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802B1 -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802B1
KR101250802B1 KR1020120085702A KR20120085702A KR101250802B1 KR 101250802 B1 KR101250802 B1 KR 101250802B1 KR 1020120085702 A KR1020120085702 A KR 1020120085702A KR 20120085702 A KR20120085702 A KR 20120085702A KR 101250802 B1 KR101250802 B1 KR 10125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unit
communication unit
management server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은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은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은계전
Priority to KR102012008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된 추가적인 제2 통신부를 형성하여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도,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으로 태양전지판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통신부의 유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enabl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된 추가적인 제2 통신부를 형성하여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도,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으로 태양전지판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통신부의 유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양광전지 관리시스템은 셀형태의 태양전지셀이 다수개로 형성된 태양전지판을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고 해당 그룹마다 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원거리의 중앙서버에서 그룹형태의 태양전지를 제어, 관리, 감시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셀형태로 형성된 태양전지판의 모듈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여 제어하더라도 다수개의 태양전지판 중에서 하나의 태양전지판이 고장나게 되면, 관리자가 하나의 태양전지판의 고장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태양전지판을 일일이 검사하여 고장 난 태양전지판만을 파악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전지모듈이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된 전지모듈조에서 각각의 전지모듈에 통신부를 형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일정시간간격으로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의 통신부로 자신의 작동상태를 전송하고,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은 다른 인접한 전지모듈로 자신의 작동상태와 다른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추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로 작동상태를 송수신하여 원거리에 형성된 관리서버가 다수개의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이 속한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태양광전지 관리 시스템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태양광전지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전지모듈이 통신부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인접한 전지모듈로 자신의 작동상태와 다른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누적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지모듈조에 속한 임의의 전지모듈의 통신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관리서버가 해당 전지모듈조에 속한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전지 관리 시스템은 통신부가 태양전지판에 부착식으로 붙어있어 떨어지기 쉬워서 유실 또는 도난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된 추가적인 제2 통신부를 형성하여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도,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으로 태양전지판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통신부의 유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 의해 흡수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 관리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접한 전지모듈과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와,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는 제2 통신부로 구성된 전지모듈; 및 상기 전지모듈이 다수개로 연결되되 하나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과 각각의 제1 통신부를 통해 일정시간간격 순차적으로 각각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며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지모듈조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전지모듈조의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끼리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지모듈조의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은 각각의 전지모듈조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상호 일정시간간격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된 추가적인 제2 통신부를 형성하여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도,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으로 태양전지판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통신부의 유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부 