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673B1 -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Google Patents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673B1 KR101247673B1 KR1020110062382A KR20110062382A KR101247673B1 KR 101247673 B1 KR101247673 B1 KR 101247673B1 KR 1020110062382 A KR1020110062382 A KR 1020110062382A KR 20110062382 A KR20110062382 A KR 20110062382A KR 101247673 B1 KR101247673 B1 KR 101247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line
- lines
- small
- transmission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23—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distributed impedance elements together with lumped impedance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7—Structural details of sub-circuits of 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7/1741—Comprising typical LC combinations, irrespective of presence and location of additional resistors
- H03H7/1775—Parallel LC in shunt or branch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된 λ/4 전송선로(transmission line)를 이용하여 초고주파 집적회로(MMIC;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로 구현 가능한,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된 λ/4 전송선로(transmission line)를 이용하여 높은 선택도(selectivity)를 갖는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 λ/4 전송선로를 적용시킨 소형 대역통과 필터(miniaturized bandpass fil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선행특허 출원(출원번호 제10-2002-0056967호, 제10-2006-0018097호)(이하, 간단히 '선행 특허출원'이라 함)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기초하여 발명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c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들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같은 방향으로 끝이 단락된 결합선로의 반대쪽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가 소형 대역통과 필터로써 동작한다(출원번호 제10-2002-0056967호의 도 9d 참조).
도 2는 소형 λ/4 전송선로 사이에 임의의 길이 ℓ을 소형 λ/4 전송선로 양단 사이에 둔 회로를 나타낸다. 선택도가 높은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여러 단의 소형 대역통과 필터를 연결해야 된다. 전통적으로 다단의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할 때는 결합(coupling)을 이용하여 회로들을 연결할 수 있었지만 소형 대역통과 필터들 사이에 연결은 양 회로사이에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를 두어야 정상적인 필터로써 동작하게 된다(출원번호 제10-2006-0018097호의 청구항 제3항 참조).
한편, 선택도가 어느 정도 높은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는, 두 개의 소형 λ/4 전송선로, 즉 대역통과필터를 연결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이것은 도 3a의 회로는 비유전율이 41.5인 유전체를 가진 두 개의 초소형 전송선로를 연결한 회로를 ADS로 회로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3b 및 도 3c는 이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협대역으로 그리고 광대역 관점에서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는 2.4GHz 대역을 목표로 해서 설계되어 있는데 WCDMA에서 2.11-2.17GHz 대역에서는 어테뉴에이션(attenuation)이 매우 높아야 되는 등, 선택도가 높은 것을 필요로 하는 현실적인 요구가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 는 대각선 방향으로 끝이 단락된 결합선로 각각의 반대 편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를 ADS 소프트 웨어에 적용한 대역통과필터의 예시도이다. 도 5b와 도 5c의 그림을 보면 통과대역 양쪽에 급격한 감쇄홈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된 λ/4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특히 선택도(selectivity)가 높은 대역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 각각의 반대 편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한 초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 혹은,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의 반대 편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한 초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높은 선택도(selectivity)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는,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3, C1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며,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또다른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6, C1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2 결합선로(6, 7)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는,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3, C2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또다른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6, C2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2 결합선로(6, 7)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는,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3, C1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또다른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6, C2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2 결합선로(6, 7)를 적어도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 및 제2 결합선로(6, 7)의 사이에는, 접지 선로(5)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및 제2 결합선로(6)와 입출력단자는 캐패시터(C16, C26) 연결 부위에서 접속되거나, 혹은 상기 제1 결합선로(3) 및 제2 결합선로(6)와 입출력단자는 접지 부위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 간에는 입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42)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 간에는 또다른 출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52)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6, 7) 간에 모두 입력측 및 출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42, C52)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선로(3)와 입력단(1) 간에는 입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와 출력단(2) 간에는 또다른 출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51)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와 입력단(1)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6)와 출력단(2) 간에 모두 입력측 및 출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 C51)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선로(4)와 제1 중간 연결점(9) 간에는 입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7)와 제2 연결점(10) 간에는 또다른 출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51')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4)와 제1 중간 연결점(9)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7)와 