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302B1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302B1
KR101248302B1 KR1020090130135A KR20090130135A KR101248302B1 KR 101248302 B1 KR101248302 B1 KR 101248302B1 KR 1020090130135 A KR1020090130135 A KR 1020090130135A KR 20090130135 A KR20090130135 A KR 20090130135A KR 101248302 B1 KR101248302 B1 KR 10124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haft
coupled
axial direction
electric powe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001A (ko
Inventor
유성재
심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13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3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과; 웜축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웜과 웜휠의 마찰과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도 감소시키며, 웜축과 웜축베어링의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조향장치, 감속기, 플러그 볼트, 플러그 너트, 모터

Description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Reduc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웜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도 감소시키며, 웜축과 웜축베어링의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2)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6), 그리고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컬럼(130), 조향축(106)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랙피니언 기구부(110), 양단부에 타이로드(122)와 너클암(124)을 구비한 랙바(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 컬럼(130)은 조향축(106)이 조향휠(102)에 연결되어 조향휠(102)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설 조인트(104)를 매개로 피니언축(108)에 연결된다. 또한, 피니언축(108)은 랙피니언 기구부(110)를 통해 랙바(112)에 연결되고, 랙바(112)의 양단은 타이로드(122)와 너클암(124)을 통해 차량의 바퀴(126)에 연결된다.
보조 동력 기구(140)는 운전자가 조향휠(102)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42), 토크 센서(142)로부터 전해지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144), 전자 제어 장치(144)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6) 및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조향축(106)에 전달하기 위하여 웜(152) 및 웜휠(156)을 구비한 감속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10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110)를 거쳐서 랙바(112)에 전달되고, 발생된 토크에 따라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랙바(112)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향휠(10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와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112)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150)는 웜(152)이 형성된 웜축(254)이 구비되고 웜축(254)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257)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254)을 지지하며, 웜축베어링(257)이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볼 트(210)가 댐핑 커플러(240)와 웜축베어링(257) 사이에 체결되고, 플러그 볼트(210)는 플러그 너트(220)에 의해 고정된다.
웜축(254)은 모터(146)와 댐핑 커플러(240)를 매개로 연결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해 웜축(25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웜축(254) 상에 형성된 웜(152)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152)의 외경 일측에는 웜휠(156)이 구비되며, 웜휠(156)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도 1의 102참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6)에 장착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한 웜축(254)의 회전력이 조향축(106)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기어 하우징(260)에는 웜(152), 웜휠(156) 등이 내주하고 기어 하우징(260)의 일측으로 웜축(2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6)가 구비되며, 기어 하우징(260)과 모터(146)는 모터 커버(230)에 의해 볼트(250)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축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하여 조향축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웜축과 모터축의 결합부위에 제조상의 오차와 조립상의 오차가 누적되어 베어링의 걸림감이 발생되고 웜축의 회전 저항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웜과 웜휠이 내구가 진행되면 마모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고, 백래쉬로 인한 래틀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래틀 노이즈로 인해 운전자에게 조향휠 조작시 불쾌감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웜과 웜휠의 마찰과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도 감소시키며, 웜축과 웜축베어링의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웜축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과;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감속기와 모터를 매개로 조향휠의 조향력을 보조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웜축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과;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웜과 웜휠의 마찰과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도 감소시키며, 웜축과 웜축베어링의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 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웜축(254)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상기 웜축(254)의 양단부 중 모터축(305)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257a)과; 상기 웜축베어링(257a)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340)과;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340)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330); 및 상기 댐퍼(33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330)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260)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감속기는 상기 웜축(254)의 양단부 중 모터축(305)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된 웜축베어링(257b)의 외륜과 플러그 볼트(210)와의 사이에 상기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32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축(305)과 결합되는 부위의 웜축(254) 단부와 이의 반대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웜축베어링(257a, 257b)은 각각 내륜과 외륜 사이에 볼이 결합되어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감속기는, 모터(146)의 구동력에 의해 웜(152)과 웜휠(156)이 연동되면서 조향축(106)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되는데, 모터(146)의 구동시 모터축(305)과 연동되는 웜축(254)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257a, 257b)이 체결되어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며, 조향축(105)과 연동되는 웜휠(156)과 웜(152)은 기어 하우징(260)에 내장되어 있다.
웜축베어링(257a, 257b)은 기어 하우징(260)의 내측에 장착되며 웜축(254)의 양단에서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며 웜축(254)의 회전 저항을 줄여주는데, 웜축(254)과 모터축(305)이 결합되는 부위는 모터 보스와 플러그 볼트(210)를 매개로 하는 축과 축의 연결부위여서, 제작 오차와 조립 오차가 누적되어 베어링의 걸림량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웜축(254)의 회전 저항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106)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웜휠(156)로 전달될 때 축방향뿐만 아니라 웜휠(156)과 치합되는 웜축(254)이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웜휠(156)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과, 웜(152)과 웜휠(156)의 작동으로 웜축(254)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웜축(254)의 양단부 중, 모터축(305) 결합 부위에는 탄성링(320)이 결합되고, 반대쪽 단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40), 댐퍼(330), 조정 플러그(310) 등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축(305) 결합부위의 반대쪽 웜축(254) 단부에 결합된 웜축베어링(257a)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스러스트 베어링(340)은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웜휠(156)을 통해 들어오는 외력이나 웜(152)과 웜휠(156)의 작동시 발생되는 웜축(254)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 웜축(254)의 단부에는 웜축베어링(257a)이 결합된 웜축(254)의 외주면 끝단으로부터 웜축(254)의 단부 사이에 직경이 축소 형성되는 단차부(254a)가 구비되어 스러스트 베어링(340)이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결합되게 되어 있다.
한편, 스러스트 베어링(340)의 외측에 삽입되는 댐퍼(330)는, 상기 댐퍼(330)를 상기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정 플러그(310)가 기어하우징(260)에 압입 또는 나사 결합되어 있어서, 조정 플러그(310)와 기어하우징(260)의 체결량을 조절하면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댐퍼(330)의 압축량 즉,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댐퍼(33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정 플러그(310)는 기어하우징(260)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댐퍼(330)의 탄성 지지력 즉, 댐퍼(33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260)에 강제 압입되거나,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이와 치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기어하우징(26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어하우징(260)에 나사골을 가공하지 않고 내주면에 나사골이 구비된 록너트(350)를 이용하여 기어하우징(26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정 플러그(310)를 통해 댐퍼(330)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함으로써, 웜휠(156)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과 웜(152)과 웜휠(156)의 작동시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면서 웜축(254)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결국,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스러스트 베어링(340)과 함께, 축방향의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압축되며 결합되는 댐퍼(330), 조정 플러그(310)가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댐퍼(330)는 중공 형상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부재(331)와, 이들 지지부재(331)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탄성지지체(333)로 형성되며, 이러한 댐퍼(330)는 지지부재(331)의 사이에 용융된 상태의 탄성지지체(333)를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하여 상기 지지부재(331) 및 탄성지지체(333)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웜축(254)의 양단부 중 모터축(305)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된 플러그 볼트(210)와 웜축베어링(257b)의 외륜과의 사이에는 상기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32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링(320)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리브(320a)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볼트(210)는 상기 웜축베어링(257)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320)이 삽입 고정되는 탄성링 결합부(2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링(320)은 예를 들어 압축량이 약 3~4mm 정도인 상태로 예압되어 탄성력이 약 8~11 kgf 가 되게 플러그 볼트(210)와 웜축베어링(257)의 외륜 사이에 삽입 결합되며, 축방향 하중을 흡수하여 래틀 노이즈를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웜축(254)의 양단부 중에 모터축(305) 결합부위에는 탄성링(320)이 결합되고 반대측 단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40), 댐퍼(330), 조정 플러그(310) 등이 결합되어 있어서, 노면에서 조향축(106)과 웜휠(156)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과, 웜(152)과 웜휠(156)의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흡수하여 감속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래틀 노이즈를 줄여주게 된다.
여기서, 탄성지지체(333)와 탄성링(320)은 내마모성과 저마찰성뿐만 아니라 소정의 휨과 강성을 구비하며 열에 의한 신축성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것이 요구되므로, 폴리 아세탈(POM), 폴리 아미드(PA),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이미드(PI), 폴리 부틸렌 테레프 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되거나, 내후성과 신축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Elastom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속기는,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감속기와 모터(도 1의 146 참조)를 매개로 조향휠의 조향력을 보조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휠에 연결된 조향축(106)과, 상기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하는 조향 컬럼(도 1의 130 참조)과, 상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랙피니언 기구부(도 1의 110 참조)와, 양단부에 타이로드와 너클암을 구비한 랙바(도 1의 112 참조) 등 과 결합되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웜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도 감소시키며, 웜축과 웜축베어링의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5: 모터축 310: 조정 플러그
320: 탄성링 320a: 돌기리브
330: 댐퍼 331: 지지부재
333: 탄성지지체 340: 스러스트 베어링
350: 록너트

