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521A -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521A
KR20080059521A KR1020070136279A KR20070136279A KR20080059521A KR 20080059521 A KR20080059521 A KR 20080059521A KR 1020070136279 A KR1020070136279 A KR 1020070136279A KR 20070136279 A KR20070136279 A KR 20070136279A KR 20080059521 A KR20080059521 A KR 2008005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erminal
core wire
terminal pie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5057B1 (en
Inventor
기미오 구사마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A terminal device is provided to suppress insertion force to be small when a core line is inserted, achieve high contact pressure for holding the core line between a front edge of a locking piece and a terminal piece, and prevent non uniformity of a connection state of the core line. A terminal device comprises a terminal piece(14b), a locking spring(15) and a compressive contact unit(17b). The terminal piece is contacted with a core line of an electric wire induced into a box body(3). The locking spring comprises a center piece(15a) and a locking piece(15b). The center piece is disposed along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line as facing the terminal piece. The locking piece holds the core line between the locking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by elastically contacting its front edge with the core line. The compressive contact unit is formed in one of the box body and a release button(17). By compressing the locking piece in a state when the core line is not inserted, the compressive contact unit bends the locking piece so as to form a gap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locking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Description

단자장치{TERMINAL DEVICE}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전선을 접속 가능하게 한 소위 속결 단자 구조의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of a so-called fastening terminal structure which enables a wire to be connected without using a screw.

종래부터,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에의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전선을 접속 가능하게 한 소위 속결 단자 구조의 단자장치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facilitate connection of electric wires to wiring mechanisms, such as a switch and an outlet, the terminal apparatus of what is called a fastening terminal structure which connected the electric wires without using a screw is provid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ference). The structure of this kind of terminal device is demonstrated below.

도 6에서는 누름 조작되는 누름 버튼 핸들(2)을 기체(3)의 앞면측에 구비하고,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 조작시마다 반전하는 접점장치 B를 기체(3)내에 가진 스위치(1)에 이용되는 단자장치 A1, A3을 예시하고 있다. 이 단자장치 A1, A3은 접점장치 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편(14b, 18b)과, 기체(3)의 뒷벽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9)을 통해 기체(3)에 도입되는 전선(33)(도 7b 참조)의 심선(34)(도 7b참조)을 단자편(14b, 18b)과의 사이에 각각 협지하는 잠금 스프링(15) 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 A1, A3에 있어서는 잠금 스프링(15)에 의한 단자편(14b)과 심선(34)의 기계적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6의 예에서는 4개의 전선(33)을 접속할 수 있도록, 기체(3)에 전선 삽입 구멍이 4개 형성되고, 단자편(14b, 18b) 및 잠금 스프링(15)이 각각 4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1개의 단자장치 A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In FIG. 6, a switch 1 having a push button handle 2 to be push-oper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3 and having a contact device B in the base 3 which is reversed at each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handle 2. Terminal devices A1 and A3 used in the above are illustrated. The terminal devices A1 and A3 are connected to the base 3 through the terminal pieces 14b and 18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device B, and the wire insertion holes 19 formed in the rear wall of the base 3 ( The locking spring 15 which clamps the core wire 34 (refer FIG. 7B) of 33 (refer FIG. 7B) with the terminal piece 14b, 18b, respectively is provided. Moreover, in this kind of terminal apparatus A1, A3, the release button 17 for cancel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core wire 34 by the locking spring 15 is provided.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6, four wire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base body 3 so that four electric wires 33 can be connected, and four terminal pieces 14b, 18b and four locking springs 15 are provided, respectively. have. Hereinafter, one terminal device A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각 잠금 스프링(15)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단자편(14b)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34)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15a)과, 중앙편(15a)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된 쇄정편(15b)과, 중앙편(15a)의 다른쪽끝 가장자리로부터 단자편(14b)측으로 연장된 압압편(15c)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편(14b, 18b)의 사이에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 18b)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 18b)에 대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As shown in FIG. 7A, each of the locking springs 15 is arranged in the center piece 15a and the center piece 15a which are arrang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 34 in a form opposite to the terminal piece 14b, respectively. From the one end edge of the sid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the clamping piece 15b extend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terminal piece 14b in the direction which inserts the core wire 34, and the other of the center piece 15a It has the press piece 15c extended from the edge to the terminal piece 14b side. Thereby, the core wire 34 inserted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9 is clamped between the clamping piece 15b and the press piece 15c of the locking spring 15, and the terminal pieces 14b and 18b.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eces 14b and 18b, and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eces 14b and 18b by preventing the tip edge of the chain cutting piece 15b from tightening into the core wire 34 to prevent the falling out. .

