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872B1 - Transportable toilet bowl - Google Patents

Transportable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872B1
KR101249872B1 KR1020110087972A KR20110087972A KR101249872B1 KR 101249872 B1 KR101249872 B1 KR 101249872B1 KR 1020110087972 A KR1020110087972 A KR 1020110087972A KR 20110087972 A KR20110087972 A KR 20110087972A KR 101249872 B1 KR101249872 B1 KR 10124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ntainer
pedestal
toilet sea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5637A (en
Inventor
마코토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라이프 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03D11/125Height adjustable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2)와, 받침대(2)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外郭)(3)과, 변기 외곽(3)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6)를 구비한다.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를 통하여 접속된다. 중앙 연결부(31)에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된다. 중앙 연결부(31) 내에 오물 받이부(6)의 하부가 배치된다.A pedestal 2 disposed on the floor, a toilet seat 3 supported by the pedestal 2 alone, and a waste receiver 6 provided inside the toilet seat 3 are provided. do. The pedestal 2 and the toilet seat 3 are connected via a center connecting portion 31 which connects the central part with the bottom center of the toilet seat 3 in a plan view of the pedestal 2. Height adjusting means 32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2 of the toilet seat 3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31. The lower part of the waste receiver 6 is disposed in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31.

Description

가반 변기{TRANSPORTABLE TOILET BOWL}Gaban Toilet Seat {TRANSPORTABLE TOILET BOWL}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한 변기 외곽(外郭)을 구비한 가반(可搬; transportable)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with a height-adjustable toilet periphery.

종래부터, 노인, 지체장애자, 환자 등이 사용하는 개호용(介護用; nursing care)의 변기(便器)로서,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가반 변기가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portable toilets that can easily change their mounting position have been used as nursing care toilets used by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patients, and the like.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반 변기는, 오물 받이부를 수납하는 변기 외곽과, 변기 외곽의 양측에 장착되는 각체(脚體)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각체는 변기 외곽에 대하여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이로써, 변기 외곽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격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oilet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includes a toilet outer portion for accommodating a dirt receiver and a bod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outer edge. Each body is mounted to adjust the up and dow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que.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반 변기는 변기 외곽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각 각체의 상하 위치를 각각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반 변기를 수평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각체의 높이 조절량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수고와 시간을 요한다.By the way, in the portable toil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outer peripher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each body, resp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portable toilet horizontal, it is necessary to make the height adjustment amount of each body constant. Therefore, it takes time and effo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일본공개특허 제2008―206694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20669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가반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oilet tha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반 변기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와, 이 받침대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과, 이 변기 외곽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와 변기 외곽이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상기 변기 외곽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중앙 연결부에 상기 변기 외곽의 받침대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 내에 상기 오물 받이부의 하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disposed on the floor, a toilet outside supported by the pedestal alone, and a waste collect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outside of the toilet. The pedestal and the outside of the toilet bowl are connected through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enter portion and the bottom center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bowl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pedestal, and the height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outside the toilet bowl portion in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과, 상기 변기 외곽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통에 상기 접속통부가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끼워넣어지고, 상기 접속통부의 내측에 상기 오물 받이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cylind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in a plan view of the pedestal, and a connection cylinder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outer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so that up-and-down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and the said dirt receiver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said connection cylinder part.

