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367B1 -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367B1
KR101250367B1 KR1020110040793A KR20110040793A KR101250367B1 KR 101250367 B1 KR101250367 B1 KR 101250367B1 KR 1020110040793 A KR1020110040793 A KR 1020110040793A KR 20110040793 A KR20110040793 A KR 20110040793A KR 101250367 B1 KR101250367 B1 KR 10125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exhaust pipe
ignition combustion
soot fil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59A (ko
Inventor
유영환
조재득
정용현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어스
Priority to KR102011004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eated, e.g. by heating tank or supply line of the added substance
    • F01N2610/107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eated, e.g. by heating tank or supply line of the added substance using glow plug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8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는 일측은 엔진(E)에 연결되며 타측은 매연여과필터(F)에 연결된 배기관(V)에 연결되고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거나 무화(霧化)되어 상기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부재(210)를 구비하는 착화연소무화부(200);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 상류의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배기관(V)에 분사되도록 구성된 분사부(300); 및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 하류의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촉매가 포함되어 상기 배기관(V)에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되도록 구성된 촉매연소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는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부재(210)가 구비되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무화되도록 구성된 무화부(220)와, 상기 무화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V)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부재(210)에 의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 또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착화연소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연소부(230) 또는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APPARATUS FOR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DIESEL PARTICULATE MAT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기가스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 특히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디젤엔진에는 발생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을 포집하여 매연이 제거된 상태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매연저감장치가 부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매연저감장치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을 포집하는 매연여과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되는 매연의 양이 증가되어 매연여과필터의 매연포집한도를 넘어서게 되면 배기가스의 압력이 증가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배출에 저항이 생기게 되고, 자동차의 출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의 양이 매연여과필터의 매연포집한도를 넘어서기 전에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즉, 매연여과필터에서 매연이 다시 포집될 수 있도록 매연여과필터를 재생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매연저감장치에는 이러한 매연여과필터의 재생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한다.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은 보통 탄소가 주성분이다. 탄소는 대기의 산소농도조건에서 600℃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효율적으로 연소될 수 있다. 따라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600℃이상의 온도로 5분 이상 지속되도록 하면,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이 연소되어 매연여과필터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연여과필터가 재생될 수 있는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에 이르지 못하거나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에 이른다 하더라도 그 유지시간이 매우 짧다.
그러므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에서는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여서,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이 연소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매연여과필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의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에서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가열하거나 배기가스 내에서 별도로 분사된 경유 등과 같은 연료가 연소되도록 하여 배기가스를 가열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배기가스를 충분히 가열하지 못한다거나, 빈번하게 바뀌는 엔진의 작동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서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매연여과필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 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는 일측은 엔진에 연결되며 타측은 매연여과필터에 연결된 배기관에 연결되고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거나 무화(霧化)되어 배기관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부재를 구비하는 착화연소무화부; 착화연소무화부 상류의 배기관에 연결되며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배기관에 분사되도록 구성된 분사부; 및 착화연소무화부 하류의 배기관에 연결되며 촉매가 포함되어 배기관에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되도록 구성된 촉매연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착화연소무화부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플러그부재가 구비되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무화되도록 구성된 무화부와, 무화부에 연결되어 배기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플러그부재에 의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 또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배기관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착화연소부를 포함하고, 착화연소부는 또는 분사부는 배기관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플러그부재는 글로우 플러그(Glow Plug)일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착화연소무화부와 촉매연소부 사이에는 배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무화부에서의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부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여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매연여과필터를 재생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분사부 상류의 배기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거나 재생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매연여과필터를 재생하고, 분사부 상류의 배기관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이 되거나 재생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착화연소무화부에서의 착화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를 재생하고, 엔진의 중고속주행시에는 촉매연소부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분사부를 통해 배기관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보다 낮은 소정의 설정된 예열온도로 높인 후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중속주행시에 촉매연소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가 이루어지는 온도에 이르지 않으면 착화연소무화부에서 착화연소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는 엔진에 일측이 연결되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배기관; 배기관의 타측에 연결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이 포집되는 매연여과필터; 및 매연여과필터 전의 배기관에 연결되며 엔진의 작동상태에 따라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여 매연여과필터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매연여과필터를 전술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매연여과필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엔진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엔진의 중고주행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100)는 착화연소무화부(200), 분사부(300), 촉매연소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착화연소무화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은 엔진(E)에 연결되고 타측은 매연여과필터(F)에 연결된 배기관(V)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착화연소무화부(20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착화연소무화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공급원(600)과 연료공급원(7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공급원(600)과 착화연소무화부(200)를 연결하는 배관에 연료공급원(700)에 연결된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공기공급원(6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공급원(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혼합되어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연료공급원(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는 공기와 혼합될 때 약간의 무화(霧化)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되면서 무화가 완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구성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되는 연료는 탄화수소(HC)계인 경유일 수 있다. 그러나,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되는 연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소가능한 것이라면 가솔린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료공급원(600)은 엔진(E)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 또는 연료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연료공급원(600)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공급원(700) 또한 엔진(E)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 또는 터보챠저 등일 수 있다. 그러나, 공급공급원(700) 또한 이외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착화연소무화부(200)는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거나 무화되어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착화연소무화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플러그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부재(210)에 의해서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되어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가열되어 착화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부재(210)는 예열 플러그인 글로우 플러그(Glow Plug)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부재(210)로 예열 플러그인 글로우 플러그가 사용되면, 글러우 플러그에 내장된 히팅 필라멘트 등의 발열체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재(210) 주위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가열되며 이에 포함된 연료의 기화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글러우 플러그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서 가열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온도가 연료의 연소온도에 이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점화되어 착화연소될 수 있다.
