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383B1 -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383B1
KR101246383B1 KR20110097717A KR20110097717A KR101246383B1 KR 101246383 B1 KR101246383 B1 KR 101246383B1 KR 20110097717 A KR20110097717 A KR 20110097717A KR 20110097717 A KR20110097717 A KR 20110097717A KR 101246383 B1 KR101246383 B1 KR 10124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
distribution system
loss value
distribution
tim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종
하복남
이성우
김상옥
서동완
남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11009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383B1/ko
Priority to PCT/KR2011/007276 priority patent/WO2013047931A1/ko
Priority to US14/347,402 priority patent/US967363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5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according to economic or energy efficiency considerations, e.g. economic dispa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는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을 결정하는 산정기간 선정부,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에 대한 손실값들을 산출하여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총손실값 산출부, 손실 산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를 포함하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과 총손실값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idering load section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실최소화를 산정하기 위한 임의의 기간을 결정한 후 해당 기간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손실값이 최소화되는 기간을 산출하고, 그 기간을 기준으로 손실최소화 해를 적용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계통은 여러 종류의 부하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부하의 변동성이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장이나 빌딩, 가정의 신규 증설과 수요의 증대 등과 같은 이유로 전력 손실이 증대되어 선로간의 불평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계통 내의 연계 개폐기와 구분 개폐기의 위치 및 상태의 변화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의 구조를 변경하는 배전계통의 재구성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기법으로 배전계통의 모든 개폐기를 닫힌 상태(close)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개폐기를 열어가며(open) 계통의 손실을 계산하는 최적성이 보장된 분기한정기법(Branch and Bound Method)을 적용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른 기법으로 배전계통에서 구분 개폐기와 연계 개폐기를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개폐기의 상태를 서로 바꿔가면서 배전계통의 구성을 변경하는 분기교환기법(Branch Exchange Method)을 적용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근사최적해 탐색인 SA 기법(Simulated Annealing Method) 및 타부 탐색인 TS 기법(Tabu Search Method)을 이용한 기법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전계통의 재구성을 위한 기법들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통의 부하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나, 종래의 기술들은 이런 점을 간과하고 있어서 현실적으로 최적화된 해를 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부하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최적해를 도출한 다음, 실시간으로 계통구성을 바꾸어야 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고 만일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이미 부하가 측정할 당시와는 다른 패턴으로 변했기 때문에 여전히 최적화된 해는 아니라는 한계는 존재한다.
이와 더불어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해를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설비와 인프라, 시스템을 교체해야 하며 이는 엄청난 투자를 필요로 한다. 또한, 현재 기간에서 최적이라고 할지라도 부하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여전히 최적해는 아니라는 측면에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효과만 기대할 수 있으므로 투자 대비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37417(배전계통의 부하평준화를 위한 최적 배전계통 구성방법, 2006.1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실최소화를 산정하기 위한 임의의 기간을 결정한 후 해당 기간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손실값이 최소화되는 기간을 산출하고, 그 기간을 기준으로 손실최소화 해를 적용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을 결정하는 산정기간 선정부;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에 대한 손실값들을 산출하여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총손실값 산출부; 상기 손실 산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과 상기 총손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에 해당하는 배전계통으로 상기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계통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총손실값 산출부는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더하여 각 시점별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더하여 각 시점별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시점별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 중 상기 총손실값에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을 선정하고, 상기 손실 산정기간 중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에 대한 배전계통이 설정된 시점을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 서로 다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에 대한 손실값들을 산출하여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손실 산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과 상기 총손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에 해당하는 배전계통으로 상기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더하여 각 시점별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더하여 각 시점별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시점별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 중 상기 총손실값에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실 산정기간 중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에 대한 배전계통이 설정된 시점을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실 산정기간을 미리 선정하고, 손실 산정기간을 대표하는 배전계통 구성을 결정하여 실시간으로 배전계통을 재구성함에 따라 원격 계측, 상태추정, 계통해석 등과 같은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도 최적의 해를 산출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개폐기의 수명과 오동작, 부동작에 따른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폐로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실 산정기간 동안 각 배전계통구성별로 계통구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각 산정기간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에 대한 특정계통 손실값이 최소화되는 기간을 손실 최소화의 대표기간으로 설정하고, 손실 최소화의 대표기간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으로 현장의 배전계통구성을 재구성함에 따라 손실을 최소화하고 부하를 균등화하여 경제성과 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를 적용하려는 배전계통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손실값을 산출하기 위한 배전계통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기 위한 배전계통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서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를 적용하려는 배전계통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손실값을 산출하기 위한 배전계통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기 위한 배전계통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 시스템(1)은 배전계통을 운영하기 위해 통신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되며, 배전계통 시스템(1)을 관장하는 중앙서버(10)와 배전선로를 따라 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단말장치(30)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서버(10)와 단말장치(30)는 광선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HFC(hybrid fiber coax), 무선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네트워크(20)로 상호연결 된다.
