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827B1 - 전압 공급 회로 - Google Patents

전압 공급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827B1
KR101241827B1 KR1020100116889A KR20100116889A KR101241827B1 KR 101241827 B1 KR101241827 B1 KR 101241827B1 KR 1020100116889 A KR1020100116889 A KR 1020100116889A KR 20100116889 A KR20100116889 A KR 20100116889A KR 101241827 B1 KR101241827 B1 KR 10124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feedback
termin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080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제퍼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퍼로직 filed Critical (주)제퍼로직
Publication of KR2011005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전압 공급 회로가 개시된다. 전압 공급 회로는 전압 공급부, 전압 제어부, 전압 제한부를 포함한다. 전압 공급부는 부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하단에 전압을 공급하고, 전압 제어부는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feedback) 기준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전압 제한부는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도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제한 전압 이하가 되도록 제한한다. 이때, 전압 제한부는,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공급 회로의 다른 태양에서, 전압 제한부는 부하단에서 검출된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도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제한 전압 이상이 되도록 제한한다. 이때 전압 제한부는,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저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압 공급 회로{Power supply circuit}
본 발명은 전압 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전기 부하 특히 조명용 혹은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전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에 효율적으로 전력공급을 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국내 특허로 제안된 10-2008-003209(공개번호) '전기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이하 종래 장치 1)과 미국특허 US 6,690,146 'High Efficiency LED Driver' (이하 종래 장치 2)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전류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일반적으로 정전류 전원 공급 장치는 DC 전원 조정기 (20)에서 VDD 전원이 부하(13)에 공급되고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전원 조정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원(15)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된다. 부하에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각 전류원의 헤드룸(Headroom)전압(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피드백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14)'를 통해 전원 조정기(20)에 피드백(11)시킨다.
전원조정기(20)는 이 피드백된 전압에 따라 적절한 VDD를 내보냄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최대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종래 장치 1의 경우 피드백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로 각각의 부하에 비교기(종래 장치 1 특허의 1도에서 5,15, 25)와 트랜지스터(종래 장치 1 특허의 1도 7, 17, 27 등)를 포함하고 있으며, 종래 장치 2의 경우는 이들 장치를 2단자 소자인 diode (종래 장치 2 특허의 3도 320 참조)를 적용하고 있다.
종래 장치 1의 경우는 부하에 공급되는 공급전압 VDD 전압의 최대, 최소를 제한할 수 있는 장치가 있으나 이 장치는 각 전류원의 헤드룸 전압(1도에서 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14)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종래 장치 2의 경우는 종래 장치 1보다 장치(14)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VDD전압을 제한할 수 없기 때문에 부하가 단락(Short)되거나 개방(Open)되었을 때 VDD 전압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부하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최대 최소를 제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공급 회로는 전압 공급부, 전압 제어부, 전압 제한부를 포함한다.
전압 공급부는 부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하단에 전압을 공급하고, 전압 제어부는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feedback) 기준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전압 제한부는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도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제한 전압 이하가 되도록 제한한다.
이때, 전압 제한부는,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공급 전압의 최대값을 제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공급 회로의 다른 태양에서, 전압 제한부는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도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제한 전압 이상이 되도록 제한한다.
이때 전압 제한부는,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저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공급 전압의 최소값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회로에 의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부하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최대 최소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전류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공급 회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도 2의 전압 공급 회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공급 회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서, 전압 공급 회로는 전압 공급부(1100), 전압 제어부(1200), 전압 제한부(1310, 1320, 1330)를 포함한다.
전압 공급부(1100)는 부하단(200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하단(2000)에 전압을 공급하고, 전압 제어부(1200)는 부하단(2000)의 미리 설정된 위치(2100)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feedback) 기준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부하단(200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전압 제한부(1310, 1320, 1330)는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도 부하단(2000)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제한 전압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고,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도 부하단(2000)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제한 전압 이상이 되도록 제한한다.
이를 위해, 부하단(2000)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1110)과 전압 제어부(1200)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121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1310), 피드백 전압 입력단(1210)과 부하단(2000)의 미리 설정된 위치(210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항(1320), 및 피드백 전압 입력단(1210)과 접지단(3000)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저항(13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공급 전압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한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전압 공급 회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에서, 정전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은 DC 전원을 feedback 전압(VFB)에 의해 조절하는 전압 조정기(120), 부하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류원(115), 부하에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각 전류원의 Headroom(VHD) 전압을 비교해서 적절한 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feedback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114)' 그리고 feedback 전압에 따라 VDD 전원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설정할 수 있는 장치(131, 132, 133)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VFB 전압에 따라 VDD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VDD와 VFB사이에 연결된 저항(131)과, '각 전류원의 Headroom(VHD) 전압을 비교해서 적절한 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feedback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114)' 여기서는 다이오드(114)에 적절한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게 각 입력단에 공통단자에 연결된 부하(131), 그리고 보조 부하(132)로 구성된다.
이 (131,132,132) 장치의 조합을 통해 VDD값의 최댓값, 최솟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장치는 도 3에서처럼 간단하게 저항 R1, R2, R3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전원 공급장치가 동작하기 위해서 각 저항은 식(1)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0076486466-pat00001