또한, 상기 변기 외곽의 상면부에 변기 외곽 내로 통하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고, 이 상측 개구로부터 상기 변기 외곽 내에 수납되는 상기 오물 받이부가, 변(便) 용기와, 이 변 용기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상기 변 용기 피탑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 외곽의 상측 개구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upper opening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oilet outer periphery,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accommodated in the toilet outer periphery is formed from the upper opening. And a side container mounted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opening circumference portion of the side container to be mounted 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and the side container at the upper opening circumference of 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contamination container mounte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mounted portion and be mount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outside the toilet bowl.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eight adjustment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변기 커버를 닫은 위치에 배치했을 때의 가반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변기 시트(seat)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가반 변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반 변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반 변기의 뒤쪽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반 변기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변기 외곽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반 변기의 변기 외곽과 받침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기 외곽의 앞쪽 상단 부분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c)는 변기 외곽의 높이 조절 시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when the toilet cover is disposed in a closed position.
3 is a view of omitting a toilet seat in FIG. 1.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oilet.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oile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cylinder.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toilet.
8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bowl.
Fig. 10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oilet periphery and the pedestal of the portable toilet.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13 (a) to 13 (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during height adjustment of the outside of the toilet bowl.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1)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2)와, 받침대(2)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 외곽(3)과, 변기 외곽(3)의 후단부에 좌우 축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와, 변기 외곽(3)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축 주위」란, 회전축 방향이 좌우 방향과 평행한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oi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edestal 2 disposed on the bottom, a toilet seat 3 supported by the pedestal 2 alone, and a toilet seat 3 after the toilet seat 3. The toilet seat 4 and the toilet seat cover 5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left-right axis | shaft to the edge part, and the waste collection part 6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are provided. In addition, said "left-right axis circumference" means that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가반 변기(1)는, 변기 외곽(3)의 후단부 상에 세워설치되는 등받이(7)와, 변기 외곽(3)의 좌우 양측 단부에 세워설치되는 높이 조절 가능한 팔걸이(8)를 구비한, 의자형의 변기로 되어 있다. 또한, 가반 변기(1)는, 토일렛 페이퍼 롤(toilet paper roll)(9), 즉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지하기 위한 페이퍼 홀더(10) 또는 페이퍼 행거(11)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페이퍼 홀더(10) 또는 페이퍼 행거(11)는 변기 외곽(3)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반 변기(1)는, 각각의 구성 부품을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ortable toilet 1 includes a backrest 7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toilet bowl 3 and a height-adjustable armrest 8 which i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ilet bowl 3. It is a chair-type toilet bowl. Further, the portable toilet 1 includes a paper holder 10 or a paper hanger 11 for supporting a toilet paper roll 9, that is, a roll toilet paper, and these paper holders 10 Or the paper hanger 11 is attached to the toilet seat outer side 3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portable toilet 1 is designed to reduce weight by forming each component using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and can be easily moved.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은, 변기 상면부를 구성하는 상측 외곽체(12)와, 변기 외주면부를 구성하는 하측 외곽체(13)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toilet outer part 3 has the upper outer body 12 which comprises a toilet upper surface part, and the lower outer body 13 which comprises a toilet outer peripheral surface part.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외곽체(13)는 상측 외곽체(12)를 받는 얇고 낮은 용기형의 받이부(14)와, 받이부(14)의 저부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접속통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외곽체(12)는 그 주위 에지부가 받이부(14)의 주위 에지부 상에 탑재되고, 이 상태에서 하측 외곽체(13)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nd the like, the lower outer body 13 has a thin and low container-shaped receiving part 14 receiving the upper outer body 12 and a cylindrical connec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14. It is comprised by the cylinder part 15. The upper edge part 12 is mounted on the peripheral edge part of the receiving part 14, and its peripheral edge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outer body 13 in this state.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외곽체(12)의 상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한 요몰부(凹沒部)(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외곽체(1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 위치에는 요몰부(16)의 저부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측 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recessed part 16 recessed downward is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cent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body 1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plan view of the upper outer body 12, the upper opening 17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ottom part of the recessed part 16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enter position.

오물 받이부(6)는, 상측 개구(17)를 통하여,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 내에 수납되어 있다. 오물 받이부(6)는, 분뇨를 받는 변 용기(19)와, 변 용기(19)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20)로 구성된 이중 용기로 이루어진다. 도 4 중 "21"은 용변 후에 있어서의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용기 커버이며, 용기 커버(21)는 용변 시에 변 용기(19)로부터 떼어내진다. 그리고, 떼어낸 용기 커버(21)는,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 상에 기립시킬 수 있다.The dirt collection part 6 is accommodated in the toilet seat outer part 3 as shown in FIG. 4 etc. through the upper opening 17. As shown in FIG. The waste collection part 6 consists of the double container which consists of the side container 19 which receives manure, and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in which the side container 19 is accommodated. In FIG. 4, "21" is a container cover which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side container 19 after toilet, and the container cover 21 is removed from the side container 19 at the time of toilet. And the removed container cover 21 can stand on the base 2,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에지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가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오염 방지 용기(20)는 상측 개구(17)를 통하여 변기 외곽(3) 내로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antifouling container 20, the antifouling container mounted part 22 which protrudes outward is formed over the full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toilet seat 3 through the upper opening 17 so as to be accessible.

오염 방지 용기(20)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를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의 주위 에지부를 포함하는 요몰부(16)의 저부 상에 탑재함으로써 현가(懸架)되어 있다. 이 현가 상태에서는, 오염 방지 용기(20)의 하부가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 내에 배치된다.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20 is suspended by mounting 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mounted portion 22 on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16 including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17 of the toilet seat 3. have. In this suspension state, the lower part of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of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내주 에지부는 외주부보다 1단(段) 오목한 변 용기 탑재부(23)로 되어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mounted portion 22 is a sid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which is one step concave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변 용기(19)의 상측 에지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변 용기 피탑재부(24)가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변 용기(19)는 오염 방지 용기(20) 내에 위쪽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변 용기(19)는, 변 용기 피탑재부(24)를 오염 방지 용기(20)의 변 용기 탑재부(23)의 내주부 상에 탑재함으로써, 오염 방지 용기(20)에 현가되고, 변 용기(19)의 하부는 접속통부(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변 용기(19)의 상단부에는 변 용기(19)의 좌우 양 단부 사이에 걸치는 행거(hanger)(26)(도 3 참조)가 좌우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행거(6)를 파지함으로써 오염 방지 용기(20)로부터 변 용기(19)를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side container 19, the side container mounted part 24 which protruded outward is formed over the full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ide container 19 is inserted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20 so that entry and exit are possible. The side container 19 is suspended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20 by mounting the side container mounted part 24 on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side container mounting part 23 of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and the side container 19 The lower part of) is disposed in the connecting cylinder 15.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container 19, a hanger 26 (see Fig. 3)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ide container 19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eft and right shafts. By holding the hanger 6, the stool container 19 can be easily moved in and out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20.

