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953B1 -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953B1
KR101243953B1 KR1020110011763A KR20110011763A KR101243953B1 KR 101243953 B1 KR101243953 B1 KR 101243953B1 KR 1020110011763 A KR1020110011763 A KR 1020110011763A KR 20110011763 A KR20110011763 A KR 20110011763A KR 101243953 B1 KR101243953 B1 KR 10124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maximum value
preset position
absolute maximum
foc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336A (ko
Inventor
셍-시엉 수
Original Assignee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5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Lens Barrel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줌(ZOOME)모드의 제1 이동구간 내에서 포커싱 렌즈그룹을 이용하여 포커싱하고,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이에 대응한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고,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이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AUTOFOCUS METHOD AND AN IMAGE CAPTURING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영상 캡쳐링 시스템의 자동 포커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가 출하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포커싱 렌즈그룹을 무한대 포커스 위치로 보정하여, 보정을 통해 얻은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디지털 카메라 내의 메모리에 기록한다.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반눌러 자동 포커스 절차를 진행할 때,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저장된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포커싱 렌즈그룹을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을 진행한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는 종종 예를 들면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 등 외부환경의 변화나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배치위치 등의 외력을 받아, 포커싱 렌즈그룹의 편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실제적인 무한대 포커스 위치가 출하전의 보정값과 달라 포커스 렌즈그룹은 정확한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포커스 불량 또는 실패로 인해 불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 자체가 쉽게 습기를 흡수하므로 렌즈 굴절률을 쉽게 변화시킨다. 그밖에, 렌즈는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열팽창, 냉수축 또는 수분 함유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굴절률의 변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자동 포커스 방법을 안출하여 상기 포커스 불량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셋 포커스 위치가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이를 보정함으로써 자동 포커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스 방법은 먼저 줌(ZOOME) 모드의 제1 이동구간 내에서 포커싱 렌즈그룹을 이용하여 포커싱하고,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이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이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캡쳐링 시스템은 포커싱 렌즈그룹, 액추에이터, 저장장치 및 중앙처리시스템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줌모드의 제1 이동구간 내에서 포커싱 렌즈그룹을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로 구동시킨다. 저장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 중,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중앙처리시스템은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고,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포커싱 렌즈그룹이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시켜,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고,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셋 포커스 위치가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이를 보정함으로써 자동 포커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링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스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a~도 3c는 각종 가장자리 곡선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링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영상 캡쳐링 시스템은 주로 자동 포커스를 수행하며, 상기 영상 캡쳐링 시스템은 카메라, 캠코더, 휴대전화, PDA, MP3 플레이어 또는 웹캠(webca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캡쳐링 시스템은 주로 렌즈모듈(10), 저장장치(12) 및 중앙처리시스템(14)을 포함한다. 그밖에, 영상 캡쳐링 시스템은 영상감지유닛(16) 및 환경 파라미터 감지유닛(18)을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10)은 포커싱 렌즈그룹(102) 및 렌즈 구동장치(104)를 포함한다. 그 중, 포커싱 렌즈그룹(102)은 프리셋 이동구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피사체에 대해 포커싱을 진행한다. 포커싱 렌즈그룹(102)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 구동장치(104)는 중앙처리시스템(14)의 제어를 받아 포커싱 렌즈그룹(102)의 포커스 렌즈를 복수 개의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렌즈 구동장치(104)는 스텝 모터(step motor)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스텝 모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을 참고하면, 렌즈모듈(10)이 캡쳐링한 영상은 영상감지유닛(16)을 통해 아날로그 광신호로부터 디지털의 전자 신호로 전환되며, 렌즈모듈(10)이 획득한 복수 개의 포커스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가장자리 선명도(sharpness)값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포커스 데이터는 중앙처리시스템(14)에 피드백되어 연산처리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의 중앙처리시스템(14)은 연산유닛(142) 및 제어유닛(144)을 포함한다. 그 중, 연산유닛(142)은 상기 복수 개의 포커스 데이터에 대해 수치연산을 진행하고, 제어유닛(144)은, 연산결과에 따라 렌즈 구동장치(104)가 포커싱 렌즈그룹(102)을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자동 포커스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연산유닛(142)은 디지털 신호처리기가 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144)은 중앙처리유닛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실제적인 작업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은 칩이 될 수 있으며, 연산유닛(142) 및 제어유닛(144)은 칩상에 정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1을 참고하면, 저장장치(12)는 주로 상기 복수 개의 포커스 위치 및 이에 대응하는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저장장치(12)는 메인 메모리인 내부메모리(122) 및 세컨드 메모리인 하드디스크(124)를 포함한다. 그밖에, 저장장치(12)는 또한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 실시예에서 저장장치(12)는 렌즈 구동장치(104)의 엑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는 각 줌모드(zoom mode)의 환경 파라미터 변화율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율을 기록하며, 그 중 환경 파라미터는 온도 또는 습도를 가리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 표 1은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는데, 온도를 환경 파라미터로 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각(廣角) 줌모드에 있어서, 만약 온도가 25℃일 때의 무한대 포커스 위치가 200스텝의 위치이며, 온도가 0℃일 때, 무한대 포커스 위치가 150스텝 위치로 변하게 되는바, 즉 200-10*((25-0)/5)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은 변화된 후의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저장장치(12)에 갱신한다. 상기 온도의 변화는 환경 파라미터 감지유닛(18)에 의해 제공된다.
