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048B1 -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 Google Patents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048B1
KR101248048B1 KR1020100012280A KR20100012280A KR101248048B1 KR 101248048 B1 KR101248048 B1 KR 101248048B1 KR 1020100012280 A KR1020100012280 A KR 1020100012280A KR 20100012280 A KR20100012280 A KR 20100012280A KR 101248048 B1 KR101248048 B1 KR 10124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roove
section
grooves
textil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379A (ko
Inventor
한스 훼슬러
구스타브 비제만
디알. 크리스티안 게르트
라인홀트 아이트너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9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홈들(48)이 상측부(44)에 제공되는 바늘판(46)을 포함하는 섬유 기계를 위한 바늘 홀더(45)에 관한 것이다. 바늘판(46)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여러 보어들(51)이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각 홈(48)을 따라 배열된다. 보어들(51)의 직경(E)은 홈 베이스(70)의 영역에서 홈 폭(B)의 평균값보다 크거나 또는 홈 폭(B)보다 크다.

Description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Needle holder for a textile machine}
본 발명은 바늘판을 갖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늘 홀더는 예를 들어, 펠팅 바늘 또는 포크 바늘과 같은 바늘들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예를 들어, 펠팅 기계와 같은 섬유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늘판을 갖는 바늘 홀더는 예를 들어, 문헌 DE 31 05 358호에 기재되어 있다. 홈형 판에 제공된 홈들은 제비 꼬리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홈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관측되는, 홈 폭은 바늘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바늘판의 상측부 영역에서 홈 안으로 연장되는 바늘의 발형상체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이것은 바늘이 바늘판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바늘 밀도를 허용하는 바늘 홀더의 바늘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의 형태를 나타내는 바늘 홀더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늘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바늘은 바늘판의 보어에 삽입되고 따라서 보어의 중심축에 대해서 가로질러 제자리에서 지지된다. 바늘의 일단부에 배열되는 바늘 발형상체는 홀딩 수단(holding means)을 포함하며, 상기 발형상체는 바늘이 바늘판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는 홈 안으로 돌출한다. 홀딩 수단은 바늘이 바늘판에서 견고하게 홀드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발형상체는 상기 바늘의 종축 방향으로 그리고 보어의 중심축 방향으로 바늘판에서 바늘을 홀드하도록 배치되고 종축에 관한 바늘의 회전 위치를 규정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 홀더에 있어서, 바늘 생크의 영역을 수용하는 보어의 직경이 홈 베이스의 영역에서 홈 폭의 평균값보다 크거나 또는 홈 폭보다 크다는 점에서, 높은 바늘 밀도가 달성된다. 이러한 결과로, 바늘판의 홈들 사이에 있는 홈 스트립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홈들을 서로 옆에 더욱 밀접하게 배열할 수 있다.
바늘 홀더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으로부터 도출된다.
2개의 인접한 홈들의 보어들은 홈들의 연장방향으로 관측할 때,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홈의 연장 방향으로 관측되는 보어의 중심축은 서로에 대해서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접 홈들을 서로 옆에 더욱 인접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될 섬유 재료에서 바람직한 천공 패턴을 달성할 수 있다.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홈 폭 방향에 있는 홈 거리가 홈들중 하나의 홈 중심과 보어들의 직경 이하의 치수를 갖는 바로 인접한 홈들중 하나의 홈 중심 사이에 있는 최대 폭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늘 밀도의 추가 증가는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홈들의 단면 형태들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바늘판의 2개의 홈들 사이에서 스트립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홈들이 직사각형 형태와 상이한 단면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폭은 홈 베이스에서 시작하여 바늘판의 상측부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홈을 한정하는 2개의 플랭크들 사이에 있는 스트립의 베이스가 넓어진다.
에지가 홈의 연장 방향으로 홈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홈 플랭크 또는 홈 베이스의 표면들이 보어들의 중심축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때, 홈들에 있는 바늘의 홀딩 수단의 지지체는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홀딩 수단과 홈 사이에 있는 허용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홈에 대해서 사다리꼴형(trapeze-shaped), 삼각형 또는 U형 윤곽 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형태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구로써 비용절감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늘판은 비탄성 재료, 양호하게 금속으로 구성된다. 홈은 바늘판의 상측부를 적절하게 밀링가공함으로써 부여될 수 있다.
바늘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바늘은 하부 및 상부 생크 섹션에 의해서 동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작업 섹션을 종축을 따라서 가지며, 이에 의해서 필수적으로 직선형 방식으로 바늘의 종축을 가로지르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딩 수단을 갖는 인접 바늘 발형상체가 상부 생크 섹션에 인접하게 있다. 홀딩 수단은 바늘의 종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적용에서, 홀딩 수단이 2개의 대향 측부를 향하여 바늘의 종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홀딩 수단은 자체 종방향 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은 바늘의 종방향 중심축의 수직을 나타낸다. 상부 생크 섹션의 직경은 하부 생크 섹션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홀딩 수단의 폭의 평균값보다 크다. 홀딩 수단의 폭은 홀딩 수단의 종방향 중심축과 수직 방향으로 한정되고, 폭 방향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추가 상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도면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필수적인 상세 사항 및 방대한 상황으로 한정된다. 도면은 추가 상세사항을 공개하고 참조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높은 바늘 밀도를 허용하는 바늘 홀더의 바늘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바늘 홀더에 삽입된 작동 위치에 있는 바늘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바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일 변형도.
