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91B1 -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91B1
KR101244891B1 KR1020110051061A KR20110051061A KR101244891B1 KR 101244891 B1 KR101244891 B1 KR 101244891B1 KR 1020110051061 A KR1020110051061 A KR 1020110051061A KR 20110051061 A KR20110051061 A KR 20110051061A KR 101244891 B1 KR101244891 B1 KR 10124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display
barrier
auxiliar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750A (ko
Inventor
박서규
김유진
김영민
양창모
박신현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주)엔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디스 filed Critical (주)엔디스
Priority to KR102011005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착 공정에서 얼라인 불일치 및 착합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을 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가지며 상기 제3면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개재되는 충진층과,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는 보조접합부를 구비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합착 공정에서 얼라인 불일치 및 합착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디스플레이장치는 시청자의 좌안에서 좌안용 이미지만을 인식하도록 하고 시청자의 우안에서 우안용 이미지만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3D 디스플레이장치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입체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여, 시청자가 고글을 이용하지 않고 나안으로도 입체이미지를 느끼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입체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제조공정 중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과정에서 얼라인이 틀어지거나 합착이 정확하고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착 공정에서 얼라인 불일치 및 합착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가지며 상기 제3면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개재되는 충진층과,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는 보조접합부를 구비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조접합부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보조접합부의 외측 단부면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층은 주접합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접합부는 열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이고, 상기 보조접합부는 자외선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진층과 상기 보조접합부는 상호 컨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i)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갖는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ii)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충진물질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iii)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충진물질이 개재되어 충진층이 되도록,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단계와, (iv)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컨택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도록,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와, (v)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이격된 영역들 각각에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상기 충진물질이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충진층을 경화시켜 상기 충진층이 주접합부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진층을 경화시키는 것은 열경화법을 이용하고,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키는 것은 자외선경화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이고, 상기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보조접합부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보조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착 공정에서 얼라인 불일치 및 합착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접합부와 보조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준비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는 상호 대향된 제1면(101)과 제2면(102)을 가지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역시 상호 대향된 제3면(203)과 제4면(204)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가 +z 방향과 -z 방향에 각각 편광판(151, 152)을 가져, 해당 편광판의 외측면이 제1면(101)과 제2면(102)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고,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역시 +z 방향과 -z 방향에 각각 편광판(251, 252)을 가져, 해당 편광판의 외측면이 제3면(203)과 제4면(204)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판(151)의 면적이 제1이미지기판(110)의 +z 방향의 면의 면적보다 좁을 경우, 제1이미지기판(110)의 +z 방향의 면 중 편광판(151) 외측 부분과 편광판(151)의 +z 방향의 면을 포함하는 굴곡진 전면(全面)이 제1면(101)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3면(203)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대향된 제1이미지기판(110)과 제2이미지기판(120)은 이미지기판 접합부(130)에 의해 합착되고, 제1이미지기판(110)과 제2이미지기판(120) 사이에 액정층(140)이 개재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제2이미지기판(120)에는 필요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화소전극 등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이미지기판(110)에도 제2이미지기판(120)을 향한 면 상에 전극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1이미지기판(110)과 제2이미지기판(120) 사이의 셀 갭을 유지하기 위해, 제1이미지기판(110)과 제2이미지기판(120) 사이의 액정층(140) 내에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역시 액정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대향된 제1배리어기판(210)과 제2배리어기판(220)은 배리어기판 접합부(230)에 의해 합착되고, 제1배리어기판(210)과 제2배리어기판(220) 사이에 액정층(240)이 개재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제1배리어기판(210)이나 제2배리어기판(220)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패턴의 전극이나 통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1배리어기판(210)과 제2배리어기판(220) 사이의 셀 갭을 유지하기 위해, 제1배리어기판(210)과 제2배리어기판(220) 사이의 액정층(240) 내에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는, 최종적인 입체디스플레이장치가 입체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사전설정된 영역이 광이 통과할 수 없는 불투명 영역이 되도록 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안용 이미지는 시청자의 좌안에서만 인식되고 우안용 이미지는 시청자의 우안에서만 인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준비한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충진물질(300)을 배치시킨다. 도 2에서는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 상에 충진물질(300)을 배치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충진물질(300)은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토출장치 등을 통해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물질(300)은 예컨대 아크릴계, 에폭시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키고 양자를 얼라인한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 사이에 충진물질(300)이 개재되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충진층(300)이 되도록,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합착한다.
