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64B1 -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64B1
KR101241364B1 KR20120088888A KR20120088888A KR101241364B1 KR 101241364 B1 KR101241364 B1 KR 101241364B1 KR 20120088888 A KR20120088888 A KR 20120088888A KR 20120088888 A KR20120088888 A KR 20120088888A KR 101241364 B1 KR101241364 B1 KR 10124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aggregate
weight
water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김유석
신현영
김경오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12008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골재에 함유된 75㎛ 이하의 미립분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고, 골재에 포함된 미립분의 함량에 따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목표강도를 발현하기 위한 고화재 및 첨가제의 함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IXED COMPOSITE IN THE ASPECT OF FEATURE AND CONTENT OF FINE PARTICLE}
본 발명은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골재에 함유된 75㎛ 이하의 미립분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고, 골재에 포함된 미립분의 함량에 따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목표강도를 발현하기 위한 고화재의 함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다량의 산업 부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 부산물의 처리 방법은 대부분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매립에 의한 처리방법은 2차적인 환경문제를 발생시킴에 따라 산업 부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중의 하나로 콘크리트나 모르타트와 같은 유동성 혼합조성물에 현장 발생토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국내 특허등록공보 10-0805676호(건설현장 잔토의 재활용이 가능한 고유동성 무다짐 유동화처리토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현장 발생토를 사용하는 방법은 현장 발생토를 종류에 따라 SW, SM, SC, ML, CL과 같이 5종류로 구분하고, 현장 발생토와 물과 고화재의 함량을 단위체적당 배합비로 규정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SW SM SC ML CL
현장토비(%) 53.3 60.0 43.5 38.8 32.4
W/C(%) 209~215 189~195 204~210 238~244 209~215
촉진제 15.5
한편, 통일분류법에 의하면 200번체(75㎛) 통과량이 50% 미만일 때 SW, SM, SC로, 50%를 초과할 때 ML과 CL로 구분한다. 이때 다시, 200번체 통과량이 ML과 CL은 다시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소성도표에 의해 액성한계가 50% 이하이며 A-라인(Line) 상부에 위치한 토사를 CL로 액성한계 50% 미만이며 A-Line 하부에 위치한 흙을 ML로 구분한다. 또한, 200번체 통과량이 50% 미만인 경우에도 4.75㎜체를 통과하는 량이 50% 이상인 경우에 대해 입도분포가 양호한 경우를 SW, 실트질모래나 모래실트 혼합토를 SM, 점토질 모래이거나 모래점토의 혼합토를 SC로 구분한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5종의 토사를 포함하여 통일분류법상의 토질분류는 GW, GP, GM, GC, SW, SP, SM, SC, ML, CL, OL, MH, CH, OH, Pt와 같이 총 15종에 이르므로 기존 제안의 적용범위는 5종의 토질분류에 한정되어 있어 적용범위가 매우 작다.
실제로 골재 내부에서의 고화반응은 활성도가 높은 알루미네이트 계열의 특수광물 및 황산염계 물질을 기초로 한 미분말이 토양과 혼합하여 수화반응에 의해 침상의 에트링자이트(3CaO.Al2O3, 3CaSO4.32H2O)를 형성하여 입자간 가교를 형성하는 원리로 진행된다. 결국, 골재 내부의 200번체를 통과하는 미분말 함량에 의해 고화반응시 그 특성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골재가 물을 함유함으로서 발생하는 점성 또한 골재에 포함된 미분말이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함수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현장에서 유동성 혼합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레미콘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경우에서 골재를 표건상태로 유지하고 단위체적당 중량이 일정한 것과는 달리, 현장 발생토나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현장배합시 골재를 표건상태로 유지할 수도 없고, 느슨한 상태에서 단위체적당 중량이 수시로 변동되며, 배차플랜트가 아닌 현장배합에 의해 시공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상기 체적배합의 원리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08056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재에 