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01B1 -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01B1
KR101250201B1 KR1020090089597A KR20090089597A KR101250201B1 KR 101250201 B1 KR101250201 B1 KR 101250201B1 KR 1020090089597 A KR1020090089597 A KR 1020090089597A KR 20090089597 A KR20090089597 A KR 20090089597A KR 101250201 B1 KR101250201 B1 KR 10125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tance
size
calcula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209A (ko
Inventor
홍상우
유병철
김경진
임민주
김건오
양재모
서승교
박명순
강석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와 휴대단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는 화면에 객체를 표시한다. 거리감지부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제어부는 거리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 또는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변위 또는 거리에 따라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거리감지부는 카메라,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RF 센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 또는 거리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자이로-가속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에 거리가 가까워지면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거리가 멀어지면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하거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하고 거리가 멀어지면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거리, 변위, 객체, 확대, 축소

Description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using distance sensing}
본 발명은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인지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통신 기술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은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통하여 음성 정보, 문자 정보, 영상 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휴대단말은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 예컨대 이미지, 텍스트 등이 작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서 특정 영역에 표시된 객체 또는 객체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키패드,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부를 조작해서 해당 영역을 확대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된 객 체를 처리할 수 있는 객체 처리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객체 처리 모드에서 확대를 원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한 특정 영역을 처리하는 기능키를 호출하고, 호출한 기능키 중에서 선택한 특정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키를 선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화면에서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휴대단말의 입력부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환경(예컨대, 복잡한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특정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데 불편이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하는 과정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유는 키입력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입력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키패드 방식에 비해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단말에서 키입력에 따른 입력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즉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단말은 가상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키입력을 수신하게 되는데, 키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목표하는 키에 인접한 다른 키의 터치에 따른 입력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와 휴대단말 간의 거리 인지에 따라 휴대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부, 거리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는 화면에 객체를 표시한다. 상기 거리감지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은 상기 변위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에 따른 상기 조절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조절값으로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표시부, 거리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는 화면에 객체를 표시한다. 상기 거리감지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는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휴대단말이 임계값에서의 객체의 크기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은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른 상기 조절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조절값으로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는 카메라,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RF(Radio Frequency) 센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단말이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 기 휴대단말이 상기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수신한 제1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제1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수신한 제2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제2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제2 거리와 제1 거리의 차이로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자이로(gyro)-가속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절대값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메뉴, 리스트, 아이콘 및 텍스트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단말이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거리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휴대단말이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휴대단말이 임계값에서의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 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로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로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상기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사용자와 휴대단말 간의 거리 또는 변위에 따라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을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간편하게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잡은 상태에서 휴대단말을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 인지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즉 사용자(200)가 휴대단말(100)을 사용자(200)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면,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 리 또는 변위(d)를 산출하고, 산출한 거리 또는 변위(d)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이동통신단말,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입력부(10), 저장부(20), 표시부(30), 거리감지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휴대단말(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200)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사용자(200)는 입력부(10)를 통해 표시부(30)의 화면에 객체(60) 표시를 요청하고,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인지를 통하여 표시된 객체(60)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객체 표시 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입력부(10)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20)는 휴대단말(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 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저장부(20)는 거리 인지를 이용하여 객체(60)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하는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20)는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또는 변위(d)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값을 저장한다. 이때 조절값은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에 따라 설정되거나,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객체(60)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메뉴, 리스트,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30)는 휴대단말(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객체(60)로 표시한다. 표시부(3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인지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3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터치스크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거리감지부(40)는 사용자(200)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감지신호는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산출에 필요한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거리정보는 사용자(200) 감지에 사용된 소스, 예컨대 적외선, 초음파 등의 조사 속도, 사용자(200)를 감지한 시간, 촬영 영상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거리감지부(40)는 카메라,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RF(Radio Frequency) 센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50)는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인지를 통하여 표시된 객체(60)의 크기 조절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는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를 산출하여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거나,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50)가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를 산출하여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어부(50)는 거리감지부(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50)는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산출한 변위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저장부(20)에서 산출된 변위에 따른 조절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조절값으로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거리감지부(40)를 통하여 수신한 제1 감지신호로부터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제1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거리감지부(40)를 통하여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제2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아래의 수학식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산출 한 제2 거리 및 제1 거리의 차이로 변위를 산출한다.
변위=제2 거리-제1 거리
여기서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자이로(gyro)-가속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카메라 비전 방식은 카메라로 촬영한 사용자 영상의 크기로부터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즉 카메라로 촬영한 사용자 영상의 크기는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제어부(50)는 사용자 영상의 크기와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의 관계식으로부터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은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200)의 특정 부분, 예컨대 얼굴, 입, 코, 눈 등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정 부분의 크기를 산출한다. 제어부(50)은 산출한 크기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자이로-가속도 방식은 휴대단말(100)의 이동을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로 감지하여 휴대단말(100)의 이동 거리 또는 변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즉 휴대단말(100)이 시작점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이 발생되면, 제어부(50)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로부터 휴대단말(100)의 이동 방향을 산출한다. 제어부(5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로부터 휴대단말(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가속도값을 두 번 적분하여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 부(50)는 시작점에 대한 거리와 방향으로부터 휴대단말(100)의 변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적외선(또는 초음파) 방식은 휴대단말(100)에서 사용자(200)로 조사되는 적외선의 반사파를 수신하여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즉 거리감지부(40)의 적외선 조사부에서 사용자(200)로 적외선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반사파를 적외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거리감지부(4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이때 감지신호는 거리정보로서 반사파의 수신시간을 포함한다. 제어부(50)는 감지신호에 포함된 반사파의 수신시간과 적외선의 조사속도로부터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의 조사속도와 반사파의 속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는 수신시간과 조사속도를 곱한 후 2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변위는 양의 값, 영, 음의 값 중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변위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는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즉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이다. 변위가 영의 값을 갖는 경우는 제2 거리와 제1 거리가 동일한 경우, 즉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변위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는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즉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이다.