Claims (10)

  1. 웜축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된 웜축베어링의 외륜과플러그 볼트와의 사이에는 상기 웜축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볼트는 상기 웜축베어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이 삽입 고정되는 탄성링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중공 형상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탄성지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용융된 상기 탄성지지체를 인젝션 몰딩하여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탄성지지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7. 감속기와 모터를 매개로 조향휠의 조향력을 보조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웜축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과 소정의 각로로 비틀리는 탄성 변형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웜축베어링;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의 하중과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댐퍼의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플러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의 양단부 중 모터축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된 웜축베어링의 외륜과플러그 볼트와의 사이에는 상기 웜축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중공 형상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탄성지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090130135A 2009-12-23 2009-12-23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4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35A KR101248302B1 (ko) 2009-12-23 2009-12-23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35A KR101248302B1 (ko) 2009-12-23 2009-12-23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01A KR20110073001A (ko) 2011-06-29
KR101248302B1 true KR101248302B1 (ko) 2013-03-27

Family

ID=4440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135A KR101248302B1 (ko) 2009-12-23 2009-12-23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49B1 (ko) * 2013-11-11 2015-04-14 (주)보쉬전장 소음 저감형 자동차 시트 기어 하우징
CN109861436A (zh) * 2017-11-30 2019-06-07 马渊马达株式会社 电机单元的轴向减震结构以及电机单元
KR102539515B1 (ko) * 2021-12-22 2023-06-05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파킹락 액추에이터
KR102643774B1 (ko) * 2022-03-23 2024-03-07 (주)케이에이씨 차량용 웜감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087A (ko) * 2007-10-05 2009-04-09 주식회사 만도 플러그 볼트 일체형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087A (ko) * 2007-10-05 2009-04-09 주식회사 만도 플러그 볼트 일체형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01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8905185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989707B2 (ja) 電動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減速機
KR2012014030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3841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057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3156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4830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10060544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12183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04363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81827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99329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124851B1 (ko) 유격 보상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124870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10060573A (ko)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41958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30141914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06951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10116638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651139B1 (ko) 더블 피니언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10076101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5031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54278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