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841B1 - Terminal unit - Google Patents
Terminal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841B1 KR101247841B1 KR1020110092342A KR20110092342A KR101247841B1 KR 101247841 B1 KR101247841 B1 KR 101247841B1 KR 1020110092342 A KR1020110092342 A KR 1020110092342A KR 20110092342 A KR20110092342 A KR 20110092342A KR 101247841 B1 KR101247841 B1 KR 101247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spring
- piece
- release lever
- terminal devic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39 c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6 toe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체(器體)의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유지를 동시에 실행하는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선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maintenance of an electric wire inserted from an insertion hole of a base, and a wiring mechanism having the same.
종래부터,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 기구에 있어서, 전선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기체의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유지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결선 가능한 소위 속결 단자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a wiring mechanism such as a switch or an outlet, a screw is used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maintenance of an electric wire inserted from a gas insertion hol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a connection work of an electric wire. There is provided a so-called fastening terminal device that can be wired without connection.
이러한 종류의 단자 장치로서는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을 쇄정(interlock)하여 빠짐 방지하는 잠금 스프링과, 기체에 마련한 조작 구멍을 통과시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잠금 스프링에 의한 전선의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을 구비한 장치가 주지이다. As a terminal device of this kind, a locking spring which interlocks and prevents the wir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prevents the wire from being pulled out, and is operated by a tool such as a driver through the operating hole provided in the aircraft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wire by the locking spring. A device with a release button is well known.
이에 대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쇄정 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제 버튼 대신에, 기체의 외측에 노출해서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를 구비하는 단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참조).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by the locking spring without us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there is proposed a terminal device having a release lever having an operat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operated manually instead of the release button. (See, 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단자 장치에서, 해제 레버는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잠금 스프링을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압동하는 작용부(압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the release lever is provided with an acting portion (pressing portion) that pushes in the direction of detaching the locking spring from the electric wire when the operating portion rotates by manual operation.
그러나, 상술한 단자 장치에서는 해제 레버의 일부를 기체 내의 정위치에 위치 고정시키는 구조가 없고, 해제 레버의 조작시에 해제 레버 전체가 이동하므로, 해제 레버의 이동의 궤적이 안정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가 회전축에 대해 비스듬히 기우는 것에 의해, 해제 레버가 잠금 스프링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에만 닿아 잠금 스프링과 단자판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생기지 않아, 전선을 빼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However, in the terminal device described above, there is no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release lever is fixed at a fixed position in the body, and since the entire release lever moves when the release lever is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jectory of the release lever movement becomes difficult to stabilize. have. Therefore, when the release lev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release lever only touches one end portion in the shorter direction of the lock spring, and a sufficient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lock spring and the terminal plate, and it is difficult to pull out the electric wire. There is a case to be done.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해제 레버의 동작이 안정되고, 해제 레버의 조작시에는 전선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는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reason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liably releasing the prevention of electric wire slipping during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reliably releasing the wire. do.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삽입 구멍이 형성된 기체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을 쇄정하는 잠금 스프링과, 조작시에 상기 잠금 스프링의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를 구비하는 단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측의 정위치에서 상기 기체에 지지되는 축부와, 조작시에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단부를 눌러서 쇄정을 해제하는 작용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a wire formed of a base having an insertion hole, a leaf spring and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a release lever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spring during operation. A terminal device is provided. The release lever includes a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body at fix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lock spring, and an actuating portion that rotates about the shaft portion during operation and presses both ends of the lock spring to release the lock.
상기 잠금 스프링은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전선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선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고 일단부에서 전선을 쇄정하는 쇄정편과, 상기 쇄정편의 타단부에 연속하고 상기 기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측에 있어서의 상기 축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잠금 스프링의 상기 고정편과 상기 쇄정편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locking spring is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wir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inclined to approach the wi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is fixed to the wire at one end thereof, and is continuous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well piece. 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that is fixed in place of the gas. The release lever may be arranged such that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shaf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spring passes through a portion surrounded by the fixing piece and the locking piece of the locking spring.
바람직하게, 상기 해제 레버는 한 쌍의 상기 축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축부의 각각을 상기 조작부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잠금 스프링이 수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lease leve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the shaft por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which is manipulated to rotate about the shaft por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plates that connect each of the shaft portions to the operation portion, respectively. The lock spring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상기 기체내에는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을 상기 잠금 스프링과의 사이에 두는 단자판이 수납되고, 상기 잠금 스프링에는 상기 단자판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base, a terminal plate is placed between the locking spring and the wir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the locking spring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terminal plate by being combined with the terminal plate.
또한,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 스프링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 구멍과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잠금 스프링에 접촉하는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late may include a restrict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locking spring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insertion 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spring is supported.
상기 기체의 내주면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베어링부에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체내에서 위치 결정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bearing section consisting of a recess, and the release lever can be positioned in the base by inserting the shaft section into the bearing s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판은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유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편과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상기 유지편의 두께방향의 일면인 유지면측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은 일부가 상기 유지편에 상기 유지면측부터 맞닿도록 상기 단자판에 조합되고, 상기 유지편에는 상기 유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잠금 스프링의 두께보다도 큰 돌출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plate includes a holding piec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mechan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pie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ing plate is attachable to the holding surface side which is one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lding piece, and the locking A spring is coupled to the terminal plate so that a portion of the spring is in contact with the holding piece from the holding face side, and the holding piece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height dimension from the holding fac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spring.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원발명의 상기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를 구비한 배선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wiring mechanism provided with the terminal device which concerns on said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해제 레버의 축부가 전선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잠금 스프링의 휨 방향과 직교하는 일방향에 있어서의 잠금 스프링의 양측의 정위치에서 기체에 지지되므로, 해제 레버의 동작이 안정되고, 해제 레버의 조작시에는 전선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ft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is supported by the base at both positions of the locking spring in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spring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wire insertion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is stable, When operating the release l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lease the wires from being prevented.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와 같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에 이용하는 단자판 및 잠금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에 이용하는 해제 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기체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내며, 도 5a는 배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에 이용되는 바디 및 해제 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해제 레버를 바디에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단자판 및 잠금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의 단자판에 핀 수용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에 이용되는 코킹 리벳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를 이용하는 배선기구인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 장치를 이용하는 배선기구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giv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late and a locking spring used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lease lever used for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A and 5B show a configuration excluding the base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A is a rear view and FIG. 5B is a side view.
