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858B1 -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858B1
KR101246858B1 KR1020100000913A KR20100000913A KR101246858B1 KR 101246858 B1 KR101246858 B1 KR 101246858B1 KR 1020100000913 A KR1020100000913 A KR 1020100000913A KR 20100000913 A KR20100000913 A KR 20100000913A KR 101246858 B1 KR101246858 B1 KR 10124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horizontal mixer
sediment
dredged
moistu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602A (ko
Inventor
장순욱
최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코
최종규
장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코, 최종규, 장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코
Priority to KR102010000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8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펌프로 흡입한 후 정화하고, 정화 작업 후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정화선 으로부터 이송 받아서 고화제, 시멘트 및/또는 흡습보조제를 첨가하여 수평믹서로 혼합한 후 다양한 성형기에 주입하여 성형 후 양생하여 해양퇴적물을 주원료로 제조된 친환경적인 블록, 경량토, 벽돌, 인공어초 등으로 제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A Caking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Environment Friendly Movable Sediment}
본 발명은 본 발명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776651호 등의 방법으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정화선 으로부터 케익이송 정량펌프로 정량으로 이송 받아서 고화제, 시멘트 및/또는 흡습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수평믹서를 구비하며,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기로 성형 제작하고, 성형 후 양생하여 해양퇴적물을 주원료로 제작된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준설토 등의 해양퇴적물은 항로유지 및 오염해역을 정화하기 위한 준설사업이 실시되는 준설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해수를 함유한 해저퇴적토로써 준설 시 발생하는 준설토의 처리방법은 일부 항만권 에서는 항만건설에 필요한 매립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인근에 매립지가 없는 항만권 에서는 대부분 해양투기 또는 육상매립으로 폐기처분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육상의 매립은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사설 매립지인 경우에 많은 매립비용이 들어가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처리단가가 저렴한 해양투기 쪽을 선호하는데, 해양투기는 1996년 런던덤핑협약(LDC) 의정서의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 규제강화에 따라 2012년 이후로 준설토의 해양투기 물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준설토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재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히 요구된다.
종래의 준설토 고형화 방법은 여러 가지로 제시되어 있으나, 준설방법이 펌프준설선 혹은 그랩 준설선 등의 기존 준설방식으로 준설된 준설토는 탈수과정을 거치지 않은 관계로 준설토 속에 함유된 함수율이 너무 높은(70~80%) 관계로 고형화를 시키기에 적당한 함수율인 30%정도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을 이용한 건조방식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단위시간당 50 톤 이상의 많은 량의 준설토가 발생하는 항만권 등의 준설작업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0773991호 "준설토 고화처리방법", 등록특허 제10-0798893호 "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등의 여러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방법은 육상에서 적용이 되는 방법으로 고형화 처리시설을 육상에 건설할 경우 항만권 등에서 준설작업 시 발생하는 준설토의 대부분이 해상에서 발생이 되는 관계로 준설 작업시 발생되는 많은 량의 준설토를 고형화 처리시설까지 운반하는 과정은 준설선 --> 탈수과정 --> 이송선박 --> 이송차량 --> 처리시설까지 여러 단계 과정을 거쳐 많은 물류비가 발생하게 되며, 이송 과정에서 탈수되지 않은 대량의 준설토 에서 흘러나오는 해수의 낙수로 인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에 저장된 케익을 하부의 케익이송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수평믹서로 일정량 이송되며, 수평믹서에는 각각의 사이로에 저장된 고화제 및 시멘트가 일정량 투입되며, 수평믹서가 가동되면서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되어, 혼합하여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로 맞추어 블록, 경량토, 벽돌 또는 인공어초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별도로 소요되는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재활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퇴적물 케익을 케익이송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수평믹서로 일정량 투입하며, 수평믹서에는 각각의 사이로에 저장된 고화제 및 시멘트가 일정량 투입되며, 수평믹서가 가동되면서 함수율 및 점도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되어, 이들을 혼합하여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로 맞추어 블록, 경량토, 벽돌 또는 인공어초 등으로 만들어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별도의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재활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제10-0776651호 등의 방법으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사이의 준설토 케익을 정화선 으로부터 케익이송 정량펌프로 정량으로 이송 받아서 고화제, 시멘트 및/또는 흡습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수평믹서를 구비하며,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 제작되며, 성형 후 양생하여 해양퇴적물을 주원료로 제조된 친환경적인 블록, 경량토, 벽돌, 인공어초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사이의 준설토 케익을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케익이송 정량펌프로 