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377B1 -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377B1
KR101244377B1 KR1020110080382A KR20110080382A KR101244377B1 KR 101244377 B1 KR101244377 B1 KR 101244377B1 KR 1020110080382 A KR1020110080382 A KR 1020110080382A KR 20110080382 A KR20110080382 A KR 20110080382A KR 101244377 B1 KR101244377 B1 KR 1012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pressure
diaphragm
valve sea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763A (ko
Inventor
조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언
Priority to KR102011008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3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3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는,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형성된 바디;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를 1차 감압하는 제1감압부;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어 2차 감압하는 제2감압부; 상기 제2감압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는 밸런스 바디; 및 상기 밸런스 바디로 유입된 1차 감압된 가스를 정압을 유지시켜 상기 제2감압부로 전달하여 2차 감압을 조정하는 밸런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2감압부를 통해서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엔진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 압력으로 2차에 걸쳐 감압 조정함으로써, 큰 폭의 감압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귤레이터{REGULATOR}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엔진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한 압력으로 2단계에 걸쳐 감압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는 입구측에 형성된 고압의 가스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하여 출구측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는 1단계 감압만을 수행하는데, 그 대표적인 구조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레귤레이터(10)는 제어용 밸브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구(6)와, 가스의 유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다이어프램(7)과, 상기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스크류(8a)와, 다이어프램(7)을 누르는 밸런스 스프링(8)과, 상기 다이어프램(7)의 하강시 작동되어 가스공급구(6)에 부설된 밸브(6a)를 개폐하는 레버(9)로 구성된다.
먼저, 고압의 연료가 가스공급구(6)의 단부에 설치된 밸브(6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 감압실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7)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다이어프램(7)의 상면에 설치된 밸런스 스프링(8)은 수축되고, 레버(9)의 하부에 장착된 메인스프링(9a)은 팽창되면서 가스공급구(6)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6a)를 닫아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감압된 가스는 일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0a)를 통해 배출되고, 밸런스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다이어프램(7)이 하강하여 레버(9)를 하부로 작동시킴으로써 가스공급구(6)의 밸브(6a)를 개방시킴으로써 가스가 다시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밸브(6a)의 반복적인 개폐를 통해 고압의 연료가 감압된 상태로 다음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레귤레이터(10)에서는, 상당한 크기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감압실의 단면적이 커야만 했고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도 큰 것을 채용해야만 했다. 이 경우, 전체 부피가 커지고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지 스프링과 다이어프램의 신축에 의해서만 감압되기 때문에, 입구압의 큰 변동에 따라 출구압의 변동폭을 작게 조절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가스의 경우 감압시 급격하게 온도 저하가 발생하므로 고무로 형성된 다이어 프램은 재질특성상 온도저하로 인한 아이싱이 발생하여 동작성 저하 및 파손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89663호(2002.09.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엔진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 압력으로 2차에 걸쳐 감압 조정함으로써, 큰 폭의 감압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세팅변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압력의 조정이 매우 용이한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감압시 발생하는 온도저하에 따른 동작성 저하 및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는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또 목적은 2차에 걸쳐 감압 중에 세팅 압력보다 초과하는 경우에도 정압을 유지하여 구동부품을 보호하는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는,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형성된 바디;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를 1차 감압하는 제1감압부;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어 2차 감압하는 제2감압부; 상기 제2감압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는 밸런스 바디; 및 상기 밸런스 바디로 유입된 1차 감압된 가스를 정압을 유지시켜 상기 제2감압부로 전달하여 2차 감압을 조정하는 밸런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압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밸브시트와, 상기 제1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작용하는 제1다이어프램과, 상기 제1다이어프램의 선단운동을 제1밸브로 전달하도록 상기 바디에 힌지결합된 레버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제1캡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과 제1캡 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감압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밸브시트와, 상기 제2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와, 상기 밸런스부를 통과한 가스가 작용하는 제2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다이어프램의 선단 운동을 제2밸브로 전달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2다이어프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밸브와 접촉하는 로드스템 및 상기 제2밸브를 탄성지지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런스부는, 상기 밸런스 바디에 형성되는 밸런스 밸브시트와,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밸런스 밸브와, 상기 밸런스 밸브의 일단과 접촉하는 밸런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밸런스 바디와 결합되는 밸런스 캡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과 밸런스 캡 사이에 개재되는 밸런스 스프링 및 상기 밸런스 밸브를 탄성지지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제1감압부에서 감압된 가스를 제2감압부 및 밸런스부로 전달하는 제1연결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유로는 제2감압부와 밸런스부로 전달되도록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를 통과한 가스를 제2다이어프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2밸브시트를 통과하여 출구포트로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제2다이어프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밸브에는 릴리프 밸브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는 상기 로드스템의 상승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는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압부가 설치된 상기 바디에는 릴리프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릴리프 밸브시트와,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체 및 상기 릴리프 밸브체를 릴리프 밸브시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릴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포트에는 필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온수니플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에는 온수니플과 연결되는 온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캡에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런스 캡에는 밸런스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밸런스 조절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에 따르면, 제1,2감압부를 통해서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엔진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 압력으로 2차에 걸쳐 감압 조정함으로써, 큰 폭의 감압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제1,2감압부 외에도 밸런스부를 추가하여 종래의 1차 레귤레이터 대비 동작성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큰폭의 감압비와 정밀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밸런스부에 의해 기존 2단 레귤레이터(2stage Regulator)에서 토출되는 유량보다 매우 많은 양의 유량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조절나사를 조정함에 따라 제1스프링과 밸러슨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제 1 감압부와 밸런스부 및 제 2 감압부에 설정된 셋팅 압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압력의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온수니플과 온수순환유로가 구비되어 감압시 발생하는 온도저하에 따른 동작성 저하 및 파손의 위험을 방지한다.