줌모드 온도변화율(℃)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율
(스텝)
(광각)
Z0
+5 +10
-5 -10
Z1 +5 +15
-5 -15
Z2 +5 +20
-5 -20
(망원)
Z3
+5 +25
-5 -2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에 도시한 영상 캡쳐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에 도시한 영상 캡쳐링 장치를 참고하여 도 2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 21의 줌모드하에서 포커싱 렌즈그룹(102)을 이용하여 상기 줌모드의 제1 이동구간 내에서의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에서 포커싱을 진행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포커싱 렌즈그룹(102)은 렌즈 구동장치(104)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로 구동된다.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면,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표준 줌모드 및 근거리 줌모드 등 복수 개의 줌모드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표준 줌모드의 포커스범위는 무한대 포커스 위치로부터 80cm까지이며, 근거리 줌모드의 포커스 범위는 80~10cm이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22에서, 저장장치(12)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이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포커스 데이터는 가장자리 선명도값이다. 앞에서 언급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는 가장자리 곡선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도 3a는 가장자리 곡선을 예시하고 있으며, 세로축은 포커스 데이터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포커스 위치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제1 이동구간(D1)은 제1 프리셋 위치(F1)와 제2 프리셋 위치(F2) 사이에 있다. 그 중, 제1 프리셋 위치(F1)는 무한대 포커스 위치이며, 저장장치(1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고하면, 단계 23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을 통해 가장자리 곡선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대 최대값"의 전, 후 인접하는 위치의 수치는 모두 상기 절대 최대값보다 작다. 만약 단계 23에서의 판단결과가 가장자리 곡선에 절대 최대값이 이미 존재하면, 단계 24로 진입하여 상기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1 포커스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결정한다. 도 3a에 도시한 가장자리 곡선을 예로 들면, 중앙처리시스템(14)은 가장자리 곡선의 경사율에 따라, 또는 제1 포커스 위치의 전, 후 인접하는 값의 크기에 따라 제1 포커스 위치(AF)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만약 단계 23의 판단결과가 가장자리 곡선에 최대 절대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25로 진입하고, 중앙처리시스템(14)은 가장자리 곡선에 따라 제2 이동구간을 계산한다. 이어서, 단계 26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은 렌즈 구동장치(104)의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포커싱 렌즈그룹(102)이 제2 이동구간 내의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위치에서 이동하여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다. 앞에서 언급한 제1 포커스 데이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포커스 데이터는 가장자리 선명도값이다. 마지막으로, 단계27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의 가장자리 곡선의 경사율 또는 값의 크기에 따라 절대 최대값을 정의함으로써,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도 3b는 다른 가장자리 곡선을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2 프리셋 위치(F2)와 대응하는 제1 포커스 데이터는 제1 이동구간(D1)에 대해 절대 최대값이 아니며, 단지 상대적인 최대값이다. 즉 중앙처리시스템(14)은 가장자리 곡선의 경사율 또는 값의 크기에 따라 제1 포커스 데이터에의 상대적인 최대값만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단계 25에서 제2 프리셋 위치(F2)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3 프리셋 위치(F3)까지 평행이동하여 제2 프리셋 위치(F2)와 제3 프리셋 위치(F3)의 사이에 있는 제2 이동구간(D2)을 얻거나, 또는 제3 프리셋 위치(F3)로부터 제2 프리셋 위치(F2) 전의 특정 위치까지 되돌아 오는 제2 이동구간(D2)을 얻는다. 즉 제2 이동구간(D2)은 제2 프리셋 위치(F2)에서 제3 프리셋 위치(F3)까지이며 또한 특정 위치로부터 제3 프리셋 위치(F3)까지가 될 수 있는바, 제2 프리셋 위치(F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프리셋 위치(F3)는, 중앙 처리시스템(14)이 외삽법(外揷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곡선에 따라 계산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이미 저장장치(12) 내에 저장된 프리셋 거리값일 수도 있다. 특정 위치는 렌즈 구동장치(104)를 통해 포커싱 렌즈그룹(102)을 제2 프리셋 위치(F2)에서 제1 프리셋 위치(F1)방향으로 추진하는 프리셋 거리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만약 스텝 모터를 렌즈 구동장치(104)로 사용한다면, 설정한 특정 위치는 스텝 모터가 제2 프리셋 위치(F2)에서 제1 프리셋 위치(F1)로 추진한 프리셋 스텝의 위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프리셋 위치(F2)로부터 제3 프리셋 위치(F3)까지를 제2 이동구간(D2)으로 본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이어서 단계 26에 따라 포커싱 렌즈그룹(102)을 제2 이동구간(D2)에서 이동하여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단계 27에서 제2 이동구간(D2)의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AF')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도 3b에 도시한 가장자리 곡선을 예로 들면, 중앙처리시스템(14)은 제2 포커스 위치(AF')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이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도 3c는 또 하나의 가장자리 곡선을 예시하고 있으며, 제1 프리셋 위치(F1)에 대응하는 제1 포커스 데이터는 제1 이동구간(D1)에 대해 절대 최대값이 아니고, 단지 상대적인 최대값이다. 