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473B1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473B1
KR101241473B1 KR1020110034477A KR20110034477A KR101241473B1 KR 101241473 B1 KR101241473 B1 KR 101241473B1 KR 1020110034477 A KR1020110034477 A KR 1020110034477A KR 20110034477 A KR20110034477 A KR 20110034477A KR 101241473 B1 KR101241473 B1 KR 10124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type
sub
region
epi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6820A (en
Inventor
박동혁
지현종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73B1/en
Publication of KR2012011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photosensitiv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2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입 영역 및 상기 제 2 주입 영역을 열처리하여,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forming a first sub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first injection region; Forming a second sub epi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sub epi layer;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second implantation region; And heat treating the first inj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jection region to form an isolation region.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최근에는 차세대 이미지 센서로서 씨모스 이미지 센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제어회로 및 신호처리회로 등을 주변회로로 사용하는 씨모스 기술을 이용하여 단위 화소의 수량에 해당하는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반도체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모스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각 단위 화소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스위칭 방식을 채용한 소자이다. 즉,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단위 화소 내에 포토다이오드와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시킴으로써 스위칭 방식으로 각 단위 화소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Recently, CMOS image sensor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image sensors. The CMOS image sensor uses CMOS technology that uses a control circui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peripheral circuit to form MOS transisto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nit pixel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reby outputting each unit pixel by the MOS transistors. It is a device that employs a switching method that detects sequentially. That is, the CMOS image sensor implements an image by sequentially detecting an electrical signal of each unit pixel by a switching method by forming a photodiode and a MOS transistor in the unit pixel.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씨모스 제조 기술을 이용하므로 적은 전력 소모, 적은 포토공정 스텝에 따른 단순한 제조공정 등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제어회로, 신호처리회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등을 이미지 센서 칩에 집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현재 디지털 정지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CMOS image sensor has advantag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few photo process steps because of CMOS technology. In addition, since the CMOS image sensor can integrate a control circuit,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circuit, and the like into an image sensor chip, the CMOS image sensor has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of a product. Therefore, CMOS image sensors are now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 area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digital video cameras, and the like.

실시예는 높은 풀 웰 커패시터(full well capacitor) 성능을 가지고, 저조도 노이즈를 억제하는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igh full well capacitor performance and suppressing low illumination noise.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2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입 영역 및 상기 제 2 주입 영역을 열처리하여,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rming a first sub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first injection region; Forming a second sub epi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sub epi layer;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second implantation region; And heat treating the first inj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jection region to form an isolation region.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기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전형의 에피층; 및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기판에 접촉하고,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된 소자분리 영역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a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d an isolation region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d implanted with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수 개의 서브 에피층들 및 다수 개의 주입 영역들을 번갈아 형성하여, 깊이에 따라서 균일한 폭을 가지는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sub epi layers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regions may be alternately formed to form an isolation region having a uniform width according to depth.

이에 따라서, 얇은 폭을 가지는 소자분리영역에 의해서, 포토다이오드 등이 다른 반도체 소자들과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향상된 집적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hotodiode or the like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from other semiconductor devices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having a thin width. Therefo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n improved degree of integration.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에피층과 같은 도전형(예를 들어,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사용하여, 상기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스왈로우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hallow trench isolation;STI) 구조 및 N채널 필드 스탑 이온의 주입 없이도 상기 소자분리 영역이 형성됨에 따라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포토다이오드의 제 2 도전형의 영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포토다이오드 등과 같은 소자의 크기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vice isolation region is formed by using an impurity of a conductive type (eg, a first conductive type) such as an epitaxial layer. In this case, as the device isolation region is formed without a shallow trench isolation (STI) structure and an N-channel field stop ion implantation,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diffuse into a region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of a photodiode. The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size of an element such as a photodiode can be maximized.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포토다이오드 등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향상된 풀 웰 커패시터 성능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aximize the area of a photodiode or the like and can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full well capacitor performance.

또한, 물리적인 소자 분리 방식인 STI 공정이 아니라, 불순물 주입/확산을 통해 소자분리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STI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결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저조도 노이즈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isolation region is formed through impurity implantation / diffusion, not an STI process, which is a physical device isolation method. Thus, defects generated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STI structure can be reduced. For this reason,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significantly suppress low illumination noise.

또한, 상기 소자분리 영역은 제 1 도전형의 기판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은 인접하는 픽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적 크로스토크 등과 같은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이즈는 상기 소자분리 영역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흘러서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solation region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Therefore, the device isolation region can effectively block noise such as electrical crosstalk introduced from adjacent pixels. That is, the noise may be removed by flowing throug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rough the device isolation region.