플러그부재(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글로우 플러그에 한정되지 않고,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가열되고 연소온도에 이르러 착화연소될 수 있는 것이라면 스파크 플러그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착화연소무화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무화부(220)와, 착화연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무화부(220)는 배기관(V)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플러그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2와 도3에 도시된 비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무화부(220)는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무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무화부(220)에 선회되도록 유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화부(2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관(V)에 연결되며 플러그부재(210)가 구비되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무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착화연소부(23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무화부(220)에 연결되어 배기관(V)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재(210)에 의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착화연소부(230)는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화연소부(230)가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되면,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 또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배기관(V)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사부(300)는 착화연소무화부(200) 상류의 배기관(V)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배기관(V)에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분사부(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공급원(600)과 연료공급원(7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공급원(600)과 분사부(300)를 연결하는 배관에 연료공급원(700)에 연결된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원(6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공급원(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혼합되어 분사부(3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00)에 연결된 배관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어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V)가 닫히면, 분사부(300)를 통한 배기관(V)으로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V)가 열리면, 분사부(300)를 통한 배기관(V)으로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사부(300)도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부(300)가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분사부(300)를 통해 배기관(V)으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촉매연소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300) 하류의 배기관(V)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V)에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온도가 연소온도에 이르지 않아도,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촉매에 의해서 산화되어 발열되는 촉매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촉매연소를 위해서, 촉매연소부(4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촉매가 포함될 수 있다. 촉매연소부(400)에 포함되는 촉매는 백금이나 팔라듐 등과 같은 귀금속계 산화촉매일 수 있다. 그러나, 촉매연소부(400)에 포함되는 촉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촉매연소될 수 있는 것이라면 백금이나 팔라듐 이외에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촉매연소부(4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부재에 촉매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촉매연소부(400)는 이외에도 매연여과필터(F)의 전단부 또는 전체에 촉매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하고 배기관(V)에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소가스나 배기가스는 이미 연료가 연소되어 안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촉매연소부(400)를 유동한다고 하더라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와 촉매연소부(400) 사이에는 배플(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플(B)에 의해서 연소가스나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 또는 이들과 혼합되는 배기가스가 매연여과필터(F)에 고르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 필터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자동차에 구비된 ECU(전자제어유닛: 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500)는 ECU에 한정되지 않고, ECU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에서는 엔진(E)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연소부(400)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 예컨대 600℃이상의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연여과필터(F)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5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엔진(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에서는 예컨대,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이나, 중속주행 또는 고속주행 등의 엔진(E)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500)는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부(300)에 연결된 배관에 구비된 전술한 제어밸브(V)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재(21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어부(500)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을 작동하여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플러그부재(210)를 작동시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가 배기관(V)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어밸브(V)를 개방하여 분사부(3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배기관(V)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 하류의 배기관(V)에서 2차 착화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을 작동하여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플러그부재(210)를 작동시키지 않고 제어밸브(V)는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 유입되어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배기관(V)으로 유동하여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SP),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 화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화염온도측정센서(STb), 촉매연소부(400) 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센서(T1) 및, 매연여과필터(F) 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측정센서(T2)에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압력측정센서(SP)에서 측정된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거나 재생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측정센서(SP)에서 측정된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이 40mbar이상이거나 재생 종료 후 3시간 내지 6시간이 경과하면, 엔진(E)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부(400)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압력측정센서(SP)에서 측정된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40mbar 미만이 되거나 재생 후 소정의 시간, 예컨대 5분 내지 10분이 경과하면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엔진(E)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할 수 있다. 