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39B1 - 운송용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운송용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39B1
KR101246039B1 KR1020110103385A KR20110103385A KR101246039B1 KR 101246039 B1 KR101246039 B1 KR 101246039B1 KR 1020110103385 A KR1020110103385 A KR 1020110103385A KR 20110103385 A KR20110103385 A KR 20110103385A KR 101246039 B1 KR101246039 B1 KR 10124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layer
film
upper side
corrugat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덕
Original Assignee
박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덕 filed Critical 박상덕
Priority to KR102011010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2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레트(Pallet)의 상부에서 조립되는 포장박스를 운송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현장에서 쉽게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골판지로 구성함으로써 숙력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빠르게 포장작업이 가능하며, 가볍고 비용이 목재보다 저렴하면서도 자원 재활용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갖는 운송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송용 포장박스는, 골판지로 된 바닥판이 파레트의 상부면에 깔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부분에는 골판지로 형성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바닥판의 상측과 하측에 덧대어지도록 위치하여 핀 결합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의 상측 사방에서 세워지도록 골판지로 된 측벽체가 위치하며, 상기 각 측벽체의 하측은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측벽체와 측벽체 사이의 모서리에는 골판지로 된 한 쌍의 모서리 앵글이 덧대어져 핀 결합되는 벽재; 골판지로 상기 바닥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벽재의 상측을 덮으며, 골판지로 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벽재의 상측이 끼워져 삽입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운송용 포장박스{Transport type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운송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레트(Pallet)의 상부에서
조립되는 포장박스를 운송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현장에서 쉽게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골판지로 구성하고, 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운송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선박, 트럭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운송하는 경우 파레트에 적재한 다음 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을 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포장방법으로서는 파레트 위에 물품을 놓고, 목재를 이용하여 상자를 형성한 다음 씌우게 되며, 이러한 목재 상자를 파레트에 못이나 핀으로 고정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포장방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물품의 크기에 맞는 상자 구조를 갖도록 목재를 절단하여 형성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인해 포장비용이 증가된다.
아울러, 목재로 됨으로써 그 무거워 운송비용이 증가되고, 한번 포장재로 사용된 목재는 다시 포장재로서의 재활용성이 없어 소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려겹의 골판지로 형성된 판재와 앨글로서 파레트 상부에 운송되는 물품에 맞는 포장상자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운송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송용 포장박스는,
골판지로 된 바닥판이 파레트의 상부면에 깔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부분에는 골판지로 형성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바닥판의 상측과 하측에 덧대어지도록 위치하여 핀 결합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의 상측 사방에서 세워지도록 골판지로 된 측벽체가 위치하며, 상기 각 측벽체의 하측은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측벽체와 측벽체 사이의 모서리에는 골판지로 된 한 쌍의 모서리 앵글이 덧대어져 핀 결합되는 벽재;
골판지로 상기 바닥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벽재의 상측을 덮으며, 골판지로 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벽재의 상측이 끼워져 삽입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포장작업 현장에서 골판지를 절단하여 파레트 상부에 포장박스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숙력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빠르게 포장작업이 가능하며, 가볍고 비용이 목재보다 저렴하다.
또한 폐포장박스는 다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2는 바닥재와 벽재, 그리고 덮개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벽재의 결합도.
도4는 본 발명의 결합 외관도.
도5는 필름형 누수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
도6은 필름형 누수센서의 분해도.
도7은 필름형 누수센서의 적층 단면도.
도8은 필름형 누수센서가 제어기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
도9는 제어기의 내부 구성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운송용 포장박스(10)를 분해하여 보인 도로서, 크게 바닥재(200), 벽재(300), 그리고 덮개(400)로 구성된다.
바닥재(200)는 파레트(10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여러겹의 골판지가 적층되어 구성된 넓은 판재의 바닥판(210)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210)의 각 가장자리에는 각각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220,221)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220,221)도 마찬가지로 적층된 골판지로 구성되고, 그 단면이 'ㄴ'자로 절곡된 바타입으로서, 그 길이는 바닥판(210)의 각 모서리의 길이에 해당하도록 구성되며, 안쪽 가장자리 앵글(220)과 바깥쪽 가장자리 앵글(221)의 측부가 바닥판(210)의 가장자리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덧대어지도록 위치한다.