상술한 단자장치 A1에서는 단자편(14b)과의 사이에 잠금 스프링(15)을 개재시키도록 배치된 맞닿음편(14c)과, 잠금 스프링(15) 중심선(34)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을 연결하는 연결편(14a)이 단자편(14b)과 연속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편(14c)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에서 멀어 지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고, 연결편(14a)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는 것에 의해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한다. In the terminal device A1 described above, the core pie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piece 14c disposed so as to interpose the locking spring 15 between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center line 34 of the locking spring 15 ( A connecting piece 14a which is arranged to face the end 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34 is inserted and connects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contact piece 14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piece 14b. The contact piece 14c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lock spring 1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14b by abutting the lock spring 15, and the connecting piece 14a abuts on the lock spring 15. This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ocking spring 1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 A1에 있어서는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삽입할 때에,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대해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과, 심선(34)의 삽입방향으로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의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의 반력에 대항하는 심선(34)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잠금 스프링(15)은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의 대향방향의 치수가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기체(3)내에 위치 결정되지 않고 수납되며,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있다. By the way, in this kind of terminal device A1, when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betwee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the core wire 34 is connected to the core wire 34 from the clasp crystal piece 15b.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against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back the core wire 34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 34 act.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core wire 34 against the reaction force of the direction which pushes back the core wire 34, in general, the locking spring 15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iece 14b. ) Is set without being positioned in the body 3 by being set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As shown in FIG. 7A, a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이 구성에서는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에 비해, 단자편(14b) 에 대한 쇄정편(15b)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에 작용하는 반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심선(34)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경사각도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re is no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the clasp crystal piece 15b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iece 14b.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 is small and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pushed back from the chain clip piece 15b can be suppressed small, the insertion force of the core wire 34 can be suppressed small. In addition,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the chain cutting piece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configuration without a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hain cutting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The tip edge of 15b is tightened to the core wire 34 to prevent the fall out.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17400호(제2-3쪽)(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17400 (Section 2-3)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 비해,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작아지고,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in a state where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the tip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are provid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pieces 14b,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s 34 acting on the core wires 34 from the chain-cut piece 15b in the state where the core wires 34 are inserted are pushed to the terminal pieces 14b. Reaction force becomes small, and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contact pressure for clamping the core wire 34 becomes small between the front-end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또한, 상술한 단자장치 A1은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7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에 밀어 붙여지는 것에 의해 기체(3)내에서 위치 결정되지만,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덜컹거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심선(34)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15)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14b)에 대한 잠금 스프링(15)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며, 심선(34)의 접속상태가 불균일될 가능성이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1 described above, the lock spring 15 is pushed against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connecting piece 14a in the state where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B. Although the locking spring 15 is positioned within the body 3 but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the locking spring 15 is not positioned within the body 3, so that the locking spring 15 is positioned within the body 3. There are occasions of rattling at. Therefore, the position shift of the locking spring 15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iece 14b may arise by rotation of the locking spring 15, etc.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core wire 34,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re wire 34 may be uneven. .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심선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면서도,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크고, 또한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 단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reasons, and has a large contact pressure for clamp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lip and the terminal piece while suppressing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core wire, and the nonuniformity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re wire is wel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which does not occur.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자 장치는, 기체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에 접촉하는 단자편과, 단자편과 별체이고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것에 의해 단자편에 대해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잠금 스프링과, 기체에 있어서 전선 삽입 구멍의 근방에 뚫어 마련한 조작구멍을 통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잠금 스프링에 의한 단자편과 심선의 기계적 접속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기체내에 구비하고, 잠금 스프링은 단자편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과, 중앙편에 있어서 심선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를 상기 심선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는 쇄정편을 갖고, 기체내에 마련된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기체와 해제버튼의 어느 한쪽에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을 휘게 하는 압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iece contacting a core wire of an electric wire introduced into the base body from a wire insertion hole provided in a base body, and the terminal piece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piece and sandwiches the core wire between the terminal piece. By means of a locking spring which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core wire to the terminal piece, and an operation hol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 insertion hole in the body, thereby controll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piece and the core wire by the locking spring.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is provided in the body, and the lock spring inserts the core wire from one end edge of the center piece which is arrang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 in a form opposite to the terminal piece, and the core wire is inserted in the center piece. Direction so as to reduce the distance to the terminal piece in the direction of It has a clamping piece which clamps a core wire between a terminal piece, and touches the control part provided in the body, and restrict | moves to the direction away from a terminal piece, and a direction which inserts a core wire, and the one of a base and a release button is regulated. The press-contacting part which bends a clasp crystal piece so that a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front-end | tip edge of a clasp crystal piece and a terminal piece by pressing a clasp crystal piec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is not inserted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 구성에 따르면,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 비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 다. 또한,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여 쇄정편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에는 반력이 생기고 있으므로, 심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으로부터 심선에 작용하는 심선을 단자편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종래 구성에 비해 커지고,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또한, 잠금 스프링은 쇄정편이 휘면 쇄정편의 탄성에 의해 규제부에 대해 밀어 붙여지게 되어,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 스프링이 기체내에서 덜컹거리는 것은 없다. 따라서, 심선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에 대한 잠금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은 없고,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심선을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hain clip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by pressing the clamping piece in a state where the core wire is not insert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hain clip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In comparison,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dding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contact portion presses the clasps to deflect the clasps even when the core wires are not inserted, reaction forces are generated in the clasps.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is larger than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the contact pressure for clamping the core wire is increas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In addition, the lock spring is pushed against the restricting por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lock chain piece when the lock chain piece is bent, so that the lock spring does not rattle in the body even when the core wire is not inserted. Therefore, the position shift of the lock spring with respect to a terminal piece does not arise by rotation of a lock spring, etc. at the time of insertion of a core wire, the nonuniformity of the connection state of a core wire can be suppressed, and a core wire can be connected stably.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체에는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각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전선의 심선을 각각 상기 단자편에 접속하는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bas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wire insertion holes, and a plurality of locking springs for connecting the core wires of the electric wires introduced from the respective wire insertion holes to the terminal pieces are formed integrally.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접부로부터 쇄정편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을 기체에 조립할 때에,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잠금 스프링의 위치가 안정되고, 기체에의 잠금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조립기에 의한 잠금 스프링의 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lurality of locking springs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locking springs are assembled into the body against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ure-contacting portion to the clamping piece, the locking springs are formed in a separate body. The position of the spring is stabilized, and assembly of the locking spring to the base is facilitated.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lock spring by the automatic granulator is also possible.

본 발명은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쇄 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면서도,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여 쇄정편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에는 반력이 생기고 있으므로, 심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으로부터 심선에 작용하는 반력은 커지고,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또한,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 스프링이 기체내에서덜컹거리는 일은 없으므로, 심선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에 대한 잠금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일은 없고,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심선을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hain-cut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while suppressing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hain-cut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while the crimping portion is not inserted. Since the re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clasp crystal piece by pressing the clasp crystal piece and bending the clasp crystal piece,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core wire from the clasp crystal piece in the state where the core wire is inserted increases, and the contact for pinch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The pressure increases. In addition, the lock spring does not squeeze in the aircraft even when the core wire is not inserted, so the position of the lock spring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iece does not occur due to the rotation of the lock spring when the core wire is inser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on-uniformity of can be suppressed and the core wire can be stably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자장치를 스위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겠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 이외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나, 그 밖의 전기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witch will be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witch,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wiring devices such as an outlet other than the switch, and other electric devices. have.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스위치(1)는 도 2와 같이, 누름 조작되는 누름 버튼 핸들(2)을 기체(3)의 앞면(도 2에서는 상면)측에 구비하고,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 조작시마다 기체(3)내에 수납된 접점장치의 접속 상태의 전환이 실행되는 3로형(3路型)의 것이다. 이하에, 이 스위치(1)의 구성에 대해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 3a의 상하 좌우를 상하 좌우로 해서 설명하겠지만, 스위치(1)의 부착 방향은 이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 the switch 1 shown i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push button handle 2 operated by pushing on the front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2) side of the base | substrate 3, and the push button handle 2 is pressed down. It is a three way type | mold which switch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tact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base | substrate 3 every opera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switch 1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below, up and down left and right of FIG. 3A is demonstrated as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e attachment direction of the switch 1 is not limited to this direction.

