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011B1 -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011B1
KR101242011B1 KR1020110120430A KR20110120430A KR101242011B1 KR 101242011 B1 KR101242011 B1 KR 101242011B1 KR 1020110120430 A KR1020110120430 A KR 1020110120430A KR 20110120430 A KR20110120430 A KR 20110120430A KR 101242011 B1 KR101242011 B1 KR 101242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old
abrasive
ultraviolet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to KR102011012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01Manufacture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09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oulds 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에 대응하는 3D 구조형상 패턴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판형의 1차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금형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긴 벨트 금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을 회전지지하며, 부분적으로 투명한 기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포함한 제 1 롤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롤 사이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3D 구조형상 패턴부에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상부에 대해 제 3 롤로부터 바탕기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기재와 상기 벨트 금형을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1 롤 상부에 배치된 가압 경화수단으로 가압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 ABRASIVE TAPE}
본 발명은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재의 양면에서 선택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테이프는 폴리싱 테이프, 랩핑 테이프, 폴리싱 필름, 랩핑 필름 등을 총칭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에 미세한 3D 구조 형상의 연마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한 초정밀 마무리 테이프로서 LCD 화면을 비롯한 모든 전자제품의 유리, 금속, 플라스틱으로 된 표면(이하 피연마면이라고 함)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가공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는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에 3D 구조 형상의 원본 무늬를 형성시켜서 금형을 형성하고, 이를 기재에 가압함으로써, 기재 표면에 원본 무늬와 동일한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마테이프의 금형으로는 원통형상 또는 판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원통형상의 금형은 연속공정을 가능하게 하여 연마테이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지만, 원통형상 자체가 소정의 각도를 갖기 때문에 3D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소요시간이 길며, 제작이 힘들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판형상의 금형은 단순하며, 제작이 용이하며 2차 금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연마테이프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원통형상 또는 판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연마테이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통형상 또는 판형상의 금형이 내구성이 있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져 빛을 투과시킬 수 없어서 바인더 또는 연마테이프의 기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금형이 빛을 투과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3D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인더가 열에 의해서 경화될 수 있는 열경화성이어야 하거나, 바인더가 광경화성인 경우에는 연마테이프의 기재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 예를 들어, 필름 등에 제한되어야 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3D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 제조 장치를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 벨트 금형을 이용하여 연속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2차 금형의 형성이 용이하며, 바인더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고, 기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나의 경화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에 대응하는 3D 구조형상 패턴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판형의 1차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금형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긴 벨트 금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을 회전지지하며, 부분적으로 투명한 기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포함한 제 1 롤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롤 사이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3D 구조형상 패턴부에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상부에 대해 제 3 롤로부터 바탕기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기재와 상기 벨트 금형을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1 롤 상부에 배치된 가압 경화수단으로 가압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 벨트 금형을 이용하여 연속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2차 금형의 형성이 용이하며, 바인더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고, 기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나의 경화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제작시 재료의 한계, 방향성의 한계, 바인더 종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소정의 방향성을 갖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금형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1차 금형을 이용하여 2차 금형인 벨트 금형을 용이하게 제조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일정한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벨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평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테이프(1)는 바탕기재(1a)의 적어도 일면에 복수개의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10)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테이프(1)에 있어서, 상기 바탕기재(1a)는 상기 복수개의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1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탕기재(1a)는 피연마제품의 굴곡지거나 불규칙한 표면에 순응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전구체의 경화 조건에 노출된 뒤에도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탕기재(1a)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 투명, 불투명, 반투명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연마돌기(10)는 바탕기재(1a)와 접촉하는 바닥면의 표면적이 상단면의 표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최상부면이 소정의 기울기, 대5 내지 10ㅀ를 갖는 기둥 모양으로, 최상부면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부면적이 바닥면적의 적어도 50 내지 80%인 것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돌기(10)를 이루는 미세한 연마입자로 인하여 초기 연삭량 및 후기 연삭량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최상부면이 삼각형 또는 마름모형상을 가지며, 최상부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아래와 같이 미세 연마재로 이루어지는 종래 연마테이프의 초기 연삭량 감소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초기 중기



말기



80% 내지 100% 불량 증가 양호
50% 내지 80% 양호 양호 양호
10% 내지 50% 양호 감소 불량
상기 바탕기재(1a)의 유연성을 유지하며, 연삭시 발열이나 상기 연마돌기(10)의 분진이 쌓임으로써 연삭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마돌기(10)는 서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돌기(10)는 상기 바탕기재(1a)와의 접촉성을 높이면서도 바탕기재(1a)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제 1 층(11)과, 상기 제 1 층(11)상에 형성되며 접착제와 미립 연삭재를 포함하는 제 2 층(13)과, 상기 제 2 층(13)상에 형성되며 접착제와 상기 미립 연삭재보다 과립인 연삭재를 포함하는 제 3 층(15)을 포함한다.