또한, 상기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외주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용기 피탑재부(24)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1단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1,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mounted part 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container mounted part 24, and is located one step up.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 본체(27)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 본체(27)는 위쪽으로 개구되는 받침대 통부(28)를 가지고, 받침대 통부(28)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직접 접지되는 접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접지부(29)는 받침대 통부(28)의 전단부(前端部)를 제외한 외주에 걸쳐 형성되고,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지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접지부(29)의 후단부에는 복수 개의 캐스터(caster)(30)가 설치되고, 이 캐스터(30)를 이용하여 가반 변기(1)를 바닥 상에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base 2 is equipped with the base body 27 arrange | positioned on the floor. The pedestal main body 27 has a pedestal cylindrical portion 28 that is opened upward, and a ground portion 29 that protrudes outward and is directly grounded to the bottom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cylindrical portion 28. The ground part 29 is formed over the outer periphery except the front end of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and the toilet bowl 3 can be supported by the pedestal 2 in good balance. A plurality of casters 30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ground portion 29, and the caster 30 can be driven on the floor using the casters 30.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은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중앙 연결부(31)에는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높이 조절 수단(32)에 의해, 변기 외곽(3)의 높이를 이용자의 체격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nd the like, the pedestal 2 and the toilet rim 3 are connected only through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31 which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toilet rim 3 in a plan view of the pedestal 2. .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31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32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2 of the toilet seat 3, an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32, The heigh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build.

도 12와 같이, 받침대(2)는,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에 변기 외곽(3)을 지지하는 지지통(3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통(33)은 받침대 통부(28)와 동심(同心)으로 받침대 통부(28)의 저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받침대 본체(27)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pedestal 2 includes a support cylinder 33 that supports the toilet seat 3 at the center in a plan view. The support cylinder 33 is attached to the pedestal main body 27 in the state protrud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concentrically with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받침대 통부(28)와 이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 통부(28) 사이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형(圓環形)으로 위쪽으로 개구되는 통부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 삽입홈(34)에는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접속통부(15)는 지지통(33)의 외측에 상하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통부(15), 지지통(33) 및 받침대 통부(28)에 의해,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가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and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is, the cylinder part insertion groove 34 opened in an annular upward direction by planar view is formed.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of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ube insertion groove 34. As shown in FIG. This connecting cylinder part 15 is fitted i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33 so that an up-and-down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by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base cylinder part 28, the center connection part 31 which connects the base 2 and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is comprised.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통부(15)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으로 신장(伸張)되는 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의 동일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조(條) 형성되고, 이들 복수 조의 리브(35)로 이루어지는 리브군(36)이,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군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2조의 리브(35)로 이루어지는 리브군(36)이 3군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브(35)는 지지통(33)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로 된다.As shown in FIG. 9, the rib 35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The rib 35 is formed in a plurality of groups at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am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15, and the rib group 36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ets of the ribs 35 is a connection cylinder portion. A plurality of group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15).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three groups of rib groups 36 which consist of two ribs of upper and lower sides are formed, and these ribs 35 become a slide part which slid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As shown in FIG.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33)의 외주면에 있어서 각 리브군(36)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을 따라 사행(蛇行)하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사행홈(37)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meandering which extends up and down while meander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in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each rib group 36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3. As shown in FIG. The groove 37 is formed.

각 사행홈(37)은,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가로 홈(38)과,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홈(3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홈(39)은 외측으로부터 볼 때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최상단의 접속홈(39)을 제외한 각각의 접속홈(39)은, 그 상단이 1단 상의 접속홈(39)의 하단이 접속되는 가로 홈(38)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Each meandering groove 37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and a connection groove 39 for connecting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s 38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 Each of the connecting grooves 39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and each of the connecting grooves 39 except for the uppermost connecting grooves 39 has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grooves 39 on one stage. It is connected with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edge part of the horizontal groove 38 to be connected.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는, 도 10과 같이, 각 리브군(36)의 리브(35)는 대응하는 사행홈(37)의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삽입된다. 이 중, 동일한 리브군(36)에 속해 상하로 인접하는 리브(35)는, 1조의 가로 홈(38)을 통하여 상하로 배열된 가로 홈(38)에 배치되어 있다. 각 리브(35)의 상면이 대응하는 가로 홈(38)의 상부와 맞닿음으로써, 변기 외곽(3)의 접속통부(15)는 받침대(2)의 지지통(33)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A, in the state in which the toilet outer portion 3 faces the front, as shown in FIG. 10, the ribs 35 of the rib groups 36 are horizontal grooves of the corresponding meandering grooves 37. 38)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mong these, the rib 35 which belongs to the same rib group 36 and adjoins up and down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groove 38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via the set of horizontal groove 38. As shown in FIG. The upper surface of each rib 35 abuts against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groove 38, so that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15 of the toilet seat outer shell 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ylinder 33 of the pedestal 2.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에는, 변기 외곽(3)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변기 외곽(3)이 지지ㅎ통(33)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록(lock) 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In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31 connecting the pedestal 2 and the toilet periphery 3, the toilet periphery 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while the toilet periphery 3 faces the front. The lock member 40 for attachment is detachably attached.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 통부(28)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전방 및 위쪽으로 개구되는 하측 요결부(凹缺部)(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하측 요결부(41)에는, 위쪽으로부터 상기 록 부재(40)가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출입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2,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destal cylinder part 28, the lower concave part 41 which opens to the front and an upper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the lock member 40 is fitted into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so that the lock member 40 can be moved in and out from the upper side in a restricted stat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의 받이부(14)의 외주면에 있어서 하측 요결부(41)와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는, 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구되는 상측 요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요결부(42)의 하단부에는, 하측 요결부(41)에 끼워넣어진 록 부재(40)의 상단부가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끼워넣어져 있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즉, 록 부재(40),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의해, 변기 외곽(3)의 지지통(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록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concave part 42 which opens to the back and below at the sam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the lower concave part 41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4 of the toilet outer part 3 is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42, the upper end of the lock member 40 fitted to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is f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stricted. Thereby, it is regulated that the toilet seat 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That is, the locking member 40, the lower concave part 41, and the upper concave part 42 constitute a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of the toilet seat outer region 3.

