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082B1 -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082B1
KR101245082B1 KR1020060051434A KR20060051434A KR101245082B1 KR 101245082 B1 KR101245082 B1 KR 101245082B1 KR 1020060051434 A KR1020060051434 A KR 1020060051434A KR 20060051434 A KR20060051434 A KR 20060051434A KR 101245082 B1 KR101245082 B1 KR 10124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ame
data transmission
receiv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899A (ko
Inventor
이성원
라케쉬 타오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082B1/ko
Priority to US11/505,992 priority patent/US7961749B2/en
Priority to PCT/KR2006/003257 priority patent/WO2007021158A1/en
Publication of KR2007002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전송 채널을 채널 인덱스를 통해 선택하는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시버 및 센더에 데이터 전송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채널을 채널 인덱스 값으로 듀레이션 필드에 설정하고, 상기 채널 인덱스 값에 해당하는 채널로 데이터 전송 채널을 변경하는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채널 변경을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동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히고, RTS 및 CTS 컨트롤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Figure R1020060051434
듀레이션 필드, 컨트롤 필드, 채널 변경, CTS, RTS, 채널 인덱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WICHING IN WLA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S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S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컨트롤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레이션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인덱스를 설정한 듀레이션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레이션 필드 값에 대응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채널 인덱스 값의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한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에서 데이터 수신을 거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채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 채널을 채널 인덱스를 통해 선택하는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 채널 매체 접근 제어는(Multi-channel Media Access Control) 직교 채널들(Orthogonal Channels)에서 동시 전송을 통하여 처리 용량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매체 접근 제어는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을 빠르게 전환하지 못하면 시스템의 처리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매체 접근 제어는 빠른 채널 변경이 가능해야만 한다. 또한, 부가적 컨트롤 프레임을 사용하여 채널 변경을 하게 되면, 기존의 STA(Station)에서 호환성을 갖지 못해 네트워크 할당 벡터 (NAV: 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제대로 갱신하지 못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인 변경 또한 큰 부담이 된다.
한편, 802.11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의 컨트롤 프레임으로는 송신 요구(RTS: Request-to-Send) 프레임 및 송신 가능(CTS: Clear-to-Send) 프레임이 대표적이다. 채널 변경은 이 컨트롤 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할 경우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컨트롤 프레임 포맷(control frame format)에는 명시적으로 목적지 채널을 시그널링할 공간이 남아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채널을 지원하는 무선랜에서 데이터 전송 채널을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으로 설정 가능하게 할 경우,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좋아지고, 빠른 데이터 전송 채널을 변경이 가능하며, 기존의 STA 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RTS 및 CTS 프레임의 듀레이션 필드에 채널 인덱스를 설정하는 채널 변경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무선랜에서 송신기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인덱스를듀레이션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무선랜에서 수신기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채널 인덱스를 포함하는 송신 요청(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채널 변경 여부를 송신 가능 (CTS:Clear-to-Send) 프레임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무선 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송신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인덱스를 듀레이션 필드에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채널 인덱스를 포함하는 송신 요청(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채널 변경 여부를 송신 가능 (CTS:Clear-to-Send) 프레임에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TS프레임 및 CTS프레임>
이하, 도 1A 및 도1B 를 참조하여, RTS프레임 및 CTS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한다. 기존의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에는 명시적으로 채널 변경을 위한 공간이 남아 있지 않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 변경을 위한 공간을 기존의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의 듀레이션 필드에 채널 인덱스를 설정하여 상기 채널 인덱스에 의해서 지시되는 목적지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은 컨트롤 프레임의 대표적 예로 이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채널 변경이 가능할 경우 신속하게 채널 변경을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S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S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RTS 프레임에서 프레임 컨트롤 필드(Frame Control Field)(110) 및 듀레이션 필드(Duration Field)(120)를 이용하여 변경된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 록 한다. 이는 채널 변경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기존의 STA에서도 하드웨어의 교체 없이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 컨트롤 필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 컨트롤 필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컨트롤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컨트롤 필드(110)에서 (To DS, From DS)(200)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때 경우, (To DS, From DS) = (1,1,)은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STA와 AP (Access Point)의 전송과는 달리 WDS의 경우는 전송할 데이터가 여러개의 센더(sender)와 리시버(receiver) 쌍에서 발생할 수 있어 멀티 채널을 사용하여 동시전송을 하면 네트워크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컨트롤 프레임의 전송에서 (To DS, From DS) = (0, 0) 만을 이용하고 있다. 사용되지 않고 있는 (To DS, From DS) = (0, 0), (0, 1), (1, 0) 중 하나를 이용하면 해당 컨트롤 프레임이 현재 채널과 다른 채널로 WD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변경에 관련된 정보를 듀레이션 필드에 내재하고 있음을 명시할 수 있다. 여기서 (To DS, From DS)는 WDS 에서 채널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 컨트롤 필드의 다른 비트(또는 비트들)로 대체될 수 있다.
