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202B1 -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202B1
KR101246202B1 KR1020110034564A KR20110034564A KR101246202B1 KR 101246202 B1 KR101246202 B1 KR 101246202B1 KR 1020110034564 A KR1020110034564 A KR 1020110034564A KR 20110034564 A KR20110034564 A KR 20110034564A KR 101246202 B1 KR101246202 B1 KR 10124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unit
piece
concrete structur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061A (ko
Inventor
김형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형제이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제이형관 filed Critical (주)형제이형관
Priority to KR102011003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2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유닛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격편이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각각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 및 중간 모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이 제작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유닛과 외부 유닛 및 격편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을 조립한 다음, 외부 유닛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투입하여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하고, 콘크리트가 내, 외부 유닛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면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켜 균일하게 타설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 외부 유닛 및 격편을 해체하여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취출한 다음, 지중에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매설하고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본 발명은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상수도 계량기실은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으며, 정해진 설계 강도의 유지가 가능한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방수 시공을 하며 상수도관과 계량기가 장착될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장착되는 철근의 규격 또한 시공에 따른 시방서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
여기서, 상수도 계량기실은 내부를 통과하는 상수도관의 직경이 통상 75 내지 300mm인 대구경의 것을 사용하는 바, 이러한 대구경의 상수도관의 일부와 계량기가 장착될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수도 계량기실의 제작에는 대량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어야 함은 물론, 방수 및 기밀 처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수도 계량기실은 별도의 작업장에서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거푸집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면서 얻어지게 되지만, 대형이면서 대량의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획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과, 외부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부 유닛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외부 유닛과,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 상기 외부 유닛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계량기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과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고 정면이 개방된 외부 유닛과 상기 내, 외부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하며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복수의 격편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외부 유닛의 개방된 정면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외부 유닛의 외면에 형성된 투입공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격편과 상기 내,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분할된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외부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투입공을 마감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유닛을 해체하고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닛에 진입하여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격편을 해체한 다음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취출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구조로부터 지중에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모듈로부터 중간 모듈 및 상부 모듈의 순으로 매설하면서 상수도관 및 계량기를 장착하고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의 연결부위를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내부 유닛과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을 복수로 분할하는 격편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격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상호 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구조를 채택하여 거푸집의 해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기밀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중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상부 모듈(410)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하 미도시)이 관통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중간 모듈(430)과, 내측 저면에 집수홀(402)이 형성된 하부 모듈(42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부 모듈(410)은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돌기(412)가 중간 모듈(43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432)이 상호 결합되고, 하부 모듈(420)은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422)이 중간 모듈(43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돌기(432')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수도관이 통과하고 계량기(이하 미도시)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제작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정면도이다.
참고로, 정면, 양측면, 상면, 저면, 배면 등의 용어는 도 2에서 정면을 2, 양측면을 3과 3', 상면을 4, 저면을 5, 그리고 배면을 6이라 표시한 방향에서 본 시점이라 각각 정의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표시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관련 도면부호는 도 1을 참고하며, 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미설명 부호로 111은 점검구(401) 형성을 위한 점검구 형성통을, 121은 집수홈(402) 형성을 위한 트레이를, 240은 통과공(403) 형성을 위한 통과공 형성통, 250은 바이브레이터 삽입을 위한 투입공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내부 유닛(10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유닛(2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격편(300)이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각각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전술한 상부 모듈(410)과 하부 모듈(420) 및 중간 모듈(430)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이 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내부 유닛(100)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의 틀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부 유닛(200)은 외부 양측면에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403)이 관통되고, 내부 유닛(100)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내부 유닛(100)의 외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의 틀체 역할을 한다.
격편(300)은 내부 유닛(100)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고, 내부 유닛(100)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 유닛(200) 각각의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어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격편(300)은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310)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푸집(1)을 구성하는 내, 외부 유닛(100, 200)과 격편(300)을 해체하면 상, 하부 모듈(410, 420) 사이에 중간 모듈(430)이 정확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즉, 격편(300)은 홈(310)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격편(300)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부재는 돌기의 구조가, 격편(300)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부재는 홈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호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내부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제1 내틀(110)과 하부의 제2 내틀(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내틀(1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내틀(11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 모듈(410) 형상에 대응하여 저면이 개방된 부재이다.
그리고, 제2 내틀(120)은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제1 내틀(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3 내틀(130)은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중간 모듈(430)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제1, 2 내틀(110, 12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3 내틀(1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내부 유닛(100)에 대응하여 분할된 후술할 외부 유닛(200)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제1, 2, 3 내틀(110, 120, 130)의 더욱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후술할 외부 유닛(200)의 분할된 각 부재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외부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유닛(100)의 외부를 감싸며 개방된 정면으로부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될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제1 외틀(210)과 하부의 제2 외틀(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외틀(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우선, 제1 외틀(21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 모듈(410)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상부, 즉 제1 내틀(110)을 감싸며 정면과 저면이 각각 개방된 부재이다.