도 3은 바늘 홀더의 바늘판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기 바늘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바늘판의 상세 구성의 섹션 라인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f는 바늘판의 홈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바늘의 발형상체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도 6a) 및 정면도(도 6b).
도 7a 내지 도 7f는 바늘 발형상체의 홀딩 수단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f는 바늘의 상부 생크 섹션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섬유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늘(15)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늘(15)은 예를 들어, 펠팅 기계용 펠팅 바늘 또는 포크 바늘이다. 바늘(15)은 바늘이 펠팅 기계의 바늘 홀더(45)에 지지되는 작동 위치로 도시되며, 상기 펠팅 기계는 바늘판(46)과 바늘 바아(47)를 포함한다.
바늘(15)은 종축(16)을 따라 연장되는 작업 섹션(17)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바늘 첨부(18)는 상기 작업 섹션 상에 배열된다. 바늘 첨부(18)에는 바늘(15)의 제 1 자유 단부(19)가 제공된다.
종축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그리고 작업 섹션(17)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생크 섹션(20)은 작업 섹션(17)에 인접하다. 하부 생크 섹션(20)은 작업 섹션(17)의 직경(C)보다 큰 직경(D)를 갖는 원형 단면을 가진다. 하부 생크 섹션(20)의 직경 또는 바늘(15)의 작업 섹션(17)의 직경은 원형 원통체의 측방향 원통면의 가능한 최소 직경에 일치하고, 상기 측방향 원통면은 종축(16)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생크 섹션과 완전히 외접한다. 이렇게 할 때, 각 섹션의 부분은 측방향 원통면을 통해서 연장되지 않는다. 작업 섹션(17) 및 하부 생크 섹션(20)의 상이한 직경들로 인하여, 상기 2개의 섹션(17,20)은 원추형 제 1 변이 영역(21)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변이 영역은 작업 섹션(17)으로부터 하부 생크 섹션(20)으로 지속적으로 넓어진다.
예에서, 제 1 변이 영역(21)의 외측면은 절두 원추형의 측방향 면과 일치한다. 그 변형을 고려할 때, 변이 영역(21)은 또한 에지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이 영역에서 바늘의 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1 변이 영역(21)에서 보강 리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할 때, 하부 생크 섹션(20)의 단면은 원형이다. 그 직경(D)는 바늘(15)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바늘 블랭크의 직경과 일치한다.
하부 생크 섹션(20)에 인접하는, 바늘(15)은 하부 생크 섹션(20)의 직경(D)보다 큰 직경(E)을 갖는 큰 상부 생크 섹션(25)을 가진다.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고; 그러나,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임의의 다른 단면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계단(26)이 하부 생크 섹션(20)과 상부 생크 섹션(25)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계단은 종축(16)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면을 형성한다. 대안으로, 도 2에 의해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이는 하부 생크 섹션(20)으로부터 상부 생크 섹션(25)을 향하여 원추형으로 넓어지는 제 2 변이 영역(41)에 의해서 이행된다. 제 2 변이 영역(41)은 제 1 변이 영역(21)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수적으로 직선 라인으로 연장되는 홀딩 수단(32)을 포함하는 바늘 발형상체(30)는 상부 생크 섹션(25)에 인접하다. 상기 홀딩 수단(32)은 바늘(15)의 종축(16)에 대해서 가로지르게 배열되는 횡방향(31)을 따라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할 때, 홀딩 수단(32)은 바늘 발형상체(30)의 만곡된 발형상체 연결부(33)를 통해서 상부 생크 섹션(25)과 연결된다. 대안으로, 홀딩 수단(32)은 또한 예를 들어, 도 6a와 도 6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생크 섹션(25)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늘(15)을 참조할 때, 발형상체 연결부(33)와 홀딩 수단(32)의 단면은 하부 생크 섹션(20)의 단면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발형상체 연결부(33)를 바늘 블랭크로부터 굽힘으로써, 바늘(15)의 바늘 발형상체(30)를 성형할 수 있다. 변형예를 고려할 때, 바늘 발형상체(30)의 적어도 홀딩 수단(32)은 또한 원형 형태와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단면 형태는 도 7a 내지 도 7f에 의해서 예로서 도시된다.
