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507B1 -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 Google Patents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507B1
KR101244507B1 KR1020110076921A KR20110076921A KR101244507B1 KR 101244507 B1 KR101244507 B1 KR 101244507B1 KR 1020110076921 A KR1020110076921 A KR 1020110076921A KR 20110076921 A KR20110076921 A KR 20110076921A KR 101244507 B1 KR101244507 B1 KR 10124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plate
area flow
tur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093A (ko
Inventor
김성진
정자훈
이상현
차정은
황정태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5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질기 몸체와; 상기 개질기 몸체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배플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입구 영역 유로판 및 리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배플의 선단을 중심으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에서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된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 사이에서 유로 방향이 상기 배플의 하부 근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동 정체를 방지하는 정체 방지 유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연료가 어느 한곳에서 정체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흐름으로써, 촉매에 의한 연료의 개질 반응시 국부적으로 과열(이 때, 개질 반응은 흡열 반응임)되어 촉매가 파손되는 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스택에서 발생된 열이 균일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스택 온도 제어에 유리하다.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INDIRECT INTERNAL REFORMER FOR 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핫 스팟(hot spot)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 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 전지,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 고체산화물형 연료 전지, 고분자 전해질형 또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Solid Oxide Fuel Cell, 이하 SOFC 이라 함)는 부하 변화에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지며, 연료 전지 중에서 높은 반응온도(600~1000)에서 작동되므로 효율성이 높으며, 백금과 같은 비싼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낮은 비용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료 전지에서 전기화학 반응을 겪기 전, 메탄, 석탄 가스 등과 같은 탄화수소 연료는 연료 전지의 양극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소를 생성하도록 개질된다.
이를 위해, 연료 전지에는 스택 내부, 즉 셀(cell)과 셀 사이에 간접 내부 개질기를 위치시켜 스택의 일부분으로서 스택과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이 때, 간접 내부 개질기의 개질 반응은 흡열 반응으로서 필요한 열은 셀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스택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미국특허 제6,200,696호에 개시된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라 함)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간접 내부 개질기(10)에는 연료가 입구 영역, 턴 영역, 리턴 영역을 따라 U자형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름진 금속판(20, 40, 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 영역 및 리턴 영역 사이는 배플(baffle, 8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한편, 주름진 금속판(20, 40, 30)의 주름진 부분에는 펠렛형 촉매가 마련되어, 연료가 U자형으로 흐르면서 촉매와 반응하여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에 의해 수소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10)에서는, 연료의 유동이 균일하지 않아서 설계 유속보다 속도가 느린 영역에서는 연료가 촉매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국부적으로 과열(hot spot)되어 촉매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료가 주름진 금속판(20, 40, 30)의 유로를 따라 입구 영역, 턴 영역, 리턴 영역을 따라 U자형으로 흐르는데, 이 때 배플(80)의 하부 영역에서 데드 존(dead zone)이라고 불리는 유동 정체 영역(D)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동 정체 영역(D)은 다른 영역 대비 종방향으로 대략 100도 정도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핫 스팟(hot spot)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에 따라, 개질기 몸체와; 상기 개질기 몸체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배플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입구 영역 유로판 및 리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배플의 선단을 중심으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에서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된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 사이에서 유로 방향이 상기 배플의 하부 근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동 정체를 방지하는 정체 방지 유로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 및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은 서로 반대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턴 영역 유로판은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90도 회전하는 직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턴 영역 유로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직선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 사이에는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90도 회전하여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과 동일한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판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과 두 개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판과 하나의 경계면을 형성하여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 및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은 서로 반대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턴 영역 유로판은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회전하는 곡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턴 영역 유로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직선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 사이에는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회전하여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의 직선 유로와 연결되는 곡선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판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방향이 배플의 하부 근처를 향하는 정체 방지 유로판을 마련하여 종래의 유동 정체 영역으로의 유동을 집중시킴으로써, 유동이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OFC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OFC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OFC용 간접 내부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OFC용 간접 내부 개질기(100)는 크게 개질기 몸체(110)와, 개질기 몸체(110)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배플(baffle, 180)과, 개질기 몸체(110)에 배치되어 연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판(120, 130, 140, 150)으로 구성된다.
개질기 몸체(110)는 상기 복수의 유로판(120, 130, 140, 150)의 유로 방향에 따라 크게 4개의 영역으로 나뉘는데, 배플(180)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입구 영역 및 리턴 영역과, 배플(180)의 선단을 중심으로 입구 영역에서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턴 영역, 턴 영역에서의 유로 방향을 배플(180)의 하부 근처를 향하여 배플(180) 하부 근처의 유동 정체가 방지되는 정체 방지 영역으로 구획된다.