즉, 중앙처리시스템(14)은 가장자리 곡선의 경사율 또는 값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인 최대값을 판단한다. 그러므로, 단계 25에 따르면, 제1 프리셋 위치(F1)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4 프리셋 위치(F4)까지 평행이동하여 제1 프리셋 위치(F1)와 제4 프리셋 위치(F4) 사이의 제2 이동구간(D3)을 얻거나, 또는 제4 프리셋 위치(F4)로부터 제1 프리셋 위치(F1) 뒤의 특정 위치까지 되돌아 오는 제2 이동구간(D3)을 얻는다. 즉 제2 이동구간(D3)은 제1 프리셋 위치(F1)로부터 제4 프리셋 위치(F4)까지 일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위치로부터 제4 프리셋 위치(F4)까지 일 수 있으며, 그 중 제1 프리셋 위치(F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리셋 위치(F1)로부터 제4 프리셋 위치(F4)까지를 제2 이동구간(D3)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26에서 포커싱 렌즈그룹(102)을 제2 이동구간(D3)에서 이동시켜,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단계 27에서 제2 이동구간(D3)의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AF'')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도 3c에 도시한 가장자리 곡선을 예로 들면, 중앙처리시스템(14)은 제2 포커스 위치(AF'')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이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한다.
도 1, 도 3b, 도 3c 및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시스템(14)은 줌모드 및 온도나 습도 등 현재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포커싱 렌즈그룹(104)의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시스템(14)은 표 1에 예시한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에 따라 제3 프리셋 위치(F3) 및 제4 프리셋 위치(F4)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시스템(104)은 제4 프리셋 위치(F4)에 따라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갱신할 수 있고, 저장장치(12)는 제4 프리셋 위치(F4)에 따라 표 1에 예시된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는 다른 환경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또 하나의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만들거나 엑추에이팅 스텝 조절 공식으로 치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정신에 따라 완성된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렌즈모듈
102: 포커싱 렌즈그룹
104: 렌즈 구동장치
12: 저장장치
122: 메모리
124: 하드디스크
14: 중앙처리시스템
142: 연산유닛
144: 제어유닛
16: 영상감지유닛
18: 환경 파라미터 감지유닛
21~27: 단계
D1: 제1 이동구간
D2, D3: 제2 이동구간
F1: 제1 프리셋(PRESET) 위치
F2: 제2 프리셋 위치
F3: 제3 프리셋 위치
F4: 제4 프리셋 위치
AF, AF', AF'': 자동 포커스 위치

Claims (11)

  1. 미리 설정(preset)된 제1 이동구간에 따라, 줌(ZOOME) 모드의 상기 제1 이동구간 내에서 포커싱 렌즈그룹을 이용하여 포커싱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절대 최대값에 상응하는 상기 제1 포커스 위치를 자동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의 상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이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상기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상기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포커스 방법.
  2. 미리 설정(preset)된 제1 이동구간에 따라, 줌(ZOOME) 모드의 상기 제1 이동구간 내에서 포커싱 렌즈그룹을 이용하여 포커싱하고, 상기 제1 이동구간은 제1 프리셋 위치와 제2 프리셋 위치 사이에 있는 단계;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상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 자동 포커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프리셋 위치 또는 상기 제2 프리셋 위치에 따라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이 포커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상기 절대 최대값과 대응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상기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포커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상기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절대 최대값에 상응하는 상기 제1 포커스 위치를 상기 자동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포커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는 가장자리 선명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커스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셋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커스 데이터가 상대적인 최대값일 때, 상기 제2 이동구간은 상기 제2 프리셋 위치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3 프리셋 위치까지 평행이동한 구간이며; 상기 제1 프리셋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커스 데이터가 상대적인 최대값일 때, 상기 제2 이동구간은 상기 제1 프리셋 위치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4 프리셋 위치까지 평행이동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커스 방법.