홀딩 수단(32)의 폭은 종축(16)을 가로질러 그리고 횡방향(31)을 가로질러 폭 방향(34)으로 측정된다. 바늘(15)의 홀딩 수단(32)의 폭의 평균값은 상부 생크 섹션(25)의 직경(E)보다 작다. 도 1에 있는 바늘을 참조할 때, 제 2 계단(40)은 발형상체 연결부(33)와 상부 생크 섹션(25)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계단은 종축(16)에 대해서 동축방향인 환형면을 형성한다. 그로부터 상이한, 도 2에 도시된 바늘은 상부 생크 섹션(25)으로부터 발형상체 연결부(33)로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제 3 변이 영역(42)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3 변이 영역(42)은 또한 제 1 및 제 2 변이 영역(21,41)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바늘(15)을 참조할 때, 상부 생크 섹션(25)과 바늘 발형상체(30)는 상기 바늘이 바늘 홀더(45)에서 지지되는 바늘의 L형 홀딩 영역을 형성한다. 그로부터 상이한, 도 6a와 도 6b에 따른 바늘(15)의 변형 실시예에 있는 상기 홀딩 영역은 T형이다. 이러한 경우에, 홀딩 수단(32)은 상부 생크 섹션(25)에 직접 좌정되고 2개의 대향 방향으로 종축(16)으로부터 상부 생크 섹션(25)을 지나서 연장된다. 홀딩 수단(32)은 제 1 자유 단부(35')로부터 종축(16)을 통해서 제 2 자유 단부(35")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도 6a와 도 6b에 따른 바늘 발형상체(30)는 예를 들어, 당김, 누름 또는 가압형 재성형에 의해서 바늘 블랭크로부터 성형된다. 이렇게 할 때, 홀딩 수단(32)에는 바늘 블랭크의 단면 형태와 상이한 임의의 단면 형태가 부여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를 고려할 때, 바늘 발형상체(30)는 대칭면에 대해서 대칭인 형태를 가지며, 상기 대칭면은 종축(16)을 통해서 그리고 폭 방향(34)으로 연장된다.
홀딩 수단(32)에 대한 일부 가능한 단면 형태는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되어 있다.
폭 그리고 특히 홀딩 수단(32)의 폭의 평균값은 폭 방향(34)으로 임의의 지점에서 상부 생크 섹션(25)의 직경(E)보다 작다. 홀딩 수단(32)의 단면은 달걀형(주행 트랙의 형태) 또는 타원형 등일 수 있다. 도 7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홀딩 수단(32)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예를 따라서, 정팔각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각형의 모서리들은 또한 둥글고,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직사각형 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d와 도 7e에 따른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홀딩 수단(32)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 7c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 7d에 따른 삼각형 등의 단면 구성은 반경방향 영역들을 구비한다. 도 7e의 단면의 모서리 영역에 있는 반경방향 영역들은 도 7d에 따른 변형 실시예의 경우보다 확실히 작다. 도 7d와는 상이한, 삼각형의 측변들은 도 7e에 따른 삼각형 단면으로 외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한다.
상부 생크 섹션(25)의 가능한 단면 형태는 도 8a 내지 도 8f의 예로서 도시된다. 원형 단면 형태와 상이한 이러한 단면 형태의 결과로서, 맞대임 사이트(60)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원주에 걸쳐 분포되게 형성되고, 상기 맞대임 사이트는 종축(16)에 관하여 공통 측방향 원통면(61)에 위치한다. 상부 생크 섹션(25)이 나선형 형태(도시생략)로 바늘의 종축(16)에 관하여 비틀려지면, 맞대임 사이트(60)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측방향 원통면(61)을 따라서 나선형을 따른다. 이러한 측방향 원통면(61)의 직경은 상부 생크 섹션(25)의 직경(E)과 일치한다.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 형태의 양호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맞대임 사이트(60)는 원주방향으로 볼 때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맞대임 사이트는 바늘의 종축(16)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맞대임 사이트(60)의 수와 그 형태는 단면의 선택된 윤곽의 함수이다. 맞대임 사이트(60)가 측방향 원통면(61)에 있는 대면적에 걸쳐 배열되면, 2개의 대향 맞대임 사이트(60)는 충분할 수 있다. 양호하게,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맞대임 사이트(60)가 상부 생크 섹션(25)의 외측면(67)에서 원주에 걸쳐 규칙적인 방식으로 제공된다. 맞대임 사이트(60)가 배열되는 측방향 원통면(61)의 직경은 바늘판(46)에 있는 보어들(51)의 직경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맞대임 사이트(60)에는 보어들(51)의 내측면에 대해서 맞대어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표면적을 나타내고, 상기 보어는 있는 그대로 맞대임 사이트(60)에 대한 반대 맞대임 면(56)을 나타낸다.
리세스(65)는 각각의 2개의 맞대임 사이트(60) 사이에 제공된다. 상부 생크 섹션(25)의 외측면 영역의 반경방향 거리는 맞대임 사이트(60)에서 2개의 맞대임 사이트(60) 사이에 있는 리세스(65)의 모든 영역에서 더욱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맞대임 사이트(60)는 공통 측방향 원통면(61)에만 확인된다.
상부 생크 섹션(25)은 예를 들어, 다각형 특히 직사각형 단면을 갖거나 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각형의 각 모서리는 바늘의 종축(16)으로부터 동일 거리를 가지므로, 종축(16)을 따라 종방향으로 상부 생크 섹션(25)을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 에지는 종방향 맞대임 사이트(60)를 형성한다.