또한, 제1,2릴리프 밸브에 의해 2차에 걸친 감압 중에 세팅 압력보다 초과하는 경우에도 정압을 유지하여 구동부품을 보호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감압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밸런스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2감압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 10b는 도 9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온수순환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Ⅰ-Ⅰ'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감압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밸런스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제2감압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a, 10b는 도 9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온수순환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A)는,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가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입구포트(110)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를 1차 감압하는 제1감압부(200)와, 상기 제1감압부(200)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어 2차 감압하는 제2감압부(300)와, 상기 제2감압부(30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압부(200)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는 밸런스 바디(400) 및 상기 밸런스 바디(400)로 유입된 1차 감압된 가스를 정압을 유지시켜 상기 제2감압부(300)로 전달하여 2차 감압을 조정하는 밸런스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감압부(200)는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는 제1밸브시트(210)와, 상기 제1밸브시트(210)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220)와, 상기 입구포트(11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작용하는 제1다이어프램(230)과, 상기 제1다이어프램(230)의 선단운동을 제1밸브(220)로 전달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힌지결합된 레버(240)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230)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바디(100)와 결합되는 제1캡(250)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230)과 제1캡(250)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26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감압부(300)는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는 제2밸브시트(310)와, 상기 제2밸브시트(310)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320)와, 상기 밸런스부(500)를 통과한 가스가 작용하는 제2다이어프램(330)과, 상기 제2다이어프램(330)의 선단 운동을 제2밸브(320)로 전달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2다이어프램(3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밸브(320)와 접촉하는 로드스템(340) 및 상기 제2밸브(320)를 탄성지지 하는 제2스프링(3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부(500)는 상기 밸런스 바디(400)에 형성되는 밸런스 밸브시트(510)와,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510)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밸런스 밸브(520)와, 상기 밸런스 밸브(520)의 일단과 접촉하는 밸런스 다이어프램(530)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530)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밸런스 바디(400)와 결합되는 밸런스 캡(540)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530)과 밸런스 캡(540) 사이에 개재되는 밸런스 스프링(550) 및 상기 밸런스 밸브(520)를 탄성지지하는 보조스프링(56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디(100)에는 제1감압부(200)에서 감압된 가스를 제2감압부(300) 및 밸런스부(500)로 전달하는 제1연결유로(130)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유로(130)는 제2감압부(200)와 밸런스부(500)로 전달되도록 분기된다.
또한, 상기 밸런스 바디(400)에는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510)를 통과한 가스를 제2다이어프램(3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연결유로(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에는 상기 제2밸브시트(310)를 통과하여 출구포트(120)로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제2다이어프램(330)으로 전달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1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감압부(200,300)를 통해서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엔진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 압력으로 2차에 걸쳐 감압 조정함으로써, 큰 폭의 감압비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제1,2감압부(200,300) 외에도 밸런스부(500)를 추가하여 종래의 1차 레귤레이터 대비 동작성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큰폭의 감압비와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더해, 밸런스부(500)에 의해 기존 2단 레귤레이터(2stage Regulator)에서 토출되는 유량보다 매우 많은 양의 유량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밸브(320)에는 릴리프 밸브시트(321)가 형성되며,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321)는 상기 로드스템(340)의 상승시에 개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밸브시트(310)를 통과한 가스가 정해진 압력이상인 경우, 가스는 바이패스 유로(150)를 통해 제2다이어프램(330)에 작용하여 로드 스템(34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321)는 개방되어 가스는 레귤레이터(A) 외부로 배출된다.
