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91B1 -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 Google Patents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91B1
KR101242191B1 KR1020120129026A KR20120129026A KR101242191B1 KR 101242191 B1 KR101242191 B1 KR 101242191B1 KR 1020120129026 A KR1020120129026 A KR 1020120129026A KR 20120129026 A KR20120129026 A KR 20120129026A KR 101242191 B1 KR101242191 B1 KR 10124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fitting
fitted
suppor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호
Original Assignee
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호 filed Critical 한재호
Priority to KR102012012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4Underframes of w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에 관한 것이다. 교자상은 상판과, 제1 가로지지대들과, 제2 가로지지대들과, 세로지지대들, 및 상다리들을 포함한다. 상판은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판재들이 연결재에 의해 연결되어, 편평한 형태로 펼쳐지거나 롤 형태로 말릴 수 있게 된다. 제1 가로지지대들은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한다. 제2 가로지지대들은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한다. 세로지지대들은 펼쳐진 상판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각각의 양단이 제1,2 가로지지대에 끼움 결합된다. 상다리들은 제1,2 가로지지대들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제1,2 가로지지대들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Description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Dining table for ease storage}
본 발명은 명절, 축하연, 회식 등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때 사용되는 교자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자상(交子床)이라 함은, 명절, 축하연, 회식 등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때 차리는 상을 일컫는다. 교자상으로는 장방형의 큰 상이 쓰인다. 전래의 교자상은 길이 80~90㎝, 너비 60㎝ 내외에 높이 35㎝이고, 근래에 만들어진 것은 길이 120㎝, 너비 70㎝에 높이 35㎝ 내외이다. 교자상의 재료로는 은행나무나 피나무상판에 소나무나 화류나무로 다리를 만든다.
좌식할 사람이 많거나, 차례, 제사 등을 위해 넓은 상판 면이 필요한 경우, 상판의 길이가 짧은 교자상을 2,3개 이상 구비해 두었다가 붙여 사용하거나, 상판의 길이가 미리 길게 제작된 하나의 교자상을 구비해 두었다가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교자상을 일년에 몇 차례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교자상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교적 면적과 부피가 큰 교자상들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여의치 않다. 대체적으로, 교자상을 장롱 옆이나, 냉장고 옆 등과 같이 집안 구석에 보기 흉한 상태로 놓아두고 있기 때문에, 교자상의 보관에 애로점이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168호(2008.01.25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고 분해시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교자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은,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판재들이 연결재에 의해 연결되어, 편평한 형태로 펼쳐지거나 롤 형태로 말릴 수 있게 된 상판; 상기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제1 가로지지대들; 상기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제2 가로지지대들; 상기 펼쳐진 상판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2 가로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들; 및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상다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자상에 의하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된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매우 간편하고 깔끔하게 비교적 좁은 공간에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자상에 의하면, 종래의 교자상을 2개로 붙인 크기, 3개로 붙인 크기와 같이 원하는 대로 조절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상판의 판재들이 연결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제1 가로지지대들이 서로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상다리가 제1 가로지지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롤 형태로 말린 상판과, 분해된 제1,2 가로지지대들과 세로지지대들 및 상다리들을 모아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 가운데에 위치한 제1,2 가로지지대가 하나씩 생략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조립된 교자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상판의 판재들이 연결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100)은 상판(110)과,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제2 가로지지대(130)들과, 세로지지대(140)들, 및 상다리(150)들을 포함한다.