정량으로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고, 고화제 사이로 및 시멘트사이로 에서 일정량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며, 함수율 및/또는 점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함수율 및/또는 점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27%내지 33%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믹서로 혼합하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설정된 함수율을 벗어날 경우에 흡습보조제사이로 에서 흡습보조제를 투입하여 설정된 함수율을 맞추는 공정을 거쳐서, 수평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거치고, 성형 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각각의 사이로에 수평믹서로 투입되는 재료로 고화제는 10중량%내지 15%이고, 시멘트는 5중량%내지 10%로 주입되고, 수평믹서가 가동되면서 함수율 및 점도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 혼합되며, 혼합하여 27%내지 33%정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 맞추어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등을 제조하여 준설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에 저장된 케익을 하부의 케익이송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수평믹서로 일정량 이송되며, 수평믹서에는 각각의 사이로에 저장된 고화제 및 시멘트가 일정량 투입되며, 수평믹서가 가동되면서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 혼합되며, 혼합하여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에 맞추어 블록, 경량토, 벽돌 또는 인공어초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별도의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선박에 탑재된 이동식 준설퇴적토 고화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준설지역의 작업종료 후 고화처리장치가 선박에 설치가 되어 있는 관계로 고화처리장치가 설치된 선박 전체를 이동시켜 다음 작업지역으로 이동하여 준설할 수 있으므로 준설지역에서 준설퇴적토를 운반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50%내지 60%의 함수율의 준설토 케익
2 ;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 3 ; 케익이송정량펌프
4 ; 고화제 저장 사이로 5 ; 시멘트 저장 사이로
6 ; 흡습보조제 저장 사이로 7 ; 수평믹서(혼합기)
8 ; 블록성형기 9 ; 성형블록 이동 방향
10 ; 트랜스퍼카 11 ; 스팀양생실
12 ; 제품이송용 핑거카 13 ; 오토큐버(제품회수)
14 ; 적재팔레트 15 ; 생산팔레트 이동경로
16 ; 지게차 17 ; 생산제품 보관
18 ; 운반선박으로 이송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제10-0776651호 등의 방법으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케익이송 정량펌프로 정량으로 이송 받아서 고화제, 시멘트 및/또는 흡습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수평믹서를 구비하며,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 제작되며, 성형 후 양생하여 해양퇴적물을 주원료로 제조된 친환경적인 블록, 경량토, 벽돌, 인공어초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정화선으로부터 이송 정량펌프로 일정량으로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고, 고화제사이로, 시멘트사이로에서 고화제 및 시멘트를 일정량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며, 실시간으로 함수율 및/또는 점도센서로 자동으로 함수율 및/또는 점도를 측정하여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로 유지하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설정된 함수율을 벗어날 경우에 흡습보조제사이로 에서 흡습보조제를 투입하여 설정된 함수율을 맞추는 공정을 거쳐서, 수평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거치고, 성형 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도시된 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준설퇴적토 고화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준설퇴적토 고화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퇴적토 고화처리의 설비를 선박에 탑재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10-0776651 방법으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선의 옆 또는 인접에 위치하여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1)을 정화선으로부터 파이프라인(Pipe Line)으로 이송 받아서 케익저장탱크(2)에 저장한다.
상기 케익저장탱크(2)에 저장된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은 케익저장탱크(2)에서 준설토 케익 이송정량펌프(3)에 의하여 수평믹서(7)로 일정량씩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믹서(7)에는 고화제 사이로(4)에서 공급되는 고화제가 10중량%내지 15중량% 및 시멘트사이로(5)에서 공급되는 시멘트는 5중량%내지 10중량% 사이에서 설정된 값으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평믹서(7)로 자동 투입되며, 수평믹서(7)가 가동되면서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측정되는 혼합물의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 사이로(6)에 저장된 흡습보조제가 투입 혼합되어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함수율의 측정을 위하여 수평믹서(7) 내부 일측에는 함수율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점도의 측정을 위하여 점도센서를 수평믹서(7)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수평믹서(7)에서 고화제 및 시멘트가 혼합된 준설토 케익은 이송펌프에 의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 제작할 수 있는 성형기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준설퇴적토 고화처리장치에는 고화제, 시멘트 및 흡습보조제사이로와, 케익저장탱크와, 수평믹서(7)와, 함수율 및 점도센서 등이 서로 연동하여 자동으로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성형 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와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장치제어 부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1의 블록성형기(8)에서는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되고, 성형 제조된 성형블록은 생산팔레트로 옮겨져 콘베어밸트를 타고 이송되어 블록이송용 핑거카(12)에 적재되며, 핑거카(12)에 다단으로 적재된 성형제품은 트랜스퍼카(10)에 의하여 스팀양생실(11)로 투입된다.