전지모듈의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의 일체형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의 일체형 유닛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지모듈(10)과 상기 전지모듈(10)이 다수개로 형성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조(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관리서버(3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10)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11)과 상기 태양전지판(11)에 연결되며 태양전지판(11)에 의해 흡수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 관리하는 전원부(12)와 상기 전원부(12)를 통해 흡수되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부(13), 상기 전원부(1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되 태양전지판(11)의 고장 시 충전부(13)로부터 비상전원을 인가받으며 태양전지판(11)의 전기에너지의 흡수상태를 감시하는 전압감시부(14)와, 상기 전원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5)와,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인접한 전지모듈(10)과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16)와, 관리서버(3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하는 제2 통신부(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는 충전부(13)가 전원부(12)로 일정시간이상 전원공급시 이상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15)는 일몰시간 이후, 충전부(13)에서 일정시간 동안 전원을 인가받아 전지모듈(10)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어부(15)가 충전부(13)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전원을 인가받게 되면, 태양전지판(11)의 고장으로 인한 전원부(12)의 작동중지를 파악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부(15)에서 일몰시간 이후, 일정시간 동안 충전부(1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이유는 일몰시간 이후에도 제어부(15)를 작동시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의 관리서버(3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일몰시간 이후, 충전부(13)에서 전원부(12)와 제어부(15)로 전원을 인가하는 일정시간 동안 모든 전지모듈(30)의 작동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10)에는 태양전지판(11)의 습도, 온도, 수직면, 수평면, 일사량 등 태양전지판(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습도센서(도면에 미도시), 온도센서(도면에 미도시), 수직면세서(도면에 미도시), 수평면센서(도면에 미도시), 일사량센서(도면에 미도시) 등의 다양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태양전지판(11)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조(20)는 상기 전지모듈(10)이 다수개로 연결되되 하나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10)과 각각의 제1 통신부(16)를 통해 일정시간간격 순차적으로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되 인접한 전지모듈(10)의 고장 시, 고장이 난 전지모듈(10)을 건너 띄어 다음 전지모듈(10)로 작동상태를 송수신하되, 고장이 난 전지모듈(10)의 상태를 동시에 송수신하며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전지모듈조(20)의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10)끼리 제1 통신부(1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지모듈조(20)의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10)은 각각의 전지모듈조(20)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상호 일정시간간격으로 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는 상기 전지모듈조(20)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제2 통신부(17)와 개별적으로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서버(30)가 전지모듈조(20d)에 속한 전지모듈(10d-1, 10d-2..10d-10)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관리서버(30)가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의 각각의 전지모듈(10a-n, 10b-n, 10c-n, 10d-n)과 모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는, 상기 제1 통신부(16)의 고장 시,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조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은 인접한 전지모듈의 제1 통신부의 고장 시,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전지모듈을 건너 띄어 다음 전지모듈로 작동상태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6)의 고장 시,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는 과정은 아래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는 상기 제1 통신부(16)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1 통신부(16)로부터 인접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는 상기 제1 통신부(16)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관리서버(30)가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수신하지 못하여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통신부(17)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부(17)가 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는 각 계절별에 따른 일출, 일몰시간과 제어데이터를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에 전송하고, 일몰시간과 일출시간의 전, 후 일정시간동안 전지모듈조(20)로부터 전송되는 고장신호는 별도로 제어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모듈조(20)의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10)은 