또한, 가장자리 앵글(220,221)은 도2에서와 같이 바닥판(210)과 접하는 부위가 핀(223)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간 고정되며, 그 핀(223)은 파레트(100)까지 연장되어 박힘으로써 파레트(100)에 바닥재(200)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200)의 상측으로는 여러겹 적층된 골판지로 이루어진 벽재(300)가 입설되어 구성되는데, 벽재(300)는 사방의 측벽을 구성하도록 골판재로 된 측벽체(310,320,330,340)가 세워지며, 각 측벽체(310,320,330,340)의 하측은 도2에서와 같이 바닥재(200)의 가장자리 앵글(220,221)이 상측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져서 세워진다.
각 측벽체(310,320,330,340)의 양측 모서리는 한 쌍의 모서리 앵글(321,322)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데, 상기 모서리 앵글(321,322)도 마찬가지로 골판지로 형성되며, 그 단면이 'ㄴ'자로 절곡된 바타입으로서, 도3에서와 같이 안쪽 가장자리 앵글(322)과 바깥쪽 가장자리 앵글(321)이 측벽체(310,320,330,340)의 내측과 외측으로 덧대어지도록 위치한다.
이때, 모서리 앵글(321,322)의 길이는 바닥재(200)의 가장자리 앵글(220,221)과 덮개(400)의 가장자리 앵글(410,411)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측벽체(310,320,330,340)의 노출된 모서리 부분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측벽체(310,320,330,340)와 모서리 앵글(321,322)은 핀(323)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데, 서로 대향하는 측벽체(310,312)만 모서리 앵글(321,322)과 핀(323)으로 고정됨으로써 고정되지 않는 측벽체(311,313)는 모서리 앵글(321,322)에 단순히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끼워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핀(323)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줄어들며, 아울러 포장박스(10)를 분해할때도 매우 용이하다.
즉, 포장박스(10)를 분해할 때는 덮개(400)를 열고 벽체(311,313)를 상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분리함으로써 쉽게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수 있으며, 또한, 재사용시에는 벽체(311,313)를 끼우기만 하면 포장박스(10)를 파손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덮개(400)는 바닥재(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2에서와 같이 뒤집혀진 상태로 벽재(300)의 상부를 덮게 되며, 가장자리 앵글(410,411)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측벽체(310,311,312,313)의 상측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파레트(100)의 상측에 본 발명의 포장박스(10)가 조립되며, 골판지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현장에서 작업자가 운송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칼로 잘라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핀(223,323,412)은 못, 스태플러, 리벳 등의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운송용 포장박스(10)는 적층된 골판지로 형성되어 그 강도가 목재와 비숫하거나 훨씬 뛰어나지만, 물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운송용 포장박스(10)의 운송 또는 보관 중에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든 경우에는 젖게 되므로 포장박스의 기능을 상실하므로 빨리 이를 감지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도5에서와 같이 운송용 포장박스(10)의 외측에 테이프 형태로 된 필름형 누수센서(500)를 감는 형태로 부착하여 누수를 감지하면서도 운송용 포장박스(10)의 개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안 테이프로 사용하게 된다.
도6 및 도7은 이러한 필름형 누수센서(5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부착층(510), 베이스층(520), 보호층(5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부착층(510)은 운송용 포장박스(10)의 외측에 부착하는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층(520)은 도전라인(521,52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521,52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521,522)은 베이스층(52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보호층(530)은 베이스층(5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521,522)이 절단되지 않도록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층(52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521,522)에 해당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센싱홀(5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이프 형태로 된 필름형 누수센서(500)의 일단에는 도8에서와 같이 제어기(540)가 결합되어 있어서, 누수상태를 즉각 원격지의 제어반으로 통보하게 되는데, 운송용 포장박스(10)에 물이 떨어지거나 유입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5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521,522)이 수분에 의해 도전되며, 이때 제어기(540)가 그 도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540)는 도9에서와 같이 구성되는데, 자체 내장된 배터리(520)로부터 어느 하나의 도전라인(521)으로 센싱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폐회로가 형성되므로 프로세서(542)는 도전라인(521,522)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게 되고, 전압이 입력되면 ID저장부(543)에 저장된 ID정보를 읽어들여 송신부(544)를 통해 원격의 제어반에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의 제어반은 ID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운송용 포장박스의 누수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 의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필름형 누수센서(500)는 테이프 형태로 운송용 포장박스(10)의 외측에 감겨져 부착되므로 포장박스(10)를 개봉하고자 인위적으로 필름형 누수센서(500)를 제거하게 되면 골판지로 된 포장박스(10)의 외측 부분이 박리되므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필름형 누수센서(500)가 누수를 감지하여 포장박스(10)의 손상을 감지하는 것은 물론, 보안 테이프의 역할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포장박스 100 : 파레트
