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40B1 -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40B1
KR101245240B1 KR1020110018844A KR20110018844A KR101245240B1 KR 101245240 B1 KR101245240 B1 KR 101245240B1 KR 1020110018844 A KR1020110018844 A KR 1020110018844A KR 20110018844 A KR20110018844 A KR 20110018844A KR 101245240 B1 KR101245240 B1 KR 10124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polarity
control
control permanen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145A (ko
Inventor
김상민
양진우
이종희
Original Assignee
김상민
이종희
양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이종희, 양진우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11001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부 ;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 제어용 영구자석,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따라 감기는 극성 변화용 코일, 제어용 영구자석 및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선상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향하여 고정마련되는 구동용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이 변화되며,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용 영구자석이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으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을 받아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밸브 ;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VALVE USING SOLAR ENERGY}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는 밸브 스템이 밸브 시트와 접촉하면서 유로를 차단하거나 밸브 스템이 밸브 시트와 이격되면서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 스템이 밸브 시트와 접촉하거나 이격되기 위하여는 밸브 스템이 밸브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밸브 스템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밸브 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회전되는 수동형 핸들을 이용하거나, 전기, 유압, 공압 등에 의하여 밸브 스템이 구동되는 자동형 밸브 등이 이용되고 있다.
수동형 핸들을 이용한 밸브의 경우 그 개폐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신속함을 요구하는 환경에는 적용할 수 없다.
전기, 유압, 공압 등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형 밸브의 경우 통상 모터 등의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며, 아울러 각각의 밸브마다 전기선, 유압배관, 공압배관 등이 연결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소형 밸브로서 주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전자석과 스프링의 조합으로 유로를 개폐하지만,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한 역방향으로 밸브 스템이 구동하기 위하여는 전자석을 감싼 코일에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과다한 전기 공급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형 밸브의 경우 기본적으로 구동원으로서의 전기선 등이 반드시 필요하며, 아울러 불꽃 내지 발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인화성 환경 등에 사용할 경우 상당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발전에 의하여 축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작동되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와, 제어용 영구자석과 구동용 영구자석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밸브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부 ;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 제어용 영구자석,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따라 감기는 극성 변화용 코일, 제어용 영구자석 및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선상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향하여 고정마련되는 구동용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이 변화되며,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용 영구자석이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으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을 받아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밸브 ;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가 부가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수신된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에 의하여 필요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밸브들을 원격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 포설이 불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와, 제어용 영구자석과 구동용 영구자석간의 극성간의 특성을 이용하여 밸브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극성 변환용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은 매우 짧은 순간에 그치므로 전력 소모가 극히 적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원리상 열이나 불꽃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화성 환경 등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밸브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밸브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2는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념 단면도이다.
본 밸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밸브(100), 콘트롤부(200), 무선통신부(300), 축전부(400), 태양광발전부(500)로 이루어진다.
태양광발전부(500)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축전부(400)는 태양광발전부(500)가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무선통신부(300)는 외부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하여 작동 신호를 수신한다.
콘트롤부(200)는 무선통신부(300)에 수신된 작동 신호에 따라 축전부(400)의 전원을 밸브(10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콘트롤부(200)는 무선통신부(300)에 수신된 작동 신호에 따라 밸브(100)에 전원을 공급하되, 그 작동 신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그 전류의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영구자석들은 반드시 N극과 S극을 가지며, 한 쌍의 영구자석이 근접하여 위치할 경우 같은 자극간에는 척력을 발생시키며 다른 자극간에는 인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코일 내부에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경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에 감싸인 영구자석은 코일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장에 노출된다.
또한 코일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의 세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영구자석은 그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그 극성이 변화되며, 이와 같은 극성 변화 후 인가된 자기장이 제거되도(즉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도) 영구자석의 극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코일 내부에 위치시키고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그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단 영구자석의 극성이 변화되면 그 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기술적 개념하에 그 극성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변화되는 제어용 영구자석과,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어용 영구자석을 따라 감긴 극성 변화용 코일이 제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고정부재(130)에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극성 변화용 코일(120)이 고정 마련되어 있다.