6A and 6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and the release lever used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A is a front view, and FIG. 5B is a sectional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removed the release lever of the terminal devic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from the body.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late and a locking spring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pin accommodation spring was couple | bonded with the terminal board of the terminal devic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ulking rivet used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witch which is a wiring mechanism us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outlet which is a wiring mechanism us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매립형의 배선 기구(10)에 조립된다. 이하에서는, 배선 기구(10)가 벽에 부착된 상태의 상하, 전후, 좌우를 이용하여(즉, 도 2의 상하를 상하, 도 2의 좌측 하부를 앞측, 도 2의 좌측 상부를 좌측으로 해서) 설명하겠지만, 단자 장치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The terminal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assembled to the embedded
도 2에 나타내는 배선 기구(10)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11)를 갖고 있다. 기체(11)는 앞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바디(110)와, 바디(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되어 있다. The
바디(110)의 긴 쪽 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으로 배열하는 각 한 쌍의 수납실(111)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는 각 수납실(111)내에 각각 수납되어 있다. 바디(110)의 뒷벽에는 각 수납실(111)에 연통하는 삽입 구멍(112)(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112)은 바디(110)에 형성된 4개의 수납실(111)에 대응하도록, 바디(110)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으로 배열하는 2개를 1조로 해서 바디(110)의 긴 쪽 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1조씩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각 삽입 구멍(112)은 단자 장치(1)에 접속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기체(11)의 배면측으로부터 기체(11)내(수납실(111)내)에 도입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각각 전선이 1개씩 삽입 통과되도록 내경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2의 배선 기구(10)에서는 출력되는 배선용을 포함시켜 최대 4개의 전선을 접속 가능하도록, 4개의 단자 장치(1)가 기체(11)내에 수납되어 있다. Each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단자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자판(2)과,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을 단자판(2)과의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전선을 쇄정(빠짐 방지)하는 잠금 스프링(3)과, 전선의 쇄정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4)를 기체(11)에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단자판(2)은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촉편(20)과, 접촉편(20)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112)과 반대측의 단부(전단부)와 만나는 유지편(21)을 갖고 있다. 접촉편(20)은 수납실(111)의 내측면 중 삽입 구멍(112)이 개구된 면에 인접하는 제 1 면(도 1에서는 상면)(113)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유지편(21)은 전선의 삽입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수납실(111)의 내측면 중 삽입 구멍(112)의 정면에 위치하는 제 2 면(커버(120)의 배면)(114)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The
또한, 단자판(2)은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제 1 포위편(surrounding piece)(22) 및 제 2 포위편(23)을 더 갖고 있다. 제 1 포위편(22)은 한 쌍 마련되고, 접촉편(20)에 있어서의 긴 쪽 방향의 중앙부 부근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수납실(1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2 포위편(23)은 접촉편(20)과 대향하도록, 유지편(21)으로부터 수납실(1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선단부는 한 쌍의 제 1 포위편(22)에 있어서 좌우로부터 둘러싸이고, 제 2 포위편(23) 및 접촉편(20)에서 상하로부터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 단자판(2)은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금속판에 펀칭 가공 및 굽힘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접촉편(20)과 유지편(21)과 제 1 포위편(22)과 제 2 포위편(23)이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판(2)은 배선 기구(10)의 내부 회로(접점 장치 등)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 장치(1)에 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전선을 배선 기구(10)의 내부 회로에 접속한다.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되는 배선용의 단자를 구비하는 배선 기구(10)에 이용되는 단자 장치(1)를 예시하고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배열하는 한 쌍의 단자 장치(1)는 서로 단자판(2)의 유지편(21)끼리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접촉편(20)과 유지편(21)의 연결 부분에는 단자판(2)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촉편(20)의 연장방향으로 나열된 긴 구멍(24)(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접촉편(20)은 삽입 구멍(112)측의 단부(후단부)가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면(11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고, 제 1 면(1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수납실(111)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제 1 돌기(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20)에 있어서의 유지편(21)측의 단부에는 제 1 면(1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수납실(111)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제 2 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The
또, 접촉편(20)에 있어서의 제 1 돌기(201)와 제 2 돌기(202)의 사이에는 각각 제 1 면(1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수납실(111)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한 쌍의 안내 돌기부(203)가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between the
