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515B1 - 화단겸용의자 - Google Patents

화단겸용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515B1
KR102280515B1 KR1020190108152A KR20190108152A KR102280515B1 KR 102280515 B1 KR102280515 B1 KR 102280515B1 KR 1020190108152 A KR1020190108152 A KR 1020190108152A KR 20190108152 A KR20190108152 A KR 20190108152A KR 102280515 B1 KR102280515 B1 KR 10228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flower
leg
chair
flow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829A (ko
Inventor
윤희남
Original Assignee
윤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남 filed Critical 윤희남
Priority to KR102019010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5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에 이웃하는 제2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를 연결하는 의자다리부;
상기 의자다리부의 상부에 구성된 의자상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겸용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단겸용의자{A combination chair for flower beds}
본 발명은 화단겸용담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슬릿결합을 통하여 결합하고 화단과 의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화단겸용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7 및 도8에서 화단겸용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은 꽃 식재 공간을 갖는 화분틀(10)을 배열시켜 형성하는 화단을 조성하고, 상기 화분틀(10)의 일측에 사람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인출 가능한 좌판(3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화분틀(10)은, 사각형태의 바닥부재(12)와, 상기 바닥부재(12)의 모서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4)와, 양단이 상기 지주(14)에 결합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벽(16)으로 구성되며, 중심에 상향 개방된 꽃 식재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분틀(10)의 바닥부재의 하측 표면에, 외측 방향인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개방된 수평 상태의 가이드홈(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에 인출시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된 판 상의 좌판(30)이 슬라이드 삽입된다.
또한, 다른 형태로 상기 화분틀(10)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시킨 다음, 상기 화분틀(10)의 양쪽에 비교적 큰 측면 화분틀(10a)(10b)을 연결시키고 상기 측면 화분틀(10a)과 측면 화분틀(10b)의 양쪽 대응면에 상기 화분틀(10)의 가이드홈(20)과 연통된 측면 가이드홈(20b)을 형성시켜 상기 화분틀(10)의 가이드홈(20)에 삽입된 좌판(30)의 인출시 상기 측면 가이드홈(20b)이 상기 좌판(30)의 양쪽 측단을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이드홈(20b)은, 상기 좌판(30)의 양단을 안내함과 동시에 사람 착석에 따른 하중 발생시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설치시에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화분틀(10)(10a)(10b)를 조합시켜 화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가이드홈(20)(20a)의 개방된 방향이 사람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위치의 방향으로 설정하여 설치한다.
설치 완료후 사용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상기 화분틀(10)에 구비된 좌판(30)을 당긴다. 그러면 상기 좌판(30)이 슬라이드수단의 안내로 인출되고 인출된 좌판(30)에 사람이 앉아서 휴식을 취하면 된다. 이후, 휴식이 완료되면 사람이 좌판(30)으로부터 일어선 후 좌판(30)을 화분틀(10)로 밀어 상기 좌판(30)이 가이드홈(20)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종래의 화단 설치용 인출식 의자는 구성이 복잡하고 한 번 설치되면 철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구성부품, 특히 의자부분은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구성으로 인한 비용이 고비용이며, 숙련공만이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하자로 인한 비용도 증가되어 왔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1800756(2017.11.23)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20-0362946(2004.09.22)
제1의 과제로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의자와 화단을 제공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제2의 과제로는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비전문가도 균일한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제3의 과제로는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며 부분 파손시 파손된 것을 교체하는 것으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제1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에 이웃하는 제2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를 연결하는 의자다리부;
상기 의자다리부의 상부에 구성된 의자상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의자상부는 다리부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철부와 테두리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의 내부에 각각 제1화단부바닥부와 제2화단부바닥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의자다리부는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다리부와 상기 제2다리부는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에 슬릿결합되되,
상기 제1화단부는 제1판재 내지 제4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화단부는 제5판재 내지 제8판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화단부의 상기 제1판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1슬릿부와
상기 제1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의 일측에 구성된 제11슬릿부가 슬릿결합되고,
