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718B1 -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 Google Patents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718B1
KR101245718B1 KR1020120092356A KR20120092356A KR101245718B1 KR 101245718 B1 KR101245718 B1 KR 101245718B1 KR 1020120092356 A KR1020120092356 A KR 1020120092356A KR 20120092356 A KR20120092356 A KR 20120092356A KR 101245718 B1 KR101245718 B1 KR 10124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ayer
colors
card
plastic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렉스
Priority to KR102012009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2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information-bearing card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카드의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중심 플라스틱층(10)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전면을 보여주게 되는 상부 인쇄층(20)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요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후면을 보여주게 되는 하부 인쇄층(30)과, 상기 상부 인쇄층(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쇄층(2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상부 오버레이층(40)과, 상기 하부 인쇄층(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인쇄층(3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하부 오버레이층(50)으로 구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색상구별 구역(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색상구별 구역(110)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Easy-distinguishable Plastic Card in the Wallet}
본 발명은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갑 내에 다수의 카드를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카드와 쉽게 구별할 수 있고 또한 그 카드를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전통적으로 교환수단으로서 화폐를 사용하여 왔지만,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전통적인 화폐를 대신하여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는 화폐를 직접 소지할 필요가 없고, 때로는 각종의 포인트 적립과 적정한 할인율을 적용받기도 하므로, 플라스틱 카드의 사용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플라스틱 카드의 사용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새로운 결재수단으로 자리잡게 된 플라스틱 카드는 그것과 관련된 수 많은 회사들을 발생시키게 되었고, 소비자들은 많은 회사들이 발행한 카드들을 소지하게 되었다.
플라스틱 카드는 ISO 규격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가로 X 세로의 길이가 85.47 ㎜ X 55.72 ㎜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그 두께는 0.76 ± 0.08 ㎜ 정도를 이루고 있으며, 그 모서리들이 라운드 형태로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이는 제조 및 사용상의 통일성과 보관상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카드의 사용기기들에 적합한 규격을 표준화시킨 것이다.
한편, 소비자들은 이러한 플라스틱 카드를 지갑에 넣어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그 지갑에서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소비자들이 여러 개의 카드를 소지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소지한 지갑에 다수의 카드를 보관하게 되는데, 그 경우 플라스틱 카드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카드들을 세로로 끼워서 보관하게 된다.
소비자들이 지갑에 다수의 카드를 보관한 상태에서, 어떤 특정한 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것은 모든 카드들이 지갑에 세로로 끼워져 있으므로, 가늘고 긴 띠 형상을 가지고 있는 카드들의 측면만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모든 카드들의 측면이 무채색인 흰색으로 관찰되어지는 바, 어느 카드를 선택하여야 할 것인지 잘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설혹, 카드의 측면 색상이 흰색이 아닌 다른 유채색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단일색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들은 어느 카드가 어떤 카드인 것인지를 전혀 알 수 없으므로, 이전의 경험에 의해 여러 개의 카드를 꺼내서 차례대로 살펴보고, 그 카드가 목적대상의 카드가 아닐 경우 다시 원래대로 끼워넣고, 다시 다른 카드를 선택하여 꺼내고, 다시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은 신속한 판단과 신속한 행동을 요구하는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적합하지 않고, 카드의 사용시에도 결코 기분좋은 현상은 아니므로, 결코 바람직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다수의 카드를 지갑에 가지고 있는 경우에, 다른 카드와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카드가 여태까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드 사용자들은 위와 같이 번거롭게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서 그 카드를 선정하여 꺼내 사용하거나, 그 카드를 특별히 기억하고 있어야만 그 카드를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118379호 "보석 또는 귀금속바를 내장한 접촉식 전자카드 및 그 제조방법";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105696호 "도금장식된 플라스틱 카드" ;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11093호 "자개편을 이용한 플라스틱 카드" ;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408호 "시트스톡 및 카드의 형성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플라스틱 카드를 통상의 지갑에 다수 끼워 넣어둔 상태에서도, 그 카드의 일측 단면만을 보고서도 다른 카드와 쉽게 식별할 수 있어서, 누구나 그 카드를 쉽게 선택하여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카드의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중심 플라스틱층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전면을 보여주게 되는 상부 인쇄층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요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후면을 보여주게 되는 하부 인쇄층과, 상기 상부 인쇄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쇄층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상부 오버레이층과, 상기 하부 인쇄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인쇄층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하부 오버레이층으로 구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색상구별 구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의 색상의 배치방법은 서로 다른 유채색과 유채색을 배치하거나, 서로 유채색과 무채색을 서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은 2 이상의 색상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측면에 인쇄하거나,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띠를 그곳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거나,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을 그곳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 조각은 그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 조각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교호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플라스틱 파편 조각들을 서로 맞대어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은 지갑 내에서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카드들 중에서 그 측면에 나타난 색상 내지 색상의 조합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쉽게 다른 카드와 구별하여 꺼내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은 다수의 카드를 동일한 위치에 삽입할 경우에도, 다른 카드와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각 카드별로 서로 다른 별도의 식별표지를 표시하여 사용할 필요도 전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색상 플라스틱 카드(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색상구별 구역(1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색상구별 구역(1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색상구별 구역(110)의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그 본질적인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저하시키지 않으며, 소비자 내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창작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를 기본적으로 다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카드의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중심 플라스틱층(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은 플라스틱 카드의 형상을 유지하고 다른 보조적인 구성요소들이 부착되거나 결합되어 원만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은 가공의 편의성과 보관 및 사용시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피브이씨(PVC)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지고, 그 두께는 대략 0.35 ± 0.05 밀리미터 내외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전면을 보여주게 되는 상부 인쇄층(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상부 인쇄층(20)은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플라스틱 카드의 상부 표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의 상부 인쇄층(20)은 얇은 박막의 필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대체적으로 인쇄를 행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제공하게 된다. 