기체(3)는 앞면 개구된 보디(4)와 보디(4)의 앞면측에 결합되는 후면 개구된 커버(5)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5)에 있어서의 폭방향(상하 방향)의 각 측벽의 뒤가장자리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조립편(6)이 한쌍씩 연장되어 마련되고, 조립편(6)에 마련한 조립구멍(7)이 보디(4)의 폭방향의 각 측면에 돌출해서 마련된 조립돌기(8)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보디(4)와 커버(5)가 결합된다. 조립돌기(8)에는 보디(4)로부터의 돌출치수를 앞쪽일수록 작아지는 경사면(8a)이 형성되고, 커버(5)를 보디(4)에 근접시키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것만으로 조립편(6)이 조립돌기(8)에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The base 3 is formed by a front opening body 4 and a rear opening cover 5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4. From the rear edge of each sid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up-down direction) in the cover 5, the assembly pieces 6 are extended in pairs toward the rear, and the assembly holes 7 provided in the assembly pieces 6 are provided. The body 4 and the cover 5 are engaged by engaging with the assembling protrusion 8 provided to protrude on each side surface of the body 4 in the width direction. The assembling projection 8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8a which becomes smaller as the protruding dimension from the body 4 is forward, and the assembling piece 6 is merely applied by applying a force to bring the cover 5 closer to the body 4. ) Is easily coupled to the assembling protrusion 8.

스위치(1)는 매립형의 배선기구를 벽 등에 부착할 때에 이용하는 주지의 부착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벽 등에 부착 가능하고, 커버(5)의 긴쪽 방향(좌우 방향)의 각 측면에는 부착 프레임에 마련된 기구 부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맞춤 가능한 부착발톱(9)이 각각 한쌍씩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부착발톱(9)을 기구 부착 구멍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기체(3)가 부착 프레임에 유지된다. 또, 커버(5)의 긴쪽 방향의 한쪽의 측벽에는 한쌍의 부착발톱(9)의 양측에 후단이 개방된 절결홈(10)이 전후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되어 있고, 절결홈(10)의 사이의 부위를 커버(5)의 내측으로 휘게 하면, 부착발톱(9)과 기구 부착 구멍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기체(3)를 부착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The switch 1 can be attached to a wall or the like using a well-known attachment frame (not shown) used for attaching the buried wiring mechanism to the wall, and is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cover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air of attachment claws 9, which can be hooked to a mechanism attachment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frame, are provided to project a pair, and the base 3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frame by engaging the attachment claws 9 to the mechanism attachment hole. Is kept on. In addition, two cutout grooves 10 having rear ends open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attachment claws 9 are form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n one side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5, and the cutout grooves 10 By bending the por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cover 5, the attachment claw 9 and the mechanism attachment hole can be released to detach the base 3 from the attachment frame.

보디(4)의 내부 공간은 긴쪽 방향(좌우 방향)으로 3실로 구획되고, 양측의 구획은 단자장치 A가 각각 수납되는 단자 수납실(11, 12)로 되며, 중앙부는 접점장치 B가 수납되는 접점 수납실(13)을 형성하고 있다. 좌측(도면의 좌측상부)의 단자 수납실(11)에는 제 1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을 구성하는 단자판(14) 및 잠금 스프링(15)과, 제 2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2를 구성하는 단자판(16) 및 잠금 스프링(15)과, 제 1 및 제 2 접속단자에 공용되는 해제버튼(17)이 수납되고, 우측(도면의 우측 하부)의 단자 수납실(12)에는 공통단자로 되는 단자장치 A3을 구성하는 단자판(18)과 2개의 잠금 스프링(15)과 해제버튼(17)이 수납된다. 이하, 각 단자장치 A1∼A3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단자장치 A1∼A3을 단자장치 A라고 한다. 또한, 단자 수납실(11, 12)에 대응하는 보디(4)의 뒷벽에는 각 한쌍의 전선 삽입 구멍(19)(도 3b 참조)이 뚫어 마련되고, 각 한쌍의 전선 삽입 구멍(19)의 근방에 각각 1개씩의 조작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뚫어 마련되어 있다. 단자장치 A는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각 단자장치 A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inner space of the body 4 is divided into three cha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partitions on both sides are terminal storage chambers 11 and 12 in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A is accommodated, respectively, and in the center portion, the contact apparatus B is accommodated.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is formed.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on the left side (upper left side of the drawing) has a terminal plate 14 and a locking spring 15 constituting the terminal device A1 a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terminal plate constituting the terminal device A2 a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6, the lock spring 15, and the release button 17 common to the 1st and 2nd connection terminal are accommodated, and the terminal used as a common terminal in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2 of the right side (lower-right side of the figure). The terminal plate 18 constituting the device A3, two locking springs 15 and a release button 17 are housed. In the following, each terminal device A1 to A3 is referred to as a terminal device A unless the terminal devices A1 to A3 are specifically distinguished. Moreover, each pair of wire insertion holes 19 (refer FIG. 3B) is provided in the back wall of the body 4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storage chambers 11 and 12, and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each pair of wire insertion holes 19. FIG. One operation hole (not shown) is provided in each. The terminal device A connects the core of the electric wire introduced into the base 3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9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The structure of each terminal device A is mentioned later.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점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 A2를 구성하는 각 단자판(14, 16)에는 접점 수납실(13)에 삽입되는 접점 유지편(14d, 16d)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접점 유지편(14d, 16d)의 선단부에는 각각 고정 접점(20, 21)이 마련된다. 양 접점 유지편(14d, 16d)은 접점 수납실(13)내에서 좌우방향으로 고정 접점(20, 21)끼리를 대향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을 구성하는 단자판(18)으로부터는 접점 수납실(13)까지 연장되는 연락편(18d)(도 2 참조)이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연락편(18d)은 접점 수납실(13)의 뒷벽을 향해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락편(18d)의 선단 가장자리는 접점 수납실(13)의 뒷벽 내면을 따라 배치된 지지편(18e)에 연결 되어 있다. 3B, the contact holding pieces 14d and 16d are inserted into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in each of the terminal plates 14 and 16 constituting the terminal devices A1 and A2 a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Each of them is integrally formed, and fixed contacts 20 and 21 are provided at the tip portions of the contact holding pieces 14d and 16d, respectively. Both contact holding pieces 14d and 16d are formed in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so as to face the fixed contacts 20 and 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a contact piece 18d (see Fig. 2) extending from the terminal plate 18 constituting the terminal device A3 as a common terminal to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is provided, and the contact piece 18d is provided for contact storage. It extends backward toward the rear wall of the seal 13. The leading edge of the communication piece 18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iece 18e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양 고정 접점(20, 21)의 사이에는 각 고정 접점(20, 21)에 대향하는 부위에 고정 접점(20, 21)과 함께 접점장치 B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22, 23)이 각각 마련된 개폐자(24)가 배치된다. 가동 접점(22, 23)은 개폐자(24)의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자(24)는 한쪽의 고정 접점(20)에 가동 접점(22)을 접촉시키는 위치와, 다른쪽의 고정 접점(21)에 가동 접점(23)을 접촉시키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편(18e)에 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자(24)의 상하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규제 돌기부(24a)(도 2 참조)가 돌출해서 마련되고, 접점 수납실(13)내에 마련한 전단측이 넓은 V자형상의 규제 오목부(25)에 규제 돌기부(24a)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개폐자(24)는 규제 오목부(25)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다. 즉, 개폐자(24)가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한쪽의 고정 접점(20)에 가동 접점(22)을 접촉시키는 상태와, 다른쪽의 고정 접점(21)에 가동 접점(23)을 접촉시키는 상태가 전환된다. 또, 개폐자(24)의 후단 가장자리는 지지편(18e)의 앞면측에 형성된 V홈(18f)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two fixed contacts 20, 21 provided with movable contacts 22, 23 constituting the contact device B together with the fixed contacts 20, 21 at the portions facing the fixed contacts 20, 21, respectively. The ruler 24 is arranged. The movable contacts 22 and 23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switch 24. The switch 24 is movabl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contact 22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fixed contacts 20 and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contact 23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fixed contact 21. In the state where the trailing edg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iece 18e, it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trailing edge. Specifically, the regulating protrusion 24a (refer FIG. 2) protrudes and is provided in the both edges of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switch 24, and the V-shaped regulating recessed part with wide front side provided in the contact storage chamber 13 ( By inserting the regulating projections 24a into the 25, the switch 24 can be rotated within the range of the regulating recesses 25. That is, when the switch 24 rotates, the state which makes the movable contact 22 contact the one fixed contact 20, and makes the movable contact 23 contact the other fixed contact 21 is made. The state is switched. The rear end edge of the switch 24 is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V groove 18f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support piece 18e.