상기 제1슬릿부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슬릿부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1판재에 구성된 제2슬릿부와
상기 제2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의 일측에 구성된 제13슬릿부가 슬릿 결합되며,
상기 제2화단부의 상기 제5판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21슬릿부와
상기 제21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의 타측에 구성된 제12슬릿부가 슬릿결합되고,
상기 제21슬릿부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21슬릿부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5판재에 구성된 제22슬릿부와
상기 제22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의 타측에 구성된 제14슬릿부가 슬릿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효과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의자와 화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의 효과는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비전문가도 균일한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의 효과는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며 부분 파손시 파손된 것을 교체하는 것으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화단겸용의자를 보이는 도이다.
제2a 및 도2b도는 의자의 상부부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서 의자의 상부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서 화단바닥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의자부의 슬릿결합을 해체한 전개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화단부와 의자부의 슬릿결합의 상태를 보이는 전개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7도 및 8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 1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화단부(100)와 이웃하는 제2화단부(200)를 구성한다.
상기 제1화단부(100)와 상기 제2화단부(200)를 연결하는 의자다리부(300)를 구성하여 상기 의자다리부(300)의 상부에 구성된 의자상부(400)를 배치하여 화단겸용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화단부와 제2화단부 및 의자부는 슬릿결합하는 것이다.
도면 2a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의자상부(400)는 다리부(300)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중앙부(410)와 테두리부(420)로 구성하여 밀접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다리부는 두개의 판재의 모서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이에 대응되도록 의자상부의 양측부분에는 요부(430)를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인 중앙부(410)와 테두리부(420)에는 철부로 구성하여 전후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2a에는 중앙부(410)에만 철부로 구성하였으나 도면2b에서는 다리부와 결합하는 요부(430)를 제외한 부분을 철부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면 3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1화단부(100)와 상기 제2화단부(200)의 내부에 각각 제1화단부바닥부(160)와 제2화단부바닥부(260)를 구성하여 일년생화초를 식재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나무를 식재하여 나무주위에 화단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단부바닥부를 제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 4 내지 도면 6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의자다리부(300)는 제1다리부(310)와 제2다리부(320)로 구성한다.
상기 제1다리부(310)와 상기 제2다리부(320)는 상기 제1화단부(100)와 상기 제2화단부(200)에 각각 슬릿결합한다.
상기 제1화단부(100)는 제1판재 내지 제4판재(110,120,130,140)로 구성되고,
상기 제2화단부(200)는 제5판재 내지 제8판재(210,220,230,240)로 구성된다.
슬릿결합하도록 구성한 전개도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1화단부(100)가 제1다리부(310)와 제2다리부(320)의 일측에 구성하는 슬릿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1화단부(100)의 상기 제1판재(110)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1슬릿부(111)와
상기 제1슬릿부(1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310)의 일측에 구성된 제11슬릿부(311)가 슬릿결합된다.
상기 제1슬릿부(111)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슬릿부(111)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1판재(110)에 구성된 제2슬릿부(112)와 상기 제2슬릿부(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320)의 일측에 구성된 제13슬릿부(322)가 슬릿 결합된다.
상기 제2화단부(200)가 제1다리부(310)와 제2다리부(320)의 타측에 구성하는 슬릿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2화단부(200)의 상기 제5판재(210)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21슬릿부(211)와 상기 제21슬릿부(2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310)의 타측에 구성된 제12슬릿부(312)가 슬릿결합된다.
상기 제21슬릿부(211)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21슬릿부(211)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5판재(210)에 구성된 제22슬릿부(212)와 상기 제22슬릿부(212)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320)의 타측에 구성된 제14슬릿부(323)가 슬릿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제1화단부(100) 및 제2화단부(200)가 의자다리부(310,320)와 결합하는 슬릿구성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제1화단부 110:제1판재 120:제2판재 130:제3판재 140:제4판재
111:제1슬릿부 112:제2슬릿부 113:제3슬릿부
114:제4슬릿부 125:제5슬릿부 126:제6슬릿부 137:제7슬릿부
138:제8슬릿부 149:제9슬릿부 150:제10슬릿부 160:제1화단바닥부
200:제2화단부 210:제5판재 220:제6판재 230:제7판재 240:제8판재
211:제21슬릿부 212:제22슬릿부 213:제23슬릿부
214:제24슬릿부 225:제25슬릿부 226:제26슬릿부 237:제27슬릿부
238:제28슬릿부 249:제29슬릿부 240a:제30슬릿부
260:제2화단바닥부
300:의자다리부 310:제1다리부 311:제11슬릿부 312:제12슬릿부
320:제2다리부 322:제13슬릿부 323:제14슬릿부
400:의자상부 410:중앙부 420:테두리부 430:요부

