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60B1 -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60B1
KR101242760B1 KR1020060081766A KR20060081766A KR101242760B1 KR 101242760 B1 KR101242760 B1 KR 101242760B1 KR 1020060081766 A KR1020060081766 A KR 1020060081766A KR 20060081766 A KR20060081766 A KR 20060081766A KR 101242760 B1 KR101242760 B1 KR 10124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put
user
i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431A (ko
Inventor
박석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처리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측 주소 및 수신측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화면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용량을 갖는 데이터 필드를 할애하지 않으며, 애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메시지, 사용자설정문구, 애칭, SMS, MMS

Description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MESSAGE PROCESSING AND MOBILE ST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작성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칭 서비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번호가 코드변환되는 예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문구와 발신자 번호가 ASCⅡ코드로 변환되는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문구와 발신자 번호가 유니코드로 변환되는 예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단말기 전화번호와 발신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코드변환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입력부
120 : 코드변환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송수신부
160 : 오디오처리부
본 발명은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전화 가입자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한편, 익명성을 이용한 장난, 음란, 폭력전화 등의 문제점을 동반한다. 특히, 장난전화 등을 수신한 가입자는 스트레스, 불쾌감, 공포 등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통화 개시 전 발신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착신자의 단말에 표시해 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발전된 형태로 발신자가 애칭을 지정하여 두고, 발신자의 호 시도시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에 발신자의 애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애칭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현재의 애칭 서비스형태는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별도 메뉴로 진입하여 별도창에서 일정 문구를 설정하여, 이를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시켜 발송하는 형태이다.
하지만, 발신자 애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뉴로 진입하여 별도의 창을 띄워 일정 문구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소용량을 갖는 데이터 필드 공간을 할애하여 일정 문구를 전송하는 애칭서비스에 사용하는 것은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에 사용되는 데이터 필드의 공간을 제약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 애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뉴로 진입하여 별도의 창을 띄워 발신자 애칭을 설정하지 않고, 발신자 번호 입력항목에 발신자 애칭을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용량을 갖는 데이터 필드 공간을 할애하지 않으며, 애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측 주 소 및 수신측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화면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전송화면에는 발신측 주소입력항목, 수신측 주소입력항목, 별도의 입력항목이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항목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문구는 ASCⅡ코드, 유니코드 또는 GSM7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는 한글, 숫자, 알파벳, 각종 특수문자 형태이거나, 상기 문자들이 조합되는 형태이다.
또한,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에는 기 설정된 발신자 번호가 유지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발신자 번호가 변경되어 입력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메시지를 입력받으며,상기 메시지 입력을 완료 후, 메시지 발신모드로 진입하여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입력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한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 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4G(OFDM;Orthogonal Frequency Divition Multiplexing)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코드 변환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송수신부(150), 오디오처리부(160) 및 메모리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입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버튼(0~9)과, 특수키 버튼(*, #, ...), 한글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 버튼,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키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30)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키패드뿐만 아니라 터치 방식 등도 가능하며,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때 눌려진 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를 통해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 이모티콘, 사진, 동영상파일 등을 포함하는 각종 메시지를 입력하며, 메시지 발송시에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에 사용자 설정문구를 입력하고, 수신자번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코드변환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설정문구를 단말기(100)에 적용되는 코드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받은 사용자 설정 문구, 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자 전화번호가 ASCⅡ코드와 유니코드에 의해 변환되며 또한, GSM7코드를 이용하여 코드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코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는 코드이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여러 기능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요소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각종 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 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 키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문구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설정문구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코드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사용자 설정문구를 단말기(10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에 의해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문구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 화면 또는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메시지 입력모드 화면, 메시지 전송모드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 입력 메시지 처리에 따른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송수신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채널복호(channel do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50)는 기지국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 력문구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요청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Coder-Decoder)과 통화발신, 수신 또는 다운로드에 대한 벨소리 또는 음성정보를 처리하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7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운용을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게임 등이 저장된다. 다시 말하면, 메모리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메모리 즉, 플래쉬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100)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시스템 파라메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170)는 코드변환부(120)에 의해 변환된 사용자 설정문구를 제어부(130)의 제어의 의해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한 메시지 처리과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발신자정보 입력항목에 사용자 문구 를 입력하고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애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작성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S201)되어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각종 메시지와 사용자 설정문구를 입력받는다(S203). 더불어, 상기 메시지와 사용자 설정문구를 수신받을 수신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메시지 입력모드는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각종 메시지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진행할 수 있는 모드가 된다.