한편, 잠금 스프링(3)은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띠형상의 판스프링이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중앙편(30)과, 쇄정편(31)과, 맞닿음편(32)과, 연결편(33)이 연속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중앙편(30)과 맞닿음편(32)과 연결편(33)은 쇄정편(31)에 연속하며 기체(11)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성한다.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의 치수는 중앙편(30)과 쇄정편(31)과 맞닿음편(32)과 연결편(33)에서 일정하며, 단자판(2)의 접촉편(20)에 비해 크게 설정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중앙편(30)은 단자판(2)의 접촉편(20)과의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접촉편(20)과 대향하도록, 수납실(111)의 내측면 중 제 1 면(113)과 대향하는 제 3 면(도 1에서는 하면)(1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쇄정편(31)은 중앙편(30)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112)측의 단부(후단부)에 연속되고,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선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쇄정편(31)은 전선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접촉편(20)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고,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에 직교하는 중앙편(30)과 쇄정편(31)의 단면은 대략 V자형상이 된다. The
맞닿음편(32)은 접촉편(20)에 있어서의 전선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제 1 면(113)과 접촉편(20)의 사이에 제 1 면(113)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연결편(33)은 중앙편(30)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112)과는 반대측의 단부와 맞닿음편(32)을 연결하고, 제 2 면(커버(120)의 배면)(114)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The
연결편(33)은 긴 쪽 방향(상하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에, 제 2 면(114)으로부터의 거리를 맞닿음편(32)측보다 중앙편(30)측에서 크게 하는 단차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판(2)의 유지편(21)에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11)의 긴 쪽 방향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유지편(21)은 삽입홈(211)에 개방단측으로부터 연결편(33)의 단차부(331)가 꽂아 넣어지는 것에 의해, 잠금 스프링(3)을 지지한다. The
즉, 잠금 스프링(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331)가 삽입홈(211)에 꽂아 넣어진 상태에서는 연결편(33) 중 단차부(331)보다도 맞닿음편(32)측의 부분이 유지편(21)에 앞측부터 접촉하고, 단차부(331)보다도 중앙편(30)측의 부분이 유지편(21)에 뒤측부터 접촉한다. 이 때, 또한 맞닿음편(32)이 접촉편(20)에 상측부터 접촉하고, 쇄정편(31)의 선단부가 접촉편(20)에 하측부터 접촉하므로, 결과적으로, 잠금 스프링(3)은 단자판(2)에 대해 사방으로부터 접촉하게 되고, 단자판(2)에 지지된다. 즉, 잠금 스프링(3)은 단자판(2)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단자판(2)에 지지되는 지지부로서, 단차부(331)를 갖고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따라서, 단자 장치(1)(배선 기구(10))의 조립시에는 작업자는 단자판(2) 및 잠금 스프링(3)을 기체(11)에 조립하기 전에 미리 단자판(2)과 잠금 스프링(3)을 조합해서(단자판(2)에 잠금 스프링(3)을 지지시켜) 일체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단자판(2) 및 잠금 스프링(2)을 일체화한 1개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잠금 스프링(3)은 단자판(2)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단자판(2)에 지지되는 구조의 지지부를 갖고 있으면 좋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331)가 삽입홈(211)에 꽂아 넣어지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refore,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terminal device 1 (wiring mechanism 10), the operator may advance the
중앙편(30)과 쇄정편(31)의 연결 부분은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반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쇄정편(31)의 선단부를 접촉편(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쇄정편(31)에 가해지면, 중앙편(30)과 쇄정편(31)의 단면 반원호형상의 연결 부분의 직경을 줄이도록, 쇄정편(31)이 휘게(변위하게) 된다. As for the connection part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납실(111)내에 전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고 또한 후술하는 해제 레버(4)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쇄정편(31)의 선단부가 접촉편(20)에 접촉한다. 삽입 구멍(112)을 통과시켜 수납실(111)내에 외부로부터 전선이 삽입되면, 쇄정편(31)이 전선의 선단에 눌려 선단부를 접촉편(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휜다. 여기서, 전선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잠금 스프링(3)의 휨방향과 직교하는 1방향(좌우방향)은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이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 wire is not inserted into the
전선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쇄정편(31)은 그 선단부와 접촉편(20)의 사이에 전선의 심선을 두는 것에 의해,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전선이 빼내지는 방향에 대한 전선의 빠짐 방지를 실행한다. 이 때, 전선의 심선이 잠금 스프링(3)의 탄성에 의해서 접촉편(20)에 꽉 눌러지는 것에 의해, 단자 장치(1)와 전선의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접압(contact pressure)이 확보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 wire has been inse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또한, 해제 레버(4)의 조작에 의해, 잠금 스프링(3)의 탄성에 대항해서 쇄정편(31)의 선단부를 접촉편(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접촉편(20)과 쇄정편(31)의 사이의 거리를 넓히면, 전선의 빠짐 방지(쇄정)를 해제할 수 있다. 해제 레버(4)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Moreover, by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단자판(2)은 잠금 스프링(3)을 지지한 상태에서, 유지편(21)의 일부가 삽입 구멍(112)과 반대측(앞측)으로부터 잠금 스프링(3)에 접촉하는 규제부(212)로서 기능한다. 즉, 유지편(21)은 연결편(33) 중 단차부(331)보다도 중앙편(30)측의 부분에 대해 앞측부터 접촉하므로, 이 부분이 규제부(212)를 구성한다. 그 때문에,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전선이 삽입될 때에 잠금 스프링(3)이 전선에 눌려도, 단자판(2)은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잠금 스프링(3)이 이동하는 것을 규제부(212)에 의해 막을 수 있다. Here,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에 있어서는 전선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편(20)은 제 1 돌기(201)와 제 2 돌기(202)로 전선의 심선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접촉편(20)이 전선측의 면 전체에서 전선과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편(20)과 전선의 접압이 커진다. 또한, 제 1 돌기(201)와 제 2 돌기(202)는 전선이 접촉편(20)과 쇄정편(3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을 사이에 두고 쇄정편(3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대해, 전선의 삽입방향의 양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선은 제 1 돌기(201)와 제 2 돌기(202)와 쇄정편(31)의 선단의 3 점에서 지지되게 되고, 접속 상태가 안정하다. In the
또한,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선단부는 한 쌍의 제 1 포위편(22)에 있어서 좌우로부터 둘러싸이고, 제 2 포위편(23) 및 접촉편(20)에 있어서 상하로부터 둘러싸이므로, 전선이 단선(單線)이면 전선의 이동 범위를 이들 포위편(22, 23)에서 규제할 수 있다. 전선이 꼬인 선이면, 소선(素線)의 흩어지는 범위를 포위편(22, 23)에서 규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electric wire inserted from the
