프 구동 전원 시스템의 보호 장치
KR101245789B1 (ko) 인버터 아크 보호 장치
JP200818775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17158292A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