록 부재(40)의 상단부에는 받침대 통부(28)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조작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43)를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록 부재(40)를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록을 해제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lock member 40, an operation portion 43 which protrudes rearward from the pedestal tube portion 28 is provided. By lifting up the operation part 43, the lock member 40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lower concave part 41 and the upper concave part 42, and this lock can be relea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 수단, 각 사행홈(37), 및 각 리브(35)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수단(32)이 구성되어 있다. 높이 조절 수단(32)에 의해,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하여 상승시키려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means 32 is configured by the locking means, each meandering groove 37, and each rib 35. In order to raise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with respect to the base 2 by the height adjustment means 32, it performs as follows, for example.

먼저, 록 부재(40)를 하측 요결부(41)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록 부재(40)에 의한 변기 외곽(3)의 회동 규제를 해제한다. 다음에, 도 13의 (a)와 같이 정면을 향한 변기 외곽(3)을 지지통(3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 13의 (b)와 같이 변기 외곽(3)을 경사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이 때의 변기 외곽(3)의 회동 방향은, 각 리브(35)를 1단 상의 가로 홈(38)과 연통시키는 접속홈(39) 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이다. 이로써, 각 리브(35)는 삽입된 가로 홈(38)을 따라 접속홈(39)에 대응하는 단부까지 이동한다.First, the lock member 40 is pulled out from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to release the rotational restriction of the toilet seat 3 by the lock member 40. Next, the toilet outer part 3 facing front as shown in FIG. 13 (a) is rotated centering around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toilet outer part 3 is directed to the inclined front as shown in FIG. 13 (b). .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at this time is a direction which slides each rib 35 toward the connection groove 39 which communicates with the horizontal groove 38 on one end. Thus, each rib 35 moves along the inserted horizontal groove 38 to the en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groove 39.

다음에, 변기 외곽(3)을 들어 올려, 각 리브(35)를 접속홈(39)을 통하여 상단의 가로 홈(38)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변기 외곽(3)을 상기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정면을 향하게 하고, 각 리브(35)를 대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은 1단 상승한다. 그리고, 변기 외곽(3)을 복수 단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변기 외곽(3)을, 도 3의 (a), 도 3의 (b), 도 3의 (c)에 나타낸 순서로 회동시킨다. 또한,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하여 하강시키려면, 상기 상승 시와는 반대로 변기 외곽(3)을 움직이면 된다.Next, the toilet periphery 3 is lifted up, and each rib 35 is moved to the horizontal groove 38 at the upper end through the connecting groove 39, and then the toilet periphery 3 is reversed from the rotation. It rotates to face the front and arrange | positions each rib 35 to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groove 38.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toilet periphery 3 rises one step. In the case where the toilet seat 3 is raised in multiple stages, the same operation may be repeated. That is, in this case, the toilet seat 3 is rotated in the order shown in FIG. 3 (a), FIG. 3 (b), and FIG. 3 (c). In addition, in order to lower the toilet periphery 3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 the toilet periphery 3 may be moved as opposed to the above rise.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을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한 후, 록 부재(40)를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삽입하고, 변기 외곽(3)의 지지통(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한다. 이로써, 변기 외곽(3)은 원하는 높이로 고정된다.After changing the height of the toilet seat 3 to the pedestal 2 as described above, the lock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42 as described above. ,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of the toilet seat (3). As a result, the toilet seat 3 is fixed to a desired height.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외곽(3)은, 요몰부(16)의 저면부의 후단부 상에 설치된 연결체(44)를 가지고 있다. 연결체(44)에는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체(44)는 변기 외곽(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변기 시트(4) 및 변기 커버(5)를 장착한 채 변기 외곽(3)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toilet outer part 3 has the connection body 44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bottom part of the recessed part 16. As shown in FIG. The toilet seat 4 and the toilet seat cover 5 are rotat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body 44. The connecting body 4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ilet seat 3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toilet seat 3 while the toilet seat 4 and the toilet seat cover 5 are attached.