< 듀레이션 필드>
삭제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듀레이션 필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레이션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듀레이션 필드(120)에서 채널 인덱스(320)를 설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듀레이션 필드(120)는 16비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듀레이션 필드(120) 중 4비트를 채널 인덱스(320) 값으로 설정한다. 현재 무선랜은 16개 이하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므로, 4비트로 16개의 채널이 표현 가능하다. 따라서 이 4비트의 채널 인덱스(320) 값을 설정함을 통해 원하는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기능을 위한 듀레이션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15:0]은 기존의 듀레이션 필드(120)의 16비트 값이며 이중 하위 15비트값이 실제 듀레이션 값을 표시하고 있고 최상위 1비트는 ID 를 표시한다. d*[15:0]은 채널 변경기능을 추가한 새로운 듀레이션 필드(120) 값이다. d*의 최상위 비트 값은 d의 최상위 비트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d*[14](300)는 15번째 비트로 d[14]를 그대로 유지하고 오버플로우에 대한 세이프 가드 기능을 한다. d*[13:4](310)는 "d[13:4] + (d[3] ∥ d[2] ∥ d[1] ∥ d[0]" 의 값으로 갱신한다. 본 발명은 듀레이션 필드(120) 값이 기존의 값보다 줄어 들어 주위 무선랜 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d[3] ∥ d[2] ∥ d[1] ∥ d[0]" 값을 더하여 새로운 듀레이션 필드(120)를 설정한다. 여기서 ∥는 bit-wise OR 연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d[13:0] 중 d*[3:0]을 채널 인덱스(320)로 설정한다. 채널 인덱스(320) 값은 2진수 4비트 값으로 표현되므로 모두 16개중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무선랜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채널을 선택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레이션 필드 값에 대응하는 시간을 계산 하는 도면이다. 기존의 듀레이션 필드(120) 값은 도면부호 500에서 "111100"의 비트 값을 가진다고 할 때, 이를 시간으로 계산하면 "25 + 24 + 23 + 22 = 60" 이므로, 기존의 듀레이션 필드(120)는 60 마이크로 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3번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하려면 채널 인덱스(320)는 "0011"로 표현한다. 그리고 이를 새로워진 듀레이션 필드(120)의 d*[3:0]에 표시한다. 그리고 기존의 듀레이션 필드(120) 값이 지시하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기 위해 "d[3] ∥ d[2] ∥ d[1] ∥ d[0]" 값을 새로워진 듀레이션 필드(120)의 d*[14:4]에 합한다. 새로워진 듀레이션 필드(120) 값은 도면부호 510에서 "1000011"의 비트 값을 가진다. 이를 시간으로 계산하면 "26 + 22 + 21 = 67"이므로 새로워진 듀레이션 필드(120)는 67 마이크로 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인덱스 값에 따른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0번 채널은 채널 인덱스(320) 값 "0000"으로 나타내며 공통 채널을 나타낸다. 공통 채널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무선랜 장치가 공유하는 하나의 채널로 멀티 채널 동작을 위한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의 전송이 이 채널에서 이루어진다. 1번 채널에서 i번째 채널은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 물리적 채널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 가능한 채널이 i개 라면, i+1 부터 15번째 채널은 추후 사용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남겨 둔다. 만약 사용하지 않는 채널이 채널 인덱스 값으로 사용되면 공통 채널을 지정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채널 변경 및 변경된 채널에서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최초, 센더는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리시버로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리시버는 센더로 CTS(Clear-to-Send)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 후 데이터 전송이 결정되면, 선택된 채널에서 센더로부터 리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며, 리시버로부터 센더로 ACK(Acknowledge Character)가 전송된다.