극성 변화용 코일(120)은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측면을 따라 감긴 코일이다.
한편 가이드부재(140)에 이동부재(150)가 마련되며, 이동부재(150)의 상측에는 구동용 영구자석(160)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고정부재(130)에 연결되되, 이동부재(150)가 선상으로(도 3 및 도 4의 경우 상하방향) 왕복 이동가능하게 안내한다.
가이드부재(140)는 고정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연결되거나 혹은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부재(130)에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50)는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동용 영구자석(160)은 이동부재(150)에 고정마련되되, 제어용 영구자석(170)을 향하여 마련된다. 구동용 영구자석(160)의 극성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어용 영구자석(170)을 도 3과 같이 극성 변화시키면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에는 척력이 발생하여 구동용 영구자석(160) 및 이에 고정된 이동부재(150)는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일단 제어용 영구자석(170)이 도 2와 같이 극성이 변화되면 더 이상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필요는 없다.
도 3의 상태에서 이동부재(150)를 상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앞서와 반대 방향의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용 영구자석(170)은 도 4와 같이 극성 변화되며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에는 인력이 발생하여 구동용 영구자석(160) 및 이에 고정된 이동부재(150)가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일단 제어용 영구자석(170)이 도 4와 같이 극성이 변화되면 더 이상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극성 변화와,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의 극성간 특성에 의하여 이동부재(15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극성간 특성에 의하여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은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인가한 전류를 제거하여도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선상으로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150)는 밸브에서 밸브 스템으로 이용되거나 밸브 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밸브(100)는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밸브 시트면(111)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밸브 시트면(111)과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 스템(112)이 마련된다.
아울러 밸브(100)의 상부에는 실린더 형태의 유체실(114)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실(114)은 오리피스(114a)에 의하여 밸브의 유로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유체실(114)에는 유체가 채워지게 된다.
또한 밸브(10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130)가 마련되며, 고정부재(130)에는 극성 변화용 코일(120)과 제어용 영구자석(170)이 고정 마련되어 있다.
밸브 스템(112)의 상부에는 구동용 영구자석(160)이 마련되며, 또한 밸브 스템(112)의 중간부에는 유체실(11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113)이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113)에는 피스톤(113)의 양면을 연통시키는 충격방지홀(113a)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유체(113a)는 충격방지홀(113a)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충격방지홀(113a)은 피스톤(113)의 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있는 홈 형태이다.
또한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하부, 즉 구동용 영구자석(160)을 향한 면에 보호판(115)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판(115)은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하면은 물론이며 극성 변환용 코일(120)의 하면도 보호하고 있다.
보호판(115)은 고무 오링(116)에 지지되며, 고무 오링(116)은 와샤(117)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냅링(118)이 와샤(117)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이다.
도 5의 상태는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밸브 스템(112)이 밸브 시트면(1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체 통로가 개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극성을 변화시키면,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에 척력이 작용되어 밸브 스템(112)은 하부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면(111)과 접촉하면서 유체 통로를 막게 되는 도 6의 상태로 변화된다.
아울러 도 6의 상태에서 다시 극성 변화용 코일(120)에 반대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여 제어용 영구자석(170)의 극성을 변화시키면,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구동용 영구자석(160)간에 인력이 작용되어 밸브 스템(112)은 상부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면(111)과 이격되면서 유체 통로를 개방하게 되는 도 5의 상태로 변화된다.