상판(110)은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판재(111)들이 연결재(112)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형태로 펼쳐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말릴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판(110)이 270㎝의 가로 길이와 90㎝의 세로 길이를 갖도록 설정된다면, 판재(111)들은 상판(110)의 가로방향에 따른 폭이 2~3㎝이고 상판(110)의 세로방향에 따른 길이가 90㎝로 각각 이루어져, 90~135개로 구성될 수 있다. 판재(111)들의 각 두께는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재(111)들은 편평하게 각각 놓이고 일렬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연결재(112)에 의해 연결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112)는 일정 폭을 갖고 판재(11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재(112)의 양쪽 부위는 인접한 판재(111)들에 부착되거나 끼움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재(112)는 판재(111)들이 롤 형태로 원활하게 말릴 수 있게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한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된다. 예컨대, 제1 가로지지대(120)들은 3개로 구비되고 인접한 단부끼리 끼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10)의 가로 길이가 270㎝라면, 각각의 제1 가로지지대(120)는 90㎝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다른 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된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은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함께 상판(110)을 하측에서 안정되게 받칠 수 있게 한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은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각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은 제2 가로지지대(130)들과 마주하고 있는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121)이 형성된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의 오목 턱(121)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한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의 오목 턱(121)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한쪽 가로변의 아랫면과 바깥 옆면을 지지할 수 있게 ㄴ자 형태로 제1 가로지지대(120)들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은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마주하고 있는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131)이 형성된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의 오목 턱(131)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다른 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의 오목 턱(121)과 마찬가지로, 제2 가로지지대(130)들의 오목 턱(131)들은 펼쳐진 상판(110)의 다른 쪽 가로변의 아랫면과 바깥 옆면을 지지할 수 있게 ㄴ자 형태로 제2 가로지지대(130)들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가로지지대(120)들의 오목 턱(121)들과 제2 가로지지대(130)들의 오목 턱(131)들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오목 턱(121)(131)의 함몰된 깊이는 상판(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지지대(140)들은 펼쳐진 상판(110)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각각의 양단이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된다. 예컨대, 세로지지대(140)들은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2 가로지지대(120)(130)가 3개씩 구비된다면, 2개의 세로지지대(140)들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한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에 위치한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세로지지대(140)는 대략 90㎝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로지지대(140)가 1개 더 구비되어 중앙에 위치한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다리(150)들은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예컨대, 제1,2 가로지지대(120)(130)가 3개씩 구비되는 경우, 상다리(150)들은 6개로 구비될 수 있다. 6개의 상다리(150)들 중 3개의 상다리(150)는 3개의 제1 가로지지대(120)들에 하나씩 끼움 결합되고 나머지 3개의 상다리(150)들은 3개의 제2 가로지지대(130)들에 하나씩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세로지지대(150)는 대략 30㎝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다리(150)들은 8개 이상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제1 가로지지대(120)들 간의 끼움 결합 구조 및 제2 가로지지대(130)들 간의 끼움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가로지지대(120)들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1 끼움 돌기(12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한쪽 단부에 제1 끼움 돌기(122)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끼움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끼움 돌기(122)가 제1 끼움 홈(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가로지지대(120)들은 상측 방향으로만 상대 이동해서 분리될 수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이 3개로 구비되는 경우, 우측에 위치한 제1 가로지지대(120)는 좌측 단부에 제1 끼움 돌기(122)가 형성된다. 중앙에 위치한 제1 가로지지대(120)는 우측 단부에 제1 끼움 홈(123)이 형성되고 좌측 단부에 제1 끼움 돌기(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한 제1 가로지지대(120)는 우측 단부에 제1 끼움 홈(123)이 형성된다. 제1 끼움 돌기(122)들이 제1 끼움 홈(123)들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3개의 제1 가로지지대(120)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로지지대(130)들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2 끼움 돌기(13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한쪽 단부에 제2 끼움 돌기(132)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 돌기(132)와 제2 끼움 홈(133)은 전술한 제1 끼움 돌기(122)와 제2 끼움 홈(1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지지대(140)가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지지대(140)의 양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3 끼움 돌기(14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로지지대(120)의 한쪽 측면에 제3 끼움 돌기(141)들 중 하나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로지지대(130)의 한쪽 측면에도 제1 가로지지대(120)의 제3 끼움 홈(124)와 동일한 형태의 제3 끼움 홈(134)이 형성되어 제3 끼움 돌기(141)들 중 다른 하나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3 끼움 돌기(141)는 제1 끼움 돌기(12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3 끼움 홈(124)(134)은 제1 끼움 홈(1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다리(150)들이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상다리(150)는 한쪽 단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2 다리용 돌출부(151)(152)가 형성된다. 제1 가로지지대(120)의 양쪽 옆면에 제1,2 다리용 돌출부(151)(152)가 하측으로부터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2 다리용 끼움 홈부(125)(126)가 형성된다. 