엔진(E)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배기관(V)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250℃이상의 온도가 되지 않기 때문에, 착화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인 600℃이상으로 상승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즉, 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측정센서(SP)에서 측정된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거나 재생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엔진(E)이 공회전하거나 저속주행하는 때에는,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을 작동하여 연료와 공기를 착화연소무화부(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플러그부재(21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무화부(200)의 무화부(220)에 유입되어 무화된 후 착화연소부(230)에서 플러그부재(210)에 의해서 착화연소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V)으로 유동하여 배기가스와 혼합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한편, 이 경우 제어부(5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V)를 개방하여 분사부(300)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배기관(V)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부(300)에 의해서 배기관(V)에 분사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에 의해서 배기관(V)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착화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와 함께 2차 착화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와 혼합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 상승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500)는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에서의 연료와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2온도측정센서(ST2)에서 측정된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보다 낮은 소정의 설정된 예열온도, 예컨대 300℃로 먼저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에서의 연료와 공기의 공급량을 높혀서 제2온도측정센서(ST2)에서 측정된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 예컨대 600℃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와 공기의 급격한 공급에 의한 연료로 탄화수소(HC)계를 쓰는 경우의 HC SLIP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매연여과필터(F)의 열충격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나 전술한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와 분사부(300)를 통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배기관(V)으로의 분사에 의한 2차 착화연소에 의한 연소가스는 촉매연소부(400)를 유동하여도 촉매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이미 연료가 연소되어 안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촉매에 의해서 별다른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와 분사부(300)를 통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배기관(V)으로의 분사에 의한 2차 착화연소에 의한 연소가스가 배기관(V)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혼합되면,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인 600℃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엔진(E)의 중고속주행시에는 촉매연소부(400)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할 수 있다. 엔진(E)의 중고속주행시에는 배기관(V)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250℃ 이상의 온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측정센서(SP)에서 측정된 분사부(300) 상류의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거나 재생 종료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엔진(E)이 중고속주행하는 때에는, 연료공급원(600)과 공기공급원(700)을 작동하여 연료와 공기를 착화연소무화부(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재(21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무화부(200)의 무화부(220)에 유입되어 무화된 후 착화연소부(230)에서 배기관(V)으로 유동하여 배기가스와 혼합된다. 그리고,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은 촉매연소부(400)에 유입되어 촉매연소된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인 600℃이상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엔진(E)의 중속주행시에는 배기관(V)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250 ℃이상의 온도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엔진(E)의 중속주행시에는 촉매연소부(400) 전의 온도를 제1온도측정센서(ST1)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온도측정센서(ST1)에 의해서 측정된 촉매연소부(4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가 이루어지는 온도, 즉 전술한 바와 같이 250℃이상의 온도에 이르지 않으면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촉매연소부(4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와 혼합되어 촉매연소가 이루어지는 온도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착화연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되지 못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부(400)로 유동하여 촉매연소부(400)에서 촉매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인 600℃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연저감장치(1)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기관(V)과, 매연여과필터(F) 및 전술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관(V)은 일측이 엔진(E)에 연결되며 엔진(E)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유동될 수 있다. 엔진(E)은 디젤엔진일 수 있다. 그러나, 엔진(E)은 디젤엔진에 한정되지 않고, 가솔린 엔진 등 배기가스가 나오는 엔진이라면 어떠한 엔진이라도 가능하다.
매연여과필터(F)는 배기관(V)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연여과필터(F)에 의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이 포집될 수 있다.