도 8b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달걀형(주행 트랙의 형태) 또는 타원형 단면 형태를 도시한다. 맞대임 사이트(60)는 주요 정상부의 영역에 제공된다. 보조 정상부의 영역에서,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 평탄해지므로, 상부 생크 섹션(25)은 보조 정상부들의 영역에서 2개의 대향 측부에 있는 평면 외측면 섹션(67)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면 섹션에는 2개의 맞대임 사이트(60) 사이에 리세스(65)가 제공된다.
대안으로,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은 또한 예를 들어, 도 8c와 도 8d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별형 또는 십자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별형 단면 윤곽은 여러 별형 첨부(68)를 가지므로, 맞대임 사이트(60)는 반경방향의 최외측 단부에 형성된다. 리세스(65)는 2개의 인접 별형 첨부들(68) 사이에 제공된다. 도 8c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상부 생크 섹션(25)의 별형 단면 윤곽은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별형 첨부(68)를 포함하고, 상기 첨부들은 종축(16)에 관해서 중심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할 때, 반경방향의 최외측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다 이러한 반경방향의 최외측 단부에서, 별형 첨부(68)는 둥글게 형성되므로, 양호하게, 맞대임 사이트(60)에는 예리한 에지가 형성되지 않는다. 리세스(65)의 외측면 섹션(67)은 V형 방식으로 내향으로 오목하게 만곡진다. 별형 첨부들 사이에 있는 변이는 에지가 없다.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함으로써, 또한 4개 이상의 별형 첨부들(68)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d의 십자형 단면을 고려할 때, 맞대임 사이트(60)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지고, 그에 의해서 곡률은 특히 측방향 원통면(61)과 동일한 반경을 가진다. 맞대임 사이트(60) 사이에 있는 리세스(65)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오목하게 만곡진 외측면 섹션(67)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섹션은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에서 볼 때 아치형을 나타낸다.
도 8e와 도 8f에 따른 2개의 단면 형태는 상부 생크 섹션(25)을 위한 삼각형 단면을 제공한다. 도 6e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생크 섹션(25)의 3개의 외측면 섹션(67)은 볼록하게 외향으로 만곡진다. 삼각형의 첨부들은 또한 반경방향 영역을 가지므로, 상부 생크 섹션(25)의 전체 외측면은 예리한 에지와 모서리없이 구성된다. 첨부들은 맞대임 사이트(60)를 나타내고 공통 측방향 원통면(61)에 위치한다. 맞대임 사이트(60) 사이에 있는 만곡진 외측면 섹션(67)에는 리세스(65)가 제공된다.
도 8f에 도시된 삼각형 단면을 고려할 때, 리세스(65)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3개의 평면 외측면 섹션(67)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외측면 섹션은 원주에 걸쳐 규칙적인 방식으로 분포된다. 원주방향으로 볼 때, 맞대임 사이트(60)는 상기 평면 외측면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맞대임 면은 예를 들어, 반경을 따라 외향으로 만곡진다. 맞대임 사이트(60)의 반경은 측방향 원통면(61)의 반경만큼 크고 도 8f에 따른 양호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공통 측방향 원통면(61)의 반경보다 작다.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 형태의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와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 단면의 모서리와 에지들은 만곡지거나 또는 반경방향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모서리 및 에지가 없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외측면이 달성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생크 섹션(25)의 단면 형태의 대칭은 상부 생크 섹션(25)의 중력 중심이 종축(16)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 3과 도 4는 바늘 홀더(45)의 바늘판(46)의 개략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예를 들어, 바늘판이 처리될 평면형 섬유 재료 위에 배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바늘판은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평면형 섬유 재료 밑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바늘 홀더(45)는 바늘판(46)과 바늘 바아(47)를 포함한다. 홈(48)은 바늘판(46)에 제공되고, 상기 홈은 상측부(44)를 향하여 개방되고 서로로부터 일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홈(48)은 홈의 개방 측부에 인접한 홈 플랭크(55)를 대향하게 배열하고, 상기 플랭크들은 홈 폭 방향(92)으로 홈(48)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폭 방향은 바늘이 바늘판(46)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15)의 폭 방향(34)과 일치한다. 2개의 홈 플랭크들(55)은 홈 베이스(7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2개의 인접 홈들(48)은 스트립(49) 형태로 거리를 두고 분리된다. 복수의 보어들(51)은 상측부(44)로부터 하측부(50)로 바늘판(46)을 통해서 연장된다. 상측부(44)의 영역에서, 보어들(51)은 홈(48)에서 종결된다. 보어들의 중심축(52)은 홈 폭 방향(92)으로 각 홈(48)을 통해서 연장되어서 대략 중심설정된다. 여러개의 보어들(51)은 각 홈(48)을 따라서 제공된다.