제2 연결점(10) 간에 모두 입력연결부측 및 출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 C51')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 소형 λ/4 전송선로를 연결하는 임의의 전송선로를 대체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자들을 이용하여 두 소형 λ/4 전송선로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회로를, 전자파 회로해석 툴(tool)인 HFSS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보면, 도 4b, 도 6b 및 도 7c와 같이 대역 바로 양쪽 옆에 매우 날카로운 감쇄 홈(attenuation pole)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4c, 도 6c 및 도 7d는 HFSS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광대역으로 보았을 경우인데, 확연하게 통과대역 바로 옆에 감쇄홈(attenuation pole)들이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러한 감쇄 홈으로 인하여 초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초소형 대역통과필터의 선택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종래기술인 도 3b 및 도 5b와 대비하여 볼 때에, 종래기술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λ/4 전송선로의 소형화된 등가회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임의의 길이로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의 예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대응되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를 ADS회로로 설계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대응되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를 ADS회로로 설계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또다른 예시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
도 7a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모식도이고,
도 7b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임의의 길이로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의 예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대응되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를 ADS회로로 설계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대응되는 종래의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연결시킨 대역통과 필터를 ADS회로로 설계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또다른 예시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
도 7a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모식도이고,
도 7b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6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이고,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소형 대역통과필터 회로이고, 도 7a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모식도이고, 도 7b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λ/4 전송선로와 λ/4 전송선로를 공간을 줄여가면서 연결한 대역 통과 필터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같은 방향으로 끝이 단락된 결합선로의 반대 편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한 초소형 λ/4 전송선로를 적용한 대역통과필터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재번호 3과 4는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를 나타내는 데, 상기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들을 좌우 수평으로 놓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3, 4)의 일측 단부는 접지시키고 타측 단부는 콘덴서를 연결하여 소형 λ/4 전송선로를 구현하는데, 상기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 같은 형태의 소형 λ/4 전송선로, 즉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와 유사하게, 도 4a의 우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6, 7)도 역시 유사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이상의 두 소형 λ/4 전송선로를 또다른 전송선로(8)를 이용하여 연결한다면, 4개의 공진기(pole)가 있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될 수 있다. 도 4a의 전송선로(8)의 접점(9, 10)의 위치는 상기 결합선로의 제1 및 제2 상측 결합선로(4, 7)의 컨덴서(C14, C17)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반대쪽의 접지 쪽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λ/4 전송선로의 제2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6, 7)에서 두 개의 콘덴서(C16, C17)와 두 개의 접지의 위치가 교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a의 접지 선로(5)은 제1 및 제2 소형 λ/4 전송선로들 사이에 불필요한 간섭(interference)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놓여졌다.
또한, 입출력단(1, 2)의 위치가 접지 쪽에 있든지, 콘덴서(C13, C16) 쪽에 있든지 혹은 그 가운데 있든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가능하다. 도 4a와 같이 결합선로를 상하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소형 λ/4 전송선로를 결합하는 대역통과필터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4a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회로를, 전자파 회로해석 툴(tool)인 HFSS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보면, 도 4b 와 같이 대역 바로 양쪽 옆에 매우 날카로운 감쇄 홈(attenuation pole)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3b 및 도 3c에서 ADS로 회로적으로 해석하였을 때는 발견되지 않은 현상으로써 매우 특이한 특성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4c는 HFSS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광대역으로 보았을 경우인데, 확연하게 통과대역 바로 옆에 감쇄홈(attenuation pole)들이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감쇄 홈으로 인하여 초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초소형 대역통과필터의 선택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효과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획기적 진전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6a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도이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재번호로 기재되어 있으며,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요소는 유사한 부재번호(C23, C24, C26, C27)를 붙이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는, 도 4a의 제1 실시예의 회로와 비교하였을 때, 결합선로의 일측 선로 단부의 단락된 위치에 캐패시터(C23)를 연결하고, 역으로 캐패시터(C13) 자리를 접지와 단락시킨 회로이다.
즉, 도 5a의 ADS 회로도에 있는 도면에서 2 이상의 결합선로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놓고 소형 λ/4 전송선로를 연결한 구조이다. 이 회로를 HFSS 상에서 시뮬레이션(simulation)해 보면 역시, 도 6b와 같이 통과대역 양쪽 옆에 급격하게 감쇄하는 감쇄홈(attenuation pole)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의 반대편에 캐패시터를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도 6a와 같이 서로 연결한 경우에도 급격하게 감쇄하는 감쇄홈(attenuation pole)이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7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로는, 도 4a의 회로에 C1, C1', C2, C3를 추가하되 각 입력측 회로와 출력측 회로를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한 회로로 볼 수 있다. 즉, 도 1의 회로를 도 4a과 유사한 형태의 회로로 구성하기 위하여 도 7b와 같이 구성하였다.