함유된 75㎛ 이하의 미립분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고, 골재에 포함된 미립분의 함량에 따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목표강도를 발현하기 위한 고화재의 함량을 결정함으로써 시공성을 확보하고 현장품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석탄회, 현장발생 불량토, 폐토, 준설토, 슬러지, 폐콘크리트 등과 같은 폭넓은 산업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골재, 물, 고화재를 포함하는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에 함유된 직경 75㎛ 이하 미분말의 특성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되, 상기 골재의 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C1, 10% 초과 20% 이하는 C2, 20% 초과 30% 이하는 C3, 30% 초과 40% 이하는 C4, 40% 초과 50% 이하는 C5, 50% 초과 60% 이하는 C6, 60% 초과 70% 이하는 C7, 70% 초과 80% 이하는 C8, 80% 초과 90% 이하는 C9, 기타 90% 초과는 점토로 명명하고, 상기 골재의 비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비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M1, 10% 초과 20% 이하는 M2, 20% 초과 30% 이하는 M3, 30% 초과 40% 이하는 M4, 40% 초과 50% 이하는 M5, 50% 초과 60% 이하는 M6, 60% 초과 70% 이하는 M7, 70% 초과 80% 이하는 M8, 80% 초과 90% 이하는 M9, 기타 90% 초과는 실트로 명명하며,
상기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점성질인 경우 상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C1은 골재 67.4~70.6중량%, 물 24.0~24.7중량%, 고화재 5.4~7.9중량%,
C2는 골재 66.9~70.2중량%, 물 23.9~24.6중량%, 고화재 5.9~8.5중량%,
C3는 골재 63.3~67.3중량%, 물 26.3~27.2중량%, 고화재 6.4~9.5중량%,
C4는 골재 58.3~63.3중량%, 물 29.9~31.1중량%, 고화재 6.8~10.6중량%,
C5는 골재 52.9~59.2중량%, 물 33.6~35.4중량%, 고화재 7.2~11.7중량%,
C6는 골재 48.1~55.7중량%, 물 36.9~39.2중량%, 고화재 7.4~12.7중량%,
C7은 골재 44.4~52.9중량%, 물 39.5~42.2중량%, 고화재 7.6~13.4중량%,
C8은 골재 41.9~51.2중량%, 물 41.1~44.1중량%, 고화재 7.7~14.0중량%,
C9은 골재 40.7~50.4중량%, 물 41.7~44.9중량%, 고화재 7.9~14.4중량%로 배합되고,
상기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비점성질인 경우 상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M1은 골재 69.7~72.3중량%, 물 22.4~22.9중량%, 고화재 5.3~7.4중량%,
M2는 골재 69.5~72.1중량%, 물 22.3~22.8중량%, 고화재 5.6~7.7중량%,
M3는 골재 67.2~70.0중량%, 물 24.0~24.6중량%, 고화재 6.0~8.2중량%,
M4는 골재 63.6~66.8중량%, 물 26.8~27.5중량%, 고화재 6.4~8.9중량%,
M5는 골재 59.5~63.4중량%, 물 29.9~30.8중량%, 고화재 6.7~9.7중량%,
M6는 골재 55.6~60.2중량%, 물 32.8~34.0중량%, 고화재 7.0~10.4중량%,
M7은 골재 52.3~57.6중량%, 물 35.2~36.7중량%, 고화재 7.2~11.0중량%,
M8은 골재 51.6~55.7중량%, 물 36.9~38.6중량%, 고화재 7.4~11.4중량%,
M9은 골재 48.6~54.7중량%, 물 37.8~39.6중량%, 고화재 7.5~11.8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골재는 모든 골재와 산업 부산물 및 토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르면, 골재에 함유된 75㎛ 이하의 미립분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고, 골재에 포함된 미립분의 함량에 따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목표강도를 발현하기 위한 고화재 및 첨가제의 함량을 결정함으로써 시공성을 확보하고 현장품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석탄회, 현장발생 불량토, 폐토, 준설토, 슬러지, 폐콘크리트 등과 같은 폭넓은 산업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미분말 종류별 함량에 따른 유동성 500mm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골재 함수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함수비 상태에서 점성질 미분말 함량에 따른 28일강도 1MPa 도달을 위한 고화재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함수비 상태에서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에 따른 28일강도 1MPa 도달을 위한 고화재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은 골재와, 물, 고화재를 포함하는 유동성 혼합 조성물중 골재에 함유된 직경 75㎛ 이하 미분말의 특성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여 유동성 혼합 조성물을 배합한다.