200 : 바닥재 210 : 바닥판
220,221 : 가장자리 앵글 223,323,412 : 핀
300 : 벽재 310,311,312,313 : 측벽체
321.322 : 모서리 앵글 400 : 덮개
500 : 누수센서 510 : 부착층
520 : 베이스층 521,522 : 도전라인
530 : 보호층 531 : 센싱홀
540 : 제어기

Claims (2)

  1. 골판지로 된 바닥판이 파레트의 상부면에 깔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부분에는 골판지로 형성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바닥판의 상측과 하측에 덧대어지도록 위치하여 핀 결합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의 상측 사방에서 세워지도록 골판지로 된 측벽체가 위치하며, 상기 각 측벽체의 하측은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측벽체와 측벽체 사이의 모서리에는 골판지로 된 한 쌍의 모서리 앵글이 덧대어져 핀 결합되는 벽재;
    골판지로 상기 바닥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벽재의 상측을 덮으며, 골판지로 된 한 쌍의 가장자리 앵글이 형성하는 공간에 벽재의 상측이 끼워져 삽입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용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재와 벽재, 그리고 덮개의 외측으로는 테이프 형태의 필름형 누수센서가 감겨지도록 부착되며, 상기 필름형 누수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면에는 베이스층을 접착하기 위한 부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는 필름재질로 된 보호층이 적층되고, 상기 보호층에는 베이스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름형 누수센서의 일단부에는 제어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전라인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도전라인으로부터 전압값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전압값의 입력이 발생되면 ID 저장부에 저장된 ID정보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ID정보를 원격지의 제어반으로 무선전송하는 송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용 포장박스.
KR1020110103385A 2011-10-11 2011-10-11 운송용 포장박스 KR10124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85A KR101246039B1 (ko) 2011-10-11 2011-10-11 운송용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85A KR101246039B1 (ko) 2011-10-11 2011-10-11 운송용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039B1 true KR101246039B1 (ko) 2013-03-26

Family

ID=4818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385A KR101246039B1 (ko) 2011-10-11 2011-10-11 운송용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931A (zh) * 2018-06-18 2018-11-23 昆山诺尔特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纸板简易装配机构
CN110271738A (zh) * 2019-06-14 2019-09-24 天津开发区精锐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可替代烟草瓦楞纸箱的新型智能循环包装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733A (ja) 1996-11-29 1998-06-16 Chiyoda Kompo Kogyo Kk 組立式保管庫
KR100639398B1 (ko) 2006-02-24 2006-10-31 전일목재산업 주식회사 팔레타이저용 조립형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733A (ja) 1996-11-29 1998-06-16 Chiyoda Kompo Kogyo Kk 組立式保管庫
KR100639398B1 (ko) 2006-02-24 2006-10-31 전일목재산업 주식회사 팔레타이저용 조립형 포장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931A (zh) * 2018-06-18 2018-11-23 昆山诺尔特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纸板简易装配机构
CN110271738A (zh) * 2019-06-14 2019-09-24 天津开发区精锐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可替代烟草瓦楞纸箱的新型智能循环包装箱
CN110271738B (zh) * 2019-06-14 2024-03-08 天津开发区精锐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可替代烟草瓦楞纸箱的智能循环包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8717B2 (en) Insulated box
US20130015083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security check of shipment of cargo
US10442567B2 (en)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US10132911B1 (en) Cargo restraint with RF beacon
CN103754492B (zh) 包装结构
US20050087663A1 (en) Plastic laminated edge protector
KR101246039B1 (ko) 운송용 포장박스
TW201408555A (zh) 包裝材及包裝體
US9090379B2 (en) Pallet device with support ribs
US10112525B1 (en) Cargo restraint with RF beacon
US20140165883A1 (en) Load securing system
KR101756038B1 (ko) 패널 운반장치
JP2019156478A (ja) パレットおよび梱包箱
CN214452728U (zh) 一种拼装式包装长箱
US20150375898A1 (en) Encapsulating sheet container
RU247169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пластин из керамического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20160362222A1 (en) Paper pallet having a plurality of leg beams, and packaging case including paper pallet
JP4973240B2 (ja) 運搬用部材
KR200214418Y1 (ko)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
JP3203329U (ja) 梱包材及びその組合せ
EP1606174B1 (en) Pallet load-infestation monitoring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200212817Y1 (ko) 골판지 파렛트
KR20170131855A (ko) 내부 후벽 구조의 포장 박스
KR200316717Y1 (ko) 적층이 용이한 종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