도 1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1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11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패턴, 영역 또는 층 등이 각 기판, 패턴, 영역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n the case where each substrate, pattern, region or layer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of each substrate, pattern, region or layer, "On" and "under" include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he upper or lower reference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도 1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서브 에피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p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형 불순물의 예로서는 인듐, 갈륨, 붕소 또는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100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has a plate shape and is made of silic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includes a high concentration of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may include a high concentration of p-type impurities. Indium, gallium, boron, aluminum, etc. are mentioned as an example of the said p-type impurity.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은 에피텍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로 실리콘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에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is formed by an epitaxial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ub epi layer 210 may have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For example,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may be formed by growing silic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in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의 두께(T1)는 약 1.5㎛ 내지 약 2㎛일 수 있다.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may be about 1.5 μm to about 2 μm.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 기판(100)보다 더 낮은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은 상기 p형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 기판(100)보다 더 낮은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may include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t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In more detail,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may include the p-type impurity at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에 선택적으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제 1 주입 영역(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영역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re selectively implanted into the first sub epi layer 210 to form a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is formed on the first sub epi layer 210.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may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PD is to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top sid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이 형성된 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 상에 제 2 서브 에피층(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과 동일한 농도로 에피텍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로 실리콘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fter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is formed, a second sub epi layer 220 is formed on the first sub epi layer 210.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is formed by an epitaxial process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0. Accordingly,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may have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0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For example,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may be formed by growing silicon in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0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의 두께(T2)는 약 0.5㎛ 내지 약 1.5㎛일 수 있다.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220 may be about 0.5 μm to about 1.5 μ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에 선택적으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제 2 주입 영역(320)이 형성도며,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과 동일한 농도로 주입되거나, 더 고농도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영역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220 to form a second injection region 320, and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It may be inject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or may be injected at a higher concentration.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at is,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top side,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PD is to be form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이 형성된 후,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 상에 제 3 서브 에피층(2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과 동일한 농도로 에피텍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은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은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과 동일한 결정 구조로 실리콘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fter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is formed, a third sub epi layer 230 is formed on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The third sub epi layer 230 is formed by an epitaxial process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0. Accordingly, the third sub epi layer 230 may have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For example, the third sub epi layer 230 may be formed by growing silicon in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의 두께(T3)는 약 0.5㎛ 내지 약 1.5㎛일 수 있다.The thickness T3 of the third sub epi layer 230 may be about 0.5 μm to about 1.5 μm.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에 선택적으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제 3 주입 영역(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에는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과 동일한 농도 또는 더 고농도로 불순물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은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은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영역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re selectively implanted into the third sub epitaxial layer 230 to form a third injection region 330, and 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may be formed of the third conductive epitaxial layer 230. Impurities may be implanted at the same concentration or higher concentration than that of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That is, 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top side, 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may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PD is to be formed.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은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hird sub epi layer 23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 및 상기 제 3 주입 영역(330)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230)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에피층들 및 주입 영역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에피층들(210, 220, 230...)의 개수는 3개 내지 10개 일 수 있고, 각각의 에피층(210, 220, 230...)에 주입 영역들(310, 320, 3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ub epi layer 210,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the third sub epi layer 230,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and the second implantation. It is described that region 320 and the third injection region 330 ar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sub epi layers and injection region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third sub epi layer 230. For example, the number of sub epi layers 210, 220, 230... May be three to ten, and the injection regions 310 in each epi layer 210, 220, 230. , 320, 330 ...) may be formed,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에피층들(210, 220, 230...)은 하나의 에피층(200)을 형성한다. 상기 에피층(200)이 형성된 후, 상기 주입 영역들(310, 320, 330...)은 열처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피층(200)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은 약 600℃ 내지 약 850℃의 온도로 약 30초 내지 10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ub epi layers 210, 220, 230... Form one epi layer 200. After the epi layer 200 is formed, the injection regions 310, 320, 330... Are heat treated.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on which the epi layer 200 is formed may be heat treated at a temperature of about 600 ° C. to about 850 ° C. for about 30 seconds to 10 minutes.

이에 따라서, 상기 주입 영역들(310, 320, 330...)에 주입된 제 2 도전형 불순물들은 확산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에피층(200)에 소자분리 영역(300)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에 의해서 소자 영역(DR)이 정의된다.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소자 영역(DR)의 주위를 둘러싼다.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impurities implanted into the injection regions 310, 320, 330... Are diffused. Accordingl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is formed in the epi layer 200. The device region DR is defined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surrounds the device region DR.