이때,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의 가장자리(101a)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의 가장자리(203a)가 충진물질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도록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 상에 충진물질(300)을 최초 배치시킬 시 배치되는 충진물질(300)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합착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중 충진물질(300)이 배치되지 않는 것 상에 스페이서를 배치시킨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합착할 수 있다. 물론 충진물질(300) 자체가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시킨다. 이 역시 토출기(미도시) 등을 통한 도포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보조접합물질(400)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각각에 컨택하되, 충진층(300) 외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보조접합물질(400)의 일부분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보조접합물질(400)은 예컨대 아크릴계, 에폭시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일 수 있다.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시킨 후, 이 보조접합물질(400)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400)로 만든다. 물론 보조접합물질(400)의 경화에 앞서, 필요하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얼라인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접합물질(400)은 예컨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접합물질(400)을 경화시키는 것은 자외선경화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보조접합물질(400)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측면으로부터 보조접합물질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과하여 보조접합물질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자외선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각 기판 등을 통과하면서 보조접합물질에 도달하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보조접합물질의 효과적인 경화를 위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측면으로부터 보조접합물질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제조하게 되면, 보조접합물질(400)에 의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가 결합되어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충진층(300)이 개재되는바, 바람직한 굴절율을 갖는 충진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시청자가 화질이 우수한 입체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굴절율이라 함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이미지기판(110)의 굴절율이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배리어기판(210)의 굴절율과 같거나 유사한 굴절율일 수 있다.
만일 충진층(300)이 없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공기층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거쳐 시청자에게 도달함에 따라, 광경로 상의 굴절율 변화에 의해 시청자는 화질이 저하된 입체이미지를 볼 수밖에 없다.
입체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입체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사전설정된 영역이 광이 통과할 수 없는 불투명 영역이 되는바, 이에 따라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얼라인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면 광 경로가 크게 굴절되는 등의 문제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불투명 영역에 의해 차단되어야 할 광의 적어도 일부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통과하게 되어, 입체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입체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보조접합부(400)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도 있고,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 단부면(110a)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할 시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킨 후의 보조접합부(400) 역시 일부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통상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소영역이 아닌 부분을 데드스페이스라고 할 수 있는바, 그와 같은 데드스페이스의 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보조접합부(400)를 형성한 후, 보조접합부(4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접합물질을 배치시키고 이를 경화시켜 보조접합부(400)가 되도록 한 후, 충진층(300)을 경화시켜 충진층(300)이 주접합부(30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접합부(300)를 만듦으로써,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합착이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접합부(400)를 형성할 시에는 자외선경화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주접합부(300)를 형성할 시에는 열경화법을 이용할 수 있다. 주접합부(300)를 형성할 시에도 자외선경화법을 이용하려 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자외선을 충진층에 조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편광판(151, 152, 251, 252)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어, 자외선이 충진층에 충분히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열경화법을 이용해 주접합부(3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주접합부(300)를 형성하게 될 충진물질로서 열경화가 가능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시, 다양한 패턴의 히팅부를 갖는 히팅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대략 25℃ 내지 100℃의 열을 인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진층을 경화시켜 주접합부(300)로 만든 후, 보조접합부(4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만들 수 있다. 물론 충진층을 경화시키기에 앞서 보조접합부(4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한 후, 충진층을 경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시킬 시 보조접합물질(400)과 충진층(30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여 보조접합물질(400)과 충진층(300)이 컨택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보조접합물질을 배치시킬 시 보조접합물질과 충진층(30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상호 컨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가 되도록 한 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만들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충진층(300)을 경화시켜 주접합부(30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주접합부(300)와 보조접합부(400)는 컨택하게 되는바, 경계가 없을 수도 있고 경계가 있을 수도 있다. 경계가 없을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주접합부(300)와 보조접합부(400)가 되는 물질이 상이할 시에는, 적외선 분석법이나 원소분석법 등을 통해 상이한 물질로 주접합부(300)와 보조접합부(400)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접합부(400)를 형성한 후 보조접합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보조접합부(4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보조접합부(400)를 모두 제거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물론 충진층(300)을 경화시켜 주접합부(300)로 만든 후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의 경우, 보조접합부(400)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격된 영역들 각각에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고, 이를 경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이격된 영역들 각각에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하고, 이를 경화시켜 보조접합부(400)를 형성한 후, 보조접합부(4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한 결과물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조접합부(400) 형성에 사용되는 보조접합물질의 양을 줄여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층을 경화시켜 주접합부로 만듦으로써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합착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의 경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를 합착할 시,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가장자리(101a)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가장자리(203a)가 노출되도록 충진물질(300)을 개재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의 경우, 이와 달리 충진물질(300)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을 모두 채워, 충진물질(300)의 단부면이 제1이미지기판(110)의 단부면이나 제1배리어기판(210)의 단부면과 일치하거나, 충진물질(300)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시킬 시 보조접합물질(400)이 제1이미지기판(110)의 단부면과, 제1배리어기판(210)의 단부면과, 충진물질(300)의 단부면과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접합부(400)가 되는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시킬 시, 복수개의 이격된 영역들 각각에 보조접합물질(400)을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보조접합물질(400)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400)가 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충진물질(300)을 경화시켜 주접합부(30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물질(300)을 경화시켜 주접합부(300)가 되도록 할 경우에는, 그 후 필요에 따라 보조접합부(400)를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충진층(300) 및 보조접합부(400)를 구비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상호 대향된 제1면(101)과 제2면(102)을 갖는다.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는 상호 대향된 제3면(203)과 제4면(204)을 가지며, 제3면(203)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그 외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를 참조할 수 있다.