그리고, 제2 외틀(220)은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하부, 즉 제2 내틀(220)을 감싸며 정면과 상면이 각각 개방되고, 제1 외틀(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3 외틀(230)은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중간 모듈(430)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중간, 즉 제3 내틀(130)을 감싸고, 양측면에 통과공(430)에 대응하는 홀(231)이 형성되며 정면과 상면 및 저면이 각각 개방되고, 제1, 2 외틀(210, 22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3 외틀(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외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제1, 2, 3 외틀(210, 220, 230)에 대응하여 분할된 내부 유닛(100) 각각, 즉 제1, 2, 3 내틀(110, 120, 130)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제1, 2, 3 외틀(210, 220, 230)의 더욱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전술한 내부 유닛(100)의 분할된 각 부재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푸집(1)의 상, 중, 하부 구조를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및 격편(300)의 상호 결합 관계를 통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살펴본다.
우선, 제1 내틀(110)은 도 4와 같이 상편(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상부 측편(114)과 제2 상부 측편(116)이 장착되어 제1, 2 상부 측편(114, 116)은 후술할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외틀(210)의 하부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
상편(112)은 중앙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점검구(4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점검구 형성통(111)이 나사로 체결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제1 상부 측편(114)은 외부 유닛(200), 즉 제1 외틀(210)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1 상부 체결리브(114') 및 제1 하부 체결리브(114")가 마련된 부재이다.
즉, 제1 상부 체결리브(114')는 제1 상부 측편(114)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편(11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1 하부 체결리브(114")는 제1 상부 측편(114)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또한, 제2 상부 측편(116)은 제1 외틀(2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2 상부 체결리브(116') 및 제2 하부 체결리브(116")가 마련된 부재이다.
즉, 제2 상부 체결리브(116')는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편(11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2 하부 체결리브(116")는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여기서, 제2 상부 측편(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상부 분리편(115)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고, 상부 분리편(115)은 제1 외틀(2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부재이다.
상부 분리편(115)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1 외틀(210)을 해체하고, 제1 내틀(11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틀(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틀(110)의 상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1 내틀(11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1 지지틀체(214)의 상측 가장자리에 외부 상판(212)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1 정면틀체(216)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제1 내틀(110)과 제1 외틀(210) 각각의 하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틀(110)과 제1 외틀(21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제3 내틀(130)은 도 5와 같이 네 측면을 이루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된 중간 측편(132)의 양단부 가장자리를 중간 분리편(134)이 연결지음으로써 중간 모듈(43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제3 내틀(1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나사로 체결된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3 외틀(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
중간 측편(132)은 외부 유닛(200), 즉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5 상부 체결리브(132')와 제6 상부 체결리브(132")가 마련된 부재이다.
즉, 제5 상부 체결리브(132')는 중간 측편(132)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그리고, 제6 상부 체결리브(132")는 중간 측편(132)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또한, 중간 분리편(134)은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일면과 정면 및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나머지 일면과 배면에 각각 대면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등분된 중간 측편(132) 각각의 양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중간 분리편(134)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분리편(134)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3 외틀(230)을 해체하고, 제3 내틀(13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3 외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틀(13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3 내틀(13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3 지지틀체(232)의 상측 가장자리에 제1 외틀(210)과 결합된 격편(300)의 저면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3 정면틀체(234)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각각의 하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제3 외틀(230)에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통과공(403)이 형성되게 홀(231)에 삽입되어 내부 유닛(100)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되는 통과공 형성통(240)이 결합된다.
통과공 형성통(240)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242)에 마감편(244)이 결합되면서 원통 형상을 이루되, 절결부(242)에 대한 마감편(244)의 고정은 고정편(246)과 걸림편(248)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절결부(242)는 제3 내틀(130), 즉 중간 측편(132)이 이루고 제3 외틀(230)의 양측면에 대면하는 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통과공 형성통(2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마감편(244)의 결합 공간을 제공한다.
마감편(244)은 절결부(2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부(242)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며, 고정편(246)은 절결부(2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통(24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마감편(244)을 고정하고, 걸림편(248)은 마감편(244)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편(246)에 걸림 고정되는 부재이다.
미설명 부호로 245'은 통과공 형성통(240)에 마련된 탈착용 브라켓이며, 245"은 탈착용 브라켓(245')에 대응되는 탈착용 브라켓으로, 양 탈착용 브라켓(245', 245")은 결합과 해체의 편의를 위하여 나사로 체결된다.