제어부(50)는 산출된 변위에 따라 객체(60)를 조절하여 표시할 때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즉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 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변위가 영인 경우, 제어부(50)는 객체(60)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50)는 절대값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50)는 객체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일정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가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어부(50)는 거리감지부(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50)는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 부(50)는 산출한 거리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저장부(20)에서 산출된 거리에 따른 조절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조절값으로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산출된 거리에 따라 객체(60)를 조절하여 표시할 때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부(50)는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제어부(50)는 기준 크기로 객체(60)를 표시한다. 그리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에 대해서 임계값에 대응하는 거리 밖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반대의 경우 제어부(50)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반대로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부(50)는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제어부(50)는 기준 크기로 객체(60)를 표시한다. 그리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에 대해서 임계값에 대응하는 거리 밖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반대의 경우 제어부(50)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50)는 임계값에서의 객체(60) 의 크기를 유지한다. 그리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임계값에 대응하는 임계거리 밖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일정 크기로 표시한다. 휴대단말(100)이 임계거리 안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50)는 임계값에서의 객체(60)의 크기를 유지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임계값에 대응하는 임계거리 안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객체(60)를 일정 크기로 표시한다. 휴대단말(100)이 임계거리 밖으로 이동하면, 제어부(50)는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산출된 거리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 인지를 통하여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200)는 입력부(1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100)을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60)를 간편하게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200)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100)을 잡은 상태에서 휴대단말(100)을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60)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기 때문 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에게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100)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일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산출된 변위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표시부(30)의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입력부(10)를 통한 사용자(200)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100)은 화면에 객체(6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거리감지부(40)를 통하여 사용자(200)를 감지한다. 즉 화면에 객체(60)가 표시되면, 제어부(50)는 거리감지부(40)를 활성화시킨다. 거리감지부(40)가 사용자(200)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50)은 화면에 객체(60)가 표시되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200)의 요청 신호에 따라 거리감지부(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200)의 요청 신호는 키입력, 음성입력 및 제스처 입력 등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거리감지부(40)는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으로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 크기로 객체(6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거리감지부(4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면,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 크기로 객체(60)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2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객체 표시 모드의 실행을 중지시키면, 휴대단말(100)은 거리감지부(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더라도 객체(60)를 일정 크기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S75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변위를 산출한다. 이때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변위를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자이로-가속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S75단계에 따른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751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거리감지부(40)를 통하여 수신한 제1 감지신호로부터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제1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S753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거리감지부(40)를 통하여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제2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S755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산출한 제2 거리 및 제1 거리의 차이로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S77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변위에 따라 객체(60)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S77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771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71단계의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이면, S773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다시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을 갖는 지 음의 값을 갖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73단계의 판단 결과 음의 값을 갖는 경우, S775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쪽으로 이동하면,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S773단계의 판단 결과 양의 값을 갖는 경우, S777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에서 멀어지면,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한편으로 S771단계의 판단 결과 임계값 이하이면, S779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의 크기를 유지한다. 즉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 휴대단말(100)은 화면에 표시된 객체(60)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일 예에서는 S775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고, S777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S775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고, S777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산출된 거리에 따라 객체(60)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를 표시부(3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어서 S73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거리감지부(30)를 통하여 사용자(200)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S76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휴대단말(100)은 사용자(200)와 휴대단말(100) 간의 거리를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S78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거리에 따라 객체(60)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S78단계를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781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거리와 임계값을 비교한다.
S781단계의 비교 결과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S785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한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쪽으로 이동하면, 휴대단말(100)은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거리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100)은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S781단계의 비교 결과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S787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에서 멀어지면, 휴대단말(100)은 객체(60)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100)은 산출된 거리에 비례하게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100)은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S781단계의 비교 결과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과 동일한 경우, S789단계에서 휴대단말(100)은 객체(60) 크기를 유지한다. 즉 휴대단말(100)과 사용자(200) 간의 거리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 휴대단말(100)은 화면에 표시된 객체(60)의 크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휴대단말(100)은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로 객체(6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의 다른 예에서는 S785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하고, S787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S785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축소하고, S787단계에서 객체(60)의 크기를 확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에 대해서 도 8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100)의 객체 표시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200)가 휴대단말(100)을 도면부호 91의 화살표 방 향으로, 즉 사용자(200)쪽으로 이동시키면, 휴대단말(100)은 표시부(30)에 표시된 객체(60)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반면에 사용자(200)가 휴대단말(100)을 도면부호 93의 방향으로, 즉 사용자(200)쪽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면, 휴대단말(100)은 표시부(30)에 표시된 객체(60)를 축소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8에서는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쪽으로 이동하면 객체(60)를 확대하고, 사용자(200)쪽에서 멀어지면 객체(60)를 축소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대로 휴대단말(100)이 사용자(200)쪽으로 이동하면 객체(60)를 축소하고, 사용자(200)쪽에서 멀어지면 객체(60)를 확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은 사용자와 휴대단말 간의 거리 또는 변위에 따라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을 자신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간편하게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하여 객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하여 객체를 표시하는 휴대단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산출된 변위에 따라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산출된 거리에 따라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입력부 20 : 저장부
30 : 표시부 40 : 거리감지부
50 : 제어부 100 : 휴대단말
200 : 사용자