상기 연마돌기(10)는 이와 같이 독립된 층상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바탕기재(1a)와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평한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상부(15a)와 바깥쪽으로 벌어진 밑면 (11a)을 갖는 잘려진 삼각기둥 또는 마름모꼴 기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돌기(10)는 바탕기재(1a)의 일측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θ)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마돌기(10)가 바탕기재(1a)의 일측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θ)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n 행 연마돌기(10)의 제 n 열 연마돌기(10)가 상기 제 n+1 행 연마돌기(10')의 제 n열 연마돌기(10')와 오프셋 배치됨으로써 연마테이프(1)를 이용한 연마 진행시 미연마가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이와 같이, 연마돌기(10)를 오프셋 배열하는 것은 원통형 금형에서는 원통형 금형의 배향성으로 인하여 극히 어렵지만, 이후 도 2a 및 도 2b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판상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저렴하면서 간단하게 이러한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돌기(10)는 연삭재가 차등 분포되어, 과립 연삭재로 돌출하여 이루어지며, 소정각도를 갖는 제 3 층(15)에 의하여 LCD 기판 등의 유기물이나 입자 등을 초기에 쳐냄으로써 연마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층(15) 하부에 밀집된 미립 연삭재로 이루어진 제 2 층(13)에 의해서 장시간 미세 연마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유연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제 1 층(11)에 의해서 상기 바탕기재(1a)와의 견고한 접착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굴곡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도 순응하여 연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마돌기(20)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제 1 층(11)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접착제는 접착제 전구체로부터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제 전구체는 비경화 또는 비중합 상태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접착제 전구체 내의 수지가 중합 또는 경화되어 접착제가 형성된다. 접착제 전구체는 축합 경화 가능한 수지, 부가중합 가능한 수지, 자유라디칼 경화 가능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착제 전구체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연마입자로서 다이아몬드 연마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오래 지속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전구체의 중량부를 제 1 층(11) 제 2 층(13) 및 제 3 층(15)에서 차등 제어함으로써, 제 1 층(11)에서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층이 제공되고, 제 2 층(13)에서는 미립 연마재와 접착제로 이루어진 층이 제공되고, 제 3 층(15)에서는 접착제와 과립 미립자로 이루어진 층이 제공되어 내구성 있게 피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접착제 전구체는 경화제 (촉매 또는 개시제로도 알려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에너지원에 노출되면 중합반응을 개시하여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연마돌기(10, 10')의 제 2 층(13)에 포함된 연마입자는 약 0.01 마이크로미터 (작은 입자)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제 3 층(15)에 포함된 연마입자는 대략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층(13)과 제 3 층(15)의 연마입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층(15)의 연마입자가 보다 제 2 층(13)의 연마입자가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거친 연마 후 미세 연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층(15)의 연마입자가 후방으로 가라앉지 않을 수 있다.