관리서버(30)와 지그비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전지모듈조(20)에 형성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송수신하도록 하여,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의 관리서버(30)로 송신할 때, 송수신비용이나 데이터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다수개의 전지모듈(1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때, 각각의 전지모듈(10)에 형성된 제1 통신부(16)가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제1 통신부(16)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열에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을 설치하고 인접한 전지모듈(10a-1, 10a-2....10a-n)끼리 각각의 제1 통신부(16a-1, 16a-2....16a-n)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1 통신부(16)는 rs232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뿐만 아니라 지그비(Zigbee) 통신장치와 같은 무선 통신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1...10a-n)이 형성된 하나의 전지모듈조(20a)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전지모듈조(20a, 20b...20n)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최일측의 전지모듈(10a-1, 10b-1...10n-1)끼리 각각 제1 통신부(16a-1, 16b,1...16n-1)를 통해 해당 전지모듈조(20)에 속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도록 하며, 다수개의 전지모듈조(20)에 최일측에 형성된 전지모듈(10a-1, 10b-1...10n-1) 중 임의의 전지모듈조(예를 들어, 20c)에 속한 전지모듈(10c-1)은 원거리의 관리서버(30)와 지그비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전지모듈(10a-1,10-a-2..10b-1, 10b-2...10n-n)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덧붙여, 다수개의 전지모듈(10) 중에서 관리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임의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의 최일측의 전지모듈(10a-1, 10b-1....10n-1)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전지모듈조(20a, 20b...20n)의 최일측의 전지모듈(10a-1, 10b-1....10n-1)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전지모듈조(20a)에 속한 다수개의 전지모듈(10a-4)이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10a-3)로 자신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때, 파손된 전지모듈(10n-n)을 건너 띄고 다음 전지모듈로 자신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지모듈조(20a)에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이 형성되고,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 중에서 3번째의 전지모듈(10a-3)이 고장이 나게 될 경우, 10번의 전지모듈(10a-10)에서 자신의 작동상태를 9번의 전지모듈(10a-9)로 전송하고, 9번의 전지모듈(10a-9)은 자신의 전지모듈(10a-9)의 작동상태와 10번의 전지모듈로(10a-10)부터 전송된 10번의 작동상태를 8번의 전지모듈(10a-8)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4번째의 전지모듈(10a-4)까지 차례대로 각각의 전지모듈(10a-4, 10a-5..10a-10)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4번째의 전지모듈(10a-4)은 3번째의 전지모듈(10a-3)로 4 ~ 10번째의 전지모듈(10a-10 ~ 10a-4)의 작동상태를 전송해야 하는데 3번째의 전지모듈(10a-3)이 고장이 났기 때문에, 2번째의 전지모듈(10a-2)로 4 ~ 10째의 전자모듈(10a-10 ~ 10a-4)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며, 상기 2번째의 전지모듈(10a-2)은 3번째의 전지모듈(10a-3)로부터 해당 작동상태가 전송되지 않았기 때문에, 1번의 전지모듈(10a-1)로 작동상태를 전송할 때에는 2 ~ 10번까지의 전지모듈(10a-2 ~ 10a-10) 중 3번째의 전지모듈(10a-3)만 고장상태이고 나머지 전지모듈(10a-1...10a-10)은 모두 정상작동이라는 신호를 첫 번째의 전지모듈(10a-1)로 보낸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서 최일측의 전지모듈(10b-1, 10c-1..10n-1)은 각자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전지모듈(10)의 상태를 상기와 같이 전송받은 후,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최일측의 전지모듈(10a-1, 10b-1, 10c-1..10n-1)끼리 해당 전지모듈조(20a,20b...20n)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송수신받는다.
예를 들어, 4개의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가 형성되어 있다면, 1 ~ 4번의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에서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의 첫 번째의 전지모듈(10a-1, 10b-1, 10c-1, 10d-1)끼리 자기가 속한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제1 통신부(16a-n, 16b-n, 16cn, 16d-n)를 통해 상호 교환하면서, 3번째의 전지모듈조(20c)의 첫 번째의 전지모듈(10c-1)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고 3번째의 전지모듈조(20c)의 첫 번째 전지모듈(10c-1)은 원거리의 관리서버(30)로 모든 전지모듈조(20)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전지모듈(10)이 속한 다수개의 전지모듈조(20)와 관리서버(30)를 설치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서버(30)를 통해 해당 지역별, 계절별에 따른 일몰시간과 일출시간 및 각각의 전지모듈(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자가 각각의 전지모듈에 지역별, 계절별에 따른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을 지정하는 이유는 일출시간 직후, 일몰시간 직전에는 태양 빛의 세기가 약하여, 전지모듈(10)의 전압감시부(14)에서 태양 빛에 따른 전원부(12)로 인입되는 전기량을 감지할 때, 전지모듈(10)의 제어부(15)가 태양전지판(11)의 태양흡수량의 부족에 따른 