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235B1 -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235B1
KR101243235B1 KR20060073290A KR20060073290A KR101243235B1 KR 101243235 B1 KR101243235 B1 KR 101243235B1 KR 20060073290 A KR20060073290 A KR 20060073290A KR 20060073290 A KR20060073290 A KR 20060073290A KR 101243235 B1 KR101243235 B1 KR 10124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source content
multimedi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458A (ko
Inventor
송원영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06007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하는 단계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 (b)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검색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컨텐츠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Description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가 음원 파일일 경우의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과의 음원 컨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음원 컨텐츠 또는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510: 수신 수단
520: 추출 수단 530: 검색 수단
540: 데이터베이스 550: 전송 수단
560: 제어부
본 발명은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서비스는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여 기본적인 통화서비스 이외의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이르렀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기 위한 수단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 분야 중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음악 분야이며, 현재 벨소리, 컬러링(링백톤 대체음), MP3 파일 다운로드, 신규 앨범 소개 등 새로운 음악 관련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컨텐츠에서 클라이언트 개인이 원하는 특정 음원 컨텐츠 또는 음원 정보에 대한 검색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키워드나 태깅(tagging)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잘못된 텍스트 키워드 또는 음원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원하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 및 유도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음원 컨텐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원하는 곡목이나 특정 부분의 가사를 입력하여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음원 컨텐츠의 제목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버튼을 눌러 해당 음원 컨텐츠를 찾는다. 해당 음원 컨텐츠가 나타나면 클라이언트는 선택버튼을 눌러 메뉴 방식에 의해 미리듣기나 다운로드를 한다. 또는 키워드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검색을 원하는 음원 컨텐츠의 제목을 텍스트를 입력한 다음 음원 컨텐츠 제공자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곡을 찾을 수 있으며, 메뉴 구동 방식에 의해 미리 듣기나 다운로드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음원 컨텐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음원을 찾고자 할 경우 곡명을 이용한 키워드 중심의 텍스트 검색 만이 제공된다.
또한, 다단계의 선택과정을 거쳐 상기 음원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으며, 텍스트 검색에 의한 방식에 있어서도 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곡명이나 가사가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 경우에 원하는 음원 컨텐츠를 검색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확한 가사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사 정보 및 동일한 아티스트 정보를 동일하게 포함 하지만,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컨텐츠가 검색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는 뮤직비디오 형태의 선정된 아티스트의 음원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나, 단순히 음원 파일만 이 검색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검색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컨텐츠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원 컨텐츠로의 시각적인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한 클라이언트들에게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음원적 접근 방법을 지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웹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텍스트 검색에 의한 방식보다 검색 절차를 간소하게 하여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에 직관적인 접근을 강화하여 검색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검색의 기회 비용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검색창에 텍스트 기반의 검색 방식과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의 검색 방식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광고에 대한 효과 및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텍스트 기반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라 하더라도 음정 또는 음량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다르다면, 서로 상이한 멀티미디어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 컨텐츠로의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하는 단계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 (b)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받기 위한 수신 수단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는 추출 수단;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검색 수단; 및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원 컨텐츠는 음원을 포함하는 컨텐츠로서, 상기 컨텐츠는 음원 만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아니라, 비디오,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한 음원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다(단계(110)).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화상,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신호가 아닌 부분적인 클립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한다(단계(120)). 이후,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1차 독출한다(단계(130)). 이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하여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1차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컨텐츠를 2차 독출한다(단계(140)).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텍스트 기반의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서 텍스트 정보를 제외한 부분의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화상 또는 비디오 파일일 경우에는 화질 정보, 음향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오디오 파일일 경우에는 음정, 음향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포함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가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전송요청을 하면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15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신호가 음원 파일일 경우의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원 파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단계(210)). 상기 음원 파일은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MP3, WMV, OGG 및 WAV 파일과 같은 음악적 음원이 포함된 파일이나 상기 음악적 음원이 아니더라도 기타 음원적 요소가 포함된 파일이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음원 파일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포함된 가사 정보 및 음량 또는 음정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한다(단계(220)). 이후,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가사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가사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1차 독출한다(단계(230)). 이는 상기 가사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하여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가사 정보를 포함하는 1차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음량 또는 음정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컨텐츠로부터 상기 음량 또는 음정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포함하는 컨텐츠를 2차 독출한다(단계(240)). 상기 음량 또는 음정 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에서 가사 정보를 제외한 부분의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각 음원 파일마다 독특한 음원적 특색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동일한 가사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이더라도, 음량이나 음정은 동일할 수가 없기 때문에 1차 및 2차 독출 과정을 거치는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가 진정으로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컨텐츠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가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전송요청을 하면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250)). 본 발명의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단순히 가사 정보 같은 텍스트 입력에 의한 검색 방식보다 검색 절차를 간소하게 하여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에 직관적인 접근을 강화하여 검색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검색의 기회 비용을 확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과의 음원 컨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수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텍스트 기반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한다(단계(301)). 상기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단계(302)), 상기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의 추출수단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한다(단계(303)).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텍스트 기반의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서 텍스트 정보를 제외한 부분의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화상 또는 비디오 파일일 경우에는 화질 정보, 음향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오디오 파일일 경우에는 음정, 음향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포함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1차 독출하고(단계(304)),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컨텐츠를 2차 독출한다(단계(305)).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송 수단은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신하고(단계(306)),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2차 독출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단계(307)).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2차 독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단계(308)).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 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단계(309)),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송 수단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31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단계(311)).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텍스트 기반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라 하더라도 음정 또는 음량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다르다면, 서로 상이한 멀티미디어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 컨텐츠로의 직접적인 접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계층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음원 컨텐츠 또는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내의 소정의 기능 메뉴에서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컨텐츠 정보 검색'기능 메뉴에서 하위 기능 메뉴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에 의하거나 단순 텍스트 입력에 의한 음원 컨텐츠의 검색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에 의할 경우, 도 4(b)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또는 허밍 및 태그 입력에 의한 전송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에 의한 검색을 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찾아서 선택하고(도 4(c)),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도 4(d)). 도 3에서 상술하였듯이,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멀티미디어 정보를 1차 및 2차 검색 쿼리로 하여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1차 및 2차 독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1차 및 2차 독출 과정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기에서는 상기 독출 과정들에 대한 진행 프로세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디스플레이 한다(도 4(e) 및 도 4(f)). 다음으로,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2차 독출된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말기 내의 선택 메뉴에 의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 벨소리 데이터,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또는 아티스트 관련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도 4(g)).
상술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컨텐츠 정보 검색을 위한 단축키나 별도의 기능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단축키나 별도의 기능키를 포함함으로써, 음원 컨텐츠로의 시각적인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한 클라이언트들에게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음원 접근 방법을 지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웹 접근성을 확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적어도 저장부, 송/수신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음원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하거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송/수신부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과의 음원 컨텐츠 또는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클라이언트가 특정 명령 프로세스를 입력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술한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500)은 수신 수단(510), 추출 수단(520), 검색 수단(530), 데이터베이스(540), 전송 수단(5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수단(51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받기 위한 수단이고, 추출 수단(520)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검색 수단(530)은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40)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구성이고, 전송 수단(550)은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검색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컨텐츠로의 직관적인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 컨텐츠으로의 시각적인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한 클라이언트들에게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에 의한 음원적 접근 방법을 지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웹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 검색에 의한 방식보다 검색 절차를 간소하게 하여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에 직관적인 접근을 강화하여 검색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검색의 기회 비용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 검색창에 텍스트 기반의 검색 방식과 멀티미디어 신호 입력의 검색 방식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광고에 대한 효과 및 접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텍스트 기반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 호라 하더라도 음정 또는 음량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다르다면, 서로 상이한 멀티미디어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 컨텐츠로의 접근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6)