S203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작성화면의 화면상단에는 메시지작성 메뉴바(bar)가 구비되어 메시지 작성모드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 하단에는 텍스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항목이 구비되고, 문자 입력항목 하단에는 확인버튼과 취소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메시지작성을 마치고, 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된 화면은 도 3b의 메시지 전송화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의 화면상단에는 메시지전송 메뉴바(bar)가 구비되어 메시지전송 모드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 하단에는 발신자정보 입력항목(310)과 수신자번호 입력항목(32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발신자정보 입력항목(310)은 사용자 설정문구 입력항목(311)과 발신자번호 입력항목(313)을 포함한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문구 입력항목(311)에는 사용자 설정문구(My Friend)가 입력되고, 발신자번호 입력항목(313)에는 발신자번호가 설정된다. 상기 사용자 설정문구의 용량은 20Byte이내에서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자번호 입력항목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자 번호가 입력되며, 도면에서는 하나의 수신자번호 입력항목이 도시되었지만, 상기 수신자번호 입력항목은 별도의 그룹메시지 메뉴나 수신자 추가메뉴에 의해 다수의 수신자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b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설정문구를 발신자정보 입력항목에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자번호 입력항목에 사용자 설정문구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신자번호 입력항목, 수신자번호 입력항목이 구비된 화면에서 추가입력항목이 구비되어 사용자 설정문구가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문구를 별도의 창이나 별도의 메뉴 진입없이 메시지 전송창에서 사용자 설정문구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3c와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 제 3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화면의 변형예시도면이다. 도 3c와 도 3d의 구성은 도 3b와 전반적으로 동일하지만, 발신자정보 입력항목의 구성을 변형한 것이다.
도 3c의 발신자정보 입력항목에서는 좌측에 사용자 설정입력문구 항목이 구비되고, 우측에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이 구비되어 각각의 항목에 적합하게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도 3d의 발신자정보 입력항목에서는 좌측에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이 구비되고, 우측에 사용자 설정 입력문구 항목이 구비되어 각각의 항목에 적합하게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입력문구 항목은 상기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구성은 메뉴구성에 의해 변경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는 것이다.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에 설정된 '011-333-4444' 발신자번호는 일반적으로 발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S203단계 이후, 제어부(130)에서는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발신자번호 입력항목에 사용자 설정문구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5).
S2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 설정문구가 입력되지 않고, 발신자번호만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번호로 상기 S201단계에서 입력받은 메시지만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S211). 상기 발신자번호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S2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문구가 입력된 경우에는 코드변환부(120)에 의해 사용자 입력문구를 코드변환하게 된다. 상기 코드변환부(120)에서는 ASCⅡ코드와 유니코드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변환하며 또한, GSM7코드를 이용하여 코드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드변환된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수신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전송요청을 하게 된다(S41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칭 서비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400)는 발신자 단말기(410), 수신자 단말기(430), 기지국(420), HLR DB(435)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410)와 수신자 단말기(430)는 애칭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발신자 단말기(410)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 주소에 사용자 설정문구를 입력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말기로서, 그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도 1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기지국(420)에서는 발신자 단말기(410)에서 전송요청한 메시지를 입력받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인 HLR DB(Home Location Register;435)에 애 칭 서비스 가입이 되었는지 확인 후 가입된 경우에 수신자 단말기(430)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수신자 단말기(430)는 기지국(420)이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자 단말기가(430) 받는 메시지의 발신자 주소 필드에서 발신자 단말기(410)가 전송한 사용자 설정문구와 발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하게 되어 애칭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번호가 코드변환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자번호 '011-114-9999(점선표시부분)'가 ASCⅡ코드로 변환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전송 시 발신 주소항목에 입력되는 문자는 *,+,1~9의 총 12개의 문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 개의 숫자가 1byte의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1byte 영역 내에 사용하지 않는 영역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문구와 발신자 번호가 ASCⅡ코드로 변환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설정문구(MY FRIEND)와 발신자번호(011-114-9999)가 입력되어 코드변환된 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코드는 ASCⅡ코드가 이용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20byte의 공간을 이용하여 MY FRIEND + 011-114-9999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다. 영문 'M'은 ASCⅡ코드 변환으로 '01001101'으로 변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01001101'은 ASCⅡ코드로 'M'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 밖에 'Y'는 '01011101', 공백은 '00100000', 'F'는 '01000110', 'R'은 '01010010', 'I'는 '01001001', 'E'는 '01000101', 'N'은 '01001110', 'D'는 '01000100'으로 코드변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문구와 발신자 번호가 유니코드로 변환되는 예시도면이다.