태양전지판(11)을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지정한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의 직후와 직전의 시간에 전지모듈(10)로부터 전송되는 고장신호에 대해서는 태양전지판(11)의 고장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관리자가 태양전지판(11)의 고장여부를 별도로 확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다수개의 전지모듈(10)과 다수개의 전지모듈조(20)로 설치하고 태양으로부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을 하나의 전지모듈조(20a)로 형성하고, 상기 전지모듈조(20a)를 4개의 전지모듈조(20a, 20b..20n)로 형성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첫 번째의 전지모듈조(20a)에서 10개의 전지모듈(10a-1..10a-n)이 각각 제1 통신부(16a-1..16a-n)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두 번째의 전지모듈조(20b)에서도 상기와 같이 10개의 전지모듈(10b-1..10b-n)이 각각 제1 통신부(16b-1..16b-n)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4개의 전지모듈조(20a, 20b..20n)를 형성하도록 하며,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첫 번째의 전지모듈(10a-1, 10b-1..10n-1)끼리 제1 통신부(16a-1, 16b-1..16n-1)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목적에 알맞게 전지모듈(10)의 갯 수를 임의대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러면,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전지모듈(10)의 태양전지판(11)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면서, 전지모듈(10)의 전원부(12)로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각각의 충전부(13)에 전원을 충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2)에서 전압감시부(14)와 제어부(15), 제1 통신부(16) 및 제2 통신부(17)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에서는 전압감시부(14)를 통해 전원부(12)로 인입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태양전지판(11)에 의해 변환되는 전압을 감시하여 일정한 전압 이하로 전원부(12)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전지모듈(10)이 파손되었음을 인지하고 인접한 전지모듈(10)로 작동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원부(12)로 인가되는 전원이 17V를 기준으로 ±10V 이내에 정해진 전압일 때는 정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이나 이하로 전압이 충전될 때에는 해당 전지모듈(10)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를 해당 전지모듈(10)의 제1 통신부(16)를 통해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10)로 보내거나, 해당 전지모듈(10)의 제1 통신부(16) 고장 시, 제2 통신부(17)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직접 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전지모듈(10)에 속한 전원부(12)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15), 제1 통신부(16) 및 제2 통신부(17) 등과 같이 전지모듈(10)에 속한 장치가 작동될 수 있는 전원을 인가함은 물론, 전기에너지를 별도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지모듈(10)과 전지모듈조(20), 관리서버(30)가 설치되고 각각의 전지모듈(10)에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해당 전지모듈조(20)의 전지모듈(10)에서 일정시간간격(1분, 2분, 10분, 30분 등 사용자가 지정한 다양한 시간)으로 인접한 전지모듈(10)로 자신의 작동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한다.
그러면, 각 전지모듈조(20)의 최일측에 위치한 전지모듈(10a-1, 10b-1..10n-1)끼리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20n)에 속한 모든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교환하고, 임의의 전지모듈조(20n)에 속한 최일측의 전지모듈(10n-1)이 원거리의 관리서버(30)로 모든 전지모듈조(20)의 전지모듈(20)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임의의 전지모듈조(20)에 속한 임의의 전지모듈(10)의 태양전지판(11)이 파손되게 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1)이 태양에너지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될 경우, 태양전지판(11)이 파손되기 전까지 전지모듈(10)의 충전부(13)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충전부(13)에서 제어부(15)로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 동안 해당 전지모듈(10)의 이상신호를 인접한 전지모듈(10)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전지모듈조(10a)의 7번째의 태양전지판(11a-7)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7번째의 태양전지판(11a-7)에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게 되면, 해당 충전부(13a-7)에서 제어부(15a-5)로 1시간 동안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부(13a-7)에서 제어부(15a-7)로 전원을 인가하는 1시간 동안 인접한 전지모듈(10a-6)로 해당 전지모듈(10a-7)의 이상상황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관리서버(30)에서는 일정시간 동안 모든 전지모듈조(20a...20n)에 속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임의의 태양전지판(11a-7)이 파손된 전지모듈(10a-7)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파손된 전지모듈(10a-7)만 선택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지모듈조(20a...20n)에 속한 전지모듈(10)의 일부 전지모듈(10)의 제1 통신부(16)가 고장 난 경우, 제1 통신부(16)가 고장난 전지모듈(10)의 제2 통신부(17)를 이용하여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전지모듈조(20)에 속한 전지모듈(10)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때, 관리자가 지정한 계절별로 지정한 시간(예를 들어, 6월의 일출시간은 7시, 일몰시간은 6시에서 일출시간 직후 한시간, 일몰시간 직전 1시간)에 전송되는 고장신호에 대해서는 별도로 관리하도록 한다.