이때, 골재는 모든 골재와 산업 부산물 및 토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골재의 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C1, 10% 초과 20% 이하는 C2, 20% 초과 30% 이하는 C3, 30% 초과 40% 이하는 C4, 40% 초과 50% 이하는 C5, 50% 초과 60% 이하는 C6, 60% 초과 70% 이하는 C7, 70% 초과 80% 이하는 C8, 80% 초과 90% 이하는 C9, 기타 90% 초과는 점토로 명명한다.
한편,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점성질인 경우 상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C1은 골재 67.4~70.6중량%, 물 24.0~24.7중량%, 고화재 5.4~7.9중량%, C2는 골재 66.9~70.2중량%, 물 23.9~24.6중량%, 고화재 5.9~8.5중량%, C3는 골재 63.3~67.3중량%, 물 26.3~27.2중량%, 고화재 6.4~9.5중량%, C4는 골재 58.3~63.3중량%, 물 29.9~31.1중량%, 고화재 6.8~10.6중량%, C5는 골재 52.9~59.2중량%, 물 33.6~35.4중량%, 고화재 7.2~11.7중량%, C6는 골재 48.1~55.7중량%, 물 36.9~39.2중량%, 고화재 7.4~12.7중량%, C7은 골재 44.4~52.9중량%, 물 39.5~42.2중량%, 고화재 7.6~13.4중량%, C8은 골재 41.9~51.2중량%, 물 41.1~44.1중량%, 고화재 7.7~14.0중량%, C9은 골재 40.7~50.4중량%, 물 41.7~44.9중량%, 고화재 7.9~14.4중량%로 배합된다.
그리고, 골재의 비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비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M1, 10% 초과 20% 이하는 M2, 20% 초과 30% 이하는 M3, 30% 초과 40% 이하는 M4, 40% 초과 50% 이하는 M5, 50% 초과 60% 이하는 M6, 60% 초과 70% 이하는 M7, 70% 초과 80% 이하는 M8, 80% 초과 90% 이하는 M9, 기타 90% 초과는 실트로 명명한다.
또한,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비점성질인 경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M1은 골재 69.7~72.3중량%, 물 22.4~22.9중량%, 고화재 5.3~7.4중량%, M2는 골재 69.5~72.1중량%, 물 22.3~22.8중량%, 고화재 5.6~7.7중량%, M3는 골재 67.2~70.0중량%, 물 24.0~24.6중량%, 고화재 6.0~8.2중량%, M4는 골재 63.6~66.8중량%, 물 26.8~27.5중량%, 고화재 6.4~8.9중량%, M5는 골재 59.5~63.4중량%, 물 29.9~30.8중량%, 고화재 6.7~9.7중량%, M6는 골재 55.6~60.2중량%, 물 32.8~34.0중량%, 고화재 7.0~10.4중량%, M7은 골재 52.3~57.6중량%, 물 35.2~36.7중량%, 고화재 7.2~11.0중량%, M8은 골재 51.6~55.7중량%, 물 36.9~38.6중량%, 고화재 7.4~11.4중량%, M9은 골재 48.6~54.7중량%, 물 37.8~39.6중량%, 고화재 7.5~11.8중량%로 배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험예》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미분말 함량을 보유한 시료에 대해 실내 배합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미분말 종류별 함량에 따른 유동성 500mm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골재 함수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도1의 함수비 상태에서 점성질 미분말 함량에 따른 28일강도 1MPa 도달을 위한 고화재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도1의 함수비 상태에서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에 따른 28일강도 1MPa 도달을 위한 고화재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1은 점성질과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이 10%에서 90%까지 변화할 때 본 발명의 기준 플로우(Flow)인 500㎜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이고, 도 2 및 도 3은 미분말 성분이 점성질 및 비점성질인 경우 10%에서 90%까지 함량이 변화될때 경우 28일 목표강도 1MPa에 도달하기 위한 고화재의 최소 함유량과 최대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1
는 물의 무게,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2
는 미분말이 함유된 골재의 무게로서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3
는 토질역학적 의미로 함수비를 의미한다. 도 2와 도 3에서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4
는 점성질 미분말의 무게이고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5
는 비점성질 미분말의 무게로서 각각 200번체(75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6
)를 통과하는 입자크기를 갖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7
는 점성질 미분말이 함유된 건조된 골재의 총량에 함유된 점성질 미분말의 중량비를 의미하며,
Figure 112012065099321-pat00008
는 비점성질 미분말이 함유된 건조된 골재의 총량에 함유된 비점성질 미분말의 중량비를 의미한다.