이러한 배전계통 시스템(1)은 여러 종류의 부하들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기 위해 중앙서버(10)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100)가 구비된다.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100)는 산정기간 선정부(110), 총손실값 산출부(120),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 및 계통 재구성부(140)를 포함한다.
산정기간 선정부(110)는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산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d1-dn)을 선정한다. 산정기간 선정부(110)는 선정한 손실 산정기간(d1-dn)을 총손실값 산출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손실 산정기간(d1-dn)은 하루로 선정될 수도 있고, 일주일이나 주중, 주말, 월간, 분기, 연간로 선정될 수 있으며, 하루 중에서도 주간, 야간, 심야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선정할 수 있다. 손실 산정기간(d1-dn)은 배전계통의 구성을 얼마나 자주 재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지에 대하여 고려한 후 결정한다.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손실 산정기간(d1-dn)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구성(D1-D7)에 대한 손실값 loss(di)을 산출한다. 즉,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1)에서의 손실값 loss(d1)에서부터 시점(dn)에서의 손실값 loss(dn)까지를 산출한다. 그리고,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1)에서의 손실값 loss(d1)에서부터 시점(dn)까지의 손실값 loss(dn)을 모두 더하여 총손실값(losstotal)을 산출한다.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총손실값(losstotal)을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시점이 "7일"로 설정되고, 손실 산정기간(d1-dn)의 각 시점별로 배전계통구성(D1-D7)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각 배전계통구성(D1-D7)은 7개의 구간(SS1-SS7)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시점(d1)에서의 배전계통구성(D1)을 구성하는 구간(SS1-SS7)의 부하, 즉 손실값은 "1"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1)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1)=7"을 산출한다. 그리고, 시점(d2)에서의 배전계통구성(D2)을 구성하는 구간(SS1-SS7)의 손실값은 "1"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2)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2)=7"을 산출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나머지 시점(d3-d7)에서의 각 손실값 "loss(d3)=7", "loss(d4)=7", "loss(d5)=7", "loss(d6)=7", "loss(d7)=7"을 산출한다. 그리고,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산출한 각 시점에서의 손실값을 수학식 1과 같이 모두 더하여 총손실값 "losstotal=49"을 산출한다.
[ 수학식 1]
losstotal = loss(d1) + loss(d2) + ... + loss(d7) = 49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산정기간(d1-dn)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특정계통 손실값들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1)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 시점별(d1-d7)로 배전계통구성(D1)을 구성하는 구간(SS1-SS7)에서의 구간부하를 더하여 배전계통구성(D1)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시점(d1)에서의 배전계통구성(D1)의 구간(SS1-SS6)의 손실값은 "1"이고, 구간(SS7)에서의 손실값은 "2"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1)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1)=8"을 산출한다. 그리고, 시점(d2)에서의 배전계통구성(D1)의 구간(SS1-SS5, SS7)의 손실값은 "1"이고, 구간(SS6)에서의 손실값은 "2"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2)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2)=8"을 산출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나머지 각 시점(d3-d7)에서의 배전계통구성(D1)의 각 구간에서의 손실값인 "loss(d3)=8", "loss(d4)=8", "loss(d5)=8", "loss(d6)=8", "loss(d7)=8"을 산출한다. 그리고,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손실 산정기간 동안 각 시점별(d1-d7) 손실값을 수학식 1과 같이 모두 더하여 배전계통구성(D1)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1tol)=56"을 산출한다.