연마입자는 산화알루미늄, 세라믹 산화알루미늄, 가열 처리 산화알루미늄, 탄화규소,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철, 다이아몬드 (천연 및 합성), 산화세륨, 입방 질화붕소, 석류석(garnet)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도 2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상 또는 판상 기재(2a)에 3D 구조 형상 패턴부(20)를 양각으로 새겨 1차 금형(2)을 형성하고, 상기 1차 금형(2)에 대해 가요성 기재(3a)를 가압하여 역 3D 구조 형상 패턴부(30)를 갖는 2차 금형(3)을 제작하여 바탕기재(1a)에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1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판상 기재(2a')에 3D 구조 형상 패턴부(20')를 음각으로 새겨 1차 금형(2')을 형성하고, 상기 1차 금형(2')에 대해 가요성 기재(3')를 가압하여 역 3D 구조 형상 패턴부(30')를 갖는 2차 금형(3')를 제작하고, 다시 또 다른 가요성 기재(3a')로 상기 2차 금형(3')에 대해 가압하여 역 3D 구조 형상 패턴부(30')를 갖는 3차 금형(3')를 제작하여, 바탕기재(1a)에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2차 또는 3차 금형(3, 3', 4')을 이용하기 때문에, 2차 또는 3차 금형(3, 3', 4')이 연삭재, 접착제 등으로 형상이 오염된 경우에 1차 금형(2, 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2차 또는 3차 금형(3. 3', 4')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1차 금형(2, 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1차 금형(2, 2')이 원통형상 금형인 경우에 이와 같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은 원통형상 금형이 매우 만들기 어렵고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는 가요성 기재(2a'. 3a')에 대해서 이형 효과를 좋게 하도록 소정의 각도(θ')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요성 기재(2a', 3a')에 대한 상기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는 소정의 각도(θ'), 즉 이 후 설명하는 한 쌍의 컨택트 롤러(110, 110'; 제 1 롤, 제 4 롤)의 직경이 커질수록 큰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좁고 높은 연마돌기(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2차 또는 3차 금형(3, 3', 4')의 양단을 결합시켜서 벨트 금형을 제조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장치(100)에 설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 제조장치(100)는, 한 쌍의 컨택트 롤러(110, 110'), 연마테이프 회수롤러(120), 바탕기재 공급롤러(130), 경화수단(140), 한 쌍의 접착제 전구체 공급롤러(150, 150'), 한 쌍의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60, 160'), 한 쌍의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70, 170'), 및 적어도 한쌍의 회전 롤러(180,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컨택트롤러(110,110')중 제 1 롤러(110)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80, 180') 중 제 2 롤러(180) 사이에 2차 또는 3차 금형(3, 3', 4')의 양단을 결합시켜 형성된 벨트 금형이 장착된다.
상기 접착제 전구체 공급롤러(150, 150')중 제 1 접착제 전구체 공급롤러(150)는 접착제 전구체 저장통(151)과 상기 접착제 전구체 저장통(151)으로부터 접착제 전구체를 떠서 상기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에 채워 넣기 위한 공급나이프(153)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60, 160')중 하나(160)는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저장통(161)과 상기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저장통(161)으로부터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를 떠서 상기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에 채워 넣기 위한 공급나이프(163)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70, 170')중 하나(170)는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 저장통(171)으로부터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를 떠서 상기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에 채워 넣기 위한 공급나이프(173)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 금형(3, 3', 4')은 상기 한 쌍의 컨택트 롤러(110, 110')중 제 1 롤러(110)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80, 180') 중 제 2 롤러(180)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벨트 금형(3, 3', 4')의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에 상기 한 쌍의 접착제 전구체 공급롤러(150, 150'), 한 쌍의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60, 160'), 한 쌍의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70, 170')의 공급나이프(153, 163, 173)가 역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제 1 층(11), 제 2 층(13), 제 3 층(15)을 역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층(11), 제 2 층(13), 제 3층(15)이 형성된 상기 벨트 금형(3)이 상기 한 쌍의 컨택트롤러(110, 110')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바탕기재 공급롤러(130)로부터 바탕기재(1a)가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컨택트롤러(110, 