누름 버튼 핸들(2)과 개폐자(24)의 사이에는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조작시마다 개폐자(24)를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접점장치 B의 접속상태를 전환하는 반전기구 C가 개재된다. 이 반전기구 C는 커버(5)의 관통구멍(26)(도 2참조)을 통해 전단부가 커버(5)의 앞면측에 노출되는 상태에서 커 버(5)에 부착되는 요동자(27)를 구비한다. 요동자(27)의 양측면에는 전단부가 끝이 가늘게 되는 삼각형상의 지점 돌기(27a)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관통구멍(26)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뒤쪽으로 개방된 축받이홈(28)에 지점 돌기(27a)가 축지지되는 것에 의해, 요동자(27)는 커버(5)에 대해 요동 자유롭게 부착된다. 요동자(27)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개폐자(24)에 연결되고, 요동자(27)가 요동하면 요동 범위의 중간에서 반전 스프링이 가장 압축되는 위치를 통과한다. 이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반전 스프링으로부터 개폐자(24)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의 방향이 반전하고, 반전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자(24)를 급속하게 이동시켜 접점장치 B의 접속상태를 전환한다. Between the push button handle 2 and the switch 24,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tact device B is switched by rotating the switch 24 in the opposite direction every time the push button handle 2 is pressed. The inversion mechanism C is interposed. The reversal mechanism C is provided with a swinger 27 attached to the cover 5 in a state where the front end portion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ver 5 through the through hole 26 (see FIG. 2) of the cover 5. Equipped. On both sides of the oscillator 27, a triangular point protrusion 27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the point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bearing grooves 28 open to the rear sid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through hole 26. By being axially supported by 27a, the rocker 27 is swingably attached to the cover 5. The oscillator 27 is connected to the switch 24 via an inverting spring (not shown) made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When the oscillator 27 oscillates, the oscillator 27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inversion spring is most compressed in the middle of the oscillation range. To pass. Before and after this position, the spring force acting on the switch 24 is reversed from the reverse spring, and the switch 24 is rapidly mov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reverse spring to switch the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device B. do.

여기서, 요동자(27)는 좌우방향의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앞쪽으로 해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운 상태에서 안정된다. 누름 버튼 핸들(2)은 커버(5)와의 사이에 마련된 복귀 스프링(29)에 의해서 앞쪽으로 스프링 부세되어 있고, 복귀 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뒤쪽에 밀어 넣었을 때에, 요동자(27)의 앞면의 좌우 양단부에 돌출해서 마련된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27b) 중 앞쪽 부근에 위치하는 한쪽의 걸어맞춤 돌기를 뒤쪽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요동자(27)를 요동시켜 반대방향으로 기울인다. Here, the oscillator 27 is stabilized in a state of tilting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ward the front and the other. The push button handle 2 is spring biased forward by a return spring 29 provided between the cover 5 and the swinger 27 when the push button handle 2 is pushed back against the sp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29. The oscillator 27 is swung and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pushing one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7b located near the front of the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27b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side.

요컨대, 스위치(1)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누름 버튼 핸들(2)이 뒤쪽으로 밀어 넣어질 때마다, 단자장치 A3(공통단자)과 단자장치 A1(제 1 접속단자)의 사이를 도통시키는 상태와, 단자장치 A3(공통단자)과 단자장치 A2(제 2 접속단자)의 사이를 도통시키는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witch 1 is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 1 conducts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3 (common terminal) and the terminal device A1 (first connection terminal) each time the push button handle 2 is pushed backwar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state which conducts between terminal device A3 (common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A2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switched.

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의 앞면의 좌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앞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축부(30)는 누름 버튼 핸들(2)을 누름조작하는 피아노핸들(도시하지 않음)을 기체(3)에 피봇(pivot)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버(5)의 한쌍의 축부(30)의 사이에는 표시등(31)용의 표시창(32)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pair of shaft portions 30 protruding obliquely for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5 carries a piano handle (not shown) for pressing and pushing the push button handle 2. It is for pivotably mounting to (3). 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32 for the indicator light 31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haft portions 30 of the cover 5.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단자장치 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특히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단자장치 A2, A3(제 2 접속단자, 공통단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device A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Hereinafter, although the terminal device A1 as a 1st connection terminal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same structure is employ | adopted also in other terminal devices A2 and A3 (2nd connection terminal, common terminal).