다양한 경우에 대한 시험결과로부터 유동성 혼합소성물에서 500㎜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의 첨가량은 미분말의 함량에 따라 도 1과 같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지정된 고화강도를 달성하기 위한 고화재의 함량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비선형적인 증가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1과 도 2, 또는 도 1과 도 3을 이용하면 미분말 함량에 대한 간단한 조사결과만 있어도 28일이나 소요되는 배합시험 결과 없이 개략적인 배합비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 또는 도 1과 도 3의 경향을 기준으로 점성질과 비점성질 미분말이 함유된 골재를 대상으로 목표강도에 도달하기 위한 유동성 혼합소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2(28일 목표강도 1MPa 도달을 위한 미분말 함량별 배합중량표)와 같다.
조건 최소 고화재량 기준 최대 고화재량 기준
점성질
미분말
함량(%)
표기 골재중량
(%)
고화재
중량(%)
물 중량
(%)
골재중량
(%)
고화재
중량(%)
물 중량
(%)
10 C1 69.9 5.4 24.7 68.1 7.9 24.0
20 C2 69.4 5.9 24.6 67.6 8.5 23.9
30 C3 66.4 6.4 27.2 64.2 9.5 26.3
40 C4 62.0 6.8 31.1 59.5 10.6 29.9
50 C5 57.5 7.2 35.4 54.6 11.7 33.6
60 C6 53.4 7.4 39.2 50.4 12.7 36.9
70 C7 50.2 7.6 42.2 47.1 13.4 39.5
80 C8 48.1 7.7 44.1 44.8 14.0 41.1
90 C9 47.2 7.9 44.9 43.9 14.4 41.7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
표기 골재중량
(%)
고화재
중량(%)
물 중량
(%)
골재중량
(%)
고화재
중량(%)
물 중량
(%)
10 M1 71.8 5.3 22.9 70.2 7.4 22.4
20 M2 71.6 5.6 22.8 70.1 7.7 22.3
30 M3 69.4 6.0 24.6 67.8 8.2 24.0
40 M4 66.1 6.4 27.5 64.3 8.9 26.8
50 M5 62.4 6.7 30.8 60.5 9.7 29.9
60 M6 59.0 7.0 34.0 56.8 10.4 32.8
70 M7 56.1 7.2 36.7 53.8 11.0 35.2
80 M8 54.0 7.4 38.6 51.6 11.4 36.9
90 M9 52.9 7.5 39.6 50.4 11.8 37.8
상기의 표 2를 따르면 미분말 성분이 점성질인 경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최소배합의 경우 골재의 최소값은 47.2중량%이고, 최대값은 69.9중량%이며, 물의 최소값은 24.7중량%이고, 최대값은 44.9중량%이며, 고화재의 최소값은 5.4중량%이고, 최대값은 7.9중량%로 배합되고, 최대배합의 경우 골재의 최소값은 43.9중량%이고, 최대값은 68.1중량%이며, 물의 최소값은 24.0중량%이고, 최대값은 41.7중량%이며, 고화재의 최소값은 7.9중량%이고, 최대값은 14.4중량%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비점성질인 경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최소배합의 경우 골재의 최소값은 52.9중량%이고, 최대값은 71.8중량%이며, 물의 최소값은 22.9중량%이고, 최대값은 39.6중량%이며, 고화재의 최소값은 5.3중량%이고, 최대값은 7.5중량%로 배합되고, 최대배합의 경우 골재의 최소값은 50.4중량%이고, 최대값은 70.2중량%이며, 물의 최소값은 22.4중량%이고, 최대값은 37.8중량%이며, 고화재의 최소값은 7.4중량%이고, 최대값은 11.8중량%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동성 혼합소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도 1과 도 2, 또는 도 1과 도 3 및 표 1을 이용하여, 28일 이상의 장기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별도의 배합시험을 수행하지 않고도, 기준 배합강도인 1MPa 이상을 달성하는 최적의 배합조건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유동성 혼합소성물의 제조 기준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항목 내용
골재의 종류 다양한 산업부산물 파쇄물 :
매립석탄회, 불량토, 폐토, 준설토, 슬러지, 폐콘크리트 파쇄물 등
골재의 특징 골재에 함유된 점성질과 비점성질 미립분 함량에 따라
유동성 확보를 위한 물의 첨가량과
고화강도 도달을 위한 고화재 함량을 차등 적용
플로우(Flow) 500㎜ 이상 (KS F 2402 기준)
일축압축강도 재령 24시간 : 0.13MPa 이상, 재령 3일 : 0.2MPa 이상,
재령 28일(재굴착 필요시) : 1MPa 이하