또한, 접촉편(20)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돌기부(203)에 의해, 전선은 양 안내 돌기부(203)의 사이에 안내되게 되며 접속 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또, 접촉편(20)에 있어서의 전선과의 접촉면에는 전선의 삽입방향으로 교차하는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전선의 빠짐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the pair of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4)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해제 레버(4)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0)와, 조작부(40)의 조작에 수반하는 회전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41)와, 쇄정편(31)에 접촉하는 작용부(42)를 갖고 있다. 이 해제 레버(4)는 1개의 단자 장치(1)에 대해 1개, 즉 1개의 잠금 스프링(3)에 대해 1개씩 마련되어 있고, 기체(11)의 각 수납실(111)에 각각 조립된다. The
조작부(40)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해제 레버(4)가 기체(11)에 조립된 상태에서 기체(11)의 외부에 배치된다. 잠금 스프링(3)에 의한 전선의 쇄정을 해제하고자 하는 유저는 이 조작부(40)에 손가락을 걸어 조작부(40)를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해제 레버(4)를 동작시킨다. 해제 레버(4)는 비조작시(비동작시)에는 조작부(40)가 바디(110)의 긴 쪽 방향(상하방향)의 각 단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The
축부(41)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한 쌍 마련되어 있고, 각각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부(41)는 전선의 삽입방향(전후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잠금 스프링(3)의 휨방향(상하방향)과 직교하는 1방향(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잠금 스프링(3)의 양측의 정위치(후술하는 베어링부(132))에서 기체(11)에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레버(4)는 각 축부(41)와 조작부(40)의 좌우방향의 각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판(43)을 더 갖고 있다. The
연결판(43)은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판면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이며, 3개의 코너부 중 제 1 코너부(431)에 축부(41)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코너부(432)가 조작부(40)의 좌우방향의 각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43)의 제 3 코너부(433)에는 제 2 코너부(4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41)는 연결판(43)의 다른 부위에 비해 약간 두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The connecting
바꿔 말하면, 좌우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판(43)은 제 2 코너부(432)끼리가 조작부(40)를 거쳐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연결판(43)의 판면을 따르는 평면내에 있어서, 조작부(40)는 판면이 연결판(43) 중 제 1 코너부(431)와 제 2 코너부(432)를 연결하는 변과 직교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에서는 한 쌍의 연결판(43)의 간격은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치수에 비해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해제 레버(4)는 이들 한 쌍의 연결판(43)의 사이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3)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45)을 형성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pair of connecting
작용부(42)는 축부(41)와 마찬가지로,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한 쌍 마련되어 있다. 각 작용부(42)는 각각 각 연결판(43)에 있어서의 수납 공간(45)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작용부(42)는 연결판(43) 중 제 1 코너부(431)와 제 2 코너부(432)를 연결하는 변 위이고, 제 1 코너부(431)와 제 2 코너부(432)의 중간점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The acting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용부(42)는 연결판(43)의 판면을 따르는 단면이 연결판(43)과 대략 비슷한 삼각형상으로 되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43)에 있어서의 제 1 코너부(431)와 제 3 코너부(433)를 연결하는 변에 평행인 측면이 쇄정편(31)에 접촉한다. 연결판(43)으로부터의 작용부(42)의 돌출 치수(높이 치수)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작용부(42) 사이에, 쇄정편(31)의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단자판(2)의 접촉편(20)의 짧은 쪽 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간극이 발생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작용부(42)는 쇄정편(31) 중 짧은 쪽 방향(좌우방향)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조작부(40)의 조작에 수반해서 쇄정편(31)의 짧은 쪽 방향의 양단부를 누른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 작용부(42) 중, 연결판(43)에 있어서의 제 1 코너부(431)와 제 2 코너부(432)를 연결하는 변을 따르는 측면에는 제 3 코너부(43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결판(43)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기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은 해제 레버(4)의 비조작시(비동작시)에는 삽입 구멍(112)에 임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삽입 구멍(112)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이 작용부(42)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6a 및 6b 참조). Moreover, the side part along the side which connects the
또한, 각 연결판(43)의 수납 공간(45)측의 면에 있어서, 작용부(42)와 제 2 코너부(432)의 사이의 영역에는 수납 공간(45)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되는 부풀어오름부(4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풀어오름부(434)의 연결판(43)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높이 치수)는 작용부(42)에 비해 충분히 작다. Moreover, in the area | region between the acting
한편, 바디(110)는 도 6a 및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쪽 방향(상하방향)의 양 측벽에, 수납실(111)로부터 외부공간에 통하는 슬릿(130)이 각 수납실(111)에 대해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릿(130)은 수납실(111)의 좌우방향의 각 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해제 레버(4)는 각 슬릿(130)에 각 연결판(43)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부(40)가 수납실(111)의 외측에 노출되고, 축부(41) 및 작용부(42)가 수납실(111)내에 위치하도록 바디(110)에 수납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각 슬릿(130)의 내측면 중, 연결판(43)의 작용부(42)가 마련되어 있는 측의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슬릿(130)의 긴 쪽 방향(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형상인 돌기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릿(130)은 그 전단부끼리가, 수납실(111)로부터 외부공간에 통하는 관통 구멍(131)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제 레버(4)의 조작시에는 조작부(40)를 관통 구멍(131)에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도 1 참조).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of the
여기에 있어서, 바디(110)에 있어서의 수납실(111)의 내주면 중, 삽입 구멍(112)이 개구된 제 4 면(116)에는 좌우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실(111)의 좌우방향의 치수는 해제 레버(4)의 좌우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해제 레버(4)는 각 베어링부(132)에 각각 축부(41)가 삽입되도록 하여, 바디(110)에 수납된다. Here, in the