그리고,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2)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 시점별(d1-d7)로 배전계통구성(D2)을 구성하는 구간(SS1-SS7)에서의 구간부하를 더하여 배전계통구성(D2)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시점(d1)에서의 배전계통구성(D2)의 구간(SS1-SS6)의 손실값은 "1"이고, 구간(SS7)에서의 손실값은 "2"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1)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1)=8"을 산출한다. 그리고, 시점(d2)에서의 배전계통구성(D1)의 구간(SS1-SS5, SS7)의 손실값은 "1"이고, 구간(SS6)에서의 손실값은 "2"이므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시점(d2)에서의 손실값으로 "loss(d2)=8"을 산출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나머지 각 시점(d3-d7)에서의 배전계통구성(D2)의 각 구간에서의 손실값인 "loss(d3)=8", "loss(d4)=7", "loss(d5)=8", "loss(d6)=8", "loss(d7)=8"을 산출한다. 그리고,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손실 산정기간 동안 각 시점별(d1-d7) 손실값을 수학식 1과 같이 모두 합하여 배전계통구성(D2)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2tol)=55"를 산출한다.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3)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전계통구성(D3)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3tol)=53"을 산출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4)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전계통구성(D4)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4tol)=51"을 산출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5)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전계통구성(D5)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5tol)=53"을 산출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6)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전계통구성(D6)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6tol)=5"를 산출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실 산정기간(d1-d7)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7)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전계통구성(D7)에서의 특정계통 총손실값 "loss(D7tol)=56"를 산출한다.
그리고,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산정시점(d1-d7)동안 각 배전계통구성을 한번씩 선택한 상태에서 각 배전계통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산출된 각 배전계통구성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 "loss(D1tol)=56","loss(D2tol)=55","loss(D3tol)=53","loss(D4tol)=51","loss(D5tol)=53", "loss(D6tol)=55" 및 "loss(D7tol)=56"과 총손실값인 "losstotal=49"을 비교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한다. 즉,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총손실값인 "losstotal=49"에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 "loss(D4tol)=51"을 선정하고, 손실 산정시점(d1-d7)동 중 특정계통 손실값 "loss(D4tol)=51"에 대한 전계통구성(D4)이 설정된 시점(d4)를 손실 최소화의 해, 즉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로 설정한다.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으로 설정된 시점(d4)의 배전계통구성(D4)에 대한 정보를 계통 재구성부(140)로 전달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계통 재구성부(140)는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로부터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계통 재구성부(140)는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을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에 적용하여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으로 시점(d4)가 설정되면, 계통 재구성부(140)는 시점(d4)에서의 배전계통구성(D4)을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에 적용하여 재구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서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100)의 산정기간 선정부(110)는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산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d1-dn)을 선정한다(S100).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손실 산정기간(d1-dn)을 선정이 결정되면,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에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구성(D1-Dn)에 대한 손실값 loss(di)을 산출한다(S110). 그리고, 총손실값 산출부(120)는 손실 산정기간(d1-dn) 동안 각 시점별로에 설정된 배전계통구성의 각 손실값 loss(d1-dn)을 모두 합하여 총손실값(losstotal)을 산출한다(S120).
그러면,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산정기간(d1-dn)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특정계통 손실값들 산출한다(S130).
구체적으로,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손실 산정기간(d1-dn)동안 계통구성을 배전계통구성(D1)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 시점별(d1-d7)로 배전계통구성(D1)을 구성하는 구간(SS1-SS7)에서의 구간부하를 더하여 배전계통구성(D1)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loss(D1tol))을 산출한다(도 4 참고). 동일한 방법으로,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다음 배전계통구성(D2)을 계통구성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특정계통 손실값(loss(D2tol))을 산출하며(도 5 참고), 마찬가지로 나머지 배전계통구성(D3-Dn)을 각각 계통구성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특정계통 손실값(loss(D2tol)-loss(Dntol))을 산출한다(도 6 내지 도 10 참고).