이는, 태양의 일출시간 직후나 일몰시간 직전의 전, 후의 임의의 시간 동안에는 햇빛의 강도가 약해지면서 태양전지판(11)이 태양으로부터 흡수되는 태양에너지가 작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한 전압 이하로 충전되게 된다.
그래서, 태양전지판(11)이 파손되지 않더라도 태양 빛의 강도에 따른 태양에너지의 흡수량을 전압감시부(14)가 오감지하여 해당 전지모듈(10)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오작동신호를 인접한 전지모듈(10)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하게 되어 관리자가 오작동신호에 따라 전지모듈(10)이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 해당 전지모듈(10)을 재검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태양이 일몰하여 태양전지판(11)에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더라도 관리자가 지정한 임의의 시간(30분, 1시간 등)동안은 각각의 전지모듈(10)에 속한 충전부(13)에서 제어부(15)로 전원을 인가하여 전지모듈(10)이 태양의 일몰에 의해 바로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충전부(13)가 제어부(15)로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 동안 해당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는, 각각의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는 물론, 고장상태를 태양의 일몰시간이후 일정시간 동안 관리서버(3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손쉽게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태양전지판(11)에 충전부(13), 제어부(15), 전압감시부(14) 등을 설치하여 해당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자신이 직접 인접한 전지모듈(10)과 상기 인접한 전지모듈(10)을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하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다수개로 형성된 전지모듈(10)의 각각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하여 관리자가 다수개의 전지모듈(10)에서 파손된 하나의 태양전지판(11)만을 별도로 확인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부 전지모듈의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모듈조(20a...20n)에 속한 전지모듈(10)의 일부 전지모듈(10)의 제1 통신부(16)가 고장 난 경우, 제2 통신부(17)를 이용하여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할 수 있는데, 도 3은 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서버(30)가 전지모듈조(20d)에 속한 전지모듈(10d-1, 10d-2..10d-10)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관리서버(30)가 각각의 전지모듈조(20a, 20b, 20c, 20d)의 각각의 전지모듈(10a-n, 10b-n, 10c-n, 10d-n)와 모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 하나의 전지모듈조(20a)에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이 형성되고, 10개의 전지모듈(10a-1, 10a-2...10a-n) 중에서 3번째의 전지모듈(10a-3)이 고장이 나고,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1 통신부(미도시)가 고장이 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O'는 해당 전지모듈이 정상이라는 표시이고, 'X'는 해당 전지모듈이 고장이라는 표시이며, '?'는 해당 전지모듈의 제1 통신부가 고장이라는 표시이다.
도 3를 참조하면, 10번의 전지모듈(10a-10)에서 자신의 작동상태를 9번의 전지모듈(10a-9)로 전송하고, 9번의 전지모듈(10a-9)은 자신의 전지모듈(10a-9)의 작동상태와 10번의 전지모듈로(10a-10)부터 전송된 10번의 작동상태를 8번의 전지모듈(10a-8)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7번째의 전지모듈(10a-7)까지 차례대로 각각의 전지모듈(10a-8, 10a-9, 10a-10)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7번째의 전지모듈(10a-7)은 6번째의 전지모듈(10a-6)로 7 ~ 10번째의 전지모듈(10a-10 ~ 10a-7)의 작동상태를 전송해야 하는데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1 통신부가 고장이 났기 때문에, 5번째의 전지모듈(10a-5)로 7 ~ 10번째의 전자모듈(10a-10 ~ 10a-7)의 작동상태를 전송한다. 그리고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은 제2 통신부를 통해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한다.