역시 본 제3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재번호로 기재되어 있으며,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요소는 유사한 부재번호(C33, C34, C36, C37)를 붙이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역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의 제1 실시예의 회로와 차이점은, 제1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3, 4) 사이에 제2 결합 커패시터(C42: 도 7a의 C2에 해당)가 연결되고, 제1 하측 결합선로(3)와 입력 단자(1) 사이에도 제1 결합 커패시터(C41: 도 7a의 C1에 해당)가 연결되며, 제1 상측 결합선로(4)와 중간 연결단자(9) 사이에도 또다른 제1 결합 커패시터(C41': 도 7a의 C1'에 해당)가 연결된다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전송선로(8)에 의해 접속되는 출력측 역시, 제2 하측 및 상측 결합선로(6, 7) 사이에 제2 결합 커패시터(C52: 도 7a의 C2에 해당)가 연결되고, 제2 하측 결합선로(6)와 출력 단자(2) 사이에도 제1 결합 커패시터(C51: 도 7a의 C1에 해당)가 연결되며, 제2 상측 결합선로(7)와 중간 연결단자(10) 사이에도 또다른 제1 결합 커패시터(C51': 도 7a의 C1'에 해당)가 연결된다.
도 7c 및 도 7d는 각각, 도 7b의 회로를 HFSS로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되 주파수를 각각 협대역 및 광대역으로 보았을 때 결과를 나타낸다.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과대역 바로 양옆에 도 4c와 유사한 감쇄홈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c 에서, 제1 지점(1) 및 제2 지점(2)과 제3 지점(3) 및 제4 지점(4)을 비교하면, 그래프의 곡선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c와 도 4c를 비교할 때도, 도 7c가 상대적으로 선택도(selectivity) 특성이 더욱 우수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결합 커패시터(C1, C1')가 두 개 있는데, 이 두 개의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 대신 임의의 임피던스를 갖는 임의의 소자들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1: 입력단 2: 출력단
3: 제1 하측 결합선로 4: 제1 상측 결합선로
5: 접지 선로
6: 제2 하측 결합선로 7: 제2 상측 결합선로
8: 전송선로
9: 제1 결합선로와 전송선로의 제1 연결점
10: 제2 결합선로와 전송선로의 제2 연결점
C33: 제1 하측 커패시터 C34: 제1 상측 커패시터
C36: 제1 하측 커패시터 C37: 제1 상측 커패시터
C41: 제1 결합 커패시터(입력측) C41': 제1 결합 커패시터(입력연결부측)
C51: 제1 결합 커패시터(출력측) C51': 제1 결합 커패시터(출력연결부측)
C42: 제2 결합 커패시터(입력측)
C52: 제2 결합 커패시터(출력측)
3: 제1 하측 결합선로 4: 제1 상측 결합선로
5: 접지 선로
6: 제2 하측 결합선로 7: 제2 상측 결합선로
8: 전송선로
9: 제1 결합선로와 전송선로의 제1 연결점
10: 제2 결합선로와 전송선로의 제2 연결점
C33: 제1 하측 커패시터 C34: 제1 상측 커패시터
C36: 제1 하측 커패시터 C37: 제1 상측 커패시터
C41: 제1 결합 커패시터(입력측) C41': 제1 결합 커패시터(입력연결부측)
C51: 제1 결합 커패시터(출력측) C51': 제1 결합 커패시터(출력연결부측)
C42: 제2 결합 커패시터(입력측)
C52: 제2 결합 커패시터(출력측)
Claims (10)
-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3, C1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두개 이상 포함하며,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제2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6, C1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상기 제2 결합선로(6, 7)를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3, C2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두개 이상 포함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제2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6, C2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상기 제2 결합선로(6, 7)를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같은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결합선로(3, 4)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13, C14)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제1 결합선로(3, 4)를 두개 이상 포함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단락된 제2 결합선로(6, 7)의 타측에 병렬로 캐패시터(C26, C27)를 연결한 소형 λ/4 전송선로인 상기 제2 결합선로(6, 7)를 두개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의 각각의 결합선로와 상기 제2 결합선로(6, 7)의 각각의 결합선로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3, 4) 및 제2 결합선로(6, 7)의 사이에는, 접지 선로(5)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3) 및 제2 결합선로(6)와 입출력단자는 캐패시터(C16, C26) 연결 부위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3) 및 제2 결합선로(6)와 입출력단자는 접지 부위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3, 4) 간에는 입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42)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 7) 간에는 또다른 출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52)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 4)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6, 7) 간에 모두 입력측 및 출력측 제2 결합 커패시터(C42, C52)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3)와 입력단(1) 간에는 입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6)와 