베어링부(132)는 축부(41)와 동일한 직경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부(41)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과 뒤쪽으로의 축부(4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해제 레버(4)를 위치 결정한다. 또한, 해제 레버(4)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수납실(111)의 좌우 양 벽면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와 같이 바디(110)에 수납된 해제 레버(4)는 조작부(40)의 조작에 따라, 축부(41)를 베어링부(132)내에서 회전시키면서, 축부(41)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바꿔 말하면, 해제 레버(4)의 축부(41)는 전선의 삽입방향(전후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잠금 스프링(3)의 휨방향(상하방향)과 직교하는 1방향(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잠금 스프링(3)의 양측의 정위치(베어링부(132))에서 기체(11)에 지지된다. The
또한, 조작부(40)의 선단부(후단부)에는 축부(41)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발톱부(46)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 레버(4)는 바디(11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바디(110)의 긴 쪽 방향(상하방향)의 각 단면의 뒷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구멍(117)에 발톱부(46)가 걸리는 것에 의해, 앞측으로의 직진 이동이 제한된다. 즉, 해제 레버(4)는 바디(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축부(41)와 발톱부(4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바디(110)에 대해 위치 결정되게 된다. Moreover,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부(132)는 제 4 면(116)에 있어서의 수납실(11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리브(133)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133)는 제 3 면(115)을 따라, 제 3 면(115)의 전후방향의 중앙 부분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제 레버(4)는 축부(4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연결판(43) 중 제 1 코너부(431)와 제 3 코너부(433)의 사이의 측면이 리브(133)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연결판(43)의 측면이 리브(133)에 접촉한 상태에서, 연결판(43)의 제한부(44)는 리브(133)와 제 2 면(114)(도 1 참조)의 사이에 수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earing
또한, 제 4 면(116)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부(132)의 사이의 부위에는 잠금 스프링(3)의 중앙편(30)과 쇄정편(31)의 연결 부분이 수납되도록, 베어링부(132)보다도 더욱 깊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해제 레버(4)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조작부(40)의 조작에 수반하여,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양측의 정위치(베어링부(132))에 위치하는 한 쌍의 축부(4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조작부(40)의 조작시에 해제 레버(4)가 축부(41)마다 이동하는 일은 없고, 해제 레버(4)의 이동의 궤적은 안정하다. 또한, 해제 레버(4)는 축부(41)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수반하여, 쇄정편(31)의 짧은 쪽 방향의 양단부를 한 쌍의 작용부(42)에 의해 누르므로,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양단부에 균등하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monstrated above, the
그 때문에, 해제 레버(4)가 회전축에 대해 비스듬히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제 레버(4)가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양단부에 균등하게 닿아, 잠금 스프링(3)과 단자판(2)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제 레버(4)의 조작시에는 잠금 스프링(3)에 의한 전선의 쇄정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고, 단자 장치(1)로부터 전선을 떼어낼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저가 조작하는 조작부(40)와 축부(41)의 사이에, 쇄정편(31)에 힘을 전하는 작용부(42)가 위치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유저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잠금 스프링(3)을 휘게 하여 전선의 쇄정을 해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또한, 기체(11)의 내주면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해제 레버(4)는 베어링부(132)에 축부(4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기체(11)내에서 위치 결정되므로, 배선 기구(1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도 7과 같이 별체의 바디(110)와 해제 레버(4)를 이용하여, 베어링부(132)에 축부(41)가 끼워지도록 바디(110)에 해제 레버(4)를 조립한다. 이 때, 작업자는 도 6a 및 6b과 같이 해제 레버(4)를 회전시켜 조작부(40)의 발톱부(46)를 걸림 구멍(117)에 거는 것에 의해, 해제 레버(4)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Moreover, the bearing
이 때, 연결판(43)에 형성되어 있는 부풀어오름부(434)가 슬릿(130)의 내측면의 돌기부(134)를 타고 넘어, 부풀어오름부(434)와 작용부(42)의 사이에 돌기부(134)가 배치되고, 해제 레버(4)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작업자는 단자판(2) 및 잠금 스프링(3)을 조합한 부품을 바디(110)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단자 장치(1)(배선 기구(10))를 조립할 수 있다. 또, 단자 장치(1)(배선 기구(10))의 조립시에는 작업자는 바디(110)의 개구부를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바디(110)에 대해 해제 레버(4), 일체화된 단자판(2) 및 잠금 스프링(3)을 차례로 조립하고 나서, 커버(120)를 바디(1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ulging
또한, 해제 레버(4)는 한 쌍의 연결판(43)의 사이에 잠금 스프링(3)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45)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해제 레버(4)와 잠금 스프링(3)이 조합된 부품을 소형화할 수 있고, 단자 장치(1)의 소형화로 이어진다. Moreover, since the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레버(4)는 양 축부(41)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411)(도 5a 및 5b 참조)이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어서, 잠금 스프링(3)의 중앙편(30)과 쇄정편(31)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납 공간(45)으로부터의 잠금 스프링(3)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고, 해제 레버(4)와 잠금 스프링(3)이 따로따로 수납되는 경우에 비해 수납실(111)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잠금 스프링(3)은 쇄정편(31)과 중앙편(30)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쇄정편(31)이 회전하도록 변형되므로, 해제 레버(4)의 회전 중심(한 쌍의 축부(41))과 쇄정편(31)의 회전 중심은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직선상에 배열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제 레버(4)의 회전시에 작용부(42)로부터 쇄정편(31)에 전달되는 힘은 잠금 스프링(3)을 휘게 하는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잠금 스프링(3)이 휘기 쉬워진다. Here, since the