바늘판(46)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공통 홈(48)에 의해서 연결되는 보어들(51)은 홈(48)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규칙적인 거리로 배열된다. 2개의 인접 홈들의 보어들(51)은 예를 들어,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2개의 홈(48)의 경우와 같이, 홈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홈(48)의 보어들(51)의 중심축(52)은 각 다른 홈(48)의 보어들(51)의 중심축(52)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홈 폭(B)은 폭 방향(34)으로 횡방향(31)에 대해서 가로지르게 측정된다. 홈 폭(B)은 홈 플랭크(55) 또는 홈 베이스(48)에 있는 관측점의 함수로서 변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직사각형 홈 단면을 고려할 때, 홈(48)의 홈 폭(B)은 홈의 각 지점에서 동일 값을 갖지만, 도 5a 내지 도 5f에 제시된 홈(48)의 단면 형태에 있는 홈 폭(B)은 홈 폭(B)이 보어들의 중심축(52)의 방향과 평행한 홈(48)의 깊이 방향으로 관측하여 측정되는 지점의 위치 함수이다. 적어도 홈 베이스(70)의 영역에 있는 홈 폭(B)은 보어들(51) 또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직경(E)보다 작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홈(48)의 홈 폭(B)의 평균값은 또한 보어들(51)의 직경(E)보다 작다. 특히, 홈(48)의 횡방향(31)에 대해서 오프셋으로 배열된 보어들(51)과 연계하여, 각 인접 홈(48)이 서로에 옆에 매우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바늘판(46)에서 높은 바늘 밀도가 달성될 수 있다. 홈(48)의 양호한 단면 형태를 고려할 때, 홈 폭(B)의 평균값은 보어(51) 또는 상부 생크 섹션(25)의 직경(E)의 절반 이하이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스트립(49)은 스트립(49)에 인접한 홈(48)의 각 보어(51)의 영역에서 원통형 섹션 형태를 갖는 컷아웃(cutout;73)을 구비한다. 폭 방향(34)으로 관측되는 스트립(49)의 폭 또는 그 벽 두께(W)는 횡방향(31)으로 관측된 점의 함수로서 변화된다. 이렇게 할 때, 스트립(49)의 벽 두께(W)는 관측 지점에서 상기 스트립(49)의 경계를 형성하는 홈 플랭크에 적용되는 접선에 대해서 직각으로 측정된다. 바늘판(46)의 양호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립(49)의 최소 벽 두께(W)는 컷아웃(73)의 영역에서 나타난다.
홈들(48)중 하나의 홈 폭 방향(92)에 있는 홈 중심과 이에 바로 인접한 홈(48)의 홈 중심 사이의 홈 거리(A)는 바늘판(46)에 제공된 보어들(51)의 직경(E) 이하이다. 다시 말해서: 접선(75)이 홈(48)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2개의 홈(48) 사이에서 홈(48)중 하나의 보어(51)에 적용되면, 상기 접선은 또한 각 다른 홈(48)의 보어들(51)에서 접선을 나타내거나 또한 상기 보어들과 교차한다. 2개의 인접 홈(48) 사이에서 그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홈 거리(A)는 양호하게 홈판(46)의 홈들중 일부에만 제공된다. 다른, 직접 인접한 홈(48)은 큰 홈 거리(A)를 나타낸다. 홈(48)과 이에 직접 인접하게 연장되는 2개의 홈들(48) 사이의 홈 거리(A)는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홈 단면은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f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직사각형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2개의 홈들(48) 사이에 있는 스트립(49)의 단면을 그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고; 이 결과로서, 상기 스트립에는 한편으로 충분히 높은 안정성이 부여되고; 홈의 단면 형태는 다른 한편으로, 바늘(15)의 홀딩 수단(32)의 단면 윤곽에 적응될 수 있다.
홈(48)의 모든 단면 형태를 고려할 때, 홈 플랭크(55)와 홈 베이스(70) 사이의 변이 영역에 있는 홈 폭(B)은 보어(51)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홈 플랭크(55) 또는 홈 베이스(70)에 있는 관측 사이트의 함수로서 변할 수 있는 홈(48)의 평균값은 보어(51)의 직경보다 작다. 이렇게 할 때, 홈 폭(B)은 도 5a, 도 5b, 도 5d와 도 5f에 따른 홈 직경을 갖는 경우와 같이, 임의의 지점에서 보어(5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c와 도 5e의 홈 단면의 2개의 다른 변형을 고려할 때, 최대 홈 폭(B)은 단지 보어(51)의 직경(E)과 일치한다.
도 5a에서, 홈의 단면은 채널형 홈 베이스(70)를 갖는 U형이다. 2개의 홈 플랭크(55)는 보어(51)의 중심축의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그 변형 형태는 도 5f에 도시되며, 여기서 홈 베이스(70)는 2개의 표면 섹션(70a,70b)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2개의 표면 섹션(70a,70b)은 중심축(52)에 대해서 또는 홈 깊이 방향(91)에 대해서 경사진다. 경사각은 예를 들어, 대략 60도이다. 홈의 중심에서, 2개의 표면 섹션(70a,70b)은 서로 맞대여서 전체 홈(48)을 따라 에지를 형성하며 경사각의 2배를 형성한다.