Claims (5)

  1. 제1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에 이웃하는 제2화단부;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를 연결하는 의자다리부;
    상기 의자다리부는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다리부와 상기 제2다리부는 상기 제1화단부와 상기 제2화단부에 슬릿결합되되,
    상기 제1화단부는 제1판재 내지 제4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화단부는 제5판재 내지 제8판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화단부의 상기 제1판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1슬릿부와
    상기 제1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의 일측에 구성된 제11슬릿부가 슬릿결합되고,
    상기 제1슬릿부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슬릿부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1판재에 구성된 제2슬릿부와
    상기 제2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의 일측에 구성된 제13슬릿부가 슬릿 결합되며,
    상기 제2화단부의 상기 제5판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성된 제21슬릿부와
    상기 제21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다리부의 타측에 구성된 제12슬릿부가 슬릿결합되고,
    상기 제21슬릿부와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21슬릿부와 평행되도록 상기 제5판재에 구성된 제22슬릿부와
    상기 제22슬릿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다리부의 타측에 구성된 제14슬릿부가 슬릿결합되며,
    상기 의자다리부의 상부에 구성된 의자상부를
    상기 의자상부는 다리부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중앙부는 철부와 테두리부는 요부로 구성되어 추가적인 결합수단없이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겸용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8152A 2019-09-02 2019-09-02 화단겸용의자 KR10228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2A KR102280515B1 (ko) 2019-09-02 2019-09-02 화단겸용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2A KR102280515B1 (ko) 2019-09-02 2019-09-02 화단겸용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29A KR20210026829A (ko) 2021-03-10
KR102280515B1 true KR102280515B1 (ko) 2021-07-21

Family

ID=7514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52A KR102280515B1 (ko) 2019-09-02 2019-09-02 화단겸용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5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707605U (zh) * 2017-06-13 2018-08-10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健康按摩板凳
KR200489434Y1 (ko) * 2018-12-20 2019-06-17 윤희남 ㄱ자형 조립식 화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46Y1 (ko) 2004-07-07 2004-09-22 영 성 왕 화단 겸용 벤치
KR20090010423U (ko) * 2008-04-09 2009-10-14 박경렬 화단경계석 기능이 있는 화분이 부설된 벤치
KR101800756B1 (ko) 2016-06-13 2017-11-23 임근우 화단 설치용 인출식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707605U (zh) * 2017-06-13 2018-08-10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健康按摩板凳
KR200489434Y1 (ko) * 2018-12-20 2019-06-17 윤희남 ㄱ자형 조립식 화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29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KR101142161B1 (ko) 서랍형 침대 프레임
US3815966A (en) Portable cabinet
KR102280515B1 (ko) 화단겸용의자
CN104352059B (zh) 一种可拆装多用途桌
CN203106329U (zh) 新型沙发床
CN204378479U (zh) 一种可伸缩折叠的两用变形桌椅
CN102907930A (zh) 一种组合式桌凳
CN204132697U (zh) 一种可拆装多用途桌
CN102772050A (zh) 一种可拼接成桌子的可升降、可拆卸的凳子
KR200464943Y1 (ko) 실험실습대
KR101242191B1 (ko) 보관이 용이한 교자상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101463937B1 (ko) 화분 받침대
CN203647379U (zh) 一种固定机构、台面基座及台车
CN205625338U (zh) 一种储物沙发
CN205568271U (zh) 可拆装茶几
CN204427125U (zh) 家用移动电脑桌
CN105962622A (zh) 一种可扩展型的方桌
CN216983018U (zh) 一种布艺宠物厕所
KR101190435B1 (ko) 다기능 가구
CN206043849U (zh) 桌上屏风插件结构
CN211021705U (zh) 一种书柜与沙发自由切换的家具
CN209733215U (zh) 一种多功能儿童桌
CN213786385U (zh) 一种可以变成小型梯子的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