잠금 스프링(15)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의 띠판(band plate)의 중앙부를 중앙편(15a)으로 하고, 띠판의 일단부가 J자형상으로 구부려져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을 향해 중앙편(15a)과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지는 쇄정편(15b)이 형성됨과 동시에, 띠판의 타단부가 S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중앙편(15a)의 두께 방향에 탄성을 갖는 압압편(15c)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1A, the locking spring 15 is formed by the center portion 15a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nd plate of the conductive metal having elasticity, and the one end portion of the band plate is bent in a J shape to form the center portio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which inclines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art with 15a to the center piece 15a may be formed toward the front-end | tip is formed, and the other end part of a board | plate is bent in an S shape, and the center piece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s piece 15c which has elastic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5a) was formed.

단자판(14)은 연결편(14a)과 연결편(14a)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단자편(14b) 및 맞닿음편(14c)을 구비한다. 잠금 스프링(15)은 평판형상의 중앙편(15a)을 단자판(14)의 맞닿음편(14c)에 맞닿게 하고, 또한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을 단자판(14)의 단자편(14b)에 대향시키도록 맞닿음편(14c)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 제 2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2에 있어서는 단자 판(16)은 단자판(14)과 마찬가지로, 연결편(16a)과 연결편(16a)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단자편(16b) 및 맞닿음편(16c)을 구비하고, 한편,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에 있어서는 단자판(18)은 각 2개의 단자편(18b) 및 맞닿음편(18c)이 각각 대향하도록 1개의 연결편(18a)에 의해서 연결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각 맞닿음편(18c)과 각 단자편(18b)의 사이에 각각 잠금 스프링(15)이 1개씩 배치된다. The terminal plate 14 includes a terminal piece 14b and abutting piece 14c which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iece 14a and a connecting piece 14a to face each other. The locking spring 15 abuts the flat plate-shaped central piece 15a against the abutting piece 14c of the terminal plate 14, and the clamping piece 15b and the pressing piece 15c are terminals of the terminal plate 14. I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terminal piece 14b so as to oppose the piece 14b. In the terminal device A2 serving as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the terminal plate 16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ece 16a and the connecting piece 16a and abuts against each other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similarly to the terminal plate 14. On the other hand, in the terminal device A3 serving as a common terminal, the terminal plate 18 is provided by one connecting piece 18a so that the two terminal pieces 18b and the contact pieces 18c face each other. It has the structure connected, Therefore, 1 locking spring 15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ntact piece 18c and each terminal piece 18b, respectively.

단자판(14) 및 잠금 스프링(15)과 전선 삽입 구멍(19)의 위치관계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에 도입되는 전선(33)의 심선(34)이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판(14)의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전선 삽입 구멍(19)은 기체(3)의 내측면측일수록 가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내에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과 단자편(14)의 사이에 확실하게 안내된다.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inal plate 14 and the locking spring 15 and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9 is as shown in FIG. 1B, and the core wire 34 of the electric wire 33 introduced into the base 3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9 is shown. ) Is set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clamping piece 15b and the pressing piece 15c of the locking spring 15 and the terminal piece 14b of the terminal plate 14. Moreover, the wire insertion hole 19 is formed so that it becomes thinner as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se | substrate 3, and the core wire 34 inserted in the base | substrate 3 from the wire insertion hole 19 has the locking spring 15 and a terminal. It is guided reliably between pieces 14.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잠금 스프링(15)을 단자판(14)과 함께 기체(3)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중앙편(15a)은 단자편(14b)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34)의 삽입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쇄정편(15b)은 중앙편(15a)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압압편(15c)은 중앙편(15a)의 다른쪽끝 가장자리(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단자편(14b)측으로 연장된 형태가 된다. 여기서 압압편(15c) 중 긴쪽 방향의 중간부보다도 선단 부근의 부위는 압압 편(15c)의 중간부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또한 선단부를 단자편(14b)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킨 형태가 된다. 여기서, 맞닿음편(14c)이 중앙편(15a)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고, 연결편(14a)이 압압편(15c) 중 중앙편(15a)측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In more detail, in the state where the lock spring 15 was accommodated in the base | substrate 3 with the terminal board 14, the center piece 15a i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 34 in the form which opposes the terminal piece 14b. It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front and back direction), and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a terminal piece in the direction which inserts the core wire 34 from one edge (rear edge) of the side by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in the center piece 15a. It extends so that the distance to 14b may be made small, and the press piece 15c becomes the form extended to the terminal piece 14b side from the other edge edge (shear edge) of the center piece 15a. Here, the portion near the distal end of the pressing piece 15c from the middl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xtended to reduce the distance from the terminal piece 14b in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core wire 34 from the middle part of the pressing piece 15c, Further, the tip portion is bent so as to be convex on the terminal piece 14b side. Here, the contact piece 14c abuts against the center piece 15a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locking spring 1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14b, and the connecting piece 14a of the pressing piece 15c By contacting the end on the side of the center piece 15a, the movement of the locking spring 1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is restricted. That is,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connection piece 14a abut against the lock spring 15 to move the lock spring 15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14b and in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core wire 34. It functions as a regulatory body to regulate.

따라서,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전선(33)의 심선(34)이 삽입되면, 심선(34)의 선단부는 쇄정편(15b)을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면서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고,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를 통과한 심선(34)의 선단부는 압압편(15c)의 선단부를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면서 압압편(15c)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판(14)의 단자편(14b)의 사이에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단자판(14)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가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단자판(14)에 대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Therefore, when the core wire 34 of the electric wire 33 is inserted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9, the front end of the core wire 34 bends the chain clamping piece 15b and the terminal while bending the chain clamping piece 15b toward the center piece 15a. The tip portion of the core wire 34 inserted between the pieces 14b and passed betwee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is pressed while bending the tip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15c toward the center piece 15a side. It is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iece 15c and the terminal piece 14b. As a result, the core wire 34 inserted from the wire insertion hole 19 is sandwiched between the clamping piece 15b and the pressing piece 15c of the locking spring 15 and the terminal piece 14b of the terminal plate 14. In this way, the terminal plate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14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14 by preventing the tip edge of the chain saw piece 15b from tightening into the core wire 34.