이 때,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는 과정은 아래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7 ~ 10번째의 전자모듈(10a-10 ~ 10a-7)의 작동상태의 작동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1 통신부가 고장나지 않았다면, 인접한 7번째의 전지모듈(10a-7)로부터 작동상태가 수신되었어야 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어부는 제1 통신부가 고장나서 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통신부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상태를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관리서버(30)가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작동상태를 수신하지 못하여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통신부(17)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부(17)가 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17)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10)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30)는 특정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전지모듈로 제2 통신부를 통해 해당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고, 해당 전지모듈은 제2 통신부를 통해 작동상태를 관리서버(30)로 직접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고 나면, 상기 5번째의 전지모듈(10a-5)은 6번째의 전지모듈(10a-6)로부터 해당 작동상태가 전송되지 않았기 때문에, 4번째의 전지모듈(10a-4)로 작동상태를 전송할 때에는 5 ~ 10번까지의 전지모듈(10a-5 ~ 10a-10) 중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은 제1 통신부의 고장상태이고 나머지 전지모듈(10a-5, 10a-7...10a-10)은 모두 정상작동이라는 신호를 4번째의 전지모듈(10a-4)로 보낸다.
그리고 4번째의 전지모듈(10a-4)은 3번째의 전지모듈(10a-3)로 4 ~ 10번째의 전지모듈(10a-10 ~ 10a-4)의 작동상태를 전송해야 하는데 3번째의 전지모듈(10a-3)이 고장이 났기 때문에, 2번째의 전지모듈(10a-2)로 4 ~ 10번째의 전자모듈(10a-10 ~ 10a-4)의 작동상태를 전송하며, 상기 2번째의 전지모듈(10a-2)은 3번째의 전지모듈(10a-3)로부터 해당 작동상태가 전송되지 않았기 때문에, 1번의 전지모듈(10a-1)로 작동상태를 전송할 때에는 2 ~ 10번까지의 전지모듈(10a-2 ~ 10a-10) 중 3번째의 전지모듈(10a-3)은 고장상태이고, 6번째의 전지모듈(10a-6)은 제1 통신부의 고장상태이며, 나머지 전지모듈(10a-1, 10a-2, 10a-4, 10a-5, 10a-7...10a-10)은 모두 정상작동이라는 신호를 첫 번째의 전지모듈(10a-1)로 보낸다.
도 3에 도시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나머지 동작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된 추가적인 제2 통신부를 형성하여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부의 고장 시에도,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의 일체형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은 태양전지판(11)을 제외한 구성이 일체형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은 태양전지판(11) 후면에 상기 일체형 유닛(100)을 탈착 가능한 홈(40)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체형 유닛(100)은 제1 통신부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101), 제2 통신부가 유선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 단자(102),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통합된 본체(103), 전원선(1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101)는 본체(103)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선(104)은 본체(103)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선 단자(102)는 본체(103)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 유닛(100)은 본체(103)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원선(104) 중 일부를 감싸는 전원선 보호캡(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40)은 전원선 보호캡(105)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05)을 포함할 수 있다. 홈(40)에 일체형 유닛(100)이 장착될 때, 전원선 보호캡(105)의 돌출 방향으로 전원선 보호캡(105)의 끝단과 수용홈(105) 사이에 공간(20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104)은 본체(103)의 타측면에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홈(40)은 전원선(104)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원선(104)을 수용하는 2개의 수용홈(106, 107) 및, 수용홈들(106, 107) 사이의 부분인 차단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홈(40)에 일체형 유닛(100)이 창작될 때, 차단부(108)와 본체(103) 간의 거리(d1)가, 수용홈(106, 107) 중 전원선 보호캡(105)의 끝단과 마주보는 면과 본체(103) 간의 거리(d2)보다 짧을 수 있다.