전술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매연여과필터(F) 전의 배기관(V)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매연연과필터 재생장치(100)에 의해서 엔진(E)의 작동상태에 따라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에 의해서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연여과필터(F)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어 매연여과필터(F)가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매연여과필터(F)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이 계속하여 포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100)와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1)를 사용하면,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로 매연여과필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매연여과필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엔진의 작동 전영역에서 재생의 중단 없이 매연여과필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 매연저감장치 100 :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200 : 착화연소부 210 : 플러그부재
220 : 무화부 230 : 착화연소부
300 : 분사부 400 : 촉매연소부
500 : 제어부 600 : 연료공급원
700 : 공기공급원 E : 엔진
F : 매연여과필터 V : 배기관
CV : 제어밸브 B : 배플
SP : 압력측정센서 STb : 화염온도측정센서
ST1 : 제1온도측정센서 ST2 : 제2온도측정센서

Claims (13)

  1. 일측은 엔진(E)에 연결되며 타측은 매연여과필터(F)에 연결된 배기관(V)에 연결되고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거나 무화(霧化)되어 상기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부재(210)를 구비하는 착화연소무화부(200);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 상류의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유입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배기관(V)에 분사되도록 구성된 분사부(300); 및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 하류의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촉매가 포함되어 상기 배기관(V)에서 유동하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촉매연소되도록 구성된 촉매연소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는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부재(210)가 구비되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어 무화되도록 구성된 무화부(220)와, 상기 무화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V)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부재(210)에 의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착화연소되어 발생된 연소가스 또는 무화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배기관(V)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착화연소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연소부(230) 또는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배기관(V)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210)는 글로우 플러그(Glow Pl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와 상기 촉매연소부(400) 사이에는 배플(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E)의 작동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 또는 상기 촉매연소부(400)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상기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상기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여 상기 매연여과필터(F)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하는 제어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분사부(300) 상류의 상기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거나 재생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하고,
    상기 분사부(300) 상류의 상기 배기관(V)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이 되거나 재생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진(E)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의 착화연소에 의해서 상기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하고, 상기 엔진(E)의 중고속주행시에는 상기 촉매연소부(400)에서의 촉매연소에 의해서 상기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진(E)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상기 분사부(300)를 통해 상기 배기관(V)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진(E)의 공회전이나 저속주행시에는 상기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기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보다 낮은 소정의 설정된 예열온도로 높인 후 상기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진(E)의 중속주행시에 상기 촉매연소부(4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연소가 이루어지는 온도에 이르지 않으면 상기 착화연소무화부(200)에서 착화연소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13. 엔진(E)에 일측이 연결되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배기관(V);
    상기 배기관(V)의 타측에 연결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이 포집되는 매연여과필터(F); 및
    상기 매연여과필터(F) 전의 상기 배기관(V)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E)의 작동상태에 따라 착화연소 또는 촉매연소에 의해서 상기 매연여과필터(F)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상기 매연여과필터(F)의 재생온도가 되도록 하여 상기 매연여과필터(F)에 포집된 매연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매연여과필터(F)를 재생하는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매연저감장치.
KR1020110040793A 2011-04-29 2011-04-29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KR10125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93A KR101250367B1 (ko) 2011-04-29 2011-04-29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93A KR101250367B1 (ko) 2011-04-29 2011-04-29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59A KR20120122559A (ko) 2012-11-07
KR101250367B1 true KR101250367B1 (ko) 2013-04-09

Family

ID=4750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93A KR101250367B1 (ko) 2011-04-29 2011-04-29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4342B (zh) * 2015-08-24 2017-10-13 齐齐哈尔大学 一种汽车尾气净化装置
CN106437963A (zh) * 2016-08-22 2017-02-22 宁波德普福斯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柴油机尾气负压高温自动再生净化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729A (ja) * 1998-09-09 2000-03-28 Mitsubishi Heavy Ind Ltd 黒煙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729A (ja) * 1998-09-09 2000-03-28 Mitsubishi Heavy Ind Ltd 黒煙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59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156B2 (en) Particle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cleaning a particle filter
KR101329067B1 (ko) 입자상물질 생성장치 및 수집장치
US7421839B2 (en) Exhaust emission control device
US8615988B2 (en) Electrical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regeneration
JP2011033021A (ja) ディーゼルパー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再生用の排気ガス加熱
JP3933625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粒状物低減システム
CN104454086A (zh) 一种带有燃烧器的dpf主动再生系统
CN103097683B (zh) 后处理燃烧器系统的预热方法
US9194272B2 (en) Power system
JP5468263B2 (ja) 後処理を伴う空気処理システム
KR101231132B1 (ko) 버너를 사용하여 배출가스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장치
US90460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JP2013515905A (ja) 添加剤注入装置を備える動力系
KR101250367B1 (ko)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KR101058836B1 (ko) 매연여과필터 재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연저감장치
CN101943045A (zh) 电加热颗粒过滤器
Chae et al. Reduction of the particulate and nitric oxide from the diesel engine using a plasma chemical hybrid system
JP2009092015A (ja) 排気浄化装置
US20090229467A1 (en) Electrically heated particulate matter filter with recessed inlet end plugs
KR20100116898A (ko) 디젤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CN115667680A (zh) 过滤器状态检测装置
KR20030003599A (ko) 매연저감장치의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20120036008A (ko)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JP6642199B2 (ja) 排気浄化装置
JP6658210B2 (ja) 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