도 5b와 도 5c는 사다리꼴 단면을 구비한 다른 홈 형상을 도시하며, 그에 의해서 홈 베이스(70)는 폭 방향(34)으로 중심축(52)을 가로지르게 연장된다. 2개의 홈 플랭크(55)는 보어(51)의 중심축(52)에 대해서 경사진다. 도 5c에 따른, 바늘판(46)의 상측부(44)에 있는 홈(48)의 폭(B)은 보어(51)의 직경과 일치한다. 바늘판(46)의 상측부(44)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홈 플랭크(55)가 보어(51)의 중심축(52)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면, 홈(48)의 평균 폭은 보어(51)의 직경보다 작다.
도 5d와 도 5e는 삼각형 홈 단면을 도시하고, 그에 의해서 홈 베이스(70)는 2개의 홈 플랭크(55)의 변이 영역에 있는 에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에지는 홈(48)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다. 홈 플랭크(55)는 서로에 대해서 V형으로 배열되며 예각을 형성한다.
홈 베이스(70)와 홈 플랭크(55) 사이의 각도는 사다리꼴 홈 단면을 고려할 때 45도 내지 85의 범위에 있다. 홈 베이스(70)에 있는 2개의 홈 플랭크(5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도는 삼각형 홈 단면을 고려할 때 70도 내지 130도 사이의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홈(48)의 형태 이외에, 이와 상이한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48)은 또한 제비 꼬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48)의 단면은 홀딩 수단(32)의 단면과 일치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를 고려할 때, 바늘판(46)은 비탄성 재료, 양호하게 금속으로제조될 수 있다. 홈(48)은 밀링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금속 플레이트에 적용될 수 있다. 보어(51)는 사전에 또는 차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늘 홀더(45)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펠팅 기계에 대해서 제공된다. 이렇게 할 때, 바늘판(46)은 필수적으로 수평 방식으로 배열된다. 바늘(15)은 각 보어(51)을 통해서 삽입되므로, 상부 생크 섹션(25)은 각 보어(51)의 내면에 대해서 맞대임 사이트(60)와 접하고, 상기 보어에는 맞대임 사이트(60)에 대해서 반대 맞대임 면(56)이 제공된다. 이러한 결과로, 바늘(15)은 바늘판(46)에 있는 종축(16)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바늘의 작업 섹션(17)이 종축(16)에 대해서 항상 대칭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면, 종축(16)에 관한 바람직한 회전 위치가 달성되고, 상기 위치는 바늘 홀더(45)에 있는 바늘(15)에 의해서 취해진다. 이러한 회전 위치를 미리 명시하고 또한 그 회전 위치를 펠팅 동작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바늘(15)의 바늘 발형상체(30)의 홀딩 수단(32)은 홈(48)에 배열되고, 상기 홈은 각 바늘(15)이 위치하는 보어(51)를 통해서 상측부(44)의 영역에서 연장된다. 이렇게 할 때, 홈(48)의 홈 플랭크(55)는 자체적으로 홀딩 수단(32)에 대한 회전 맞대임부로서 작용하므로, 바늘(15)은 종축(16)에 관한 홀딩 수단(32)과 홈 플랭크(55) 사이의 동작과 일치하게, 종축(16)에 관하여 회전할 수 없거나 또는 단지 회전만할 수 있다. 양호하게, 폭 방향(34)으로 바늘(15)의 작동 위치에서 관측되는 홀딩 수단(32)은 홈(48)에서 유극없이 배열된다.
펠팅 공정 동안, 작업 방향은 바늘(15)의 종축(16)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바늘 바아(46)는 바늘판(46)의 상측부(44)에 배치되므로, 바늘(15)은 도 1과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방향으로 종축(16)과 평행하게 고정된다. 펠팅 공정 동안, 바늘(15)이 안에 유지되는 바늘 홀더(45)는 작업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지지체 상에 배열되는 섬유 재료를 처리한다.
본 발명은 상측부(44)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홈(48)이 제공되는 바늘판(46)을 포함하는 섬유 기계를 위한 바늘 홀더(45)에 관한 것이다. 바늘판(46)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고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각 홈(48)을 따라 배열되는 여러 보어들(51)이 있다. 보어들(51)의 직경(E)은 홈 베이스(70)의 영역에 있는 홈 폭(B)보다 크거나 또는 홈 폭(B)의 평균값보다 크다.