스팀양생실(11)에 투입되어 70℃에서 24시간 양생이 끝난 양생블록은 트랜스퍼카(10)에 의하여 꺼내지며, 꺼내진 블록은 핑거카(12)에 의하여 콘베어밸트로 이송되고, 콘베어밸트의 흐름에 따라 생산된 블록은 오토큐버(13)를 통과하면서 제품블록은 적재팔레트(14)로 옮겨지고, 오토규버(13)에서 제품이 제거된 빈 생산팔레트(15)는 콘베어밸트를 타고 블록성형기(8)로 재투입된다.
오토큐버(13)에서 적재팔레트(14)로 옮겨진 생산블록은 지게차(16)에 의하여 저장장소(17)에 보관되며, 보관된 블록은 지게차, 크레인 등의 운반수단에 의하여 운반선으로 이송되어 지정된 해역으로 운반 및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의 구성은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제10-0776651호 등의 방법으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아서 정량으로 수평믹서(7)로 이송하는 케익이송정량펌프(3)를 구비하며, 수평믹서(7)로 이송된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에 고화제와 시멘트를 첨가하고 혼합결과에 따라 흡습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도록 고화제사이로, 시멘트사이로 및 흡습보조제사이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준설토 케익, 고화제와 시멘트 는 설정된 량 만큼 자동으로 수평믹서(7)로 주입되고, 수평믹서(7)에서 혼합 결과에 따라 흡습보조제를 투입하여 함수율을 27%내지 33% 정도에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믹서(7)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 받아서 블록, 경량토, 벽돌, 인공어초 등으로 성형 제작하기 성형기를 구비하고, 성형 제작 후 양생하여 해양퇴적물을 주원료로 제조된 친환경적인 블록, 경량토, 벽돌, 인공어초 등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방법의 구성은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등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을 흡입한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50%내지 60%정도의 준설토 케익을 준설토 케익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받아서 정량펌프로 정량으로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고, 고화제사이로, 시멘트사이로 및/또는 흡습보조제사이로로부터 일정량 수평믹서로 이송하는 공정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믹서에서는 실시간으로 함수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함수율센서로 함수율을 측정하여 27%내지 33%사이의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하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설정된 함수율을 벗어날 경우에 흡습보조제사이로에서 흡습보조제를 투입하여 설정된 함수율을 맞추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함수율 및 혼합비는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등의 다양한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혼합비와 함수율을 가지도록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수평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성형 제조하기 위한 성형기로 주입하는 공정을 거치고,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등의 다양한 제품으로 성형한 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사이로에서 수평믹서로 투입되는 재료로 고화제는 10중량%내지 15중량%이고, 시멘트는 5중량%내지 10중량%가 주입되며, 수평믹서가 가동하면서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 및 점도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흡습 보조제사이로로부터 투입 혼합되며, 혼합하여 27%내지 33%사이에서 설정된 함수율을 맞추어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등의 제품을 제조하여 준설토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직접 준설현장에서 준설하여 정화하는 준설선의 옆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여, 고형화 원료를 공급받아 친환경적인 인공어초 등 고형화블록을 생산하여 완성된 블록을 바로 운반선으로 옮겨 해양에 투기를 할 수 있고, 특정 준설지역의 작업종료 후 고화처리장치가 선박에 설치가 되어 있는 관계로 고화처리장치가 설치된 선박 전체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다음 작업지역으로 이동, 설치할 수 있으므로 준설지역에서 고화처리설비가 있는 지역으로 원료를 운반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6)

  1.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에 있어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하부면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흡입한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퇴적물 함수율을 50%내지 60%로 탈수하여 준설토 케익을 저장하는 준설토 케익저장탱크(2);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준설토 케익을 공급받아서 정량으로 수평믹서(7)로 이송하는 케익이송 정량펌프(3);
    이송된 준설토 케익, 고화제, 시멘트 및 흡습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기 위한 수평믹서(7);
    상기 수평믹서 내부에는 혼합물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율 센서;
    상기 고화제, 시멘트 및 흡습보조제를 저장 공급하기 위한 고화제 저장 사이로(4), 시멘트 저장 사이로(5) 및 흡습보조제 저장 사이로(6); 및
    상기 수평믹서(7)로 투입되는 고화제를 10중량%내지 15중량%로 하고, 시멘트는 5중량%내지 10중량%로 하며, 수평믹서(7)가 가동되면서 함수율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 혼합되며, 흡습보조제를 혼합하여 설정된 함수율 27%내지 33%사이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성형 제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2.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방법에 있어서,