출력단(2) 간에는 또다른 출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51)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3)와 입력단(1)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6)와 출력단(2) 간에 모두 입력측 및 출력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 C51)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4)와 제1 중간 연결점(9) 간에는 입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가 접속되거나, 상기 제2 결합선로(7)와 제2 연결점(10) 간에는 또다른 출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51')가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선로(4)와 제1 중간 연결점(9) 간에 및 상기 제2 결합선로(7)와 제2 연결점(10) 간에 모두 입력연결부측 및 출력연결부측 제1 결합 커패시터(C41', C51')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결합선로의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길이의 전송선로(8) 대신 임의의 임피던스를 갖는 소자들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382A KR101247673B1 (ko) | 2011-06-27 | 2011-06-27 |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382A KR101247673B1 (ko) | 2011-06-27 | 2011-06-27 |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550A KR20130001550A (ko) | 2013-01-04 |
KR101247673B1 true KR101247673B1 (ko) | 2013-04-01 |
Family
ID=4783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2382A KR101247673B1 (ko) | 2011-06-27 | 2011-06-27 |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67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8204A (ja) * | 1992-04-30 | 1993-11-19 | Ngk Spark Plug Co Ltd |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の減衰極調整法 |
JP3529848B2 (ja) * | 1993-08-24 | 2004-05-2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誘電体フィルタ |
KR20060097594A (ko) * | 2005-03-07 | 2006-09-14 | 강인호 |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 |
-
2011
- 2011-06-27 KR KR1020110062382A patent/KR1012476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8204A (ja) * | 1992-04-30 | 1993-11-19 | Ngk Spark Plug Co Ltd |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の減衰極調整法 |
JP3529848B2 (ja) * | 1993-08-24 | 2004-05-2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誘電体フィルタ |
KR20060097594A (ko) * | 2005-03-07 | 2006-09-14 | 강인호 |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Yunchi Zhang 외3인, "Miniature Broadband Bandpass Filters Using Double-Layer Coupled Stripline Resonators", IEEE MTT, Vol-54, 2006년8월,페이지 3370-3377.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550A (ko) | 2013-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4195B2 (en) | Band-pass filter and branching filter | |
JP5081742B2 (ja) | アンテナ分波器 | |
JPWO2007052483A1 (ja) | 弾性波フィルタ装置 | |
JP7251530B2 (ja) | 複合フィルタ装置 | |
US8704618B2 (en) | Microwave filter | |
JP4627791B2 (ja) | 平衡−不平衡変換回路 | |
Sun et al. | Design of millimeter-wave bandpass filters with broad bandwidth in Si-based technology | |
CN205621831U (zh) | 一种双频可调带通滤波器 | |
KR102690297B1 (ko) | 프론트 엔드 모듈 | |
US7956702B2 (en) | Balun | |
Hao et al. | A fourth order tunable capacitor coupled microstrip resonator band pass filter | |
KR101247673B1 (ko) | 소형 λ/4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대역 통과 필터 | |
US20130187725A1 (en) | Acoustic wave device | |
KR20180134830A (ko) |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 |
KR101919115B1 (ko) | Bawr 을 이용한 필터 | |
KR20180042190A (ko) | 노치 구조를 채용한 무선 주파수 필터 | |
Khan et al. | Design of Switchable Hairpin Band Pass Filters for Low Frequency Radio Astronomy | |
Yang et al. | Tunable bandpass-bandstop filter cascade for VHF applications | |
KR101735353B1 (ko) | 폐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3단 필터 | |
KR101066548B1 (ko) | 저역 통과 여파기와 그 설계 방법 | |
JP2013162440A (ja) | 可変フィルタ | |
Bakhit et al. | Switchable microwave band-stop to all pass filter using stepped impedance resonator | |
CN107834136B (zh) | 带通滤波器 | |
JP6135316B2 (ja) | 高調波抑圧回路 | |
Psychogiou et al. | Acoustic-wave-lumped-element resonator (AWLR) architectures for high-Q reflective bandstop fil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