15: 바늘 16: 종축
17: 작업 섹션 18: 바늘 첨부
20: 하부 생크 섹션 21: 제 1 변이 영역
25: 상부 생크 섹션 26: 제 1 계단, 환형면
30: 바늘 발형상체 31: 횡방향
32: 홀딩 수단 33: 발형상체 연결부
34: 폭 방향 35: 32의 자유 단부
35': 32의 자유 단부 40: 제 2 계단
41: 제 2 변이 영역 42: 제 3 변이 영역
44: 46의 상측부 45: 바늘 홀더
46: 바늘판 47: 바늘 바아
48: 홈 49: 스트립
50: 46의 하측부 51: 보어
52: 51의 중심축 55: 홈 플랭크
56: 반대 맞대임 면 60: 맞대임 사이트
61: 측방향 원통면 65: 리세스
67: 외측면 섹션 68: 별형 첨부
70: 홈 베이스 70a: 70의 표면 섹션
70b: 70의 표면 섹션 73: 컷아웃
75: 접선
91: 깊이 방향 92: 홈 폭 방
A: 홈 거리 B: 홈 폭
C: 17의 직경 D: 20의 직경
E: 25, 51의 직경 W: 벽 두께

Claims (16)

  1. 섬유 기계(textile machine)용 바늘 홀더로서,
    횡방향(31)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홈들(48)이 일 상측부(44) 상에 제공되는 바늘판(46)을 구비하며,
    각 홈(48)을 따라, 여러 보어들(51)이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공되고 상측부(44)로부터 대향 하측부(50)로 바늘판(46)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며,
    상기 보어들(51)의 직경(E)은 홈 폭(B)의 평균값보다 크거나 또는 홈 베이스(70)의 영역에서의 홈 폭(B)보다 큰,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 홈들(48)의 상기 보어들(51)은 횡방향(31)으로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48) 중 하나의 홈 중심과 이에 인접하게 직접 연장되는 상기 홈들(48) 중 다른 하나의 홈 중심 사이에서 횡방향(31)을 가로지르는 폭 방향(34)의 홈 거리(A)는 상기 보어들(51)의 직경(E)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한 홈(48)의 홈 중심과 이에 인접하게 직접 연장되는 2개의 홈들(48)의 홈 중심들 사이의 홈 거리들(A)은 상이한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폭(B)의 평균값은 상기 보어들(51)의 직경(E)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2개의 인접 홈들(48)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49)이 있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보어들(51)의 영역에서 컷아웃(73)을 구비하며, 상기 컷아웃은 원통체의 섹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49)의 최소 벽 두께(W)는 상기 컷아웃(73)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48)은 직사각형 형태와 상이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폭(B)은 상기 바늘판(46)의 상측부(44)를 향하여 홈 베이스(70)로부터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베이스(70)는 서로에 대해서 맞대여서 에지를 형성하는 여러 평면의 표면 섹션들(70a,7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48)은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48)은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48)은 U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판(46)은 비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 기계의 바늘 홀더(45)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늘로서,
    종축(16)을 따라 연장되고 바늘 첨부(18)를 구비한 작업 섹션(17),
    상기 작업 섹션(17)에 인접하는 하부 생크 섹션(lower shank section; 20) 및 상기 하부 생크 섹션에 인접하는 상부 생크 섹션(25)을 구비하며, 그에 의해서 양 생크 섹션(20,25)이 종축(16)을 따라 서로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생크 섹션(25)에 인접하고 필수적으로 직선 라인으로 상기 종축(16)에 대해서 가로지르게 횡방향(31)으로 연장되는 홀딩 수단(32)을 구비하는 바늘 발형상체(needle foot; 30)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크 섹션(25)의 직경(E)은 상기 하부 생크 섹션(20)의 직경(D)보다 크고 폭 방향(34)으로 상기 바늘 발형상체(30)의 홀딩 수단(32)의 평균 폭보다 큰 바늘 홀더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판(46)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KR1020100012280A 2009-02-12 2010-02-10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KR101248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2726.7 2009-02-12
EP09152726A EP2218813B1 (de) 2009-02-12 2009-02-12 Nadelhalterung für eine Textil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379A KR20100092379A (ko) 2010-08-20
KR101248048B1 true KR101248048B1 (ko) 2013-03-27

Family

ID=4061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80A KR101248048B1 (ko) 2009-02-12 2010-02-10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45373B2 (ko)
EP (1) EP2218813B1 (ko)
JP (1) JP5697816B2 (ko)
KR (1) KR101248048B1 (ko)
CN (1) CN101805959B (ko)
ES (1) ES2368476T3 (ko)
TW (1) TWI435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4768A1 (en) 2012-02-29 2013-10-17 Marker Medical, Llc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EP3000923A1 (de) * 2014-03-13 2016-03-30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Nadelbrett
DE102015014722B3 (de) * 2015-10-28 2016-12-15 Thomas Liebers Strickmaschine mit einem Führungskanal und einem darin geführten Strickelement
EP3165659B1 (de) * 2015-11-05 2018-08-29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Nadelmodul für ein nadelbrett einer nadelmaschine