다음에, 변기 시트(4)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변기 시트(4)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 1과 같이 변기 시트(4)를 변기 외곽(3) 상의 사용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 있어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Next, the toilet seat 4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toilet seat 4, the toilet seat 4 is disposed on the toilet seat 3 at the use position on the toilet seat 3 as shown in FIG. Explain.

변기 시트(4)는,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이며 중앙에 전후로 긴 대략 타원 형상의 변기 시트 개구(45)가 형성된 시트부(48)와, 시트부(4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변기 시트 피연결부(46)를 가지고 있다. 변기 시트 피연결부(46)는, 연결체(44)의 앞부분에 설치된 변기 시트 연결부(47)(도 8 참조)에 좌우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변기 시트(4)는, 도 1과 같이 전방으로 넘어뜨려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도 3 참조)에 탑재한 사용 위치로부터, 변기 외곽(3)의 후단부 상에 기립시킨 비사용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 위치의 변기 시트(4)는 변기 외곽(3)에 탑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비사용 위치에서의 변기 시트(4)는, 등받이(7) 또는 변기 외곽(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The toilet seat 4 includes a seat 48 having an annular, substantially elliptical toilet seat opening 45 formed in a planar view, and a toilet seat to be projected backward from the seat 48. Has 46 The toilet seat to-be-connected part 46 is connected to the toilet seat connection part 47 (refer FIG. 8)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connection body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bout the left-right axis. The toilet seat 4 has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3 from the use position which fell down to the front as shown in FIG. 1, and mounted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mounted part 22 (refer FIG. 3) of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FIG.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range up to the non-use position standing up on the image. In addition, the toilet seat 4 of a use position may be mounted in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In addition, the toilet seat 4 in a non-use position is supported by either the backrest 7 or the toilet seat outline 3.

도 11과 같이, 변기 시트(4)의 시트부(48)는 그 주위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아래쪽으로 개구되는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48)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주부(49)는, 주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변기 시트(4)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주부(23)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 부분에 의해 통형의 분뇨(糞尿) 누출 방지부(50)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heet part 48 of the toilet seat 4 is formed in substantially inverted U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pens down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9 constitu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48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23 constitu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seat 4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manure leak prevention part 50 is provided.

상기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는, 상기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의 외주부 상에 탑재되고, 변 용기(19)의 변 용기 피탑재부(24)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의 분뇨 누출 방지부(50)는,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와 이 위쪽의 변기 시트(4)와의 사이를 덮는다. 그러므로, 분뇨 누출 방지부(50)에 의해, 분뇨가, 변기 시트(4)나 변 용기(19)의 내측으로부터,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에지부와 이 위쪽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4)와의 사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나 외부로 분뇨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oilet seat 4 disposed at the use position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to be mounted portion 22 of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and the toilet seat 4 of the edge container 19 to the pollution container 19 is installed. It is placed at the top. The manure leak prevention part 50 of the toilet seat 4 arrange | positioned at this use position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edge part of the side container 19, and the upper opening edge part of this side container 19, and this upper side The toilet seat 4 is covered with. Therefore, the manure leak prevention part 50 allows manure to be disposed from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4 or the toilet bowl 19, and the toilet seat 4 disposed above the upper opening edge of the toilet bowl 19. Can be prevented from reaching, and as a result, leakage of the manure to the contamination-protected container mounted portion 22 and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또한, 변기 커버(5)는 상기 사용 위치에 배치된 변기 시트(4)를 위쪽으로부터 덮는다. 변기 커버(5)의 외주 에지부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수하부(垂下部)로 되어 있다. 변기 시트(4)를 덮는 위치에 배치된 변기 커버(5)의 수하부(51)는, 상기 오염 방지 용기(20)의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에서의, 사용 위치의 변기 시트(4)보다 외측 위치에 탑재된다. 그러므로, 수하부(51)에 의해서도 분뇨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seat cover 5 covers the toilet seat 4 disposed at the use position from above. The outer peripheral edge part of the toilet seat cover 5 is a lower part protruding downward. The lower part 51 of the toilet seat cover 5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overs the toilet seat 4 is the toilet seat 4 of a use position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to-be-mounted part 22 of the said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It is mounted in the position outside). Therefore, the manure portion 51 can also prevent manure leakage.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가반 변기(1)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변기 외곽(3)의 저부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31)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연결부(31)에 변기 외곽(3)의 받침대(2)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3)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을 단독으로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에 설치된 높이 조절 수단(32)만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수고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변기 외곽(3)에 설치된 오물 받이부(6)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의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 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변기 외곽(3)을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 오물 받이부(6)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변 용기(19) 및 오염 방지 용기(20)의 각각의 하부는, 변기 외곽(3)을 상승시켰을 때도 지지통(3) 내에 위치해도 되고, 이 때 지지통(3)보다 위쪽에 위치해도 된다.The portable toi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31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and the bottom central portion of the toilet outer portion 3 when the pedestal 2 and the toilet outer portion 3 are viewed in a plan view of the pedestal 2. It is connected through the bay.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32 for changing the height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is provided in the center connection part 31.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ilet seat 3, it is only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adjusting means 32 provided at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31 connecting the pedestal 2 and the toilet seat 3 alone. It takes no trouble and time. In addition, the waste support part 6 provided in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connection part 31 which connects the base part 2 and the central parts of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dirt receiver 6 while keeping the toilet seat 3 compact. In addition, each lower part of the side container 19 and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may be located in the support cylinder 3 also when raising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and is located above the support cylinder 3 at this time. You may also