해제버튼(17)은 뒷부를 조작구멍에 향하게 하는 형태로 보디(4)의 단자 수납실(11)에 수납된다. 해제버튼(17)의 일부로부터 쇄정편(15b)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해제돌기(17a)는 쇄정편(15b)에 접촉 가능하고, 조작구멍을 통해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에서 해제버튼(17)을 누름조작하면, 이 해제돌기(17a)가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심선(34)의 유지력을 약하게 하며, 이 상태에서 전선(33)을 뽑을 수 있다. 여기에, 각 해제버튼(17)에 해제 돌기(17a)는 2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해제버튼(17)은 각 단자 수납실(11, 12)에 수납되는 각 한쌍의 잠금 스프링(15)에 각각 걸치도록 배치되고, 각 한쌍의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을 1개의 해제버튼(17)으로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해제버튼(17)은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치수를 정할 수 있다. The release button 17 i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of the body 4 in the form of directing the rear portion toward the operation hole. The release projection 17a formed in a form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release button 17 toward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a tool such as a negative driver through the operation hole. When 17) is pushed in, this releasing protrusion 17a abuts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moves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14b to weaken the holding force of the core wire 34. In this state, the wire 33 can be pulled out. Here, two release projections 17a are provided in each release button 17, and the release buttons 17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each pair of locking springs 15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chambers 11 and 12, respectiv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lamping piece 15b of each pair of locking spring 15 can be pressed simultaneously with one release button 17. As shown in FIG. The release button 17 is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and can be dimensioned with relatively high precision.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단자장치 A에 있어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버튼(17)에 있어서의 해제돌기(17a)의 앞쪽에, 쇄정편(15b)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압접부(17b)가 마련되어 있고, 이 압접부(17b)는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15b)을 휘게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쇄정편(15b)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한다. 즉,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는 압접부(17b)가 개재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확보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접부(17b)에 있어서의 쇄정편(15b)과의 접촉 부위는 심선(34)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중앙편(15a)과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쇄정편(15b)과 면접촉되어 있으며, 쇄정 편(15b)을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고 있다. By the way, in the terminal device A of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1A, the pressure contact formed in the form which protruded toward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clamping piece 15b in front of the release protrusion 17a in the release button 17. As shown to FIG. The part 17b is provided, and this press contact part 17b presses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and the front-end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a terminal piece ( The chain crystal piece 15b is bent so that a clearance gap may be formed between 14b). Hereinafter, the position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betwee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is made into an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press-contacting part 17b is interpos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mping piece 15b i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terminal piece 14b, whereby the leading edge and the terminal piece 14b of the clamping piece 15b are interposed. A predetermined gap is secured between the gaps. Specifically, the contact part with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n the press contact part 17b is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center piece 15a may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and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bent toward the center piece 15a side.

이 구성에 따르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에 비하면, 단자편(14b)에 대한 쇄정편(15b)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에 작용하는 반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심선(34) 삽입시에 필요한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경사각도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가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re is no clearance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the clasp crystal piec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iece 14b (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15b) becomes small and the reaction force which acts in the direction which pushes back the core wire 34 from the clamping piece 15b can be suppressed small,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core wire 34 can be suppressed small.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the leading edge of the chain clamping piece 15b is the core wire 34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re is no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hain clamping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Tightening to the fall prevention is made.

여기서, 해제버튼(17)은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치수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해제버튼(17)에 마련한 압접부(17b)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종래 구성과 같이 잠금 스프링(15) 자체의 형상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 상기 간극의 치수를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고, 단자장치 A마다 상기 간극의 치수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의 간극은 단자장치 A의 접속대상으로 되는 전선(33)의 심선(34)의 직경보다 작은 범위에서 설정된다. Here, since the release button 17 can be dimensioned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tip edge and the terminal piece of the clamping piece 15b are formed by the pressure contact portion 17b provided in the release button 17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s 14b),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hain clamping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by the shape of the locking spring 15 itself a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hown in Fig. 7A.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gap can be set with high accuracy, and the nonuniformity of the size of the gap is less likely to occur for each terminal device A. FIG.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mping piece 15b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terminal piece 14b is set within a rang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re wire 34 of the wire 33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고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압접부(17b)가 쇄정편(15b)을 압압하여 쇄정편(15b) 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15b)에는 반력이 발생하고 있다. 즉,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은 압접부(17b)에 압압됨으로써,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를 중앙편(15a)에 근접시키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있으므로,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를 중앙편(15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력을 압접부(17b)에 대해 작용한다. 한편, 도 1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쇄정편(15b)이 또한 휘는 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는 초기위치로부터 이동거리 S1만큼 중앙편(15a)측으로 이동하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대해서는 초기위치에서 쇄정편(15b)에 발생하고 있는 상기 반력에 부가하여 상기 이동거리 S1에 따른 반력이 작용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when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and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press contact portion 17b presses the clap crystal piece 15b to ope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The re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by bending. That is, the clamping piece 15b in the initial position is pressed by the pressure-contacting portion 17b, so that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rotating the tip portion close to the center piece 15a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with the center piece 15a is centered. Because of this,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p portion is rotated away from the center piece 15a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enter piece 15a acts on the pressure-contacting part 17b. On the other han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between the chain saw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the chain saw piece 15b also bends, thereby bending the chain saw piece 15b. ), The leading edge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center piece 15a side by the moving distance S1, and in addition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o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t the ini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wire 34 from the clasp crystal piece 15b. The reaction force acts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S1.

따라서,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비교적 커지고,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예를 들면, 도 7b의 종래 구성과 비교하면, 동일 직경의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의 초기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 S1, S2가 본 실시형태와 종래 구성에서 동일하면,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초기위치에서 쇄정편(15b)에 발생하고 있는 상기 반력의 분만큼 본 실시형태가 종래 구성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붙이는 방향의 반력을 종래 구성과 본 실시형태에서 동등하게 하는 경우에 는 동일 직경의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의 초기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 S1, S2는 본 실시형태가 종래 구성보다 짧아지고,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구성에 비해, 초기위치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하여 심선(34)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acting on the core wire 34 from the chain saw piece 15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is inserted is pushed to the terminal piece 14b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the The contact pressure for clamping the core wire 34 is increased between the leading edge and the terminal piece 14b.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FIG. 7B, the movement distances S1 and S2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ront-end | tip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core wire 34 of the same diameter are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one. I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the re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34 acting on the core wire 34 from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pushed to the terminal piece 14b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t the initial position. By this minute, this embodiment become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reaction force of the direction which pushes the core wire 34 which acts on the core wire 34 from the clamping piece 15b to the terminal piece 14b is equal in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is embodiment, a core wire of the same diameter The movement distances S1 and S2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n the state where the 34 is inserted are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this embodiment,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gap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at the initial position can be secured large, and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core wire 34 can be suppressed small.