도면부호(700)은 리시버에서 데이터 수신을 거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리시버가 CTS 프레임을 전송할 때 (To DS, From DS) = (0, 0)으로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센더가 (To DS, From DS) = (0, 0)으로 설정된 CTS 프레임을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은 취소된다. 데이터 전송이 취소된 경우 일반적인 무선랜 MAC의 재전송 과정을 따른다.
도면부호(710)은 1번 물리적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이는 센더의 RTS 프레임의 채널 인덱스(320) 값을 "0001"로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부호(720)은 같은 방법으로 2번 물리적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며, 도면부호(730)은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인 공통 채널(채널0)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도면부호(740)은 (To DS, From DS) = (0, 0) 일 경우 공통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To DS, From DS) = (0, 0)은 채널을 변경하지 않으므로 공통 채 널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센더나 리시버 이외에 RTS나 CTS프레임을 수신한 무선랜 장치의 동작은 일반적인 무선랜 MAC의 동작을 그대로 따른다.
<리시버에서 데이터 수신 거부 방법>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리시버에서 데이터 수신을 거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에서 데이터 수신을 거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800단계에서 센더는 송신할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810단계에서 센더는 RTS 프레임에서 목적지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인덱스를 설정함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을 선택한다. 이는 채널 인덱스 값을 데이터 전송 채널로 RTS에 기록함으로써 가능하다. 815 단계에서 센더는 (To DS, From DS) 값을 (0,0)과 다른 값으로 설정한다. 820단계에서 센더는 RTS 프레임을 리시버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830단계에서 리시버는 데이터 수신 거부를 원할 경우 (To DS, From DS) = (0, 0)으로 설정한다. 840단계에서 리시버는 이 CTS 프레임을 센더로 송신한다.
850단계에서 센더가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임을 확인하면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따라서 데이터 전송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리시버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혼잡 제어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채널을 변경하여 데이터 전송하는 방법>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채널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 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900단계에서 센더는 송신할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910단계에서 센더는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을 채널 인덱스(320) 값으로 RTS 프레임에 설정한다. 920단계에서 센더는 RTS 프레임을 리시버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930단계에서 리시버는 (To DS, From DS) != (0, 0)으로 CTS프레임에 설정한다. 940단계에서 리시버는 CTS 프레임을 센더로 송신한다. 이 경우, 센더는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 이 아니기 때문에 채널의 변경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950단계에서 센더는 채널 인덱스(320) 값의 채널에서 데이터를 리시버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960단계에서 리시버는 채널 인덱스(320) 값이 지시하는 채널에서 ACK를 센더로 송신한다.
<공통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방법>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공통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채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공통 채널에서의 전송은 채널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무선랜의 RTS프레임과 CTS 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1000단계에서 센더는 송신할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1010단계에서 센더는 공통채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To DS, From DS)를 (0,0)과 다르게 RTS 프레임에 설정한다. 1020단계에서 센더는 RTS 프레임을 리시버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 하여, 1030단계에서 리시버는 CTS를 센더로 송신한다.