더욱이, 감압된 유체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도 10b와 같이 제2밸브(320)를 누르는 힘이 높아져 로드스템(340)과 제2밸브(320)의 힘의 균형이 깨지며 로드스템(340)과 릴리프 밸브시트(321)의 면 접촉이 없어 그 틈새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즉, 제2감압부(300)를 통해 감압 중에 세팅 압력보다 초과하는 경우에도 정압을 유지하여 구동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321)는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감압부(200)가 설치된 상기 바디(100)에는 릴리프밸브(600)가 구비되되, 상기 릴리프 밸브(600)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릴리프 밸브시트(610)와,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610)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체(620) 및 상기 릴리프 밸브체(620)를 릴리프 밸브시트(61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릴리프 스프링(63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입구포트(11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릴리프 밸브체는(620) 릴리프 밸브시트(610)를 개방하여 가스를 레귤레이터(A) 외부로 배출하여 제1감압부(200)의 구성을 보호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입구포트(110)는 바디(1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중공의 피팅부재로서, 상기 입구포트(110)와 바디(110) 사이에는 필터스프링(101)과 필터(10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필터(102)는 스프링(101)에 의해서 바디(100)의 내측면에 진동이나 유격없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입구포트(110)로 유입되는 가스는 필터(102)를 통과하면서 가스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순수한 가스만이 바디(100) 내부로 유입되어 출구포트(120)로 배출된다. 즉, 이물질에 의한 레귤레이터(A)의 막힘 등에 의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에는 도 11과 같이 온수니플(160)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100)에는 온수니플(160)과 연결되는 온수순환유로(16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온수니플(160)과 온수순환유로(161)에 의해 상기 바디(100) 내부로 온수를 순환시켜 감압시 발생하는 온도저하에 따른 동작성 저하 및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캡(250)에는 제1스프링(26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2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스프링(260)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제1감압부(200)의 설정 압력, 즉 가스의 압력을 미세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런스 캡(540)에는 밸런스 스프링(56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밸런스 조절나사(541)가 구비되어 상기 밸런스 스프링(560)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밸런스부(500)의 설정압력, 즉 가스의 압력을 미세 조정하게 된다. 더욱이, 밸런스부(500)의 설정압력을 조정하면 제2감압부(300)의 제2다이어프램(330)에 인가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어 제2감압부(300)의 설정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입구포트(11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필터(102)에 의해 가스는 여과된다. 여과된 고압가스는 제1밸브시트(210)를 통해 유입되며, 이때 설정된 제1스프링(260)의 힘과 그에 반하는 가스의 압력이 제1다이어프램(230)에 서로 전달하는 힘이 평행을 이루며 정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출구압이 상승하게 되면 제1다이어프램(230)은 상승하며 레버(240)를 직선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1밸브(220)가 밸브시트(2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가스의 압력이 낮아 지게 된다.
반면, 출구압이 설정압 보다 낮이 지게 되면 상기원리와 반대작용으로 제1밸브(220)가 제1밸브시트(2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구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1차 감압되어진 가스는 제1연결유로(130)를 통해 제2감압부(300)와 밸런스(500)로 유입된다.
상기 제1연결유로(130)를 통해 가스가 밸런스부(500)로 유입되면 가스는 밸런스 밸브시트(510)와 밸런스 밸브(520) 사이를 통해 밸런스 바디(400)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설정되어진 밸런스 스프링(550)의 힘과 그에 반하는 가스의 압력이 밸런스 다이어프램(530)에 전달하는 힘이 평행을 이루며 정압을 유지한다.