그리고, 제3 외틀(230)에는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이하 미도시)가 투입되는 투입공(25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공(250)은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제1 내, 외틀(110, 210) 사이의 공간 및 제2 내, 외틀(120, 220) 사이의 공간과는 달리 통과공 형성통(240)이 존재하므로, 통과공 형성통(240)을 제외하는 제3 내, 외틀(130, 23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타설되어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투입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투입공(25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편(252)이 돌출되고, 돌출편(25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레일편(254)이 장착되며, 레일편(254)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마감편(256)이 장착되어 투입공(250)을 개폐 가능하고, 마감편(256)에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편(258)이 돌출되어 투입공(250)의 개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마감편(256)을 레일편(254)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콘크리트 투입 전에 바이브레이터의 삽입을 위하여 투입공(250)을 개방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바이브레이터가 제3 외틀(230)로부터 분리되면 투입공(250)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내, 외틀(130, 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는 각각 격편(300)의 내, 외측 가장자리와 결합되며, 격편(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제2 내틀(120)은 도 6과 같이 저편(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하부 측편(124)과 제2 하부 측편(126)이 장착되어 제1, 2 하부 측편(124, 126)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제2 외틀(2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
저편(122)은 일측에 집수홈(402)에 대응하는 형상인 트레이(121)의 상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트레이(121)의 상부에는 저편(122)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편(121')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홈(402)은 상수도관의 누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모이는 용적을 제공하며 작업자는 점검구(401)를 통하여 별도로 마련된 양수기(이하 미도시) 등의 장비를 투입하여 집수홈(402)에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하부 측편(124)은 외부 유닛(200), 즉 제2 외틀(220)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3 상부 체결리브(124")와 제3 하부 체결리브(124')가 마련된 부재이다.
즉, 제3 하부 체결리브(124')는 제1 하부 측편(124)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저편(12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3 상부 체결리브(124")는 제1 하부 측편(124)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또한, 제2 하부 측편(126)은 제2 외틀(22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4 상부 체결리브(126")와 제4 하부 체결리브(126')가 마련된 부재이다.
즉, 제4 하부 체결리브(126')는 제2 하부 측편(126)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저편(12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4 상부 체결리브(126")는 제2 하부 측편(126)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
여기서, 제2 하부 측편(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하부 분리편(125)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고, 하부 분리편(125)은 제2 외틀(22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부재이다.
하부 분리편(125)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2 외틀(220)을 해체하고, 제2 내틀(12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외틀(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틀(120)의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2 내틀(12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2 지지틀체(224)의 하측 가장자리에 외부 저판(222)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2 정면틀체(226)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제2 내틀(120)과 제2 외틀(220) 각각의 상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 도 4 및 도 5 참고)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틀(120)과 제2 외틀(22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의 직경, 즉 관통공(403)의 직경이 75 내지 150mm, 구체적으로는 75, 100, 150mm 규격의 상수도관일 때 상, 하부 모듈(410, 420) 사이에 하나의 중간 모듈(430)이 적층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수도관의 직경이 200mm인 경우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모듈(430)을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둘로 분할되도록 하여 상부의 중간 모듈 또는 하부의 중간 모듈에 상수도관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3 내, 외통(130, 230) 또한 둘로 분할될 중간 모듈의 형상에 맞게 분할 배치되는 구조여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수도관의 직경이 250, 300mm로 대구경인 경우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모듈(430)을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셋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상부의 중간 모듈과 하부의 중간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의 중간 모듈에 상수도관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3 내, 외통(130, 230) 또한 셋으로 분할될 중간 모듈의 형상에 맞게 분할 배치되는 구조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며,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한다.
우선, 본 발명은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및 격편(300)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1)을 조립한 다음, 외부 유닛(200)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투입하여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하고, 콘크리트가 내, 외부 유닛(100, 200)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면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켜 균일하게 타설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 외부 유닛(100, 200) 및 격편(300)을 해체하여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취출한 다음, 지중에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매설하고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초, 제1 단계(S10)에서 작업자는 내부 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나사로 체결하되, 분할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격편(300)으로 구획되게 체결하며, 외부 유닛(200)을 격편(300)과 결합함으로써 거푸집(1)을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내부 유닛(10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수도관(이하 미도시)이 통과하는 관통공(403)이 형성되고 계량기(이하 미도시)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부 유닛(200)은 내부 유닛(100)의 외면을 감싸고 정면이 개방된 형상의 것이다.
격편(300)은 내, 외부 유닛(100, 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하며 형성 방향을 따라 홈(310)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이다.
또한, 제1 단계(S10)에서 작업자는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10)을 장착하는 철골장착과정(S11)을 더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2 단계(S20)에서 작업자는 외부 유닛(200)의 개방된 정면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거푸집(1)을 배치하고, 외부 유닛(200)의 외면에 형성된 투입공(250)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이하 미도시)를 삽입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준비를 한다.