  6. 포커싱 렌즈그룹;
    줌 모드의 미리 설정(preset)된 제1 이동구간 내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을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이동구간은 제1 프리셋 위치와 제2 프리셋 위치 사이에 있는 액추에이터;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위치 및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앙처리시스템
    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상기 절대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 자동 포커스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포커스 데이터에 상기 절대 최대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제1 프리셋 위치 또는 상기 제2 프리셋 위치에 따라 제2 이동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상기 포커싱 렌즈그룹이 상기 제2 이동구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시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를 얻고,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포커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절대 최대값을 결정하고, 상기 절대 최대값과 대응되는 제2 포커스 위치를 상기 자동 포커스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셋 위치에 대응하는 제1 포커스 데이터가 상대적인 최대값일 때, 상기 제2 이동구간은 상기 제2 프리셋 위치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3 프리셋 위치까지 평행이동 한 구간이며; 상기 제1 프리셋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커스 데이터가 상대적인 최대값일 때, 상기 제2 이동구간은 상기 제1 프리셋 위치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제4 프리셋 위치까지 평행이동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셋 위치는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 내에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만들어 상기 줌 모드 및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에 따라 상기 제3 프리셋 위치 및 상기 제4 프리셋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은 상기 제4 프리셋 위치에 따라 상기 무한대 포커스 위치를 갱신하고,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제4 프리셋 위치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팅 스텝 변화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시스템.
KR1020110011763A 2010-11-30 2011-02-10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KR101243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41411A TWI446086B (zh) 2010-11-30 2010-11-30 自動對焦方法及影像擷取系統
TW099141411 201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36A KR20120059336A (ko) 2012-06-08
KR101243953B1 true KR101243953B1 (ko) 2013-03-13

Family

ID=4612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763A KR101243953B1 (ko) 2010-11-30 2011-02-10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33820A1 (ko)
JP (1) JP2012118491A (ko)
KR (1) KR101243953B1 (ko)
TW (1) TWI446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3613B (zh) * 2014-01-21 2015-10-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鏡頭自動對焦方法及相關的相機晶片
JP5874753B2 (ja) * 2014-01-28 2016-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28876B1 (ja) 2016-02-02 2016-11-2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332401B2 (ja) * 2016-10-19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3957A (ja) *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の自動焦点制御装置
KR20070010997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선형성을 이용한 오토포커스 장치 및 방법
KR20070081850A (ko) * 2006-02-14 2007-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포커싱 장치 및 방법
KR100781271B1 (ko) 2006-02-14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포커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484A (ja) * 1994-08-24 1996-03-08 Nikon Corp 焦点調節装置
JP4043250B2 (ja) * 2002-02-08 2008-0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JP2008020710A (ja) * 2006-07-13 2008-01-31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焦点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3957A (ja) *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の自動焦点制御装置
KR20070010997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선형성을 이용한 오토포커스 장치 및 방법
KR20070081850A (ko) * 2006-02-14 2007-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포커싱 장치 및 방법
KR100781271B1 (ko) 2006-02-14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포커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2127A (en) 2012-06-01
US20120133820A1 (en) 2012-05-31
KR20120059336A (ko) 2012-06-08
TWI446086B (zh) 2014-07-21
JP2012118491A (ja)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3861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imaging method, method of displaying image and method of correcting position of focusing-area frame
US20160295097A1 (en) Dual camera autofocus
JP6137840B2 (ja) カメラシステム
US8908085B2 (en) Tracking controllable image pickup apparatus
US850858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zoom correction information creation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1867725A (zh) 摄像装置和拍摄对象跟踪方法
KR2015001528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50074641A (ko)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1243953B1 (ko) 자동 포커스 방법 및 영상 캡쳐링 시스템
CN102263894B (zh) 拍摄装置
JP2014202922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WO2011136026A1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9094601B2 (en) Image capture device and audio hinting method thereof in focusing
CN107272139B (zh) 透镜控制设备及控制方法
TWI621831B (zh) 影像擷取裝置與其相位對焦的校正方法
JP2008129455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84440A (ja) 電子カメラ
JP4925168B2 (ja) 撮像方法および装置
CN108243305B (zh) 影像捕获设备与其相位对焦的校正方法
TWI554098B (zh) 錄影裝置與錄影方法
CN102540639A (zh) 自动对焦方法及影像撷取系统
JP200926041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368237B2 (ja) 温度補正量修正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828347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7067827A (ja) 撮像装置及びズーム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