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554B1 -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554B1
KR101247554B1 KR1020060116874A KR20060116874A KR101247554B1 KR 101247554 B1 KR101247554 B1 KR 101247554B1 KR 1020060116874 A KR1020060116874 A KR 1020060116874A KR 20060116874 A KR20060116874 A KR 20060116874A KR 101247554 B1 KR101247554 B1 KR 101247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pring
case
sliding door
housing cas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949A (ko
Inventor
타카시 쿠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켄
Publication of KR2007011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에 부착된 기어와 맞물려서 미닫이문을 주행시키기 위한 랙(rack)을 사용하지 않고,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상단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는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 내에 세워설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되감기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미닫이문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스파이럴 스프링을 수납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의 단부를 거는 회전가능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에 부착된 기어판과,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미닫이문이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이 폐쇄동작을 제동시키는 제동장치와, 이 제동장치의 외주에 형성되어서 상기 기어판의 외주의 기어와 맞물리는 제동용 기어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환형상의 오목부에 감겨져서 일단이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되는 밧줄모양체(restiform body)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SELF-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미닫이문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미닫이문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미닫이문이 열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미닫이문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부착부에 있어서 화장커버를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의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를 덮는 화장커버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를 덮는 화장커버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부착부에 있어서 화장커버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동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에 대한 화장커버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미닫이문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미닫이문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Y-Y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폐쇄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도록 구성한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152955호 공보 등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있다. 이 일본 특허공개 평11-1529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는, 미닫이문의 상방부 후단 가까이에 부착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설치되어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폐쇄방향으로의 반발력을 축적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연계된 회전가능의 주기어와, 스파이럴 스프링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주기어에 맞물려지는 종기어의 회전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의 반발력을 제어하는 오일댐퍼와, 주기어에 맞물리게 하고, 후단 혹은 전후 양단을 개구부의 상부 프레임에 부착하여 미닫이문의 주행방향으로 건너지른 랙(rack)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11-1529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는, 미닫이문의 주행범위 이상의 길이의 랙이 필요하여, 그만큼 비용상승으 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그러한 랙이 개구부의 상부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눈에 거슬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스파이럴 스프링에 연계되는 기어와 맞물려서 미닫이문을 주행시키기 위한 랙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길이가 긴 랙이 개구부의 상부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눈에 거슬리게 되지 않고,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미닫이문의 상단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는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 내에 세워설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되감기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미닫이문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중심측 단부가 걸리고 수용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향하도록 노출되어 스파이럴 스프링의 스프링력 조정가능한 축체와, 스파이럴 스프링을 수납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의 외주측 단부가 걸려 있는 회전가능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도록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에 부착되어 외주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판과,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소정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제동기능을 발휘하여 미닫이문이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이 폐쇄동작을 제동시키는 제동장치와, 이 제동장치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제동용 기어와, 상기 기어판에 의해 개구부가 닫혀진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의 오목부에 감겨서 일단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케이스에 고정된 밧줄모양체(restiform body)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 풀어내어진 밧줄모양체의 타단측을 수용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돌출시켜 문 선단측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수용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수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에서 밧줄모양체가 늘어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보다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수용 케이스 내에 설치된 느슨해짐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밧줄모양체의 타단측은 상기 안내롤러를 통해서 문 선단측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2. 