즉,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서, 상기 주입 영역들(310, 320, 330...)은 확장되고, 서로 중첩되어,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이 형성된다.That is,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injection regions 310, 320, 330... Are expanded and overlap each other to form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이와 같이, 상기 서브 에피층들(210, 220, 230...) 및 상기 주입 영역들(310, 320, 330...)은 서로 교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에피층(200)에 원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sub epi layers 210, 220, 230... And the injection regions 310, 320, 330... Are alternately formed. Accordingl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be formed in the epi layer 200 to a desired depth.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에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서로 다른 깊이로 주입되어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에피층(200)에 얕은 깊이로 주입되고,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에피층(200)에 깊은 깊이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a first conductive impurity and a second conductive impurity are implanted into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at different depths to form a photodiode P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y is implanted into the epi layer 200 at a shallow depth,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impurity is formed at a deep depth in the epi layer 200.

즉, 상기 포토다이오드(PD)는 제 1 도전형의 영역(410) 및 제 2 도전형의 영역(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전형의 영역(410)은 상기 에피층(200)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영역(420)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영역(410) 아래에 배치된다.That is, the photodiode PD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410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420.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4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op surface of the epi lay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4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410. .

상기 에피층(200) 상에는 다수 개의 절연층 및 금속 배선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 이외에 다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and metal wire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epi layer 200. In additio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in addition to the photodiode PD.

예를 들어, 도 9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화소(Pixel, P)를 구성하도록, 상기 포토다이오드(PD) 및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 저장된 전하들의 전송 및/또는 출력 등을 제어하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 리셋 트랜지스터(Rx), 셀렉트 트랜지스터(Sx) 및 억세스 트랜지스터(Ax)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transfer and / or transfer charges stored in the photodiode PD and the photodiode PD to configure one pixel Pi and P. FIG. It may include a transfer transistor Tx, a reset transistor Rx, a select transistor Sx, and an access transistor Ax that controls an output or the like.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는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 및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Rx)가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소오스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와 접속하고,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430)은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Sx)의 소오스와 접속한다.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Sx)의 드레인(430)에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The transfer transistor Tx and the reset transistor Rx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photodiode PD. The source of the transfer transistor Tx is connected to the photodiode PD, and the drain 430 of the transfer transistor Tx is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reset transistor Sx. A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drain 430 of the reset transistor Sx.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430)은 부유 확산층(FD, floating diffusion) 역할을 한다. 상기 부유 확산층(FD)은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 및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x)는 직렬로 접속된다. 즉,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의 소오스와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x)의 드레인(430)은 서로 접속한다.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x)의 드레인(430) 및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Rx)의 소오스에는 상기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의 드레인(430)은 출력단(Out)에 해당하고,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의 게이트에는 선택 신호(Row)가 인가된다.The drain 430 of the transfer transistor Tx serves as a floating diffusion (FD). The floating diffusion layer FD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elect transistor Sx. The select transistor Sx and the access transistor Ax are connected in series. That is, the source of the select transistor Sx and the drain 430 of the access transistor Ax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drain 430 of the access transistor Ax and the source of the reset transistor Rx. The drain 430 of the select transistor Sx corresponds to an output terminal Out, and a select signal Row is applied to a gate of the select transistor Sx.

상술한 구조의 이미지 센서의 화소(P)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Rx)를 턴 온(turn on)시켜 상기 부유 확산층(FD)의 전위를 상기 전원 전압(Vdd)과 동일하게 한 후에,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Rx)를 턴 오프(turn off)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리셋 동작이라 정의한다.The operation of the pixel P of the image sens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the reset transistor Rx is turned on to make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layer FD equal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n the reset transistor Rx is turned off. Let's do it. This operation is defined as a reset operation.