그리고,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는 특정계통 손실값들 중 총손실값(losstotal)을 산출과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에 대한 배전계통이 설정된 시점을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로 설정한다(S140).
계통 재구성부(140)는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130)로부터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계통 재구성부(140)는 손실 최소화의 대표시점(T)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을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에 적용하여 재구성한다(S1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전선로 부하 균등화를 위해서 특정 기간을 정한 후 해당 기간 동안의 균등부하가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균등부하와 가장 근접하는 시점을 구하여 그 시점을 해당 기간의 대표시점으로 하여 부하균등화 해를 적용하여 배전선로의 부하를 균등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실 산정기간을 미리 선정하고, 손실 산정기간을 대표하는 배전계통 구성을 결정하여 실시간으로 배전계통을 재구성함에 따라 원격 계측, 상태추정, 계통해석 등과 같은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도 최적의 해를 산출하여 배전계통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개폐기의 수명과 오동작, 부동작에 따른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폐로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실 산정기간 동안 각 배전계통구성별로 계통구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각 산정기간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에 대한 특정계통 손실값이 최소화되는 기간을 손실 최소화의 해로 설정하고, 손실 최소화의 해에 해당하는 배전계통구성으로 현장의 배전계통구성을 재구성함에 따라 손실을 최소화하고 부하를 균등화하여 경제성과 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배전계통 시스템
10: 중앙서버
20: 통신네트워크
30: 단말장치
100: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110: 산정기간 선정부
120: 총손실값 산출부
130: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
140: 계통 재구성부

Claims (10)

  1. 서로 다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을 결정하는 산정기간 선정부;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에 대한 손실값들을 산출하여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총손실값 산출부; 및
    상기 손실 산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과 상기 총손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하되,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 중 상기 총손실값에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을 선정하고, 상기 손실 산정기간 중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에 대한 배전계통이 설정된 시점을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에 해당하는 배전계통으로 상기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계통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손실값 산출부는,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더하여 각 시점별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실 최소화해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더하여 각 시점별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각 시점별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5. 삭제
  6.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에 서로 다른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이용하여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손실 산정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서로 다른 배전계통에 대한 손실값들을 산출하여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손실 산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배전계통을 한번씩 선택하고,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구간부하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과 상기 총손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 중 상기 총손실값에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실 산정기간 중 가장 근접한 특정계통 손실값에 대한 배전계통이 설정된 시점을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실 최소화 시점에 해당하는 배전계통으로 상기 배전계통 시스템의 계통구성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설정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더하여 각 시점별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배전계통에서의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총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구간부하를 상기 손실 산정기간의 각 시점별로 더하여 각 시점별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시점별 손실값을 더하여 상기 선택된 배전계통에서의 특정계통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손실 최소화 방법.