1040단계에서 센더는 공통 채널에서 데이터를 리시버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1050단계에서 리시버는 공통채널(Common Channel)에서 ACK를 센더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이며,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듀레이션 필드에 채널 인덱스를 설정하는 채널 변경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채널 변경을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데이터 전송 채널을 변경이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무선랜 장치에서도 인식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무선랜에서 송신기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인덱스를듀레이션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송신 가능(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이 아닐 경우,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ACK(Acknowledge Character)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 일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상기 RTS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10. 무선랜에서 수신기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채널 인덱스를 포함하는 송신 요청(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채널 변경 여부를 송신 가능 (CTS:Clear-to-Send) 프레임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RTS 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을 (0,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에게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ACK(Acknowledge Character)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데이터 수신을 거부할 경우, 상기 CTS 프레임에서 (To DS, From DS) 값을 (0, 0)으로 설정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수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14. 무선 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송신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인덱스를 듀레이션 필드에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송신 가능(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가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이 아닐 경우,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에서 ACK(Acknowledge Character)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이 (0, 0) 일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상기 RTS를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기로부터 송신 가능(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RTS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비트 또는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의 지시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부가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상기 데이터 송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TS 프레임은 프레임 제어 필드와, 상기 듀레이션 필드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9.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채널 인덱스를 포함하는 송신 요청(RTS: Request-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채널 변경 여부를 송신 가능 (CTS:Clear-to-Send) 프레임에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수신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RTS 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CTS 프레임의 (To DS, From DS) 값을 (0,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기에게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서 ACK(Acknowledge Character)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2. 삭제
  23. 삭제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송신 가능(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비트 또는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의 지시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채널 인덱스가 지시하는 상기 데이터 송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2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TS 프레임은 프레임 제어 필드와, 상기 듀레이션 필드 및 목적지 주소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시그널링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수신기가 데이터 수신을 거부할 경우, 상기 CTS 프레임에서 (To DS, From DS) 값을 (0, 0)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20060051434A 2005-08-18 2006-06-08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10124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34A KR101245082B1 (ko) 2005-08-18 2006-06-08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US11/505,992 US7961749B2 (en) 2005-08-18 2006-08-18 Signaling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witch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CT/KR2006/003257 WO2007021158A1 (en) 2005-08-18 2006-08-18 Signaling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witch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911805P 2005-08-18 2005-08-18
US60/709,118 2005-08-18
KR1020060051434A KR101245082B1 (ko) 2005-08-18 2006-06-08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899A KR20070021899A (ko) 2007-02-23
KR101245082B1 true KR101245082B1 (ko) 2013-03-18

Family

ID=3775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34A KR101245082B1 (ko) 2005-08-18 2006-06-08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5082B1 (ko)
WO (1) WO2007021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4194B1 (en) 2009-09-02 2015-11-11 Nec Corporation Method for enabling mutli-channel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1053026A2 (ko) 2009-10-28 2011-05-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방법
US10342045B2 (en) 2013-02-05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86374B1 (ko) 2013-02-06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504A1 (en) 2003-06-24 200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ransfer rate using a direct link protocol (DLP) and multiple channel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using a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9697C (en) * 2001-03-02 2007-11-13 At&T Corp.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s for 802.11
EP1616407B1 (en) * 2003-04-09 2008-02-06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Network with subnets being connectable via bridge terminals
US7194271B2 (en) * 2004-04-12 2007-03-20 Lucent Technologies Inc. Allocation of channels to wireless LA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504A1 (en) 2003-06-24 200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ransfer rate using a direct link protocol (DLP) and multiple channel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using a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1158A1 (en) 2007-02-22
KR20070021899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43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EP1859635B1 (en) Efficient wireless transmission opportunity handoff
EP1478137B1 (en) Determination of a packet size in a packet communications system
EP1645088B1 (en) Adaptive use of a transmit opportunity
TW201834473A (zh) 用於無線站的隨機存取請求管理技術
US2004015112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1774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data throughput using a block acknowledgement
JP2009077402A (ja) 無線lanに基づく分散型サービス区分方法および装置
CN11031228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220035419A (ko)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50089045A1 (en) Method of providing priority-based discriminated services in wireless LAN environment
EP4005130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KR101245082B1 (ko) 무선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101243501B1 (ko) 무선랜 메쉬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2306549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61749B2 (en) Signaling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witch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10028235A (ja) 通信制御装置
CN108605337A (zh) 一种传输控制信令的方法及设备
KR100900942B1 (ko) 멀티채널 멀티인터페이스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패킷전송을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14875A (ko) Ack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2114843A (ja)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1084160A1 (en) Adaptation of dynamic grant for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support
KR20060069532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 구비되는 패킷 전송 장치 및 이를이용한 전송 방법
JP2006086604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90065129A (ko)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