이때, 정압이 유지된 가스는 제2연결유로(140)를 통해 제2다이어프램(330) 상부로 유입되며, 이 압력은 로드 스템(340)의 상하운동으로 이어진다. 상기 로드 스템(340)의 상하 운동은 제2밸브(320)의 상하 운동으로 전달되어 제2밸브시트(310)와 제2밸브(320) 사이의 간격(gap)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감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감압된 가스는 출구포트(120)를 통해 레귤레이터(A)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레귤레이터 100 - 바디
200 - 제1감압부 300 - 제2감압부
400 - 밸런스 바디 500 - 밸런스부

Claims (14)

  1. 입구포트와 출구포트가 형성된 바디;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를 1차 감압하는 제1감압부;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어 2차 감압하는 제2감압부;
    상기 제2감압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압부에서 1차 감압된 가스가 유입되는 밸런스 바디; 및
    상기 밸런스 바디로 유입된 1차 감압된 가스를 정압을 유지시켜 상기 제2감압부로 전달하여 2차 감압을 조정하는 밸런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압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밸브시트와, 상기 제1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작용하는 제1다이어프램과, 상기 제1다이어프램의 선단운동을 제1밸브로 전달하도록 상기 바디에 힌지결합된 레버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제1캡 및 상기 제1다이어프램과 제1캡 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압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밸브시트와, 상기 제2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와, 상기 밸런스부를 통과한 가스가 작용하는 제2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다이어프램의 선단 운동을 제2밸브로 전달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2다이어프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밸브와 접촉하는 로드스템 및 상기 제2밸브를 탄성지지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부는,
    상기 밸런스 바디에 형성되는 밸런스 밸브시트와,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밸런스 밸브와, 상기 밸런스 밸브의 일단과 접촉하는 밸런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이 설치된 단부를 덮도록 상기 밸런스 바디와 결합되는 밸런스 캡과, 상기 밸런스 다이어프램과 밸런스 캡 사이에 개재되는 밸런스 스프링 및 상기 밸런스 밸브를 탄성지지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제1감압부에서 감압된 가스를 제2감압부 및 밸런스부로 전달하는 제1연결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유로는 제2감압부와 밸런스부로 전달되도록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디에는 상기 밸런스 밸브시트를 통과한 가스를 제2다이어프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2밸브시트를 통과하여 출구포트로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제2다이어프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에는 릴리프 밸브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는 상기 로드스템의 상승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는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압부가 설치된 상기 바디에는 릴리프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릴리프 밸브시트와, 상기 릴리프 밸브시트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체 및 상기 릴리프 밸브체를 릴리프 밸브시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릴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에는 필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온수니플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에는 온수니플과 연결되는 온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에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캡에는 밸런스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밸런스 조절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KR1020110080382A 2011-08-12 2011-08-12 레귤레이터 KR10124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82A KR101244377B1 (ko) 2011-08-12 2011-08-12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82A KR101244377B1 (ko) 2011-08-12 2011-08-12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63A KR20130017763A (ko) 2013-02-20
KR101244377B1 true KR101244377B1 (ko) 2013-03-18

Family

ID=478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382A KR101244377B1 (ko) 2011-08-12 2011-08-12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241B2 (en) 2016-04-12 2020-08-18 Mobile I.V. Systems, LLC Pressure-regulating device, systems including the pressure-regula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527A (ko) * 2008-02-29 2009-09-02 피엔케이산업(주) Lpg연료 자동차용 베이퍼라이저의 아이들링 조절장치
KR20090128597A (ko) * 2008-06-11 2009-12-16 (주)모토닉 레귤레이터
KR20110042803A (ko) * 2009-10-20 2011-04-27 (주)모토닉 레귤레이터
KR101045094B1 (ko) 2009-09-01 2011-06-2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기체용 2단 감압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527A (ko) * 2008-02-29 2009-09-02 피엔케이산업(주) Lpg연료 자동차용 베이퍼라이저의 아이들링 조절장치
KR20090128597A (ko) * 2008-06-11 2009-12-16 (주)모토닉 레귤레이터
KR101045094B1 (ko) 2009-09-01 2011-06-2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기체용 2단 감압 조정장치
KR20110042803A (ko) * 2009-10-20 2011-04-27 (주)모토닉 레귤레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241B2 (en) 2016-04-12 2020-08-18 Mobile I.V. Systems, LLC Pressure-regulating device, systems including the pressure-regula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1467609B2 (en) 2016-04-12 2022-10-11 Mobile I.V. Systems, LLC Pressure-regulating device, systems including the pressure-regula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1860646B2 (en) 2016-04-12 2024-01-02 Mobile I.V. Systems, LLC Pressure-regulating device, systems including the pressure-regula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63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3108C2 (ru) Регулятор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3467438B2 (ja) 背圧制御弁
US6708712B2 (en) Pressure regulator utilizing a disc spring
KR100938151B1 (ko)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US20140090724A1 (en) Pilot-operated regulator with balanced port
KR100951366B1 (ko) 레귤레이터
KR102163276B1 (ko) 유량 조정 장치
KR101070290B1 (ko) 고유량 방출 기능이 포함된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모듈
AU2008270295A1 (en) Shutoff valve integrated into a pressure regulator
KR100727873B1 (ko)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KR100665518B1 (ko) 2단계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KR101244377B1 (ko) 레귤레이터
KR101344050B1 (ko) 레귤레이터
CN202176782U (zh) 带保护执行机构功能的自力式压力调节阀
KR101045094B1 (ko) 고압기체용 2단 감압 조정장치
KR100783370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JP2010186463A (ja) 圧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圧力調整弁
KR101469212B1 (ko)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KR101244380B1 (ko) 피스톤 타입 레귤레이터
KR100727785B1 (ko)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CN202812344U (zh) 泄压安全阀
JP3219485U (ja) 省エネ型大容量直動式精密圧力調整濾過弁
US20220402706A1 (en) Pneumatic air booster
CN201373152Y (zh) 新型天然气液化气两用稳压阀
JP5065110B2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