인쇄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상부 인쇄층(20)은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에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열접착되어지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상부 인쇄층(20)은 인쇄 및 가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박막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지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투명한 시트 위에 인쇄를 행하며, 그 두께는 대략 0.15 ± 0.05 밀리미터 내외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후면을 보여주게 되는 하부 인쇄층(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하부 인쇄층(30)은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플라스틱 카드의 하부 표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의 하부 인쇄층(30)은 역시 얇은 박막의 필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대체적으로 인쇄를 행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제공하게 된다. 역시 인쇄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하부 인쇄층(30)은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에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열접착되어지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하부 인쇄층(30)은 역시 인쇄 및 가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박막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지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투명한 시트 위에 인쇄를 행하며, 그 두께는 0.15 ± 0.05 밀리미터 내외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인쇄층(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쇄층(2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상부 오버레이층(40)과, 상기 하부 인쇄층(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인쇄층(3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하부 오버레이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상부 오버레이층(40)은 매우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그 아래에 존재하는 상부 인쇄층(20)의 표면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외부의 긁힘이나 자극에서 보호하는 한편,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게 그 형상이나 모양에 관한 사항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역시, 상기의 하부 오버레이층(50)은 매우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하부 인쇄층(30)의 표면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외부의 긁힘이나 자극에서 보호하고,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게 그 형상이나 모양에 관한 사항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상기의 상부 오버레이층(4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카드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적어도 일측면에 별도의 색상구별 구역(11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색상 플라스틱 카드(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 또는 소비자들이 다수의 플라스틱 카드를 지갑에 넣을 때, 그 두께가 얇은 카드를 세로로 끼워넣게 되므로, 그 카드는 그 전면이나 그 후면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 대신 그 카드의 측면이 드러나게 되는데, 그러한 측면에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형성하게 되면, 그 카드를 다른 카드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일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모든 측면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일측면에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양 측면에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2 이상의 색상"이라 함은 육안에 의해서 서로 다른 색상인 것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색채학상의 색채의 구별이나, 미세한 정밀기기(예컨대, 현미경)에 의한 색채의 구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 또는 일반 소비자가 자신의 지갑에서 그 카드를 꺼내게 될 때, 서로 다른 색상에 의해 서로 다른 카드로 인식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상기의 "2 이상의 색상"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색상을 포함한 것이므로,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도, 역시 2 이상의 색상에 해당함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자 또는 일반 소비자는 그 카드를 다른 카드와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형상이나 모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색상의 배치는 예컨대, 서로 다른 유채색과 유채색을 배치할 수 있고, 유채색과 무채색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배치 방법은 2 이상의 색상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인쇄하거나,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띠를 그곳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거나,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을 그곳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인쇄할 경우에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쉽게 지워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 인쇄를 사용하여 인쇄된 부분을 코팅 처리하거나 경화 처리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상기의 인쇄방식을 수행하는 범주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색상 층을 가진 띠의 부착방식은 별도의 띠(밴드)를 선정하고, 그 띠(밴드)의 표면에 2 이상의 색상을 인쇄하거나 2 이상의 색상을 형성한 다음, 그 띠(밴드)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부착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플라스틱 파편의 조립방식은 별도로 각각 다른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여 각각 다른 색상의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만들고, 그 다른 색상의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의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은 각각 다른 안료들을 합성수지 원료와 혼련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단순히 인쇄된 색상에 비하여 훨씬 뛰어난 색상 및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파편의 조립방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은 그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고, 그 형상 자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의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동일하게 작은 사각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도 5에서는 상기의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2a)(12b)(12c) (12d)(12e)(12f)을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되 작은 하트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 (11e)(11f)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하였지만, 도 3,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돌기부(18)를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색상구별 구역(110)을 인쇄방식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다수의 색상으로 구성된 형상 또는 모양으로 직접 인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색상구별 구역(110)을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띠(밴드)를 그곳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띠 또는 밴드를 선택하고, 그곳에 다수의 색상을 인쇄하거나 다수의 색상을 형성한 다음, 그 띠 또는 밴드를 상기의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부착시키거나 결합시키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색상구별 구역(110)을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12a)(12b)(12c)(12d)(12e)(12f)로 형성할 경우에는,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별도의 플라스틱 파편을 만들고, 그 플라스틱 파편들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조립하여 결합시켜 놓고, 상기의 상부 인쇄층(20)과 상기의 하부 인쇄층(30) 및/또는 상기의 상부 오버레이층(40)과 상기의 하부 오버레이층(50)을 통상의 방식으로 가열 압착시키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시키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중심 플라스틱층, 11, 12 :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
18 : 플라스틱 돌기부, 20 : 상부 인쇄층,
30 : 하부 인쇄층, 40 : 상부 오버레이층,
50 : 하부 오버레이층, 110 : 색상구별 구역