홈(40)에 일체형 유닛(100)이 창작될 때, 일체형 유닛(100)의 측면과, 일체형 유닛(100)의 측면과 마주보는 홈(40)의 면 사이에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의 일체형 유닛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일체형 유닛이 빠져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일체형 유닛이 장착되어 있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서와 같이, 홈(40)은 일체형 유닛(100)이 탈착 가능하도록, 일체형 유닛(1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체형 유닛(100)이 홈(40)에 장착될 때, 홈(40) 가장자리 상부 중 일부에 돌출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일체형 유닛(100)이 장착되고 난 후에 일체형 유닛(100)이 상기 돌출부에 걸림으로 인해 일체형 유닛(100)이 홈(40) 내부에서 움직이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 유닛(100)이 홈(40)에 장착될 때, 일체형 유닛(100)을 관통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일체형 유닛(100)을 홈(40)에 고정함으로써, 일체형 유닛(100)이 홈(40) 내부에서 움직이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체형 유닛(100)을 홈(40)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기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일체형 유닛(100)을 홈(4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의 태양전지판(11) 후면의 상기 일체형 유닛(100)을 탈착 가능한 홈(40)에는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홈(40)에서 일체형 유닛(100)을 뺄 경우에 경고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는 후크 스위치, 적외선센서 등일 수 있다.
홈(40)은 전원선을 수용하는 2개의 수용홈(106, 107) 및, 수용홈들(106, 107) 사이의 부분인 차단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지모듈은 상기 일체형 유닛(100)을 덮을 수 있는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형 유닛(100)으로 물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는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원부, 충전부, 전압감시부, 제어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가 일체형 유닛으로 태양전지판 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신부의 유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전지모듈 11: 태양전지판
12: 전원부 13: 충전부
14: 전압감시부 15: 제어부
16: 제1 통신부 17: 제2 통신부
20: 전지모듈조 30: 관리서버

Claims (15)

  1.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 의해 흡수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 관리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접한 전지모듈과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와, 관리서버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는 제2 통신부로 구성된 전지모듈; 및
    상기 전지모듈이 다수개로 연결되되 하나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인접한 다른 전지모듈과 각각의 제1 통신부를 통해 일정시간간격 순차적으로 각각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호 송수신하는 전지모듈조로 구성되되,
    상기 전지모듈조의 한쪽 맨 끝에 위치한 전지모듈끼리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지모듈조의 한쪽 맨 끝에 위치한 전지모듈은 각각의 전지모듈조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상호 일정시간간격으로 송수신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수신된 각각의 전지모듈의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작동 상태 정보를 수신받지 못한 전지모듈을 추출하고, 추출된 전지모듈의 제 2 통신부로 작동 상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추출된 전지 모듈은 작동 상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 2 통신부를 통해 작동 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지모듈조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의 제2 통신부와 개별적으로 유선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의 고장 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고,
    상기 전지모듈조에 형성된 각각의 전지모듈은,
    인접한 전지모듈의 제1 통신부의 고장 시, 제1 통신부가 고장 난 전지모듈을 건너 띄어 다음 전지모듈로 작동상태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인접한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직접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조는,
    인접한 전지모듈의 고장 시, 고장 난 전지모듈을 건너 띄어 다음 전지모듈로 작동상태를 송수신하되, 고장 난 전지모듈의 상태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계절별에 따른 일출, 일몰시간과 제어데이터를 각각의 전지모듈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일몰시간과 일출시간의 전, 후 일정시간동안 전지모듈조로부터 전송되는 고장신호는 별도로 제어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전원부를 통해 흡수되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되 태양전지판의 고장 시 충전부로부터 비상전원을 인가받으며 태양전지판의 전기에너지의 흡수상태를 감시하는 전압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원부, 제어부, 제 1 통신부 및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테나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원선 및,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는 유선 단자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 후면에 상기 일체형 유닛을 탈착 가능한 홈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원선 중 일부를 감싸는 전원선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전원선 보호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상기 일체형 유닛이 장착될 때, 상기 전원선 보호캡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전원선 보호캡의 끝단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본체의 타측면에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전원선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선을 수용하는 2개의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들 사이의 부분인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에 상기 일체형 유닛이 창작될 때, 상기 차단부와 상기 본체 간의 거리가, 상기 수용홈 중 상기 전원선 보호캡의 끝단과 마주보는 면과 상기 본체 간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상기 일체형 유닛이 창작될 때, 상기 일체형 유닛의 측면과, 상기 일체형 유닛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홈의 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 후면의 상기 일체형 유닛을 탈착 가능한 홈에는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15. 삭제