또한, 본 실시예의 중앙 연결부(31)는,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33)과, 변기 외곽(3)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15)를 구비하고, 이 지지통(33)에 접속통부(15)가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중앙 연결부(31)를 간단하게 가반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연결부(31)로서는 본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enter connection part 31 of this embodiment is the support cylinder 33 which protrudes upwards from a center part in planar view of the pedestal 2, and the connection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downward. The cylinder part 15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cylinder part 15 is inserted in this support cylinder 33 so that an up-and-down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is way, the said center connection part 31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portable toilet seat 1. Incidentally,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31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design changes can be made as appropriat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변 용기(19)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용기(20)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는 변 용기 피탑재부(24)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만일 변기 시트(4)나 변 용기(19)의 내측으로부터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 측으로 분뇨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22)에 의해, 상기 분뇨가 변기 외곽(3)의 상측 개구(17)으로부터 변기 외곽(3)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분뇨가, 높이 조절 수단(32)이 설치되어 비교적 청소가 어려운 중앙 연결부(3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de container mounted part 24 which protrudes outward and is mounted on the upper edge part of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20 is provided in the upper opening peripheral part of the side container 19.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t the periphery of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20, a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mounted part 22 is provided which protrudes outward and is mount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17 of the toilet seat 3. And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mounted part 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container mounted part 24. As shown in FIG. Therefore, even if the manure leaks from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4 or the side container 19 to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container to be mounted part 22 side, the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to be mounted part 22 causes the manure to be flushed out of the toilet 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usion into the toilet outer space (3) from the upper opening (17) of. In this case, the manur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31, which is difficult to clean because the height adjusting means 32 is provided.

그리고, 접속통부(15)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오물 받이부(6)를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오물 받이부(6)를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하는 기술적 특징은, 접속통부(15)를 채용하는 기술적 특징과는 독립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is employ | adopted,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 position the waste collection part 6 inside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waste collection part 6 inside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can be employ | adopted independently of the technical feature which employ | adopts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즉, 받침대(2)는, 지지통(33)을 가진다. 변기 외곽(3)은, 접속통부(15)를 가진다. 지지통(33)은, 받침대(2)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속통부(15)는, 변기 외곽(3)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중앙 연결부는, 지지통(33)과 접속통부(15)로 구성된다. 지지통(33)은, 접속통부(15)에 대하여 상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은, 가반 변기에 있어서, 단독으로 채용할 수 있다.That is, the base 2 has the support cylinder 33.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has a connecting cylinder portion 15. The support cylinder 33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part in plan view of the pedestal 2.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outer part 3. The center connection part is comprised from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The support cylinder 33 is fitted so that the up-and-down position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nd these structures can be employ | adopted independently in a portable toilet.

또한, 오물 받이부(6)는, 받침대(2)와 변기 외곽(3)의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31) 내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waste collection part 6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connection part 31 which connects the center part of the base 2 and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 받이부(6)는, 접속통부(1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도, 가반 변기에 있어서 단독으로 채용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waste collection part 6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This structure can also be employ | adopted independently in a portable toilet.

또한, 접속통부(15)는, 리브(35)를 가지고 있다. 지지통(33)은, 복수 개의 가로 홈(38)을 가지고 있다.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로써,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주위 방향에 따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로써, 각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은, 지지통(33)의 주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has the rib 35. The support cylinder 33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The rib 35 extends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15. Thereby, the rib 35 extends along th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ere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horizontal groove 38 is defined as a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are alig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e rib 35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it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이로써,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대한 리브(35)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Thereby, the height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ib 35 with respect to the some horizontal groove 38.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통부(15)에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통(33)에 복수 개의 가로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브(35)는, 접속통부(1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지지통(3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리브(35)가 접속통부(15)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에 설치된다. 리브(35)가 지지통(33)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접속통부(15)에 형성된다.And in the Example, the rib 35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are formed in the support cylinder 33. However, the rib 35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cylinder part 15 and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cylinder 33. When the rib 35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the some horizontal groove 38 is provided in the support cylinder 33. As shown in FIG. When the rib 35 is provided in the support cylinder 33, the some horizontal groove 38 is formed i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즉, 접속통부(15)는, 리브(35) 또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한쪽을 가질 수 있고, 지지통(33)은, 리브(35) 또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다른 쪽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tube 15, the ribs 35 or can have one of a plurality of lateral grooves 38, the supporting tube 33, the ribs 35 or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lateral grooves (38) Can have a side In this manner, similar effects can be obtained.

또한, 리브(35)는, 접속통부(1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로 홈(38)은, 지지통(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통(33)이 접속통부(15)에 대하여 상하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 경우, 지지통(33)에 대한 접속통부(15)의 상하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Moreover, the rib 35 is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ereby, when the support cylinder 33 is fitted so that the up-and-down position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can be changed easily.