Claims (8)

  1. 플라스틱 카드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카드의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중심 플라스틱층(10)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전면을 보여주게 되는 상부 인쇄층(20)과,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요한 형상이나 모양을 인쇄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후면을 보여주게 되는 하부 인쇄층(30)과, 상기 상부 인쇄층(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쇄층(2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상부 오버레이층(40)과, 상기 하부 인쇄층(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인쇄층(30)에 인쇄된 형상이나 모양을 보호하는 하부 오버레이층(50)으로 구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색상구별 구역(11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거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모든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의 "2 이상의 색상"이라 함은 육안에 의해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의 배열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은 2 이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색상의 배치는 서로 다른 유채색과 유채색을 배치하는 것과, 유채색과 무채색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배치 방법은 2 이상의 색상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인쇄하는 방법과,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띠를 그곳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는 방법과, 2 이상의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을 그곳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배치 방법은 별도로 각각 다른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여 각각 다른 색상의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만들고, 그 다른 색상의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상기 중심 플라스틱층(10)의 측면에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배치 방법은 상기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 파편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배치하거나, 그 형상 자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구별 구역(110)의 배치 방법은 상기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을 서로 맞대어 배치하거나, 상기 색상 플라스틱 파편들(11a)(11b)(11c)(11d)(11e)(11f)의 사이에 중심 플라스틱층(10)의 돌기부(18)를 위치시키고 이들을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100).


KR1020120092356A 2012-08-23 2012-08-23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KR10124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56A KR101245718B1 (ko) 2012-08-23 2012-08-23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56A KR101245718B1 (ko) 2012-08-23 2012-08-23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718B1 true KR101245718B1 (ko) 2013-03-25

Family

ID=4818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56A KR101245718B1 (ko) 2012-08-23 2012-08-23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08B1 (ko) 1990-09-20 1999-06-15 토마스 에스 칼슨 시트스톡 및 카드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08B1 (ko) 1990-09-20 1999-06-15 토마스 에스 칼슨 시트스톡 및 카드의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743B2 (en) Di capacitive embedded metal card
EP3698280B1 (en) Metal, ceramic, or ceramic-coated transaction card with window or window pattern and optional backlighting
US11669708B2 (en) Metal, ceramic, or ceramic-coated transaction card with window or window pattern and optional backlighting
KR101436012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고품격 금속 카드
US20210221092A1 (en) Identification card
EP3560697A1 (en) Polyester canvas card
KR20150118908A (ko) 신분증카드의 제조방법
CN111340170A (zh) 智能卡及其制造方法
US10607130B2 (en) Two piece transaction card having fabric inlay
KR101245718B1 (ko) 지갑 내에서 식별이 용이한 플라스틱 카드
US5611160A (en) Stackable ribbons for identification badges and kit therefor
CN208506792U (zh) 一种识别卡
CN211427378U (zh) 智能卡
CN109657772A (zh) 镜面卡及其制造方法
CN210123564U (zh) 识别卡
US20220335410A1 (en) Payment Card with Phosphorescent Material
KR20120127925A (ko) 보석느낌 금속박막 플라스틱카드
JP5334300B2 (ja) バッジ
JP2018144347A (ja) 積層カード
KR20120127919A (ko) 가죽느낌 금속박막 플라스틱카드
KR20120088093A (ko) 장식 플레이트가 내장된 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5502A (ko) 플라스틱 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4981A (ko) 스마트 다이어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