계속하여, 제3 단계(S30)에서 작업자는 격편(300)과 내, 외부 유닛(100, 200)이 형성하는 분할된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한다.
바이브레이터를 가동하는 것은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점검구 형성통(111)과 관통공 형성통(240) 및 집수홈 형성을 위한 트레이(121) 등의 부재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채워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4 단계(S40)에서 작업자는 바이브레이터를 외부 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고 투입공(250)을 마감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하고, 점검구(401)를 통해 내부 유닛(100)으로 진입하여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한 다음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취출한다.
취출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도 1과 같이 상부 모듈(410)과 하부 모듈(420) 사이에 중간 모듈(430)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이며, 각각의 결합 부위에는 격편(300)을 따라 형성된 홈(310)에 의하여 홈과 돌기의 결합구조가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제5 단계(S50)에서 작업자는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 각각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구조로부터 지중에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로부터 중간 모듈(430) 및 상부 모듈(410)의 순으로 매설하면서 상수도관 및 계량기를 장착하고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 각각의 연결부위를 마감 방수재로 시공함으로써 일체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거푸집 100...내부 유닛
200...외부 유닛 300...격편
400...콘크리트 구조물 500...철골

Claims (15)

  1.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
    외부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부 유닛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유닛;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 상기 외부 유닛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편; 및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분할되는 분할격편;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격편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홈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분할격편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저면이 개방된 제1 내틀과,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내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내틀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2 내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내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내틀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 유닛에 대응하여 분할된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닛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정면과 저면이 각각 개방된 제1 외틀과,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하부를 감싸며 정면과 상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1 외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외틀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중간을 감싸며, 양측면에 상기 통과공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며 정면과 상면 및 저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1, 2 외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외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외틀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부 유닛에 대응하여 분할된 상기 내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틀은,
    중앙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상기 점검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점검구 형성통이 나사로 체결되는 상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1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1 하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1 상부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2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2 하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2 상부 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틀은,
    일측에 상기 집수홈에 대응하는 형상인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저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저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3 하부 체결리브와,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3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저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4 하부 체결리브와,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4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2 하부 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내틀은,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5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6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중간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 중 일면과 정면 및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 중 나머지 일면과 배면에 각각 대면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등분된 상기 중간 측편 각각의 양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중간 분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측편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상부 분리편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며,
    상기 상부 분리편은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측편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하부 분리편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며,
    상기 하부 분리편은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외틀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통과공이 형성되게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되는 통과공 형성통과,
    상기 제3 외틀의 양측면 중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외부 유닛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 형성통은,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상기 통과공 형성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결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마감편과,
    상기 절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통과공 형성통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편을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마감편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외틀은,
    상기 투입공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 레일편과,
    상기 레일편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입공을 개폐 가능한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편은 콘크리트 투입 전에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투입공을 개방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3 외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투입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34564A 2011-04-14 2011-04-14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4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ko) 2011-04-14 2011-04-14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ko) 2011-04-14 2011-04-14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61A KR20120117061A (ko) 2012-10-24
KR101246202B1 true KR101246202B1 (ko) 2013-03-25

Family

ID=4728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ko) 2011-04-14 2011-04-14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350B1 (ko) * 2014-12-31 2015-06-22 (주)형제이형관 상수도용 대형 제수 밸브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장치
GB2594981B (en) * 2020-05-14 2022-07-13 Dutypoint Ltd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structure
CN112160591B (zh) * 2020-09-30 2021-11-30 重庆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建筑房梁用加固装置
CN114000701A (zh) * 2021-11-08 2022-02-0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烟道止水坎的模具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5B1 (ko) * 2006-02-09 2007-07-27 한종숙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5B1 (ko) * 2006-02-09 2007-07-27 한종숙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61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02B1 (ko)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CN208023748U (zh) 一种拼接式预制墙的拼接连接件
JP2016501330A (ja) 鋳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鋳型設置方法
JP2018162661A (ja) 型枠用可変形状スペーサコネクタおよびその様なコネクタを含むモジュール式型枠システム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1702459B1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200430683Y1 (ko) 분배기함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20130130919A (ko) 지관을 이용한 중공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ITVR20100206A1 (it) Struttura di fondazione particolarmente per edifici prefabbricati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2520125B1 (ko) 거푸집 패널
JP2016104965A (ja) 断熱基礎の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に用いる断熱型枠用支持具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82092B1 (ko) 블록 및 그의 성형장치
KR101530350B1 (ko) 상수도용 대형 제수 밸브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장치
KR20210053741A (ko)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RU256530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устотелого блока (варианты) и опалуб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21824B1 (ko) 에프알피폼을 이용한 자연친화형 식생벽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장치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RU74406U1 (ru) Блок опалубки монолитного домостроения, опалубка монолит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з таких блоков
RU2525459C2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879452B1 (ko)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