외부의 광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 입사되면,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에 전자-홀 쌍(EHP; electron-hole pair)들이 생성되어 신호 전하들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에 축적된다. 이어서,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가 턴 온됨에 따라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 축적된 신호 전하들은 상기 부유 확산층(FD)으로 출력되어 상기 부유 확산층(FD)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유 확산층(FD)의 전위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서 출력된 전하의 전하량에 비례하여 변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x)의 게이트의 전위가 변한다. 이때, 선택 신호(Row)에 의해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Sx)가 턴 온되면, 데이타가 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데이타가 출력된 후에, 화소(P)는 다시 리셋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화소(P)는 이러한 과정들을 반복하여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photodiode PD, electron-hole pairs (EHP) are generated in the photodiode PD and signal charges are accumulated in the photodiode PD. Subsequently, as the transfer transistor Tx is turned on, the signal charges accumulated in the photodiode PD are output to the floating diffusion layer FD and stored in the floating diffusion layer FD. Accordingly,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layer FD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charge amount of the charge output from the photodiode PD, thereby changing the potential of the gate of the access transistor Ax. At this time, when the select transistor Sx is turned on by the selection signal Row, data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 After the data is output, the pixel P again performs a reset operation. The pixel P repeats these processes to conver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light.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포토다이오드(PD)를 둘러쌀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포토다이오드(PD)만 둘러쌀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포토다이오드(PD) 뿐만 아니라, 상기 트랜지스터들도 둘러쌀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surround the photodiode PD. In more detail,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surround only the photodiode PD. Alternativel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surround not only the photodiode PD but also the transistors.

또한, 도 10과 다르게,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FIG. 10,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have a closed loop shape.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다수 개의 서브 에피층들(210, 220, 230...) 및 다수 개의 주입 영역들(310, 320, 330...)을 번갈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의 폭은 깊이에 따라서 균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은 상기 에피층(200)에서 원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sub epi layers 210, 220, 230...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regions 310, 320, 330.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be uniform depending on the depth. In addition,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may be formed to a desired depth in the epi layer 200.

이에 따라서, 얇은 폭을 가지는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에 의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PD)가 다른 반도체 소자들과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소자 분리 방식인 STI 구조의 소자 분리막과 비교했을 때, 향상된 집적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hotodiode PD may be effectively separated from other semiconductor devices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having a thin width. Therefo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n improved degree of integration as compared to the device isolation layer of the STI structure which is a general device isolation method.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에피층(200)과 동일한 도전형(예를 들어,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사용하여, 얇은 폭의 소자분리 영역(30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의 제 2 도전형의 영역(420)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토다이오드(PD)의 크기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having a thin width is formed by using the same conductivity type (e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s the epi layer 200. . Accordingly, the phenomenon in which the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iffuse into the region 420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of the photodiode PD may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ize of the photodiode PD can be maximized.

종래의 소자분리 방식은 STI방식으로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후, 추가적인 N채널 필드 스탑 이온(제 1 도전형)주입을 하기 때문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의 제 2 도전형 영역(420)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허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풀 웰 커패시터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device isolation method, since the device isolation film is formed by the STI method, additional N-channel field stop ions (first conductivity type) are implanted, so tha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ies ar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of the photodiode PD. The diffusion into the region 420 may be allowed, which may cause a loss of the full well capacitor.

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소자분리 영역(300)을 형성하여, 상기 포토다이오드(PD)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향상된 풀 웰 커피시터 성능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orm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0 to maximize the area of the photodiode PD and provide an image sensor having improved full well coffee sheet performance. Can be.

도 11 내지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참조한다. 즉, 앞선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변경된 부분을 제외하고, 본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11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reference is made to the image sensor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is,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may be essentially combin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xcept for the changed part.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서브 에피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0)의 두께(T4)는 약 0.5㎛ 내지 약 1.5㎛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first sub epitaxial layer 210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100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The thickness T4 of the first sub epi layer 210 may be about 0.5 μm to about 1.5 μm.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에 에피텍셜 공정에 의해서 실리콘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1 may be direct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1 may be formed by growing silic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by an epitaxial process.

이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에 선택적으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제 1 주입 영역(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영역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Thereafter, a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y is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211 to form a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sub epi layer 211.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may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PD is to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top sid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이 형성된 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 상에 제 2 서브 에피층(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에피텍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은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211)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동일한 결정 구조로 실리콘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fter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is formed, a second sub epi layer 220 is formed on the first sub epi layer 211.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220 is formed by an epitaxial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may have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1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For example,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may be formed by growing silicon in the same crystal structure as the first sub epi layer 211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의 두께(T5)는 약 0.5㎛ 내지 약 1.5㎛일 수 있다.The thickness T5 of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may be about 0.5 μm to about 1.5 μm.