유로판은 입구 영역, 턴 영역, 정체 방지 영역, 리턴 영역에 각각 배치된 입구 영역 유로판(120), 턴 영역 유로판(140), 정체 방지 유로판(150), 리턴 영역 유로판(130)으로 구성되어, 연료가 대략적으로 U자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복수의 유로판(120, 130, 140, 150)들은 주름진 모양의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이 유로판(120, 130, 140, 150)에는 연료가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시 필요한 촉매가 마련된다. 여기서, 촉매는 각 유로판(120, 130, 140, 150)에 펠렛(pellet) 모양으로 연료의 유동을 따라 적정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고, 각 유로판(120, 130, 140, 150)의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입구 영역 유로판(120)은 직선 유로를 형성하여 연료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연료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안내하며, 이 때 연료는 배플(180)에 의해 리턴 영역 유로판(13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턴 영역 유로판(140)은 개질기 몸체(110)의 후방변(103), 입구 영역 유로판(120) 및 정체 방지 유로판(150)과의 각 경계면(B1, B2)에 의해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이 때, 턴 영역 유로판(140)은 입구 영역 유로판(120)과의 경계면(B1)에서 90도 회전하는 직선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입구 영역 유로판(120)으로 안내된 연료는 90도 회전하여 아랫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정체 방지 유로판(150)은 배플(180), 개질기 몸체(110)의 하부변(105), 턴 영역 유로판(140) 및 리턴 영역 유로판(130)과의 각 경계면(B2, B3)에 의해 사각형 모양을 이룬다. 이 때, 정체 방지 유로판(150)의 유로는 턴 영역 유로판(140)으로 이동된 연료가 배플(180)의 하부 근처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윗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리턴 영역 유로판(130)은 입구 영역 유로판(120), 턴 영역 유로판(140) 및 정체 방지 유로판(150)을 통과한 연료를 출력 포트(미도시)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입구 영역 유로판(120)과 서로 반대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한다. 이 때, 리턴 영역 유로판(130)으로 흐르는 연료는 배플(180)에 의해 상부의 입구 영역 유로판(1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간접 내부 개질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간접 내부 개질기(200)에는 턴 영역 유로판(140)과 정체 방지 유로판(250) 사이에 연결 유로판(260)이 더 배치된 점과, 정체 방지 유로판(250)과 리턴 영역 유로판(230)이 두 개의 경계면(B5, B6)을 형성하고 연결 유로판(260)과 하나의 경계면(B4)을 형성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에,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 실시예의 간접 내부 개질기(200)는 개질기 몸체(110)와, 입구 영역 유로판(120), 턴 영역 유로판(140), 연결 유로판(260), 정체 방지 유로판(250), 리턴 영역 유로판(230)으로 구성된다.
연결 유로판(260)은 턴 영역 유로판(140)과 정체 방지 유로판(250)과 각각 경계면(B2, B4)을 형성하여 삼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턴 영역 유로판(140)과의 경계면(B2)에서 90도 회전하여 리턴 영역 유로판(230)과 동일한 방향의 직선 유로를 가진다. 이에, 입구 영역 유로판(120)으로 유입된 연료는 입구 영역 유로판(120)과 턴 영역 유로판(140)의 경계면(B1)에서 90도 회전하여 방향이 전환된 후, 턴 영역 유로판(140)과 연결 유로판(260)의 경계면(B2)에서 다시 90도 회전하여 정체 방지 유로판(250)의 유로 방향을 따라 배플(180)의 하부 근처를 향하여 경사지게 흐르게 된다.
한편, 정체 방지 유로판(250)은 연결 유로판(260)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직선 유로를 형성하여, 연결 유로판(260)을 따라 흐른 연료를 배플(180)의 하부 근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정체 방지 유로판(250)은 리턴 영역 유로판(230)과 두 개의 경계면(B5, B6)을 형성하고 연결 유로판(260)과 하나의 경계면(B4)을 형성하여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간접 내부 개질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의 간접 내부 개질기(300)에서는 턴 영역 유로판(340)과 연결 유로판(360)이 각각 직선 유로가 아닌 곡선 유로를 형성하는 점이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입구 영역 유로판(120)으로 유입된 연료는 입구 영역 유로판(120)의 직선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입구 영역 유로판(120)과 턴 영역 유로판(340)의 경계면(B1)에서 턴 영역 유로판(340)의 곡선 유로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그 후 턴 영역 유로판(340)과 연결 유로판(360)의 경계면(B2)에서 연결 유로판(360)의 곡선 유로를 따라 회전한 후, 정체 방지 유로판(350)의 직선 유로를 따라 배플(180)의 하부 근처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유로 방향이 배플(180)의 하부 근처를 향하는 정체 방지 유로판(150, 250, 350)을 마련하여 종래의 유동 정체 영역(D)으로의 유동을 집중시킴으로써, 유동이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점에 있다.