Claims (22)

  1. 휴대단말에 있어서,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거리감지부;
    상기 거리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산출한 변위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에 따른 상기 조절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조절값으로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3. 휴대단말에 있어서,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거리감지부;
    상기 거리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상기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른 상기 조절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조절값으로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는,
    카메라,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RF(Radio Frequency) 센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6. 휴대단말이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수신한 제1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제1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수신한 제2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제2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제2 거리와 제1 거리의 차이로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변위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자이 로(gyro)-가속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변위가 양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변위가 음의 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2. 삭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절대값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위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메뉴, 리스트, 아이콘 및 텍스트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6. 휴대단말이 화면에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거리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거리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상기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는 카메라 비전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로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로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기준 크기보다 상기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임계값에서의 상기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객체 표시 방법.
  22. 삭제
KR1020090089597A 2009-09-22 2009-09-22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KR10125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97A KR101250201B1 (ko) 2009-09-22 2009-09-22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97A KR101250201B1 (ko) 2009-09-22 2009-09-22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209A KR20110032209A (ko) 2011-03-30
KR101250201B1 true KR101250201B1 (ko) 2013-04-03

Family

ID=4393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597A KR101250201B1 (ko) 2009-09-22 2009-09-22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61B1 (ko) 2012-04-02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821A (ja) 1997-05-29 1998-12-18 Sony Corp 座標入力装置
KR20070066574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문자 크기를 조절하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1347B1 (ko) 2006-10-09 2007-09-27 (주) 엘지텔레콤 휴대용 단말기에서 글자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방법
KR20080040614A (ko) * 2006-11-03 2008-05-08 희 한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에 의해 가상화면을이동/확대/축소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정보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821A (ja) 1997-05-29 1998-12-18 Sony Corp 座標入力装置
KR20070066574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문자 크기를 조절하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1347B1 (ko) 2006-10-09 2007-09-27 (주) 엘지텔레콤 휴대용 단말기에서 글자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방법
KR20080040614A (ko) * 2006-11-03 2008-05-08 희 한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에 의해 가상화면을이동/확대/축소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정보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209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03013A9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Detecting Surface
KR1014965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6930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보호 모드 실행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20140362119A1 (en) One-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KR10192931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EP2752754A2 (en) Remote mouse function method and terminals
US20140245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CN10993325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设备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US10095384B2 (en)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87236B1 (ko) 프리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JP2008192012A (ja) 座標入力装置、座標入力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210405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ri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EP2677413B1 (en) Method for improving touch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119896B1 (ko)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및 시선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WO2020015529A1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1151300B1 (ko) 터치기구의 접근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
US9235338B1 (en)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JP2023511156A (ja) 撮影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82347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제어 방법
CN109901760B (zh) 一种对象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1250201B1 (ko)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KR1011622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221460A (zh) 一种内容滚动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1179466B1 (ko) 터치기구의 접근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