재령 28일(재굴착 불필요시) : 1MPa 이상~8MPa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골재, 물, 고화재를 포함하는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에 함유된 직경 75㎛ 이하 미분말의 특성을 점성질과 비점성질로 구분하되, 상기 골재의 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C1, 10% 초과 20% 이하는 C2, 20% 초과 30% 이하는 C3, 30% 초과 40% 이하는 C4, 40% 초과 50% 이하는 C5, 50% 초과 60% 이하는 C6, 60% 초과 70% 이하는 C7, 70% 초과 80% 이하는 C8, 80% 초과 90% 이하는 C9, 기타 90% 초과는 점토로 명명하고, 상기 골재의 비점성질 미분말 성분은 골재의 총 무게를 기준으로 미분말의 함량을 10%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비점성질 미분말의 함량기준 표기법으로 비점성질 미분말 함량 10% 이하는 M1, 10% 초과 20% 이하는 M2, 20% 초과 30% 이하는 M3, 30% 초과 40% 이하는 M4, 40% 초과 50% 이하는 M5, 50% 초과 60% 이하는 M6, 60% 초과 70% 이하는 M7, 70% 초과 80% 이하는 M8, 80% 초과 90% 이하는 M9, 기타 90% 초과는 실트로 명명하며,
    상기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점성질인 경우 상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C1은 골재 67.4~70.6중량%, 물 24.0~24.7중량%, 고화재 5.4~7.9중량%,
    C2는 골재 66.9~70.2중량%, 물 23.9~24.6중량%, 고화재 5.9~8.5중량%,
    C3는 골재 63.3~67.3중량%, 물 26.3~27.2중량%, 고화재 6.4~9.5중량%,
    C4는 골재 58.3~63.3중량%, 물 29.9~31.1중량%, 고화재 6.8~10.6중량%,
    C5는 골재 52.9~59.2중량%, 물 33.6~35.4중량%, 고화재 7.2~11.7중량%,
    C6는 골재 48.1~55.7중량%, 물 36.9~39.2중량%, 고화재 7.4~12.7중량%,
    C7은 골재 44.4~52.9중량%, 물 39.5~42.2중량%, 고화재 7.6~13.4중량%,
    C8은 골재 41.9~51.2중량%, 물 41.1~44.1중량%, 고화재 7.7~14.0중량%,
    C9은 골재 40.7~50.4중량%, 물 41.7~44.9중량%, 고화재 7.9~14.4중량%로 배합되고,
    상기 골재의 미분말 성분이 비점성질인 경우 상기 유동성 혼합 조성물의 배합비는,
    M1은 골재 69.7~72.3중량%, 물 22.4~22.9중량%, 고화재 5.3~7.4중량%,
    M2는 골재 69.5~72.1중량%, 물 22.3~22.8중량%, 고화재 5.6~7.7중량%,
    M3는 골재 67.2~70.0중량%, 물 24.0~24.6중량%, 고화재 6.0~8.2중량%,
    M4는 골재 63.6~66.8중량%, 물 26.8~27.5중량%, 고화재 6.4~8.9중량%,
    M5는 골재 59.5~63.4중량%, 물 29.9~30.8중량%, 고화재 6.7~9.7중량%,
    M6는 골재 55.6~60.2중량%, 물 32.8~34.0중량%, 고화재 7.0~10.4중량%,
    M7은 골재 52.3~57.6중량%, 물 35.2~36.7중량%, 고화재 7.2~11.0중량%,
    M8은 골재 51.6~55.7중량%, 물 36.9~38.6중량%, 고화재 7.4~11.4중량%,
    M9은 골재 48.6~54.7중량%, 물 37.8~39.6중량%, 고화재 7.5~11.8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모든 골재와 산업 부산물 및 토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120088888A 2012-08-14 2012-08-14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KR10124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8888A KR101241364B1 (ko) 2012-08-14 2012-08-14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8888A KR101241364B1 (ko) 2012-08-14 2012-08-14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364B1 true KR101241364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8888A KR101241364B1 (ko) 2012-08-14 2012-08-14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96B1 (ko) 2016-04-25 2017-02-02 (주)대우건설 이산화탄소 포집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혼합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096B1 (ko) 1991-06-25 1999-06-15 츠지오카 아키히로 콘크리트 조성물
KR100290051B1 (ko) 1999-04-30 2001-05-15 최익순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조성물