KR1020120085702A 2012-08-06 2012-08-06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5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02A KR101250802B1 (ko) 2012-08-06 2012-08-06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02A KR101250802B1 (ko) 2012-08-06 2012-08-06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802B1 true KR101250802B1 (ko) 2013-04-08

Family

ID=4844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02A KR101250802B1 (ko) 2012-08-06 2012-08-06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8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81B1 (ko) *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9774B1 (ko) *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별 솔라셀 패널 감시 장치
KR101420644B1 (ko) * 2014-02-14 2014-07-18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무선 통합 접속반
KR20140123622A (ko) * 2013-04-11 2014-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방법
KR20200129659A (ko) 2019-05-09 2020-11-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분산형 센서노드시스템을 적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323391B1 (ko) * 2020-07-22 2021-11-09 안지영 태양광 발전소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30075537A (ko) * 2021-11-23 2023-05-31 뉴토크코리아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라인을 이용한 원격 액츄에이터 운용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65B1 (ko) * 2009-06-19 2009-09-24 주식회사 대은계전 개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07292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6064B1 (ko) 2010-11-22 2011-09-20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10117562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65B1 (ko) * 2009-06-19 2009-09-24 주식회사 대은계전 개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07292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7562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66064B1 (ko) 2010-11-22 2011-09-20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622A (ko) * 2013-04-11 2014-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방법
KR101409781B1 (ko) *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9774B1 (ko) *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별 솔라셀 패널 감시 장치
KR101420644B1 (ko) * 2014-02-14 2014-07-18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무선 통합 접속반
KR20200129659A (ko) 2019-05-09 2020-11-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분산형 센서노드시스템을 적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323391B1 (ko) * 2020-07-22 2021-11-09 안지영 태양광 발전소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30075537A (ko) * 2021-11-23 2023-05-31 뉴토크코리아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라인을 이용한 원격 액츄에이터 운용시스템
KR102654774B1 (ko) * 2021-11-23 2024-04-04 뉴토크코리아 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라인을 이용한 원격 액츄에이터 운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802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0919065B1 (ko) 개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03718425B (zh) 用于将标识符分配给多bms的系统和方法
US20190263282A1 (en) Integrated photovoltaic charging, storage and swapping station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therefor
CN101800490B (zh) 光电电池器件以及故障确定方法
WO2009056957A2 (en) Antitheft and control system for solar panels
CN102667515A (zh) 蓄电池控制装置架构
KR101023445B1 (ko) 태양전지모듈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CN105280967B (zh) 带蓝牙模块bms电池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及电动车
KR101027314B1 (ko) 다중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04377750A (zh) 电池系统、控制电池系统的方法和能量存储系统
KR101219882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무선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04798278A (zh) 能量存储系统和模块通信
CN203005128U (zh) 一种具有gprs功能的电池监控管理装置
CN104205477A (zh) 用于激活蓄电池的多个监控单元的方法、蓄电池和具有这种蓄电池的机动车
KR102536187B1 (ko) 태양광 발전의 분산형 에너지 저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3010042A (zh) 一种可以支持网络工作的电池管理系统
CN109873496A (zh) 高压费控用线缆及高压费控用线缆系统
CN105098905A (zh) 电动汽车充电站电池监控管理方法
EP3046202B1 (en) Photovoltaic device
KR102395120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누전감시장치 셋업방법
KR101360401B1 (ko)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JP5346185B2 (ja) 配電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
CN103269127B (zh) 通讯基站电源的远程监控系统和远程监控方法
CN206628858U (zh) 电池箱充电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