도면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설정문구(이쁜이)와 발신자번호(011-114-9999)가 입력되어 코드변환된 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코드는 2byte 유니코드(unicode)가 이용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글 '이'는 유니코드로 '1101011101110100'으로 코드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고, '쁜'은 '0010110001011101'로 코드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단말기 전화번호와 발신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코드변환된 예시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신자단말기에서 설정되는 수신자주소 입력항목에 사용자 설정문구가 입력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발신자단말기에서 도 8의 좌측에 있는 수신자 주소를 전송하면, 수신자단말기에서는 우측에 있는 발신자 주소를 수신받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설정문구는 빈 공간인 상태로 설정되고, 수신자주소(011-114-9999)와 발신자주소(011-333-4444)가 ASCⅡ코드로 변환되어 표시되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일정 문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뉴로 진입하여 별도의 창을 띄워 일정 문구를 설정하지 않고, 발신자 번호입력항목에 문구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소용량을 갖는 데이터 필드를 할애하지 않으며, 애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측 주소 및 수신측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화면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화면에는 발신측 주소입력항목, 수신측 주소입력항목, 별도의 입력항목이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항목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문구는 ASCⅡ코드, 유니코드 또는 GSM7코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는 한글, 숫자, 알파벳, 각종 특수문자 형태이거나, 이들이 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주소입력항목에는 기 설정된 발신자 번호가 유지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발신자 번호가 변경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방법.
  6.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메시지를 입력받으며 상기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발신측 주소입력항목, 수신측 주소입력항목, 별도의 입력항목이 구비된 메시지 발신모드로 진입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문구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문구를 포함한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81766A 2006-08-28 2006-08-28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4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766A KR101242760B1 (ko) 2006-08-28 2006-08-28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766A KR101242760B1 (ko) 2006-08-28 2006-08-28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31A KR20080019431A (ko) 2008-03-04
KR101242760B1 true KR101242760B1 (ko) 2013-03-12

Family

ID=3939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766A KR101242760B1 (ko) 2006-08-28 2006-08-28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751A (ko) * 2002-12-04 2004-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55188A (ko) * 2003-12-05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가 정의한 이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20060078464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751A (ko) * 2002-12-04 2004-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55188A (ko) * 2003-12-05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가 정의한 이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20060078464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31A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9409B2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KR20060019198A (ko) 그래픽 이모티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이모티콘 단축키의 설정 방법
US200900425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9480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242760B1 (ko)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CN100579258C (zh) 用于交互式通信的方法和设备
KR20060016710A (ko) 문자메시지내 전화번호 추출 및 저장 또는 통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0984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20060031715A (ko) 단문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55684B1 (ko)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0594771B1 (ko) 태그 문자를 이용한 확장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53515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010795B1 (ko) 휴대폰의 멀티캐스팅 방법
KR1005841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작성시 문자 기호 변환 방법
KR20020069923A (ko) 단축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수신자 번호 입력 방법
KR2006008647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전화번호부의 내용를머지하기 위한 방법
KR1006723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화면 제공 방법
KR100727225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번호자동입력방법
KR200500693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 방법
KR101100307B1 (ko) 단축기호를 이용한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방법
KR10058777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548385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057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365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댓글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