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072B1 -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 Google Patents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072B1
KR101245072B1 KR1020110045649A KR20110045649A KR101245072B1 KR 101245072 B1 KR101245072 B1 KR 101245072B1 KR 1020110045649 A KR1020110045649 A KR 1020110045649A KR 20110045649 A KR20110045649 A KR 20110045649A KR 101245072 B1 KR101245072 B1 KR 10124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dobby
opening
heal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438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이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323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50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filed Critical 이준희
Priority to KR102011004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0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6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operated by cam devices other than rotating c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2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for adjusting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비직기의 개구운동장치에서 4장의 바닥지용 종광틀과 4장의 파일사용 종광틀을 개구운동시키는 동시에 파일사용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가 상,하 지바닥사이에서 파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는, 파일직물의 지바닥용 경사를 개구시키는 지바닥용 종광틀과 파일사용 종광틀을 개구시키는 파일용 종광틀을 도비방식 종광틀 개구운동장치와 연결되며,
경사용 빔의 전방에 파일사용 빔을 설치하고, 상기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를 파일사 공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와 가이드 봉과 파일사용 종광틀을 경유시켜 종광틀의 개구에 의해서 상,하 지바닥에 파일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바닥용 종광 4장과 파일사용 종광 4장을 도비방식의 개구운동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하 지바닥의 장력이 균일하고, 지바닥에 형성되는 파일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직립성을 향상시켜주게 되므로 파일직물의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 도비방식의 구성은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양호하고, 마모에 대한 오차를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파일사 공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에 의한 파일사의 속도조절로 파일의 길이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Velvet textile weaving device that use dobby loom}
본 발명은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비직기의 개구운동장치에서 4장의 바닥지용 종광틀과 4장의 파일사용 종광틀을 개구운동시키는 동시에 파일사용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가 상,하 지바닥사이에서 파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파일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벨벳직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파일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들 사이로 위사를 위입하기 위하여 경사를 개구하기 위한 종광 4장과,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4장의 종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 개구용 종광 4장과 파일용 종광 4장을 개구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캠박스에 캠들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캠박스에 설치된 캠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로드가 작동하여 와이와 연결된 종광들을 선택적으로 개구시킨다.
이러한 종광 개구장치를 구성하는 캠의 마모에 의해서 파일용 실의 장력이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원의 출원인이 벨벳직기의 파일용 종광 구동장치가 등록특허 10-0924677호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바닥용 종광 4장을 개구하기 위한 캠장치와 파일사용 종광 4장을 개구하기 위한 개구운동장치로 구성되어 상,하 지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사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벨벳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캠장치와 도비식 개구운동장치가 겸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광틀 개구운동장치를 도비방식으로 구성하여 구조적인 간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켜주고, 지바닥용 종광틀과 파일용 종광틀을 개구시켜 파일직물을 구성하는 상,하 지바닥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파일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파일의 직립성을 향상시켜 품질이 우수한 파일직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는, 파일직물의 지바닥용 경사를 개구시키는 지바닥용 종광틀과 파일사용 종광틀을 개구시키는 파일용 종광틀을 도비방식 종광틀 개구운동장치와 연결되며,
경사용 빔의 전방에 파일사용 빔을 설치하고, 상기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를 파일사 공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와 가이드 봉과 파일사용 종광틀을 경유시켜 종광틀의 개구에 의해서 상,하 지바닥에 파일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의하면, 지바닥용 종광 4장과 파일사용 종광 4장을 도비방식의 개구운동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하 지바닥의 장력이 균일하고, 지바닥에 형성되는 파일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직립성을 향상시켜주게 되므로 파일직물의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 도비방식의 구성은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양호하고, 마모에 대한 오차를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파일사 공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에 의한 파일사의 속도조절로 파일의 길이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의 작용을 보인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는,
도비직기(1)에서 종광틀을 개구시키는 개구운동장치(10)에 8장의 종광틀(20)들을 연결하여 상기 종광틀들이 개구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8장의 종광틀(20)들 중에 파일직물의 상,하 지바닥용 경사를 개구시키는 지바닥용 종광틀(20a) 4장과, 지바닥에 파일사를 형성하는 파일사용 종광틀(20b) 4장을 구분하여 개구운동장치(10)에 의해서 개구되게 구성하며,
상기 도비직기(1)에 설치되어 경사를 공급하기 위한 경사용 빔(40)의 전방에 파일사를 공급하기 위한 파일사용 빔(30)이 설치되고, 그 앞쪽에 상기 파일사용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의 공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31)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두 개의 가이드 봉(34)이 설치되며,
상기 속도 제어롤러(31)는 소기어(32)를 설치하여 메인기어(33)와 연결하고, 메인기어에 의해서 소기어(32)와 속도 제어롤러(31)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경사, 51은 파일, 52는 파일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비직기(1)를 작동시켜 파일직물의 지바닥을 상하로 형성하고 상기 지바닥들 사이에 파일을 형성하여 파일직물을 제직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일직물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지바닥용 경사(50)를 개구시키는 지바닥용 종광(20a) 4장은 개구운동장치(10)에 의해서 2개조로 개구되고, 이렇게 개구된 경사들 사이에 위사(도시하지 않음))가 위입되어 상,하 지바닥이 제직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제직을 위한 작용은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 지바닥이 제직되는 과정에서 파일이 형성되는 작용을 살펴 본다.
먼저, 파일을 형성시키는 파일사는 지바닥을 형성시키는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빔(40)의 앞쪽에 설치된 파일사용 빔(30)에서 공급된다.
상기 파일사용 빔(30)에서 공급되는 파일사(52)는 파일사용 종광틀(20b) 4장으로 나누어 공급되는데, 상기 파일사는 속도 제어롤러(31)를 경유하고, 그 상부에는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 봉(34)을 경유하면서 개구운동장치(10)에 의해서 파일사용 종광(20b)이 2개조로 작동하여 파일사를 상,하 지바닥을 구성하는 위사에 걸려서 상,하 지바닥 사이에 파일이 형성된다.
즉, 파일사용 종광틀(20b)에 의해서 상,하 지바닥 사이에 파일이 형성될 때 메인기어(33)와 함께 회전하는 소기어(32)에 의해서 속도 제어롤러(31)가 회전하면서 파일사의 공급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하 지바닥 사이에 파일(51)이 되는 파일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메인기어(33)와 함께 회전하는 소기어(32)의 크기를 달리하게 되면, 회전 속도에 의해서 속도 제어롤러(31)의 회전 속도가 빠르게 또는 느리게 되므로 파일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도비직기 10: 개구운동장치
20: 종광틀 20a: 지바닥용 종광틀
20b: 파일사용 종광틀 30: 경사용 빔
31: 속도 제어롤러 32: 소기어
34: 가이드봉 40: 경사용 빔