자동폐쇄장치가 미닫이문의 상단 앞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화장커버를 설치하고, 이 화장커버는 수용 케이스의 앞면을 덮는 앞면 덮개부와, 수용 케이스의 하면을 덮는 하면 덮개부와, 수용 케이스의 좌우의 측면을 덮는 측면 덮개부를 구비하고, 측면 덮개부의 상단 내면에는 수용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부의 상면에 걸리는 클로부가 형성되고, 또한 앞면 덮개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롤러로부터 수용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 직후의 밧줄모양체를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가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상기한 1∼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미닫이문을 주행시키기 위한 랙을 사용하지 않고,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외주의 환형상 오목부에 감겨져 수용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밧줄모양체의 타단부를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지지한다고 하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의 되감김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미닫이문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길이가 긴 랙이 개구부의 상부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눈에 거슬리게 되지 않으며,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수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에서 밧줄모양체가 느려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보다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수용 케이스 내에 설치된 느슨해짐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미닫이문을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폐쇄동작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되도록 손으로 힘차게 닫았을 때에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가 크게 늘어뜨려져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외주의 환형상 오목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감긴다고 하는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폐쇄장치가 미닫이문의 상단 앞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를 화장커버로 덮음으로써 안내롤러로부터 수용 케이스의 외부에 인출된 직후의 밧줄모양체를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내롤러로부터의 밧줄모양체의 인출부가 숨겨지므로 미닫이문의 상부가 산뜻한 상태로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1은 미닫이문으로서, 옥내의 출입구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2), 문 선단측 세로 프레임(3), 문 후단측 세로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5)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닫이문(1)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2)의 하면에 형성된 홈(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또 미닫이문(1)의 하단은 문 선단 근처 및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 설치된 도어롤러(7, 7)가 하부 프레임(5)에 형성된 홈(8)에 끼워넣어져 미닫이문(1)이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닫이문(1)의 문 후단 근처의 상단 앞면에는 제동장치(9)가 있는 자동폐쇄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동폐쇄장치(10)는 수용 케이스(11)와,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후단 근처 개소에 세워설치된 상태로 배치되고, 되감김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미닫이문(1)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12)과, 이 스파이럴 스프링(12)의 중심측 단부가 걸려 수용 케이스(11)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노출되어 스파이럴 스프링(12)의 스프링력 조절가능한 축체(13)와, 스파이럴 스프링(12)을 수납하여 스파이럴 스프링(12)의 외주측 단부가 걸려 있는 회전가능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의 개구부를 덮도록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에 부착되어 외주에 기어(15)가 형성된 기어판(16)과,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선단 근처 개소에 설치되고, 소정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제동기능을 발휘하여 미닫이문(1)이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이 폐쇄동작을 제동시키는 오일댐퍼에 의한 상기 제동장치(9)와, 이 제동장치(9)의 외주에 형성되어서 상기 기어(15)와 맞물리는 제동용 기어(17)와, 상기 기어판(16)에 의해 개구부가 닫혀진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형상의 오목부(18)에 감겨져서 일단이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에 고정된 와 이어 등의 밧줄모양체(19)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로부터 풀려진 밧줄모양체(19)의 타단측을 수용 케이스(11)의 상부로부터 돌출시켜 문 선단측에 안내하기 위하여 수용 케이스(11)의 상부에 설치한 안내롤러(20)와,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20) 사이에서 밧줄모양체(19)가 늘어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의 풀림부와 안내롤러(20)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19)보다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수용 케이스(11) 내에 설치된 축형상의 느슨해짐 방지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케이스(11)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밧줄모양체(19)의 타단측은 출입구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미닫이문(1)의 문 후단 근처측 단부 근방위치의 상측 위치에서 상부 프레임(2)의 하면에 부착한 고정구(22)에 걸려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닫이문(1)이 손으로 열려짐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12)의 위치가 미닫이문(1)과 함께 이동하고, 밧줄모양체(19)가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의 오목부(18)로부터 인출되고, 그것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12)은 폐쇄방향으로의 반발력을 축적한다. 그래서, 열려진 미닫이문(1)으로부터 손을 떼거나 하여 멈추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12)에 축적되어 있던 반발력에 의해 밧줄모양체(19)를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의 오목부(18)에 감도록 작용하고, 그 결과 미닫이문(1)을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 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측의 기어(15)와 미닫이문(1)이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이 폐쇄동작을 제동시키는 제동장치(9)측의 기어(17)가 맞물려서 연동하고 있으므 로, 미닫이문(1)이 스파이럴 스프링(12)의 반발력에 의해서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제동장치(9)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어, 미닫이문(1)을 브레이크를 걸면서 폐쇄동작시킬 수 있다.