그러면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은 식(2)의 범위로 제한된다.
Figure 112010076486466-pat00002

이 조건에서 VDD전압은 수식(3)과 같다.
Figure 112010076486466-pat00003

부하의 헤드룸(Headroom) 전압의 최솟값이 점점 커지면 VDD 값은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만약 헤드룸 전압의 최솟값이 수식(1)의 조건을 벗어날 때(헤드룸 전압이 수식(1)의 조건보다 커질 때), 피드백 전압은 수식(2)와 같이 최대값이 제한되게 되는데, 그때 VDD 전압이 최소값이 되며 그 전압은 수식(4)와 같다.
Figure 112010076486466-pat00004

그리고 만약, 부하와 전원이 개방(Open)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VHDmin 전압은 '0'으로 수렵하게 되며, 이때 VDD전압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수식(3)에 의해 전압이 다음과 같이 VDD 최댓값이 제한된다.
Figure 112010076486466-pat0000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장치(특허) 2 (미국특허 US 6,690,146)와 같이 '각 전류원의 헤드룸 전압(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피드백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전원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모든 조명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정전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은 DC 전원을 피드백 전압(VFD)에 의해 조절하는 전압 조정기(120), 부하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류원(115), 부하에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각 전류원의 헤드룸 전압(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feedback)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114)' 그리고 피드백(feedback) 전압에 따라 VDD 전원의 최댓값과 최소값을 설정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VDD 전원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설정할 수 있는 장치는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전원전압(VDD) 조절할 수 있게 VDD와 VFB사이에 연결된 소자, 부하에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각 전류원의 헤드룸 전압(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연결된 소자, 그리고 보조 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소자는 '각 전류원의 헤드룸 전압(VHD)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연결된 소자' 없이 단독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2단자 소자를 이용해서 '전류원의 Headroom(VHD) 전압을 비교해서 적절한 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feedback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를 구성하면서, VDD 전압의 최대최솟값을 설정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 종래 장치보다 간단하게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기 부하 특히 조명용 혹은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공급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전류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정전류 전원공급장치에서 '각 전류원의 헤드룸(Headroom) 전압을 비교해서 적절한 피드백(feedback) 전압(예를 들어 최소 피드백 전압 등)을 조절하는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전원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모든 조명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100: 전압 공급부
1200: 전압 제어부 1210: 피드백 전압 입력단
1310: 제 1 저항 1320: 제 2 저항
1330: 제 3 저항
2000: 부하단

Claims (3)

  1. 부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단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
    상기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feedback) 기준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상기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제한 전압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회로로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상기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상기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상기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단은 상기 전압 공급부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는 상기 접지단과 전류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는 상기 부하와 상기 전류원 사이의 위치이고,
    상기 제 2 저항과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공급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공급 회로.
  3. 부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단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
    상기 부하단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feedback) 기준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이 계속적으로 상기 피드백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도 상기 부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제한 전압 이상이 되도록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를 포함하는 전압 공급 회로로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상기 부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단과 상기 전압 제어부로 피드백 전압이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항;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단은 상기 전압 공급부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는 상기 접지단과 전류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는 상기 부하와 상기 전류원 사이의 위치이고,
    상기 피드백 전압 입력단과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공급 회로.
KR1020100116889A 2009-11-23 2010-11-23 전압 공급 회로 KR101241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969 2009-11-23
KR20090112969 2009-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080A KR20110057080A (ko) 2011-05-31
KR101241827B1 true KR101241827B1 (ko) 2013-03-18

Family

ID=4436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89A KR101241827B1 (ko) 2009-11-23 2010-11-23 전압 공급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933A (ko) * 2006-06-09 2007-12-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장비 시험용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933A (ko) * 2006-06-09 2007-12-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장비 시험용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080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323B2 (en) Serial powering of an LED string
US10129946B2 (en) High-efficiency, wide dynamic range dimming for solid-state lighting
US20080174929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US20120049741A1 (en) Current balance scheme for driving led strings and the method thereof
TWI358690B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US9936554B2 (en) Television backlight driving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EP3177112B1 (en) Temperature adaptive control circuit for a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nd/or signaling apparatus
US9095019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urrent-based analog dimming of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ors, with improved performance at low current levels
KR20150005759A (ko) 멀티 채널 led 장치를 위한 구동 전류 크기 조절 가능 led 구동 장치
KR101193343B1 (ko) 역률 개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US20090096388A1 (en) Driver for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40191740A1 (en) Voltage Converting LED Circuit with Switched Capacitor Network
KR101154837B1 (ko)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1241827B1 (ko) 전압 공급 회로
JP4971254B2 (ja) Led点灯装置
US9420655B2 (en) Method of driving LED chips of same power but different rated voltages and currents
US9955540B1 (en) Low current LED fixture internal auxiliary power supply
KR100930818B1 (ko) 전원 공급 장치
US8907575B2 (en) Light source device with light-emitting diode module
KR20140017212A (ko)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CN115176524A (zh) Led照明系统和控制方法
JP2013182377A (ja) 定電流電源装置
TWI654905B (zh) 智慧型fet電路
JP2010055490A (ja) 可変出力電圧レギュレータ
KR102214143B1 (ko) 정전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