또한, 잠금 스프링(3)은 한 쌍의 연결판(43)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있으므로, 연결판(43)의 면에서 지지되게 되어 기울어지기 어려우며, 좌우방향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4)에 대해 잠금 스프링(3)이 비스듬히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제 레버(4)의 조작시에 전선의 쇄정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단자 장치(1)로부터 전선을 떼어낼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즉, 기체(11)에 위치 결정된 해제 레버(4)를 이용해서 잠금 스프링(3)이 위치 결정되므로, 기체(11)에는 잠금 스프링(3)을 좌우방향에 위치 결정하는 구조가 필요 없으며, 잠금 스프링(3)의 위치 결정의 구조를 크게 취하면서도, 단자 장치(1) 전체로서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레버(4)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축부(41)를 갖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축부(41)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의 양측의 정위치에서 기체(11)에 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축부(41)는 잠금 스프링(3)의 짧은 쪽 방향을 따른 1 개의 봉 형상의 축이어도 좋다. 또한, 해제 레버(4)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축부가 형성되고, 축부에 끼우는 베어링부가 기체(11)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또한, 잠금 스프링(3) 자체가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단자판(2)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잠금 스프링(3)에 배선 기구(10)의 내부 회로(접점 장치 등)가 직접 접속된다. In addition, the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는 배선 기구로서의 콘센트에 조립된다. 이 단자 장치(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2)의 유지편(21)에 돌출대(213)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와 다르다. The
돌출대(213)는 유지편(21)의 두께방향의 일면(앞면)인 유지면(214)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대(213)는 유지편(21) 중 한 쌍의 삽입홈(211)의 사이의 부위에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대(213)는 유지면(214)으로부터 앞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치수가 잠금 스프링(3)의 연결편(33)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돌출대(213)의 유지면(214)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잠금 스프링(3)의 연결편(33)의 유지면(214)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The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장치(1)가 이용되는 배선 기구는 기체의 앞벽에 마개 핀(plug pin)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마개 핀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콘센트 플러그(도시하지 않음)의 마개 핀을 받는 핀 수용 스프링(14)(도 9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핀 수용 스프링(14)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앞측부터 삽입되는 마개 핀을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마개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핀 수용 스프링(14)은 단자판(2)의 유지편(21)과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를 구성하며, 유지편(21)의 유지면(214)측(앞면측)에 부착된다. Here, as for the wiring mechanism in whic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구멍(122)을 구비한 콘센트가 배선기구의 일례이지만, 버튼(121)(도 11 참조)을 구비한 스위치 또한 본원 발명의 단자 장치(1)를 이용하는 배선기구의 다른 일례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단자 장치(1)를 이용하는 배선기구의 일례들로서 상기 콘센트 및 스위치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having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 부재인 핀 수용 스프링(14)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킹 리벳(15)을 이용하여 유지편(21)에 코킹 결합된다. 즉, 배선 기구의 조립시, 작업자는 핀 수용 스프링(14)에 형성된 투과구멍(도시하지 않음) 및 유지편(21)에 형성된 코킹 구멍(215)에 대해 코킹 리벳(15)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코킹 리벳(15)의 양단부를 코킹하는 것에 의해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을 결합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또, 도 8에 나타내는 단자판(2)에서는 유지편(21) 중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접촉편(20)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핀 수용 스프링(14)과는 별도의 도전 부재를 코킹 고정시키기 위한 투과 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편(21)에 있어서의 투과 구멍(216)과 코킹 구멍(215)의 사이에는 보강용의 리브(2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자판(2)은 유지편(21)에 있어서의 접촉편(20)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뒤측으로 연장되고, 접촉편(20)과의 사이에 잠금 스프링(3)의 중앙편(30) 및 쇄정편(31)을 끼워넣는 지지편(25)을 갖고 있다. Moreover, in the
여기서, 코킹 리벳(15)이 삽입 통과되는 코킹 구멍(215)은 돌출대(21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핀 수용 스프링(14)은 단자판(2)에 대해 코킹 고정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대(213)의 선단면 (앞면)에 맞닿고, 돌출대(213)에 의해서 유지면(214)으로부터 연결편(33)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들뜨게 된다. Here, the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자판(2)에 핀 수용 스프링(14)이 결합됨에 있어서, 돌출대(213)의 선단면에 핀 수용 스프링(14)을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핀 수용 스프링(14)과 유지면(214)의 사이에 잠금 스프링(3)이 수납된 상태에서 핀 수용 스프링(14)과 잠금 스프링(3)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유지편(21)에 지지되어 있는 잠금 스프링(3)이 방해되는 일 없이, 단자판(2)에의 핀 수용 스프링(14)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when the
또한, 잠금 스프링(3)이 스프링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자판(2)에 비해 도전율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단자판(2)이 동, 잠금 스프링(3)이 스테인리스강), 핀 수용 스프링(14)이 잠금 스프링(3)을 거치지 않고 단자판(2)에 직접 접촉하므로, 전기적 접속이 안정하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즉, 핀 수용 스프링(14)이, 도전율이 낮은 잠금 스프링(3)을 거쳐서 단자판(2)에 접속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안정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또,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을 코킹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코킹 고정용의 코킹 리벳으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페이서를 갖는 코킹 리벳(16)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돌출대(213)를 마련하지 않아도, 돌출대(213)를 마련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코킹 리벳(16)은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리벳 본체(160)의 긴 쪽 방향(원주의 중심축 방향)의 중앙부에, 리벳 본체(160)보다도 외경이 큰 원반형상의 스페이서(161)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161)의 두께 치수는 잠금 스프링(3)의 연결편(33)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In the structure for caulking the