이에, 연료가 어느 한곳에서 정체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흐름으로써, 촉매에 의한 연료의 개질 반응시 국부적으로 과열(이 때, 개질 반응은 흡열 반응임)되어 촉매가 파손되는 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스택에서 발생된 열이 균일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스택 온도 제어에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턴 영역 유로판과 정체 방지 유로판 사이에 연결 유로판이 마련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와 같이 연결 유로판이 삭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200, 300 : 간접 내부 개질기 110 : 개질기 몸체
120 : 입구 영역 유로판 130, 230 : 리턴 영역 유로판
140, 340 : 턴 영역 유로판 150, 250, 350 : 정체 방지 유로판
180 : 배플 260, 360 : 연결 유로판

Claims (6)

  1. 개질기 몸체와;
    상기 개질기 몸체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배플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입구 영역 유로판 및 리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배플의 선단을 중심으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에서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된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 사이에서 유로 방향이 상기 배플의 하부 근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동 정체를 방지하는 정체 방지 유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 및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은 서로 반대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턴 영역 유로판은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90도 회전하는 직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턴 영역 유로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직선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 사이에는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90도 회전하여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과 동일한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판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과 두 개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판과 하나의 경계면을 형성하여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 및 상기 리턴 영역 유로판은 서로 반대 방향의 직선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턴 영역 유로판은 상기 입구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회전하는 곡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은 상기 턴 영역 유로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직선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 사이에는 상기 턴 영역 유로판과의 경계면에서 회전하여 상기 정체 방지 유로판의 직선 유로와 연결되는 곡선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판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KR1020110076921A 2011-08-02 2011-08-02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KR10124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921A KR101244507B1 (ko) 2011-08-02 2011-08-02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921A KR101244507B1 (ko) 2011-08-02 2011-08-02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093A KR20130015093A (ko) 2013-02-13
KR101244507B1 true KR101244507B1 (ko) 2013-03-18

Family

ID=4789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921A KR101244507B1 (ko) 2011-08-02 2011-08-02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5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0696B1 (en) 1999-02-16 2001-03-13 Energy Research Corporation Internal reforming fuel cell assembly with simplified fuel feed
JP2001106507A (ja) 1999-04-26 2001-04-17 Fuji Electric Co Ltd 改質器および該改質器を備えた燃料電池発電装置
US20040071617A1 (en) 2002-10-11 2004-04-15 Scott Blanchet Fuel reformer
US20100227234A1 (en) 2009-03-09 2010-09-09 Zhiwen Ma Internally reforming fuel cell assembly with staged fuel flow and selective catalyst loading for improved temperature uniformity and effici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0696B1 (en) 1999-02-16 2001-03-13 Energy Research Corporation Internal reforming fuel cell assembly with simplified fuel feed
JP2001106507A (ja) 1999-04-26 2001-04-17 Fuji Electric Co Ltd 改質器および該改質器を備えた燃料電池発電装置
US20040071617A1 (en) 2002-10-11 2004-04-15 Scott Blanchet Fuel reformer
US20100227234A1 (en) 2009-03-09 2010-09-09 Zhiwen Ma Internally reforming fuel cell assembly with staged fuel flow and selective catalyst loading for improved temperature uniformity and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093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5441B2 (ja) 高温動作型燃料電池モジュール
US8178256B2 (en) Fuel cell system
JP6814970B2 (ja) 高温動作型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20295182A1 (en) Fuel cell
AU2010361352B2 (en) Co-flow / counter-flow fuel cell or electrolysis cell
JP6092681B2 (ja) 燃料電池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8728673B2 (en) Fuel cell system
JP6140497B2 (ja) 燃料電池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8603691B2 (en) Fuel cell system with rotation mechanism
KR10163661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갖는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KR101244507B1 (ko)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JP6474023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装置
CN113013437B (zh) 一种具有渐缩坡面结构的燃料电池阴极流道
KR101283299B1 (ko) 발전용 연료전지의 가습기
JP5812927B2 (ja) 燃料電池装置
KR101294469B1 (ko)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용 간접 내부 개질기
KR101316042B1 (ko) 연료전지용 통합형 개질기 시스템
JP5278050B2 (ja) 燃料電池
KR101343376B1 (ko) 촉매연소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JP675887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装置
KR101518204B1 (ko) 예열기가 병합된 연료전지용 다채널 직립형 개질기
KR101387856B1 (ko)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판형 스팀리포머
KR101634793B1 (ko) 고속 역방향 공기노즐을 이용한 무촉매 무화염 연료 개질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314634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개질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91298A (ko) 연료전지용 u자형 개질기의 유동분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