Claims (1)

  1. 도비직기의 개구운동장치에 경사를 개구시키는 종광틀을 설치하여 구성된 벨벳직물 제직장치에 있어서,
    도비직기(1)에서 종광틀을 개구시키는 개구운동장치(10)에 파일직물의 상,하 지바닥용 경사를 개구시키는 지바닥용 종광틀(20a) 4장과, 지바닥에 파일사를 형성하는 파일사용 종광틀(20b) 4장을 구분하여 개구되게 연결되며,
    상기 지바닥용 종광틀에 경사를 공급하기 위한 경사용 빔(40)의 전방에는 파일사를 공급하기 위한 파일사용 빔(30)이 설치되고, 그 앞쪽에 상기 파일사용 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의 공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롤러(31)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두 개의 가이드 봉(34)이 설치되며,
    상기 속도 제어롤러는 메인기어(33)에 의해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속도 제어롤러(31)에 소기어(32)를 설치하여 메인기어(33)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KR1020110045649A 2011-05-16 2011-05-16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KR10124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49A KR101245072B1 (ko) 2011-05-16 2011-05-16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49A KR101245072B1 (ko) 2011-05-16 2011-05-16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38A KR20120026438A (ko) 2012-03-19
KR101245072B1 true KR101245072B1 (ko) 2013-03-18

Family

ID=4613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649A KR101245072B1 (ko) 2011-05-16 2011-05-16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0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41Y1 (ko) * 1990-12-03 1992-10-16 박효상 벨벳트 직물 제직용 레피어 직기
JPH0782631A (ja) * 1993-09-09 1995-03-28 Kayano Orimono Kk パイル地の製織装置
KR20080107849A (ko) * 2007-06-08 2008-12-11 김평수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KR100924677B1 (ko) * 2009-08-18 2009-11-02 이준희 벨벳직기의 파일용 종광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41Y1 (ko) * 1990-12-03 1992-10-16 박효상 벨벳트 직물 제직용 레피어 직기
JPH0782631A (ja) * 1993-09-09 1995-03-28 Kayano Orimono Kk パイル地の製織装置
KR20080107849A (ko) * 2007-06-08 2008-12-11 김평수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KR100924677B1 (ko) * 2009-08-18 2009-11-02 이준희 벨벳직기의 파일용 종광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38A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3392B1 (en) Tetraaxial woven fabrics and tetraaxial weaving machine thereof
CA2263202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warp threads for the production of leno fabrics on a textile machine
Gandhi The fundamentals of weaving technology
US20070295423A1 (en) Power Loom, Particularly an Air Jet Power Loom, for the Production of a Leno Fabric with Integral Patterning
CZ200452A3 (cs) Název neuveden
CN1751146B (zh) 用于制造平纹和纱罗组织织物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织机
EP1920094B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leno fabric on a weaving machine
CN107475856B (zh) 一种星雨绉织物的设计及其生产工艺
KR101245072B1 (ko) 도비직기를 이용한 벨벳직물 제직장치
JP4376896B2 (ja) 平織及び絡み織で織物を製織する方法及び方法の実施のための織機
US3910317A (en) Weaving machine for terry cloth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CN110714260A (zh) 一种双剑杆多经轴的绒毯织机
US1665274A (en) Attachement for looms
CN205035557U (zh) 一种天鹅绒布生产装置
JPH03185148A (ja) 織布側縁部のからみ織り装置
KR20110062973A (ko) 파일무늬와 고밀도 파일을 갖는 벨벳직물 제직장치 및 벨벳직물
US9879365B2 (en) Rapier loom
KR100924677B1 (ko) 벨벳직기의 파일용 종광 구동장치
CN106400283B (zh) 用于调整毛巾织机中绒头经纱张力的装置
US2587009A (en) Reciprocating reed for loom lay
RU2181153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CN87103174A (zh) 双梭口双投梭织机和双幅织造
Hamdani Introduction to weaving
US626149A (en) L desmara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722

Effective date: 201404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15

Effective date: 2014121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22

Effective date: 201504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501

Effective date: 201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