또한, 잠금 스프링(15)은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접부(17b)에 압압되어 휘어 있기 때문에,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쇄정편(15b)의 탄성에 의해 중앙편(15a)이 맞닿음편(14c)에 밀어 붙여지고 또한 압압편(15c)이 연결편(14a)에 밀어 붙여진다. 즉,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잠금 스프링(15)으로부터 압접부(17b)와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에 대해 각각 도 1a에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므로,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심선(34)의 삽입시에 심선(34)의 선단부에서 쇄정편(15b)이 눌려지더라도, 잠금 스프링(15)이 회전하거나 함으로써 단자편(14b)에 대한 잠금 스프링(15)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심선(34)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하게 심선(34)을 접속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spring 15 is pressed against the press contact portion 17b at the initial position and bent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spring 15 is in the state where the core wire 34 is not inserted. By the elasticity of the center piece, the center piece 15a is pushed to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pressing piece 15c is pushed to the connecting piece 14a.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lasp crystal piece 15b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direction shown by the arrow P to FIG. 1A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art 17b, the contact piece 14c, and the connection piece 14a from the locking spring 15, respectively. Because of the spring force of, the locking spring 15 does not rattle in the body 3. Therefore, even if the clamping piece 15b is pressed at the tip end of the core wire 34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core wire 34, the locking spring 15 rotates or the position of the locking spring 15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iece 14b. There is no deviation, and the nonuniformity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re wire 34 is suppressed, and the core wire 34 is stably connected.

다음에, 단자장치 A의 조립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assembl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잠금 스프링(15)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4)의 단자 수납실(11)내에 해제버튼(17)을 조립한 후에, 단자 수납실(11)내에 조립된다. 이 때, 쇄정편(15b)의 선단부가 해제버튼(17)의 압접부(17b)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으므로, 잠금 스프링(15)을 단자 수납실(11)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압접부(17b)로부터 쇄정편(15b)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15)을 보디(4)내에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locking spring 15 is assembled into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after assembling the release button 17 in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of the body 4. At this time, since the distal end of the clamping piece 15b receives the pressure from the pressure contact portion 17b of the release button 17, the pressure contact portion 17b is used to assemble the lock spring 15 into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It is necessary to push the locking spring 15 into the body 4 against the pressure from the clamping piece 15b.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4)을 보디(4)에 조립할 때에 단자판(14)의 연결편(14a) 및 맞닿음편(14c)에 의해서 잠금 스프링(15)을 밀어 넣음으로써, 보디(4)에 대해 잠금 스프링(15)과 단자판(14)을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15)은 단자 수납실(11)내에 밀어 넣어지게 되기 때문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밀어 넣어지는 일 없이 보디(4)에 조립되는 종래 구성과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다른 단자장치 A(제 2 접속단자, 공통단자)의 구성부품도 마찬가지로 보디(4)에 조립하고, 개폐자(24) 등 다른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 보디(4)와 커버(5)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단자장치 A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판(14, 16, 18)은 각 단자 수납실(11, 12)의 내측면과의 대향부위의 복수 개소에 각각 돌기부(35)를 돌출하여 마련하고, 이 돌기부(35)를 단자 수납실(11, 12)의 내측면에 맞닿게 하고 있으므로, 커버(5)가 보디(4)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자판(14, 16, 18)이 보디(4)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버리는 일은 없다. He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B, when assembling the terminal plate 14 to the body 4, the locking spring 15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ece 14a and the contact piece 14c of the terminal plate 14. By pushing in, the locking spring 15 and the terminal plate 14 are assembled to the body 4. In this state, since the lock spring 15 is pushed into the terminal storage chamber 11, as shown in FIG. 4C,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lock spring 15 is assembled to the body 4 without being pushed in is shown. As such, the locking spring 15 does not rattle. The components 4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mmon terminal) are similarly assembled to the body 4, and the body 4 and the cover 5 are assembled with other parts such as the switch 24. By assembling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device A is completed. Moreover, in this embodiment, each terminal board 14, 16, 18 protrudes and provides the projection part 35 in the several places of the opposing part with the inner surface of each terminal storage chamber 11, 12, respectively, and this projection part ( 3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terminal compartments 11 and 12, so that the terminal plates 14, 16 and 18 are removed from the body 4 even when the cover 5 is not coupled to the body 4; It is not easy to fall out.

그런데,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내에 수납되는 4개의 잠금 스프링(15)이 모두 별체로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15)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의 2개의 잠금 스프링(15)을 결합편(15d)에 의해서 연속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되는 2개의 잠금 스프링(15)은 동일극이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단자판(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잠금 스프링(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접부(17b)로부터 쇄정편(15b)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15)을 기체(3)에 조립할 때에, 각 잠금 스프링(15)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기체(3)내에서의 잠금 스프링(15)의 회전 등이 억제되어 잠금 스프링(15)의 위치가 안정하고, 기체(3)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조립기에 의한 잠금 스프링(15)의 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By the way,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four locking springs 15 accommodated in the base | substrate 3 employ | adopt the structure formed separately, you may employ | adop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veral locking springs 15 wer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two locking springs 15 of the terminal apparatus A3 as a common terminal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was continuously integrally couple | bonded by the coupling piece 15d. The two locking springs 15 which are joined here are the same pole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terminal plate 18 also in the said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two locking springs 15 are integrally formed, when assembling the locking spring 15 to the base 3 against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 contact portion 17b to the clamping piece 15b.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cking springs 15 are formed separately, the rotation of the locking springs 15 in the body 3 is suppressed, an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springs 15 is stable, and the body 3 Assembling of the lock spring 15 of the furnace becomes easy.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locking spring 15 by the automatic granulator is also possibl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버튼(17)에 압접부(17b)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체(3)의 내측면의 일부에, 초기 상태에 있는 쇄정편(15b)을 압압함으로써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15b)을 휘게 하는 압접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press contact part 17b in the release button 17 was shown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it exists in the initial state i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 substrate 3, for example. By pressing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 press contact portion for bending the clasp crystal piece 15b may be provided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 terminal piece 14b. Also in this structure, the effect similar to the said embodiment can be expected.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버튼(17) 중,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해제 돌기(17a)를 압접부(17b)와 별도로 마련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압접부(17b)가 해제돌기(17a)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압접부(17b)는 전선(34)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해제버튼(17)이 누름 조작됨으로써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접부(17b)는 초기 상태에 있는 쇄정편(15b)에도 맞닿으므로,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쇄정편(15b)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는 해제돌기(17a)가 쇄정편(15b)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에 비해 짧아지며, 따라서,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해제버튼(17)을 이동시키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진다. 그 결과,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조작구멍의 안쪽깊이까지 삽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Moreover,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when cancel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wire 33 among the release buttons 17, the direction which abuts the front-end edge of the clamping piece 15b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14b.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release protrusion 17a which moves to the side separately from the press contact part 17b was shown, you may make the press contact part 17b also function as the release protrusion 17a. In this case, when the press-contact part 17b releas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wire 34, the release button 17 is pressed and abuts against the clamping piece 15b, and the edge of the clamping piece 15b is made into the terminal piece ( Move away from 14b).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press contact part 17b is also in contact with the clamping piece 15b which is in an initial state, the distance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clamping piece 15b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34 was inserted is a release protrusion. The distance 17a becomes shorter than the distance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clasp crystal piece 15b, and therefore the distance for moving the release button 17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wire 33 is released becomes relatively short. As a result,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insert a tool such as a negative driver to the inner depth of the operation hol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wire 33 can be easily released.