이때 유체실(11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113)은 밸브 스템(112)이 직상부 또는 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체실(114)이 형성된 밸브(100)는 가이드부재(140)로서 기능하며, 피스톤(113)이 마련된 밸브 스템(112)은 이동부재(150)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113)에 형성된 충격 방지홀(113a)은 유체의 점성에 의하여 피스톤(113)이 급격히 상부로 이동하거나 급격히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 스템(112), 밸브 시트면(111), 구동용 영구자석(160), 제어용 영구자석(170) 등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판(115)은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극성 변화용 코일(120)을 유체로부터 밀봉하여 누전이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동용 영구자석(160)이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직접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극성 변화용 코일에 매우 짧은 순간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매우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을 채택한 밸브 장치의 경우, 특히 전원공급이 태양광발전부와 축전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아울러 작동 신호는 무선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됨으로써 밸브의 제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의 배설이 전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구동용 영구자석(160)과 제어용 영구자석(170)간에 인력이 작용할 때 구동용 영구자석(160)이 제어용 영구자석(170)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각각의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볼트 등)이나 유체의 밀봉을 위한 구체적 수단(가스켓, 오링 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수단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적절히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라 이해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밸브 200 : 콘트롤부
300 : 무선통신부 400 : 축전부
500 : 태양광발전부

Claims (2)

  1.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부 ;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
    제어용 영구자석,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에 자기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따라 감기는 극성 변화용 코일, 제어용 영구자석 및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선상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을 향하여 고정마련되는 구동용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이 변화되며,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용 영구자석이 상기 제어용 영구자석으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을 받아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밸브 ;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가 부가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수신된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극성 변화용 코일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KR1020110018844A 2011-03-03 2011-03-03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KR10124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44A KR101245240B1 (ko) 2011-03-03 2011-03-03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44A KR101245240B1 (ko) 2011-03-03 2011-03-03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45A KR20120100145A (ko) 2012-09-12
KR101245240B1 true KR101245240B1 (ko) 2013-03-19

Family

ID=4710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844A KR101245240B1 (ko) 2011-03-03 2011-03-03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093B (zh) * 2019-12-20 2023-12-22 谷轮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涡旋压缩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9569U (ja) * 1981-12-28 1983-07-06 古川 鷹「あ」 凍結防止用開閉弁
KR200383777Y1 (ko) * 2005-02-17 2005-05-06 김민수 태양 에너지로 구동되는 소변기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9569U (ja) * 1981-12-28 1983-07-06 古川 鷹「あ」 凍結防止用開閉弁
KR200383777Y1 (ko) * 2005-02-17 2005-05-06 김민수 태양 에너지로 구동되는 소변기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45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271B1 (ko) 영구자석의 극성 변화와 극성간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밸브
KR100372252B1 (ko) 자기-래칭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및 제어 회로
US10190699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valve
CA2304330A1 (en) Solenoid valve with permanent magnet
KR101245241B1 (ko) 무선통신용 밸브 장치
WO2012058867A1 (zh) 软碰撞的电磁驱动机构
CN106032852A (zh) 电磁阀
JP2012070466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RU2009144729A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е исполнительные механизмы
RU2011106654A (ru) Контактн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реле
DE602006007004D1 (de) Flüssigkeitsströmungsventil mit einer bistabilen elektromagnetischen steueranordnung
KR101245240B1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밸브 장치
ATE382817T1 (de) Schwenkantrieb, integrierter antrieb und durchflussregelventil
CN109058561B (zh) 电磁阀
CN104854387A (zh) 用于电磁阀的电枢组件
ES2648294T3 (es) Válvula de solenoide miniatura rápida
KR20110003767U (ko)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석작동기 및 이를 사용한 전자석밸브
US6483688B1 (en) Control circuit for solenoid valve assembly
CN102878311A (zh) 一种电磁式双面密封阀
ES1135956U (es) Electroimán provisto de sistema amortiguador de ruido con accionamiento bi-estable
CN207111963U (zh) 一种无接触式磁体水流阀门
CN110486525A (zh) 一种永磁电磁阀
CN106662085B (zh) 线性致动器及用于操作这样的线性致动器的方法
CN104100729A (zh) 一种高速开关电磁阀
KR100927138B1 (ko) 영구자석을 구비한 솔레노이드작동기와 이를 사용한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