110')사이로 공급되며, 이 때, 상기 경화수단(140)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제 1 층(11), 제 2 층(13), 제 3 층(15)의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제 1 자외선 경화성 연삭제, 제 2 자외선 경화성 연삭제가 상기 바탕기재(1a)에 대해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마테이프(1)는 상기 회수롤러(120)에 의해서 회수되기 때문에 연마테이프(1)가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나이프(153, 163, 173)는 소정 크기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제 1 자외선 경화성 연삭제, 제 2 자외선 경화성 연삭제가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에 제공되고, 상기 접착제 전구체 공급롤러(150, 150'), 상기 제 1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60, 160'), 상기 제 2 자외선 경화 연삭제 공급롤러(170, 170')가 한 쌍으로 가압 구동되기 때문에, 기포 없이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를 채우기 때문에 연마돌기(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경화수단(140) 대신에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수용홈(110a)을 형성하고 이를 덮는 커버(113b)를 석영 또는 유리재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자외선발광다이오드(LED)(113a)를 구비하는 자외선조사수단(113)을 수용하여 가압과 동시에 경화를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조사수단(113)이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금형(3, 3', 4) 또는 바탕기재(1a)가 투명, 반투명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소재예를 들어, 종이, 천연섬유, 벌커나이즈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탕기재(1a)가 불투명한 종이 등인 경우에는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중 하부에 배치되는 컨택트 롤러(110, 110')에 자외선조사수단(113)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 금형(3, 3', 4')을 투명한 기재로 형성하여 자외선 경화수단(113)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바탕기재(1a) 상에 형성되는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를 경화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바탕기재(1a)가 투명한 합성수지재 필름인 경우에는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와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오목부(141)를 구비하며, 유압장치(142)에 의하여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 상부로 가압되며, 상기 오목부(141)를 따라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143a)로 이루어진 자외선조사수단(143)을 구비하는 상기 가압경화수단(140)을 이용하여 상기 바탕기재(1a)를 통해 상기 자외선 조사수단(143)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시켜, 상기 바탕기재(1a) 상에 형성되는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압장치(142)를 가동시켜서 상기 오목부(141)와 상기 컨택트 롤러(110, 110') 사이에 상기 바탕기재(1a)와 벨트 금형이 배치되게 하고, 상기 가압경호수단(140)의 자외선조사수단(141)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바탕기재(1a) 상에 형성되는 3D 구조 형상 패턴부(20', 30')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에 대응하는 3D 구조형상 패턴부를 갖는 원통형상 또는 판상의 1차 금형을 준비한다(S10).
상기 1차 금형에 대해서 가요성 기재를 가압하여 길이방향으로 상기 3D 구조형상 패턴부에 대응하는 역 3D 구조형상 패턴부가 형성된 2차 금형을 형성한다(S20).
상기 2차 금형의 단부를 연결하여 벨트 금형을 형성한다(S30).
상기 벨트 금형에 이형코팅처리를 한다(S40).
상기 벨트 금형을 회전지지하며, 바탕기재의 빛 특성 즉, 투과성이냐 불투명하냐에 따라 상기 바탕기재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조사수단(140, 113)을 선택하며, 상기 바탕기재가 불투명한 경우 부분적으로 투명한 기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자외선 조사수단(113)을 포함한 제 1 롤(110)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롤(120) 사이에 장착한다(S50).
상기 벨트 금형의 역 3D 구조형상 패턴부에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면서, 제 3 롤로부터 바탕기재를 공급한다(S60).
상기 바탕기재와 상기 벨트 금형을 상기 제 1 롤(110)과 상기 제 1 롤(110) 상부에 배치된 가압경화수단(140, 113)으로 가압 및 경화시킨다(S70).
상기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고 바탕기재를 공급하는 단계(S60)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적어도 1 이상의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및 경화하는 단계(S70)는 상기 벨트 금형의 상부에 대해 상기 제 3 롤(130)로부터 공급되는 바탕기재의 투명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롤(110)의 제 1 자외선조사수단9113)과 상기 제 1 롤(110) 상부의 가압 경화수단(140)의 제 2 자외선조사수단(141)을 작동시켜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다.
상기 벨트 금형이 투명소재이고, 상기 바탕기재가 투명소재인 경우에 상기 제 1 롤(110)의 제 1 자외선조사수단(113)과 상기 제 1 롤(110) 상부의 가압 경화수단(140)의 제 2 자외선조사수단(141)을 동시에 가동시켜서,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빠르게 경화시킬 수 있다.