또,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20)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19)보다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수용 케이스(11) 내에 느슨해짐 방지부재(2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미닫이문(1)을 스파이럴 스프링(12)에 의한 폐쇄동작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되도록 손으로 기세좋게 닫았을 때에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20)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19)가 크게 늘어뜨려져서 오목부(18)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감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11)는 화장커버(23)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화장커버(23)는 수용 케이스(11)의 앞면을 덮는 앞면 덮개부(23a)와, 수용 케이스(11)의 하면을 덮는 하면 덮개부(23b)와, 수용 케이스(11)의 좌우의 측면을 덮는 측면 덮개부(23c, 23c)를 구비하고, 측면 덮개부(23c, 23c)의 상단 내면에는 수용 케이스(11)의 상단 모서리부의 상면에 걸리는 클로부(23d, 23d)가 형성되고, 또한 앞면 덮개부(23a)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롤러(20)로부터 수용 케이스(11)의 외부로 인출된 직후의 밧줄모양체(19)를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23e)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 화장커버(23)는 수용 케이스(11)의 전방으로부터 끼워넣어지고, 상기 클로부(23d, 23d)를 수용 케이스(11)의 상단 모서리부의 상면에 걸리게 한 상태로 하여, 화장커버(23)의 하 단의 하면 덮개부(23b)에 형성된 나사 삽입구멍(23f)으로부터 나사(24)를 삽입시켜서 수용 케이스(23)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구멍(도시생략)에 나사삽입시킴으로써 수용 케이스(11)에 세트된다. 이와 같이 수용 케이스(11)에 화장커버(23)를 부착함으로써 안내롤러(20)로부터 수용 케이스(11)의 외주로 인출된 직후의 밧줄모양체(19)를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내롤러(20)로부터의 밧줄모양체(19)의 인출부가 숨겨지므로 미닫이문(1)의 상부가 산뜻한 상태로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자동폐쇄장치(10)를 미닫이문(1)의 문 후단 근처의 상단에 부착하고 있지만, 미닫이문(1)의 문 선단 근처의 상단 혹은 문 후단과 문 선단 사이의 상단위치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에 맞추어서 밧줄모양체(19)의 타단측은 상기 안내롤러(20)를 통해서 문 선단측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상부 프레임(2)의 하면에 지지된다. 또,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후단 근처 개소에 스파이럴 스프링(12)을 수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를 설치하고,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선단 근처 개소에 제동장치(9)를 설치하고 있지만,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선단 근처 개소에 스파이럴 스프링(12)을 수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14)를 설치하고, 수용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문 후단 근처 개소에 제동장치(9)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미닫이문(1)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2)의 하면에 형성된 홈(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또 미닫이문(1)의 하단은 문 선단 근처 및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 설치된 도어롤러(7, 7)가 하부 프레임(5)에 형성된 홈(8)에 끼워넣어져 이루어지는 하부 도어롤러 타입이지만, 위에서 매어단 타입으로 미닫이문(1)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매달림 타입으로 지지된 미닫이문(1)의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상단면으로부터 형성된 오목부(25) 내에 자동폐쇄장치(10)를 매설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26은 상부 프레임(2)에 매설한 행거 레일(27)을 따라 주행하도록 미닫이문(1)의 상단에 부착된 매달림용 롤러, 28은 수용 케이스(11)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밧줄모양체(19)의 타단측을 고정하기 위해 행거 레일(27)의 일단 상면에 하향으로 부착한 봉형상의 고정구이고, 이 고정구(28)의 하단에 밧줄모양체(19)의 타단측이 고정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매달림 타입으로 미닫이문(1)을 지지하고 있지만,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 도어롤러 타입으로 미닫이문(1)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에 연계되는 기어와 맞물려서 미닫이문을 주행시키기 위한 랙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길이가 긴 랙이 개구부의 상부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눈에 거슬리게 되지 않고,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미닫이문의 상단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는 수용 케이스;
    수용 케이스 내에 세워설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되감기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미닫이문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중심측 단부가 걸리고 수용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향하도록 노출되어 스파이럴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조정할 수 있는 축체;
    스파이럴 스프링을 수납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의 외주측 단부가 걸려 있는 회전가능한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도록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에 부착되어 외주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판;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소정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제동기능을 발휘하여 미닫이문이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이 폐쇄동작을 제동시키는 제동장치;