충진층(300)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개재되되,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면(101)의 가장자리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3면(203)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개재된다. 보조접합부(40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개재되되, 충진층(300)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충진층(300)이 개재되는바, 바람직한 굴절율을 갖는 충진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시청자가 화질이 우수한 입체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굴절율이라 함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제1이미지기판(110)의 굴절율이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배리어기판(210)의 굴절율과 같거나 유사한 굴절율일 수 있다.
만일 충진층(300)이 없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공기층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거쳐 시청자에게 도달함에 따라, 광경로 상의 굴절율 변화에 의해 시청자는 화질이 저하된 입체이미지를 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접합부(400)의 외측 단부면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단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보조접합부(400)의 외측 단부면과,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면(110a)과,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단부면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충진층(300)은 주접합부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와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합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접합부(300)는 열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이고, 보조접합부(400)는 자외선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00)나 배리어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할 수 있는 편광판에 의해 주접합부(300)에까지 자외선이 이를 수 없기 때문이며, 보조접합부(400)는 이와 달리 외측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조접합부(400)는 예컨대 245nm 내지 400nm 파장의 자외선으로부터 50mJ/cm2 내지 1,000mJ/cm2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진층(300)과 보조접합부(400)는 상호 컨택할 수 있다. 물론 충진층(300)은 주접합부(300)일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디스플레이장치들에 있어서, 보조접합부(4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미지 디스플레이부 110: 제1이미지기판
120: 제2이미지기판 130: 이미지기판 접합부
140: 액정층 151, 152: 편광판
200: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210: 제1배리어기판
220: 제2배리어기판 230: 배리어기판 접합부
240: 액정층 251, 252: 편광판
300: 충진층, 주접합부 400: 보조접합부

Claims (13)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가지며, 상기 제3면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개재되는 충진층; 및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접합부;
    를 구비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합부의 외측 단부면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은 주접합부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합부는 열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이고, 상기 보조접합부는 자외선경화성 물질로 형성되어 경화된 것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과 상기 보조접합부는 상호 컨택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7.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갖는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충진물질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충진물질이 개재되어 충진층이 되도록,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컨택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이격된 영역들 각각에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상기 충진물질이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인,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충진층을 경화시켜 상기 충진층이 주접합부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을 경화시키는 것은 열경화법을 이용하고,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키는 것은 자외선경화법을 이용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12. 상호 대향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대향된 제3면과 제4면을 갖는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충진물질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충진물질이 개재되어 충진층이 되도록,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를 합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리어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컨택하되, 상기 충진층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경화시켜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접합부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13.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보조접합물질을 배치하는 단계이고,
    상기 보조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보조접합부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KR1020110051061A 2011-05-30 2011-05-30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KR10124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61A KR101244891B1 (ko) 2011-05-30 2011-05-30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61A KR101244891B1 (ko) 2011-05-30 2011-05-30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50A KR20120132750A (ko) 2012-12-10
KR101244891B1 true KR101244891B1 (ko) 2013-03-18

Family

ID=4751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061A KR101244891B1 (ko) 2011-05-30 2011-05-30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596B1 (ko) * 2017-12-26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650A (ko) * 2007-11-27 2009-06-01 (주)엔디스 배리어엘시디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이미지표시패널과 배리어엘시디패널 합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650A (ko) * 2007-11-27 2009-06-01 (주)엔디스 배리어엘시디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이미지표시패널과 배리어엘시디패널 합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50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16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5812A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8258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88761B2 (ja) 表示装置
WO2017008433A1 (zh) 表面起浮型液晶柱状透镜阵列装置、制造方法及显示装置
CN104977772A (zh) 表面起浮型液晶柱状透镜阵列装置、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101595659B1 (ko)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11212A (ja) 液晶表示装置
JP201552041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ためのスイッチング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8008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GB2579947A (en) Flexible liquid crystal cells and lenses
JP4215634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75328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cell-aligning packaging method of the same
JP496241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81143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244891B1 (ko) 입체디스플레이장치 및 입체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TWI292065B (en) Display device produc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producing device
CN107615141B (zh) 显示面板的制造方法
TWI502222B (zh) 可切換透鏡單元及其製造方法及包含其的可切換式平面立體顯示器
JP200703398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075693B2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三次元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699686B2 (ja) 立体画像表示用柱状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896546B1 (ko) 입체 영상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19488A (ko)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조 방법
JP3553475B2 (ja) 画像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基板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