또한, 지지통(33)은, 또한 복수 개의 접속홈(39)을 가지고 있다. 접속홈(39)은,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 홈(38)의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cylinder 33 further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39. The connection groove 39 is configured to connec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s 38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이 경우, 리브(35)는, 접속홈(39)을 통하여,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대한 리브(35)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ib 35 can be selective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via the connection groove 39. That is,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rib 35 with respect to the some horizontal groove 38 can be changed easily.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통부(15)는, 복수 개의 리브(35)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개의 리브(35)를 가지는 접속통부(15)도 채용할 수 있다. 즉, 리브(35)는, 1개 이상 있으면 된다.In the embodiment,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15 has a plurality of ribs 35. However,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which has one rib 35 can also be employ | adopted. That is, one or more ribs 35 may be sufficient.

또한, 접속통부(15)는, 변기 외곽(3)의 높이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접속통부(15)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통(33)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킨 경우,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킨 경우, 리브(35)는, 복수 개의 가로 홈(38)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변기 외곽(3)을 회전시킴으로써, 리브(35)를 접속홈(39)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브(35)는, 접속홈(39)을 통하여, 복수 개의 가로 홈(3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has the rotating shaf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outer periphery 3.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15 is hold | maintained in the support cylinder 33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centering on a rotating shaft. In this case, when the toilet seat 3 is rotated, the rib 35 moves al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That is, when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rib 3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changes. Therefore, the rib 35 can be moved to the connection groove 39 by rotating the toilet outer periphery 3. The rib 35 can be selectively fit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through the connection groove 39.

또한, 복수 개의 가로 홈(38)과 복수 개의 접속홈(39)은, 사행된 사행홈(37)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리브(35)가 접속홈(39)에 위치하는 경우, 리브(35)는 인접하는 접속홈(39)으로만 이동 가능해진다. 따라서, 리브(35)가 복수 개의 가로 홈(38)에 걸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39 are configured to form meandering meandering grooves 37. By this structure, when the rib 35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groove 39, the rib 35 can move only to the adjacent connection groove 39. Therefore, the rib 35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ver the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38.

또한, 가반 변기는, 또한 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록 수단은,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록 수단은,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록 수단이 장착되었을 때, 변기 외곽(3)은,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록 수단을 장착한 경우, 사용자가 착석(着席)하여 움직여도, 변기 외곽(3)은 받침대(2)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ortable toilet is further equipped with a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toilet bowl 3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support cylinder 33. In other words ,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toilet seat 3 from rotating about the support cylinder 33. Thereby, when the lock means is attached, the toilet seat 3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3. Therefore, when the locking means is attached, the toilet seat 3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 even if the user is seated and moves.

그리고, 록 수단은, 하측 요결부(41)와, 상측 요결부(42)와, 록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하측 요결부(41)는, 받침대(2)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요결부(42)는, 변기 외곽(3)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요결부(41)와 상측 요결부(42)가 대향하도록 변기 외곽(3)이 받침대(2)에 대하여 배치되었을 때, 변기 외곽(3)은 제1 상태를 가지고 있다. 변기 외곽(3)이 제1 상태를 가질 때, 록 부재(40)는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 부재(40)가 하측 요결부(41) 및 상측 요결부(42)에 끼워져 있을 때, 록 부재(40)는, 변기 외곽(3)이 지지통(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has a lower concave portion 41, an upper concave portion 42, and a lock member 40.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pedestal 2. The upper concave part 42 is provided in the toilet seat outer part 3. When the toilet outer part 3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 so that the lower concave part 41 and the upper concave part 42 face each other, the toilet outer part 3 has a first state. When the toilet seat 3 has a first state, the lock member 40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42. When the lock member 40 is fitted to the lower concave portion 41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42, the lock member 40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toilet bowl 3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support cylinder 33. It is.

1: 가반 변기
2: 받침대
3: 변기 외곽
6: 오물 받이부
17: 상측 개구
31: 중앙 연결부
32: 높이 조절 수단
33: 지지통
35: 접속통부
1: portable toilet
2: pedestal
3: outside the toilet
6: dirt collector
17: upper opening
31: center connection
32: height adjustment means
33: support container
35: connection part