이 코킹 리벳(16)은 핀 수용 스프링(14)과 유지면(214)의 사이에 스페이서(161)가 끼워지도록 하여, 핀 수용 스프링(14) 및 단자판(2)과 조합되고, 리벳 본체(160)의 양단부가 각각 코킹되는 것에 의해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핀 수용 스프링(14)과 유지면(214)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61)에 의해서 잠금 스프링(3)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간극이 형성되고, 핀 수용 스프링(14)과 잠금 스프링(3)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유지편(21)에 지지되어 있는 잠금 스프링(3)이 방해되는 일 없이, 단자판(2)에의 핀 수용 스프링(14)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The
단, 도 10에 나타내는 코킹 리벳(16)을 이용한 구성에서는 핀 수용 스프링(14)은 코킹 리벳(16)을 거쳐서 단자판(2)에 접속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편(21)에 돌출대(213)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 쪽이 핀 수용 스프링(14)과 단자판(2)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 상태는 더욱 안정하다. Howev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 부재로서 핀 수용 스프링(14)을 예시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판(2)에는 핀 수용 스프링(14) 이외의 도전 부재가 부착되어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그 밖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 실시 형태과 마찬가지이다. Other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도 본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which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 단자 장치 2; 단자판
3; 잠금 스프링 4; 해제 레버
11; 기체 14; 핀 수용 스프링(도전 부재)
21; 유지편 30; 중앙편(고정편)
31; 쇄정편 32; 맞닿음편(고정편)
33; 연결편(고정편) 40; 조작부
41; 축부 42; 작용부
43; 연결판 112; 삽입 구멍
132; 베어링부 211; 삽입홈
212; 규제부 213; 돌출대
214; 유지면 411; 직선 One;
3; Locking
11;
21;
31;
33; Connecting piece (fixing piece) 40; Control unit
41;
43; Connecting
132;
212;
214; Holding
Claims (8)
삽입 구멍이 형성된 기체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을 쇄정하는 잠금 스프링과,
조작시에 상기 잠금 스프링의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레버는 전선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기 잠금 스프링의 휨 방향과 직교하는 일방향에서의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측의 정위치에서 상기 기체에 지지되는 축부와, 조작시에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단부를 눌러서 쇄정을 해제하는 작용부를 구비한
단자 장치.
As a terminal device,
A gas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 locking spring made of a leaf spring and locking the inserted wire from the insertion hole,
Release lever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spring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The release lever includes a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at a fix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spring in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spring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shaft por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an actuat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 by pressing both ends of the locking spring.
Terminal device.
상기 잠금 스프링은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전선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선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고 일단부에서 전선을 쇄정하는 쇄정편과, 상기 쇄정편의 타단부에 연속하고 상기 기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잠금 스프링의 양측에 있어서의 상기 축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잠금 스프링의 상기 고정편과 상기 쇄정편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spring is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wir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inclined to approach the wi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is fixed to the wire at one end thereof, and is continuous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well piece. It is provided with a fixed piece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gas,
The release lever is disposed such that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s of the shaft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spring passes through a portion surrounded by the fixing piece and the locking piece of the locking spring.
Terminal device.
상기 해제 레버는 한 쌍의 상기 축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축부의 각각을 상기 조작부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판을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잠금 스프링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lease lever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shaft portion and provided with an operation portion which is operated to rotate about the shaft por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plates that respectively connect each of the shaft portions to the operation portion,
The locking spring is accommodated between a pair of the connecting plate
Terminal device.
상기 기체내에는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을 상기 잠금 스프링과의 사이에 두는 단자판이 수납되고,
상기 잠금 스프링에는 상기 단자판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base, a terminal plate is placed between the locking spring and the wir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The locking spring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portion supported on the terminal plate by being combined with the terminal plate.
Terminal device.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 스프링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 구멍과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잠금 스프링에 접촉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erminal plate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which contacts the locking spring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insertion 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spring is supported.
Terminal device.
상기 기체의 내주면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베어링부에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체내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a bearing portion consisting of a concave portion,
And the release lever is positioned in the body by inserting the shaft portion into the bearing portion.
Terminal device.