CN109137269B (zh) * 2018-10-10 2024-02-02 烟台博斯纳钢琴制造有限公司 一种排针组件和钢琴弦槌预整音刺针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9753A (en) * 1964-04-15 1967-03-21 J J Marx Needle board for felting looms and the like
US3397436A (en) * 1967-01-30 1968-08-20 Singer Co Needle board for needle felting machines
DE3105358A1 (de) * 1981-02-13 1982-09-09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6930 Eberbach "nadelbrett fuer nadelfilzmaschinen"
GB2228497A (en) 1989-02-27 1990-08-29 Fehrer Textilmasch Needle board for needling a non-woven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9104A (en) * 1933-03-11 1933-09-28 Charles James Woodburne Improvements relating to needle boards for the manufacture of needled felts or cloths
US2349086A (en) * 1943-02-25 1944-05-16 Edson P Foster Felting needle
NL110401C (ko) * 1954-03-10
US3122815A (en) 1961-10-04 1964-03-03 Ii Alexander M Smith Needle board for needle loom
GB1099517A (en) * 1965-08-11 1968-01-17 William Bywat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needles in the needle boards of web punching or needling machines
JPS444642Y1 (ko) * 1965-08-24 1969-02-20
US3877120A (en) * 1970-02-20 1975-04-15 Toray Industries Needle board
CH564115A5 (ko) * 1970-02-20 1975-07-15 Toray Industries
DE2411685B2 (de) * 1974-03-12 1976-09-02 Zocher, Josef, 5100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nicht gewebten florstoffes
JPS5137180U (ko) * 1974-09-13 1976-03-19
JPS5146548Y2 (ko) * 1974-10-22 1976-11-10
US3913189A (en) * 1975-01-06 1975-10-21 Edson P Foster Felting needle with barb on a single edge and an isosceles blade
US4037297A (en) * 1976-06-15 1977-07-26 Foster Needle Company, Inc. Felting needle with barbed tip
US4131978A (en) * 1977-11-09 1979-01-02 The Singer Company Felting needle
US4540108A (en) * 1984-05-17 1985-09-10 Campbell Jeptha E Needlepointing tool
AT389714B (de) * 1988-05-17 1990-01-25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einseitigen nadeln eines filzes
JPH0253951A (ja) * 1988-08-17 1990-02-22 Nobuhiro Oba フェルト布製造機用フェルト針取付構造
AT406489B (de) * 1999-02-15 2000-05-25 Fehrer Textilmasch Nadelbrett für eine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CN1247004C (zh) * 2001-06-06 2006-03-22 上海贝尔有限公司 基于公众业务电话网的具有电话号码漫游功能的通信终端
DE20203158U1 (de) * 2002-02-28 2003-07-10 Dilo Kg Maschf Oskar Nadelbrett für eine Nadelmaschine
CN2719883Y (zh) * 2004-08-20 2005-08-24 常熟市腾龙无纺设备有限责任公司 针刺机的针板夹紧机构
EP2138616B1 (de) * 2008-06-24 2011-10-19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Nadelbrett für eine Nadelmaschine
DE502009000627D1 (de) * 2009-02-12 2011-06-16 Groz Beckert Kg Nadel für eine Textil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9753A (en) * 1964-04-15 1967-03-21 J J Marx Needle board for felting looms and the like
US3397436A (en) * 1967-01-30 1968-08-20 Singer Co Needle board for needle felting machines
DE3105358A1 (de) * 1981-02-13 1982-09-09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6930 Eberbach "nadelbrett fuer nadelfilzmaschinen"
GB2228497A (en) 1989-02-27 1990-08-29 Fehrer Textilmasch Needle board for needling a non-woven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379A (ko) 2010-08-20
CN101805959B (zh) 2013-01-02
US20110041303A1 (en) 2011-02-24
JP5697816B2 (ja) 2015-04-08
US8245373B2 (en) 2012-08-21
TW201040343A (en) 2010-11-16
CN101805959A (zh) 2010-08-18
EP2218813A1 (de) 2010-08-18
ES2368476T3 (es) 2011-11-17
TWI435965B (zh) 2014-05-01
EP2218813B1 (de) 2011-06-22
JP2010196238A (ja)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048B1 (ko) 섬유 기계용 바늘 홀더
KR101182119B1 (ko) 섬유 기계용 바늘
JP4263617B2 (ja) 溝削り及び倣い削りの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
KR101085373B1 (ko) 평평한 텍스타일 직물을 바느질하기 위한 니들
CN105229210B (zh) 用于梳理机的罗拉的针布钢丝
US20230203716A1 (en) Trilobal filaments and spinneret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64465B1 (ko) 섬유 기계용 바늘
CN105899721B (zh) 具有双扭槽的缝纫针
KR101760664B1 (ko) 톱니형 와이어와 천연 섬유 플리스 제조 방법
JP4512637B2 (ja) 繊維ウェブを処理するための構造化針
US20210394281A1 (en) Drill and insert for drill having improved centering capability and cutting performance
TW202233931A (zh) 具有凹部的縫紉機針
JP6585303B2 (ja) ボアホール表面を粗面化するためのツール
JP4124197B2 (ja) 楕円形の面取部を有するミシン針
SU272776A1 (ru) СДЯ КИКДИОТЕКАЕ. И. Асыченко•• <•
JP2018530458A (ja) ボアホール表面を粗面化するための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