Claims (3)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받침대(pedestal)와, 상기 받침대 단독으로 지지되는 변기(便器) 외곽(外郭)과, 상기 변기 외곽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물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와 변기 외곽이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상기 변기 외곽의 저부(底部) 중앙부를 접속하는 중앙 연결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에 상기 변기 외곽의 받침대에 대한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 내에 상기 오물 받이부의 하부가 배치된, 가반(可搬) 변기.A pedestal disposed on a floor, a toilet seat supported by the pedestal alone, and a dirt receiver provided inside the toilet seat, wherein the pedestal and the toilet seat a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pedestal. In a plan view,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hrough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toilet bowl, and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outside the toilet bowl. A portable toilet bowl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waste collection portion is disposed in a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통과, 상기 변기 외곽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통에 상기 접속통부가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지고, 상기 접속통부의 내측에 상기 오물 받이부가 배치된, 가반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cylinder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center portion in a plan view of the pedestal, and a connection cylinder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outer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cylinder portion is positioned up and down in the support cylinder. The toilet bowl is inserted so as to adjust, and the waste collection part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cylinder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외곽의 상면부에 상기 변기 외곽 내로 통하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개구로부터 상기 변기 외곽 내에 수납되는 상기 오물 받이부가, 변 용기와, 상기 변 용기가 수납되는 오염 방지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염 방지 용기의 상측 개구 둘레부에 상기 변 용기 피탑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 외곽의 상측 개구의 에지부 상에 탑재되는 오염 방지 용기 피탑재부가 형성된, 가반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upper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oilet outer periphery and into the toilet outer periphery, and the dirt receiving part accommodated in the toilet periphery from the upper opening comprises a toilet container and a pollution prevention container in which the toilet container is housed. A side container mounted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opening circumference of the side container and mounted 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is formed, and an outer side of the upper container circumference of the anti-contamination container is formed outside the side container mounted portion. A portable toilet bowl formed with an antifouling container-mounted portion which protrudes into and is mounted on an edge portion of an upper opening outside the toilet bowl.
KR1020110087972A 2011-01-24 2011-08-31 Transportable toilet bowl KR1012498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1589 2011-01-24
JP2011011589A JP5537449B2 (en) 2011-01-24 2011-01-24 Portable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37A KR20120085637A (en) 2012-08-01
KR101249872B1 true KR101249872B1 (en) 2013-04-02

Family

ID=4651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72A KR101249872B1 (en) 2011-01-24 2011-08-31 Transportable toilet bow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37449B2 (en)
KR (1) KR101249872B1 (en)
CN (1) CN102599844B (en)
TW (1) TWI46813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487B2 (en) * 2013-07-03 2017-09-2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Toilet seat and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toilet seat
JP6198488B2 (en) * 2013-07-03 2017-09-2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6148919B2 (en) * 2013-07-11 2017-06-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Shaft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toilet
JP5674981B2 (en)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731694B2 (en) * 2014-06-23 2015-06-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674978B2 (en)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674982B2 (en)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674979B2 (en)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731695B2 (en) * 2014-06-23 2015-06-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5674980B2 (en) * 2014-06-23 2015-02-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725A (en) 2004-09-24 2006-04-06 Aron Kasei Co Ltd Leg mounting structure in portable toilet
JP2006087724A (en) 2004-09-24 2006-04-06 Aron Kasei Co Ltd Portable toilet
JP2008206694A (en) 2007-02-26 2008-09-11 Matsushita Denko Age Free Lifetec Kk Portable toilet and leg member used for it
JP2008206695A (en) 2007-02-26 2008-09-11 Matsushita Denko Age Free Lifetec Kk Portable toilet and filth receptacle used for 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897U (en) * 1986-08-19 1988-03-01
CN87107827A (en) * 1986-10-20 1988-06-01 伊安·弗朗克·道格拉斯 Non-flushing portable toilet
JP2001271410A (en) * 2000-03-27 2001-10-05 Toto Ltd Water drainage socket, flush toilet stool provided with the same, and flush toilet stool connected with the same
GB2432309A (en) * 2005-11-22 2007-05-23 Bei Yu Ind Co Portable toi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725A (en) 2004-09-24 2006-04-06 Aron Kasei Co Ltd Leg mounting structure in portable toilet
JP2006087724A (en) 2004-09-24 2006-04-06 Aron Kasei Co Ltd Portable toilet
JP2008206694A (en) 2007-02-26 2008-09-11 Matsushita Denko Age Free Lifetec Kk Portable toilet and leg member used for it
JP2008206695A (en) 2007-02-26 2008-09-11 Matsushita Denko Age Free Lifetec Kk Portable toilet and filth receptacle used for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9844A (en) 2012-07-25
TWI468138B (en) 2015-01-11
CN102599844B (en) 2015-04-01
JP5537449B2 (en) 2014-07-02
KR20120085637A (en) 2012-08-01
TW201230998A (en) 2012-08-01
JP2012152254A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872B1 (en) Transportable toilet bowl
US8167374B2 (en) Portable folding chair
JP2012152256A (en) Portable toilet bowl
KR20100051295A (en) Portable toilet bowl
GB2473273A (en) Urinal insert
JP4436178B2 (en) Furniture-like portable toilet
US20180344097A1 (en) Replaceable support device for use with bathing apparatus
CN210056566U (en) Multifunctional medical nursing bed
JP6310214B2 (en) Portable toilet
KR200456815Y1 (en) Wheelchair
KR101048078B1 (en) Multi functional table
JP2012152257A (en) Portable toilet bowl
CN215189800U (en) Hair washing device
JP5731694B2 (en) Portable toilet
CN214530965U (en) Squatting and sitting dual-purpose closestool
AU2004100961A4 (en) A Shower Chair
KR101223774B1 (en) Patients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CN209847991U (en) Infusion support lifting device for medical nursing of hospital
US8276220B1 (en) Height adjustable seat
JP2012152258A (en) Portable toilet bowl
CN211299741U (en) Novel paper extraction box
JP2012152255A (en) Paper holder
JP6863801B2 (en) Portable toilet
KR20090119158A (en) A movable bathtub apparatus
JP6077959B2 (en) Portable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