이후,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에 선택적으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제 2 주입 영역(3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상기 제 1 주입 영역(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주입 영역(32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영역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Thereafter, a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y is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220 to form a second injection region 320.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at is,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jection region 310.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top side, the second injection region 320 may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PD is to be formed.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220) 상에, 차례로, 제 3 서브 에피층, 제 3 주입 영역(330), 제 4 서브 에피층, 제 4 주입 영역(340), 제 5 서브 에피층, 제 5 주입 영역(350), 제 6 서브 에피층 및 제 6 주입 영역(36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3, on the second sub epi layer 220, a third sub epi layer, a third injection region 330, a fourth sub epi layer, a fourth injection region 340, and a fifth The sub epi layer, the fifth injection region 350, the sixth sub epi layer and the sixth injection region 360 are forme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6 서브 에피층(211, 220...)은 에피층(20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6 주입 영역(310...360)은 열처리되고, 소자분리 영역(30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to sixth sub epi layers 211, 220... Form an epi layer 201. In addition, the first to sixth injection regions 310... 360 are heat treated, and an isolation region 301 is formed.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상기 에피층(201)을 관통할 수 있다.The isolation region 30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That is,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1 may pass through the epitaxial layer 201.

이에 따라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상기 포토다이오드(PD)를 효과적을 격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상기 포토다이오드(PD)를 인접하는 포토다이오드(PD) 등과 같은 소자와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1 may effectively isolate the photodiode PD. That is,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1 may efficiently separate the photodiode PD from an element such as an adjacent photodiode PD.

따라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301)은 인접하는 소자로부터의 크로스토크(crosstalk) 등과 같은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301 can effectively block noise such as crosstalk from adjacent devices.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향상된 감도를 가질 수 있다.Thus,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sensitivity.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13)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2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입 영역 및 상기 제 2 주입 영역을 열처리하여,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분리 영역에 의해서 정의되는 소자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소자 분리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sub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first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first injection region;
Forming a second sub epi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sub epi layer;
Implan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second implantation region; And
Heat treating the first inj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jection region to form an isolation region;
And forming a photodiode positioned within the device region defined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and surrounded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입 영역 및 상기 제 2 주입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nj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jection region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기판에 직접 접촉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isolation reg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 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3 서브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3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implant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ies in the second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second injection region,
Forming a third sub epi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second sub epi layer; And
And inject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nto the third sub epitaxial layer to form a third injection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에피층, 상기 제 3 서브 에피층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제 1 서브 에피층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와 동일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ies in the second sub epi layer and the third sub epi layer is the same as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ies in the first sub epi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입 영역에 주입되는 제 1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제 1 주입 영역에 주입되는 제 1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와 같거나 더 큰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y implanted in the second implantation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mpurity implanted in the first implantation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주입 영역, 상기 제 2 주입 영역 및 상기 제 3 주입 영역을 열처리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forming of the device isolation region,
And manufacturing the first injection region, the second injection region, and the third injection reg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p-type.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기 제 1 도전형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전형의 에피층
상기 제 1 도전형의 에피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도전형의 에피층
상기 제 2 도전형의 에피층 상에 배치되는 제 3 도전형의 에피층;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피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기판에 접촉하고,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된 소자분리 영역; 및
상기 소자분리 영역에 의해서 정의되는 소자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소자 분리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ubstrate.
Epi layer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isposed on the epi layer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third conductivity type disposed on the epitaxial layer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And
An isolation region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epitaxial layer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d implanted with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d
And a photodiode disposed within the device region defined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wherein the photodiode is surrounded by the device isolation reg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인 반도체 소자.The semiconductor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p-type.
KR1020110034477A 2011-04-13 2011-04-13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KR101241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77A KR101241473B1 (en) 2011-04-13 2011-04-13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77A KR101241473B1 (en) 2011-04-13 2011-04-13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820A KR20120116820A (en) 2012-10-23
KR101241473B1 true KR101241473B1 (en) 2013-03-11

Family

ID=4728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477A KR101241473B1 (en) 2011-04-13 2011-04-13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331A (en)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331A (en)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820A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67B1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60913B1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895650A (en) Solid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88347B1 (en) Vertical-type CMOS Image Sensor, Method of Manafu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Gettering the same
US10504956B2 (en) Photogate for front-side-illuminated infrared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20534B1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97539B1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741877B1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099279A1 (en) Image sensor with deep wel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531391B2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41473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KR100778858B1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33718A (en)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60055812A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cmos image sensor
KR100792335B1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sensor
KR20170100225A (en) Isolation structure and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KR20070033694A (en) MOS image sensor manufacturing method
KR100710182B1 (en) light blocking layer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127498A (en) Method of fabricating cmos image sensor to reduce the dark current
KR100672689B1 (en) COMS image sensor
KR20100076413A (en) Unit pixel i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937674B1 (en) Method for fabricating of CMOS Image sensor
KR20060077703A (en) Photo diode in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72709B1 (en) Floating diffusion junction in CMOS image sensor
KR20110079350A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