제1,2 다리용 돌출부(151)(152) 사이로는 제1 가로지지대(120)의 제1,2 다리용 끼움 홈부(125)(126) 사이에 위치한 부위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다리(150)는 제1 가로지지대(12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제1 다리용 돌출부(151)는 제1 가로지지대(120)의 제1 다리용 끼움 홈부(1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 턱(12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제1,2 다리용 돌출부(151)(152)는 상다리(150)가 제1 가로지지대(1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가로지지대(120)의 제1,2 다리용 끼움 홈부(125)(126)와 마찬가지로, 제2 가로지지대(130)의 양쪽 옆면에 상다리(150)의 제1,2 다리용 돌출부(151)(152)가 하측으로부터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2 다리용 끼움 홈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교자상(1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자상(100)은 종래의 교자상을 3개 붙인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교자상(100)을 사용한 후 정리해야 될 상황이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세로 지지대(140)들을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로부터 분리시킨다. 제1 가로지지대(120)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제2 가로지지대(130)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로부터 상다리(150)들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이 롤 형태로 완전히 말린 상태가 되면, 지름이 대략 30㎝ 정도이고 길이가 대략 90㎝ 정도의 자루에 수납해둘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과, 세로 지지대(140)들, 및 상다리(150)들을 나란히 모아서 쌓게 되면, 지름이 대략 30㎝ 정도이고 길이가 대략 90㎝ 정도의 자루에 수납해둘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자상(100)은 분해된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매우 간편하고 깔끔하게 비교적 좁은 공간에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교자상을 2개 붙인 크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자상(200)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교자상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제1 가로지지대(120)를 빼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 제1 가로지지대(120)들을 끼움 결합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운데에 위치한 제2 가로지지대(130)를 빼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 제2 가로지지대(130)들을 끼움 결합시킨다. 각각의 세로지지대(140)를 제1,2 가로지지대(120)(130)에 끼움 결합시킨다. 그리고, 4개의 상다리(150)만을 사용해서 2개의 제1 가로지지대(120)들과 2개의 제2 가로지지대(130)들에 각각 끼움 결합시킨다. 이후, 상판(110)을 제1,2 가로지지대(120)(130)들에 올려놓고 펼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자상(2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완성된 교자상(200)을 종래의 교자상을 2개 붙인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상판 111..판재
120..제1 가로지지대 130..제2 가로지지대
140..세로지지대 150..상다리

Claims (3)

  1. 삭제
  2.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판재들이 연결재에 의해 연결되어, 편평한 형태로 펼쳐지거나 롤 형태로 말릴 수 있게 된 상판;
    상기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판의 한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제1 가로지지대들;
    상기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둘 이상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며, 각각의 안쪽 부위에 오목 턱이 형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판의 다른 쪽 가로 변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제2 가로지지대들;
    상기 펼쳐진 상판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2 가로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들; 및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을 하측에서 받칠 수 있게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상다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로지지대들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한쪽 단부에 상기 제1 끼움 돌기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끼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로지지대들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한쪽 단부에 상기 제2 끼움 돌기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세로지지대의 양쪽 단부에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돌출된 제3 끼움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의 각 한쪽 옆면에 상기 제3 끼움 돌기들이 각각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다리의 한쪽 단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2 다리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가로지지대들의 각 양쪽 옆면에 상기 제1,2 다리용 돌출부가 하측으로부터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2 다리용 끼움 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KR1020120129026A 2012-11-14 2012-11-14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KR10124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26A KR101242191B1 (ko) 2012-11-14 2012-11-14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26A KR101242191B1 (ko) 2012-11-14 2012-11-14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191B1 true KR101242191B1 (ko) 2013-03-15

Family

ID=4818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26A KR101242191B1 (ko) 2012-11-14 2012-11-14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81Y1 (ko) * 2014-07-30 2016-01-12 이진안 휴대용 조립식탁자
KR20160118664A (ko) 2015-04-02 2016-10-12 윤원철 절첩식 교자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85Y1 (ko) 2000-06-29 2000-12-15 김대산 휴대용 테이블
KR200271173Y1 (ko) 2001-08-03 2002-04-09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쟈바라 식)
KR20090000448U (ko) * 2007-07-12 2009-01-15 김영식 휴대용 조립형 평상
KR20110107160A (ko)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차를 이용한 자동 접이식 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85Y1 (ko) 2000-06-29 2000-12-15 김대산 휴대용 테이블
KR200271173Y1 (ko) 2001-08-03 2002-04-09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쟈바라 식)
KR20090000448U (ko) * 2007-07-12 2009-01-15 김영식 휴대용 조립형 평상
KR20110107160A (ko)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차를 이용한 자동 접이식 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81Y1 (ko) * 2014-07-30 2016-01-12 이진안 휴대용 조립식탁자
KR20160118664A (ko) 2015-04-02 2016-10-12 윤원철 절첩식 교자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183A (en) Light weight portable combination table structure for exhibition use
US8997661B1 (en) Table top extens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table top surface area of an existing table top
EP3379973B1 (en) A collapsible bed base
KR101242191B1 (ko)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TW201417747A (zh) 一種組合式桌凳
KR20120067389A (ko) 조립식 블록 텐트
CN207319574U (zh) 场景演示的模型组件
CN215583467U (zh) 可叠摞式桌具
CN208863873U (zh) 一种折叠座椅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CN103393290A (zh) 尺寸可变换型饭桌
JP6031330B2 (ja) 家具
KR101463937B1 (ko) 화분 받침대
KR101303890B1 (ko) 접이식 책상
TWM468971U (zh) 置物架之組合件
KR102280515B1 (ko) 화단겸용의자
TWM568286U (zh) Mobile combination house
JP3220849U (ja) 折畳いす収納ラック
CN202618871U (zh) 一种书架
JP3086955U (ja) 組立式置物棚
CN206482369U (zh) 一种便携式展示柜
KR101562797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2017038675A (ja) 組み立て家具
JP3130295U (ja) 折畳み棚の構造
CN204812880U (zh) 具有茶几功能的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