JP4744813B2 (ja) * 2004-03-30 2011-08-10 株式会社熊谷組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195398A (ja) 2010-03-23 2011-10-06 Ube Industries Ltd セルフレベリング性水硬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096B1 (ko) 1991-06-25 1999-06-15 츠지오카 아키히로 콘크리트 조성물
KR100290051B1 (ko) 1999-04-30 2001-05-15 최익순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조성물
JP4744813B2 (ja) * 2004-03-30 2011-08-10 株式会社熊谷組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195398A (ja) 2010-03-23 2011-10-06 Ube Industries Ltd セルフレベリング性水硬性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96B1 (ko) 2016-04-25 2017-02-02 (주)대우건설 이산화탄소 포집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혼합조성물
WO2017188469A1 (ko) * 2016-04-25 2017-11-02 (주)대우건설 이산화탄소 포집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혼합조성물
CN107709266A (zh) * 2016-04-25 2018-02-16 株式会社大宇建设 利用二氧化碳捕集副产物的流动性混合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5814C1 (ru) Высокопрочный бетон
DE212012000163U1 (de) Baustoffmischung
DE202005015351U1 (de) Flexibles Baustoffsystem
KR101241364B1 (ko) 미분말의 특성과 함량에 따른 유동성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
RU2460703C1 (ru)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смесь
JP5347075B1 (ja) 中性子遮蔽コンクリート
JP2008189491A (ja) 超高強度モルタル組成物、超高強度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超高強度モルタル組成物の製造方法
EP1963414A1 (en) Use of pulverized glass in a composite material
RU2436819C1 (ru) Битумно-минер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07902959B (zh) 一种沥青损耗层及其制备方法和用途
RU2521988C1 (ru)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смесь на нано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м вяжущем
KR20100107967A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점토기와 제조방법 및 점토기와의 배합토 조성물
JP5001732B2 (ja) 建築物の基礎地盤材用コンクリート
JP4017609B2 (ja) 流動化処理土の製造方法
Olaniyan et al. Granite fines as a partial replacement for sand in sandcrete block production
JP2015224503A (ja) 流動化処理土とその製造方法
KR20150014026A (ko) 블랙 폴리머 디스퍼션을 사용한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KR102615391B1 (ko) 균열 자기 치유용 pcc 조성물
RU257212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ующей добавки для горячих асфальто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KR102615393B1 (ko) Pcc 혼입 자기 치유 모르타르
RU2541975C1 (ru) Щебеночно-мастичная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смесь
Ngoc et al. Evaluation of effect of blend of limestone and gypsum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ortland blended cement
RU2513897C1 (ru) Состав закладочной смеси
RU2425980C1 (ru) Состав закладочной смеси
Hassan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toxicity characteristic of PetroleuM sludge incorPorated with PalM oil fuel ash and Quarry dust in solidification/stabilization Matr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