    이 제동장치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제동용 기어;
    상기 기어판에 의해 개구부가 닫혀진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의 오목부에 감겨서 일단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케이스에 고정된 밧줄모양체;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 풀어내어진 밧줄모양체의 타단측을 수용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돌출시켜 문 선단측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수용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롤러; 및
    수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로부터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에서 밧줄모양체가 늘어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 케이스의 풀림부와 안내롤러 사이의 위치에서 밧줄모양체보다 문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수용 케이스 내에 설치된 느슨해짐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밧줄모양체의 타단측은 상기 안내롤러를 통해서 문 선단측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고,
    자동폐쇄장치가 미닫이문의 상단 앞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화장커버를 설치하고, 이 화장커버는 수용 케이스의 앞면을 덮는 앞면 덮개부와, 수용 케이스의 하면을 덮는 하면 덮개부와, 수용 케이스의 좌우의 측면을 덮는 측면 덮개부를 구비하고, 측면 덮개부의 상단 내면에는 수용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부의 상면에 걸리는 클로부가 형성되고, 또한 앞면 덮개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롤러로부터 수용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 직후의 밧줄모양체를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가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KR1020060116874A 2006-05-18 2006-11-24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KR101247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4544 2006-05-18
KR1020060044544 2006-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49A KR20070111949A (ko) 2007-11-22
KR101247554B1 true KR101247554B1 (ko) 2013-03-26

Family

ID=3909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874A KR101247554B1 (ko) 2006-05-18 2006-11-24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790B1 (ko) 2021-11-25 2022-12-15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미닫이문의 자동 폐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46B1 (ko) * 2012-11-16 2014-09-04 최윤묵 완충수단을 구비한 수동식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4A (ja) * 1997-06-10 1999-01-06 Daiken:Kk 引き戸の自閉装置
KR19990025950A (ko) * 1997-09-19 1999-04-06 권오형 미닫이문 자동개폐장치
KR200187612Y1 (ko) *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020051355A (ko) * 2000-12-22 2002-06-29 이장우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4A (ja) * 1997-06-10 1999-01-06 Daiken:Kk 引き戸の自閉装置
KR19990025950A (ko) * 1997-09-19 1999-04-06 권오형 미닫이문 자동개폐장치
KR200187612Y1 (ko) *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020051355A (ko) * 2000-12-22 2002-06-29 이장우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790B1 (ko) 2021-11-25 2022-12-15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미닫이문의 자동 폐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49A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687A (en) Safety device for pull cords of window coverings
ES2248188T3 (es) Dispositivo de desaceleracion de cierre para porciones deslizantes de piezas de muebles.
KR101247554B1 (ko) 미닫이문의 자동폐쇄장치
US5423494A (en) Pet rope winder
EP2372066A1 (en) Sliding door arrangement
JP4895756B2 (ja) 引戸の自閉装置
US4139044A (en) Ball cord lock
JP2009138400A (ja) 引戸装置
JP2008121252A (ja) スクリーン装置
EP2420390B1 (en) A chalk line device with an end clip storage
CA2954336C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US6073672A (en) Vertical blind retraction apparatus with spacing control
KR100582528B1 (ko) 댐퍼기능을 갖는 경첩
JP4755230B2 (ja) 引戸自閉装置
KR200395539Y1 (ko) 슬라이딩 돌출형 완강기 걸이대
KR0178759B1 (ko) 커텐 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
JPH0137107Y2 (ko)
KR100939232B1 (ko) 커튼의 웨이브 형성기구
JP2007120142A (ja) クローザ内蔵型引戸
JP2014173388A (ja) 自動降下を可能にした手動昇降式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100445300B1 (ko) 롤스크린용 감속장치
EP0550856B1 (en) Pet rope winder
KR102070810B1 (ko)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JP3102222U (ja) ショーケースのカバー装置
KR101163304B1 (ko) 롤식 방충망 감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