110, 110' : 컨택트 롤러
120 : 연마테이프 회수롤러
130 : 바탕기재 공급롤러
140 : 가압경화수단
150 , 150' : 경화성 접착제 공급롤러
160, 160' : 제 1 경화성 연삭제 공급롤러
170, 170' : 제 2 경화성 연삭제 공급롤러

Claims (7)

  1. 복수개의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에 대응하는 3D 구조형상 패턴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판형의 1차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금형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긴 벨트 금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을 회전지지하며, 부분적으로 투명한 기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포함한 제 1 롤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롤 사이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3D 구조형상 패턴부에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벨트 금형의 상부에 대해 제 3 롤로부터 바탕기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기재와 상기 벨트 금형을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1 롤 상부에 배치된 가압 경화수단으로 가압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은 상기 자외선 조사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을 덮는 강화 유리 또는 석영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 조사수단은 LED로 이루어지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적어도 1 이상의 자외선 경화 연마제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벨트 금형의 상부에 대해 상기 제 3 롤로부터 공급되는 바탕기재의 투명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롤의 제 1 자외선조사수단과 상기 제 1 롤 상부의 가압 경화수단의 제 2 자외선조사수단을 작동시켜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3D 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금형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형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금형이 투명소재이고, 상기 바탕기재가 투명소재인 경우에 상기 제 1 롤의 제 1 자외선조사수단과 상기 제 1 롤 상부의 가압 경화수단의 제 2 자외선조사수단을 동시에 가동시키는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 상부의 가압 경화수단이 제 4 롤인 경우에 상기 제 2 자외선 조사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을 덮는 강화 유리 또는 석영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자외선 조사수단은 LED로 이루어지는 3D 구조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10120430A 2011-11-17 2011-11-17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242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30A KR101242011B1 (ko) 2011-11-17 2011-11-17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30A KR101242011B1 (ko) 2011-11-17 2011-11-17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011B1 true KR101242011B1 (ko) 2013-03-26

Family

ID=4818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430A KR101242011B1 (ko) 2011-11-17 2011-11-17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5492A1 (en) * 2020-06-04 2021-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complete polygonal shaped abrasive particl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WO2021245494A1 (en) * 2020-06-04 2021-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d abrasive p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021A (ko) * 1999-03-10 2000-06-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연마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13263B1 (ko) 1993-09-13 2001-12-28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연마품,이의제조방법,이를사용한마무리방법및제작용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263B1 (ko) 1993-09-13 2001-12-28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연마품,이의제조방법,이를사용한마무리방법및제작용금형
KR20000036021A (ko) * 1999-03-10 2000-06-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연마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5492A1 (en) * 2020-06-04 2021-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complete polygonal shaped abrasive particl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WO2021245494A1 (en) * 2020-06-04 2021-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d abrasive p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039B1 (ko) 연마 제품들, 및 화학적 기계적 연마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된 시스템 및 방법들
KR102292300B1 (ko) 복수의 연마 요소의 상이한 세트들을 갖는 연마 재료
US8080073B2 (en) Abrasive article having a plurality of precisely-shaped abrasive composites
TW411306B (en) Abrasive article for providing a clear surface finish on glass
RU2124978C1 (ru) Абразивное изделие,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чистовой обработки и рабоч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3874790B2 (ja) 研磨物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仕上げ用のその使用方法
US5632668A (en) Method for the polishing and finishing of optical lenses
US71923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using planarizing pads for mechanical and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microelectronic substrates
US9919406B2 (en) Abrasive material product, its production method and use method
EP0650803B1 (en) Method for the polishing and finishing of optical lenses
JP5597140B2 (ja) プラズマ処理された研磨物品及び同物品の作製方法
EP0570457B1 (en) A structured abrasive article
KR20100028294A (ko) 연마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148500A (ja) 研磨用品の製造方法
JPH07164330A (ja) 研磨材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263701B (zh) 在基底中形成凹槽的技术及具有凹槽的制品
US10265826B2 (en) Method of forming a recess in a substrate
JP2012179539A (ja) ガラス基板表面清掃装置及びガラス基板表面清掃方法
CN100452311C (zh) 镶嵌研磨垫及其制造方法
KR101242011B1 (ko) 3d구조 형상의 연마돌기를 갖는 다양한 기재의 연마테이프의 제조방법
WO2005113196A1 (en) Abrading method of curvilinear surface of workpiece
JP5146927B2 (ja) 長尺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
KR100216381B1 (ko) 연마 제품 구조물
JP3525387B6 (ja) 研磨用品の製造方法
JP5165923B2 (ja) 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