상기 단자판은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유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편과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상기 유지편의 두께방향의 일면인 유지면측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은 일부가 상기 유지편에 상기 유지면측부터 맞닿도록 상기 단자판에 조합되고,
상기 유지편에는 상기 유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잠금 스프링의 두께보다도 큰 돌출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erminal plate has a holding piec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A conductive member mechan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pie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ing piece can be attached to the holding face side which is one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lding piece,
The locking spring is coupled to the terminal plate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spring abuts on the holding surface side,
The holding pie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height dimension from the holding fac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spring.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05868 | 2010-09-14 | ||
JP2010205868A JP5958680B2 (en) | 2010-09-14 | 2010-09-14 | Terminal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7841B1 true KR101247841B1 (en) | 2013-03-26 |
Family
ID=4598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2342A KR101247841B1 (en) | 2010-09-14 | 2011-09-14 | Terminal unit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958680B2 (en) |
KR (1) | KR101247841B1 (en) |
CN (1) | CN102437480B (en) |
SA (1) | SA111320756B1 (en) |
TW (1) | TWI41810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101409B4 (en) * | 2013-02-13 | 2022-01-20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conductor terminal |
DE102013101411B4 (en) * | 2013-02-13 | 2018-03-22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pring terminal connection and conductor terminal |
DE102013101406B4 (en) * | 2013-02-13 | 2018-07-12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Conductor terminal |
DE202013101582U1 (en) | 2013-04-15 | 2014-07-16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Spring-loaded clamping element with pivoting lever |
DE102014200271A1 (en) * | 2014-01-10 | 2015-07-16 | MCQ TECH GmbH | PCB terminal |
JP2016091970A (en) * | 2014-11-11 | 2016-05-23 | Smk株式会社 | Socket terminal structure |
DE102014117062B4 (en) * | 2014-11-21 | 2021-06-10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pring-loaded terminal |
DE102015210410B3 (en) * | 2015-06-08 | 2016-05-1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Touch protected plug connection |
CN105375121B (en) * | 2015-12-02 | 2019-11-19 | 宁波速普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elastic wire folder |
DE102016111627A1 (en) * | 2016-06-24 | 2017-12-28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Conductor terminal |
TWI634712B (en) * | 2016-08-25 | 2018-09-01 | 德商鳳凰康特公司 | Terminal clamp |
CN114336130B (en) * | 2020-09-29 | 2024-06-04 |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 Improved structure of wiring assembly of terminal device |
DE202020105715U1 (en) | 2020-10-06 | 2022-01-10 |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 Clamp with release lever |
CN112436330A (en) * | 2020-11-02 | 2021-03-02 | 周中良 | Electric connection box |
WO2024005776A1 (en) | 2022-06-27 | 2024-01-04 | Ideal Industries, Inc. | Lever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3451A (en) * | 2001-04-18 | 2002-10-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Terminal device |
JP2007149629A (en) * | 2005-10-26 | 2007-06-1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Quick-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wiring fixture |
KR100915057B1 (en) | 2006-12-25 | 2009-09-02 |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 Termina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8650B2 (en) * | 1992-03-26 | 2000-02-14 | 松下電工株式会社 | Terminal device |
JP3159973B1 (en) * | 2000-01-21 | 2001-04-23 |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 Terminal / spring integrated clamp terminal |
JP3991917B2 (en) * | 2002-07-26 | 2007-10-17 | 松下電工株式会社 | Wiring equipment |
JP4259333B2 (en) * | 2004-01-27 | 2009-04-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Wiring equipment |
JP4289230B2 (en) * | 2004-06-25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Fast connection terminal device |
JP4289258B2 (en) * | 2004-08-26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Fast connection terminal device |
DE102005048972B4 (en) * | 2005-10-13 | 2010-08-12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pring terminal with clamping spring and current bar |
CN100527530C (en) * | 2006-03-15 | 2009-08-12 | 松下电工株式会社 | Quick-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wiring fixture |
-
2010
- 2010-09-14 JP JP2010205868A patent/JP595868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9-09 TW TW100132679A patent/TWI41810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9-13 CN CN201110276759.9A patent/CN10243748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9-14 SA SA111320756A patent/SA111320756B1/en unknown
- 2011-09-14 KR KR1020110092342A patent/KR1012478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3451A (en) * | 2001-04-18 | 2002-10-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Terminal device |
JP2007149629A (en) * | 2005-10-26 | 2007-06-1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Quick-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wiring fixture |
KR100915057B1 (en) | 2006-12-25 | 2009-09-02 |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 Termin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58680B2 (en) | 2016-08-02 |
TW201212407A (en) | 2012-03-16 |
JP2012064351A (en) | 2012-03-29 |
CN102437480B (en) | 2015-03-11 |
TWI418101B (en) | 2013-12-01 |
SA111320756B1 (en) | 2014-11-09 |
CN102437480A (en) | 2012-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7841B1 (en) | Terminal unit | |
US6827596B2 (en) | Connector | |
JP2017022100A (en) |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 |
JP3889983B2 (en) | connector | |
JP6448124B2 (en) | Connector device including socket-type housing, connector, and cable support | |
CN110663139A (en) | Connecting device | |
WO2012086116A1 (en) | Lever-type connector, and wire cover | |
JP2008181878A (en) | Connector with lock | |
KR100826384B1 (en) |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 |
KR100927501B1 (en) | Fastening terminal device | |
KR20080020941A (en) | Connection devices | |
JP4991781B2 (en) | Optical connector plug | |
US20030116976A1 (en) | Battery latch | |
JP5836259B2 (en) | Coaxial terminal with coaxial cable | |
KR20080059521A (en) | Terminal device | |
JP3633448B2 (en) | Outlet | |
JP2000243477A (en) | Terminal device | |
JP2021519493A (en) | Terminal block | |
JP3671619B2 (en) | Outlet | |
JP2012074160A (en) | Socket | |
CN112713425B (en) |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 |
JP4783443B2 (en) | Optical connector plug | |
JP6635588B2 (en) | connector | |
JP3546677B2 (en) | Outlet | |
JP2015187997A (en) | Termin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