  10. 삭제
KR20110097717A 2011-09-27 2011-09-27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24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7717A KR101246383B1 (ko) 2011-09-27 2011-09-27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7276 WO2013047931A1 (ko) 2011-09-27 2011-09-30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US14/347,402 US9673633B2 (en) 2011-09-27 2011-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distribution loss in consideration of section loa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7717A KR101246383B1 (ko) 2011-09-27 2011-09-27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383B1 true KR101246383B1 (ko) 2013-03-21

Family

ID=4799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7717A KR101246383B1 (ko) 2011-09-27 2011-09-27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73633B2 (ko)
KR (1) KR101246383B1 (ko)
WO (1) WO201304793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778B1 (ko) * 2015-10-29 2017-03-15 (주)에스엔 시간차 동기 알고리즘 기반 송배전 계통 손실전력 측정 방법
KR101926308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분산전원 관리가 가능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101926306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101926309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분산전원 관리가 가능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
KR101926307B1 (ko) * 2018-05-28 2019-03-07 (주)세니온 배전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29031B1 (ko) * 2018-06-29 2019-10-0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손실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98122A (ko) 2020-01-31 2021-08-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루프 기반의 배전 계통 재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356B2 (en) * 2014-10-02 2018-01-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ynamic and adaptive configura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12531655B (zh) * 2020-11-19 2022-11-22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配网馈线分段开关的快速优化配置方法及系统
CN112332431B (zh) * 2020-11-25 2022-07-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计及电动汽车参与调频的配电网重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662A (ja) * 1993-12-14 1995-07-04 Hitachi Ltd 配電系統のロスミニマム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9284614A (ja) * 2008-05-20 2009-12-03 Toshiba Corp 最小送電損失系統構成の決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932B2 (ja) * 1998-02-26 2005-10-05 株式会社エフ・エフ・シー 配電系統の損失最小化方法
JP3812431B2 (ja) * 2001-12-10 2006-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効率化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配電効率化システム
US8364609B2 (en) * 2009-01-14 2013-01-29 Integral Analytics, Inc. Optimization of microgrid energy use and distribution
US7778738B2 (en) * 2009-02-11 2010-08-17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feeder circuit loss using demand response
JP2011010522A (ja) * 2009-06-29 2011-01-13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最良状態探索装置及び配電系統損失低減装置
US9570909B2 (en) * 2011-07-26 2017-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s and methods for decentralized power loss reduct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662A (ja) * 1993-12-14 1995-07-04 Hitachi Ltd 配電系統のロスミニマム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9284614A (ja) * 2008-05-20 2009-12-03 Toshiba Corp 最小送電損失系統構成の決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778B1 (ko) * 2015-10-29 2017-03-15 (주)에스엔 시간차 동기 알고리즘 기반 송배전 계통 손실전력 측정 방법
KR101926308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분산전원 관리가 가능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101926306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101926309B1 (ko) * 2018-05-28 2018-12-06 이동률 분산전원 관리가 가능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
KR101926307B1 (ko) * 2018-05-28 2019-03-07 (주)세니온 배전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29031B1 (ko) * 2018-06-29 2019-10-0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손실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98122A (ko) 2020-01-31 2021-08-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루프 기반의 배전 계통 재구성 방법
KR102371783B1 (ko) * 2020-01-31 2022-03-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루프 기반의 배전 계통 재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73633B2 (en) 2017-06-06
WO2013047931A1 (ko) 2013-04-04
US20140232186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383B1 (ko)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특성을 고려한 배전손실 최소화 장치 및 방법
US91182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 association between nodes and phases via a smart grid
AU2016266732B2 (en) Automatic network device electrical phase identification
US10256633B2 (en) Real-time estimation of contributions from classes of energy generators in residual load signals
Bhusal et al. Sizing of movable energy resources for service restoration and reliability enhancement
Alimardani et al. Using smart meters in state estim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Margellos et al. A robust reserve scheduling technique for power systems with high wind penetration
CN105372496A (zh) 供电网络中的相位识别装置及方法
Ahlhaus et al. Transmission capacity expansion: an improved transport model
Oerter et al. Experience with first smart, autonomous LV-grids in Germany
Olivier et al. Automatic phase identification of smart meter measurement data
KR102438977B1 (ko)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Ivanov et al. Intelligent monitoring and control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Wang et al. Multi-stage resilient operation strategy of urban electric–gas system against rainstorms
Morillo et al. Planning open and closed-loop feeders with efficiency analysis
Foreman et al. Aggregation architecture for data reduction and privacy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N103701499A (zh) 低压电力线载波通信系统的路由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06208118A (zh) 一种储能系统多目标优化规划方法
Gupta et al. Predicting Voltage Variations in Low Voltage Networks with Prosumers
de Souza et al. Time-alignment of electrical network measurements through time series of cycle RMS values
Barreto et al. Demand Response Programs Management in an Energy Community with Diversity of Appliances
Cole et al. Smart sizing–a tool for long-term planning of smart distribution systems
da Silva et al. Impact of the State Estimation in Different Scenarios and Topologies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oma et al. Application of smart metering systems for energy losses assessment and forecasting in distribution systems
Chinnow et al. A tool set for the evaluation of security and reliability in smart gr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