    반폐쇄만, 하구역, 항만권, 온배수역, 양식어장역, 내수면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하부면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흡입 후 정화 처리하는 정화공정에서 퇴적물 함수율을 50%내지 60%로 탈수하여 준설토 케익을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2)에 저장하고, 저장된 준설토 케익 저장탱크로부터 케익이송 정량펌프(3)로 정량으로 수평믹서(7)로 이송하는 공정;
    고화제 저장 사이로(4), 시멘트 저장 사이로(5) 및 흡습보조제 저장 사이로(6)로부터 일정량 수평믹서(7)로 이송하는 공정;
    실시간으로 함수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함수율센서로 함수율을 측정하면서 수평믹서(7)에서 혼합하는 공정;
    설정된 함수율을 벗어날 경우에 고화제 저장 사이로(4), 시멘트 저장 사이로(5) 및 흡습보조제 저장 사이로(6)로부터 재료를 주입하여 수평믹서(7)로 혼합하여 설정된 함수율을 유지하는 공정; 및
    상기 수평믹서(7)로 투입되는 고화제를 10중량%내지 15중량%로 하고, 시멘트는 5중량%내지 10중량%로 주입하며, 수평믹서(7)가 가동되면서 함수율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측정되는 함수율에 따라 흡습보조제가 투입 혼합되며, 흡습보조제를 혼합하여 설정된 함수율 27%내지 33%사이에서 유지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블록, 경량토, 벽돌 및 인공어초 중에서 하나를 성형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00913A 2010-01-06 2010-01-06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KR10124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13A KR101246858B1 (ko) 2010-01-06 2010-01-06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13A KR101246858B1 (ko) 2010-01-06 2010-01-06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02A KR20110080602A (ko) 2011-07-13
KR101246858B1 true KR101246858B1 (ko) 2013-03-25

Family

ID=4491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913A KR101246858B1 (ko) 2010-01-06 2010-01-06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844B1 (ko) * 2014-09-03 2016-08-02 (주)신대양 준설토 정화 및 고화 처리시스템 및 이 처리시스템을 탑재한 준설토 정화처리용 선박
CN117548017A (zh) * 2023-10-30 2024-02-13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疏浚土气动混流固化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485A (ja) * 1999-10-14 2001-04-24 Norio Moriya 建設発生土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436392B1 (ko) 2001-06-20 2004-06-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처리 슬러지와 고화재 공급장치
KR20080035626A (ko) * 2005-07-29 2008-04-23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연약토의 고화 처리 방법
KR20090072522A (ko) * 2007-12-28 2009-07-02 청록환경자원 (주)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485A (ja) * 1999-10-14 2001-04-24 Norio Moriya 建設発生土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436392B1 (ko) 2001-06-20 2004-06-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처리 슬러지와 고화재 공급장치
KR20080035626A (ko) * 2005-07-29 2008-04-23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연약토의 고화 처리 방법
KR20090072522A (ko) * 2007-12-28 2009-07-02 청록환경자원 (주)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02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8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dredge spoils
CN104260209B (zh) 一种内河航道水上移动混凝土搅拌船
CN105731758A (zh) 一种海洋疏浚淤泥脱水固化处理一体化装置及方法
KR101246858B1 (ko)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CN205590538U (zh) 一种海洋疏浚淤泥脱水固化处理一体化装置
JP2016000927A (ja) ヘドロ環境現場安定化処理工法
EP2708293B1 (en) Method for the storage of contaminated material generated by waste processing plants
JP5118802B2 (ja) 水回収プラントを稼働させるためのプロセス
KR20140086567A (ko) 고화제 제조시스템
SK8494Y1 (sk) Spôsob zhodnocovania odpadového produktu pri výrobe tepla alebo elektrickej energie z pevných palív a spôsob využitia tohto zhodnoteného odpadového produktu
JP2014171447A (ja) 浚渫土を利用して藻礁を構築するための処理工法
JP2005330731A (ja) 浚渫粘性土を利用した人工干潟材料、同製造装置及び人工干潟造成方法。
CN103894390B (zh) 一种水域污染底泥治理修复工艺
JP4925950B2 (ja) 浚渫及び埋め立て方法
CN214612118U (zh) 泥浆板框脱水固化一体机
GB2103099A (en) Treating slurry
JPH08270002A (ja) 浚渫泥土の処分方法
CN215434390U (zh) 一种用于流动化处理土的处理系统
JP7491605B2 (ja) 水中緑化用吹付材及び水域設置用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水中緑化工法
CN113582442B (zh) 一种液体散货码头污染径流的收集净化与回用系统
CN109396156B (zh) 一种危险废弃物的无害减量化处理方法
KR20050032543A (ko) 버력을 이용한 인공수초의 제조방법
JP3670137B2 (ja) 脱水ケーキの強度管理装置
JP3698868B2 (ja) 脱水ケーキの処理装置
JP2023028522A (ja) ブロックの生成方法及び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