  1.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하는 단계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
    (b)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동일한 컨텐츠 정보 및 상이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신호는 각각 상이한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화상,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 벨소리 데이터,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또는 아티스트 관련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음원 파일이고, 상기 텍스트 정보는 음원 파일의 가사 정보이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음원 파일에 포함된 음량 또는 음정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가사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가사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음량 또는 음 정 신호를 2차 검색 쿼리로 전송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음량 또는 음정 신호를 동일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음원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 받기 위한 수신 수단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텍스트 기반의 음원 정보(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리하는 추출 수단;
    상기 음원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텍스트 정보를 1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를 1차 독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2차 검색 쿼리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독출된 하나 이상의 음원 컨텐츠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포함하는 상기 음원 컨텐츠를 2차 독출하는 검색 수단; 및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 또는 상기 2차 독출된 음원 컨텐츠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수단은 동일한 컨텐츠 정보 및 상이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신호는 각각 상이한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60073290A 2006-08-03 2006-08-03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290A KR101243235B1 (ko) 2006-08-03 2006-08-03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290A KR101243235B1 (ko) 2006-08-03 2006-08-03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58A KR20080012458A (ko) 2008-02-12
KR101243235B1 true KR101243235B1 (ko) 2013-03-14

Family

ID=393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3290A KR101243235B1 (ko) 2006-08-03 2006-08-03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81A (ko) 2013-06-26 2015-01-07 캠프모바일 주식회사 동영상 멀티미디어 링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960A (ko) * 2000-06-24 2002-01-09 김홍성 인터넷에상에서 방송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KR20030067377A (ko) * 2002-02-08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음악 검색방법과 장치
KR20060020114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음악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3100A (ko) * 2004-12-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960A (ko) * 2000-06-24 2002-01-09 김홍성 인터넷에상에서 방송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KR20030067377A (ko) * 2002-02-08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멜로디 기반 음악 검색방법과 장치
KR20060020114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음악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3100A (ko) * 2004-12-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58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5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US7650563B2 (en) Aggregating metadata for media content from multiple devices
JP5175339B2 (ja)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内の装置のユーザに適切な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387965B1 (ko) 사용자 적응적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US202001597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US20070038647A1 (en) Management of media sources in memory constrained devices
JP441987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401369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20070033225A1 (en) Media data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CN104572846A (zh) 一种热词推荐方法、装置和系统
CN105898362A (zh) 检索视频内容的方法和装置
WO2011155350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226382A (ja) 広告表示プログラム
JP2003302983A (ja) パーソナル携帯ブラウザ端末をカラオケ装置の選曲予約ツールとして利用する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カラオケ利用者支援サーバー、カラオケ装置
KR101243235B1 (ko)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88967A (ja) 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端末
CN101925897A (zh) 建议用于与内容数据项同步再现的伴奏乐曲的方法
KR20090027118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257932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291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603993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事業者サーバ
JP2005309720A (ja) 検索リクエスト装置、検索リクエスト方法、検索リクエストプログラム、検索リクエス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検索装置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CN100493167C (zh) 数字影像播放系统及其播放方法
JP4175430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2007003624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이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