또, 본 발명의 단자장치 A를 적용 가능한 스위치(1)는 상술한 3로형의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극형이나 2극형, 4로형(4路型) 등의 스위치(1)에 본 발명의 단자장치 A를 적용해도 좋다.The switch 1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three-role typ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witch 1 can be seen in a switch 1 such as a one-pole type, two-pole type, or four-route type. The terminal device A of the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단자장치를 나타내며, 도 1a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심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1A and 1B show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re wire is not inserted,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re wire is inser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D-D 단면도이다. 3A and 3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front view, and FIG. 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3A.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접점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c는 종래 구성의 접점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A and 4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C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contact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D-D 단면도이다. Fig.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xample, Fig. 6A is a front view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6A.

도 7은 종래예의 단자장치를 나타내며, 도 7a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심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Fig. 7 shows a terminal device of the prior art, Fig. 7A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no core wire is inserted,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is inserte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3 기체3 gas

14, 16, 18 단자판14, 16, 18 terminal block

14a, 16a, 18a 연결편14a, 16a, 18a connecting piece

14b, 16b, 18b 단자편14b, 16b, 18b terminal piece

14c, 16c, 18c 맞닿음편14c, 16c, 18c abutment

15 잠금 스프링15 locking spring

15a 중앙편15a center

15b 쇄정편15b chain

17 해제버튼17 Release Button

17b 압접부17b crimp

19 전선 삽입 구멍19 wire insertion hole

33 전선33 wires

34 심선 34 core wire

A1∼A3 단자장치A1 to A3 terminal device

Claims (2)

기체(器體)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芯線)에 접촉하는 단자편과, A terminal piece contacting the core wire of the electric wire introduced into the body from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body, 상기 단자편과 별체이고 상기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편에 대해 상기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잠금 스프링과, A locking spring that is separate from the terminal piece and connects the core wire to the terminal piec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by sandwich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terminal piece; 상기 기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근방에 뚫어 마련한 조작구멍을 통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잠금 스프링에 의한 상기 단자편과 상기 심선의 기계적 접속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상기 기체 내에 구비하고, The base is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piece and the core wire by the locking spring by being operated through an operation hol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 insertion hole in the base, 상기 잠금 스프링은 상기 단자편에 대향하는 형태로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과, 중앙편에 있어서 상기 심선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편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를 상기 심선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쇄정편을 갖고, The locking spring has a center piece dispos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 in a form opposite to the terminal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re wire is inserted from one end edge of the side in which the core wire is inserted in the center piece. Extends so as to make the distance small, and has a clamping piece for sandwiching the core wire between the terminal piece by elastically contacting the leading edge with the core wire, 상기 기체 내에 마련된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단자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기체와 상기 해제버튼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쇄정편의 상기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쇄정편을 휘게 하는 압접부가 마련되어 있는 By contacting a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base,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piece and a direction of inserting the core wire is regulated, and the core wire is not inserted into either of the base and the release button. A press-contacting part for bending the clasp crystal piece is provided such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ip edge of the clasp crystal piece and the terminal piece by pressing the clasp crystal piece. 단자장치.Termi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체에는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전선의 상기 심선을 각각 상기 단자편에 접속하는 복수의 상기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The said base body is provided with the said some wire insertion hole, and the said some lock spring which connects the said core wire of the said electric wire introduced from each said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to the said terminal piece is formed integrally, respectively. 단자장치.Terminal device.
KR1020070136279A 2006-12-25 2007-12-24 Terminal device KR1009150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8564 2006-12-25
JP2006348564A JP2008159481A (en) 2006-12-25 2006-12-25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21A true KR20080059521A (en) 2008-06-30
KR100915057B1 KR100915057B1 (en) 2009-09-02

Family

ID=396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79A KR100915057B1 (en) 2006-12-25 2007-12-24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59481A (en)
KR (1) KR100915057B1 (en)
CN (1) CN100544119C (en)
TW (1) TWI35511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8680B2 (en) 2010-09-14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erminal equipment
KR101258686B1 (en) 2011-09-05 2013-04-26 주식회사 위너스 Spring for socket
DE102013108116A1 (en) * 2013-07-30 2015-02-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JP6238171B2 (en) * 2014-02-28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iring equipment
EP3116065B1 (en) * 2015-07-07 2019-08-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CN106653414B (en) * 2015-10-29 2020-02-25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Improved switch wiring device
CN106653415B (en) * 2015-10-29 2020-02-25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Switch wi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868B2 (en) * 1997-02-25 2004-05-31 松下電工株式会社 Push button switch
JP2002203455A (en) * 2000-12-27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iano handle type switch
JP2003217400A (en) * 2002-01-28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iano ke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59481A (en) 2008-07-10
TWI355114B (en) 2011-12-21
TW200841522A (en) 2008-10-16
KR100915057B1 (en) 2009-09-02
CN100544119C (en) 2009-09-23
CN101212086A (en)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057B1 (en) Terminal device
JP2727869B2 (en) Body fixing connector
KR101247841B1 (en) Terminal unit
US6045410A (en) Connector
JPH1164682A (en) Optical connector clip
JP3618569B2 (en) Combined connector
JP2009016042A (en) Memory card socket
JP3745608B2 (en) Front holder locking structure
JP4052171B2 (en) Fast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H1050366A (en) Wire connection terminal
JP2003346933A (en) Electric wire connecting terminal
JPH1110275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JP2000331743A (en) Support mechanism for connector
JP3956806B2 (en) Push button switch
JP5617062B1 (en) Terminal block
JPH11353419A (en) Card ejecting device
JPH07282895A (en) Electric connector
KR101012911B1 (en) Socket for memory card
JPH11260471A (en) Connector
JP3323937B2 (en) connector
JP6727083B2 (en) Switch device
JP3122930B2 (en) Connector with release mechanism
JP2004296230A (en) Piano handle type switch
JPH10125415A (en) Connector for sheet shaped conducting path
JPH11273786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