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966B1 -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 Google Patents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966B1
KR101240966B1 KR1020100138305A KR20100138305A KR101240966B1 KR 101240966 B1 KR101240966 B1 KR 101240966B1 KR 1020100138305 A KR1020100138305 A KR 1020100138305A KR 20100138305 A KR20100138305 A KR 20100138305A KR 101240966 B1 KR101240966 B1 KR 10124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or node
unit
clock signal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238A (ko
Inventor
김동순
원광호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66B1/ko
Priority to US13/117,207 priority patent/US8542550B2/en
Publication of KR2012007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센서 노드가 제공된다. 본 센서노드는 메모리부 내에 포함된 메모리들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고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한다. 이에 따라, 센서노드는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sensor node enable to manage power individually}
본 발명은 센서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에 관한 것이다.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물, 기계와 기계, 상품과 상품,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조직과 조직 등 무엇이든지 서로 접속하고, 어떤 정보나 행위든지 실시간 또는 필요성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이와 같은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선 인터페이스 기능이 내재된 컴퓨터가 환경과 사물에 심어짐으로써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어 초소형 센서를 통한 주변 공간의 형상 인식 및 지각, 감시, 추적 등이 가능하도록 되어야하며 이러한 정보들이 내재된 컴퓨터들간에 유비쿼터스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정보를 주고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소형의 저전력의 무선 칩셋 기술과 함께 이러한 작은 칩이나 센서 디바이스들을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킹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USN 응용 서비스의 신뢰성 확보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 USN 적용, 장기간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원격 에너지 공급 Chain 기술, 센서노드의 저전력 구조 및 자기유지형 전원 공급 및 획득 방법, 표준화된 센서 인터페이스, 그리고 user-friendly한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경량화 되고, 쉽게 보급될 수 있는 자기유지형 센서노드 플랫폼 및 SoC(System-on-chip)기반의 센서노드를 개발하여 “원격 에너지 공급 Chain 기반의 지속 가능한 USN 인프라 및 서비스 환경 구축”을 위한 쾌적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Green u-life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 및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경의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센서노드는 항상 켜져있어야하므로 전력소모가 심하다. 따라서, 센서노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부 내에 포함된 메모리들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고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는 센서노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는,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고,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 내에 포함된 메모리들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고, 상기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SRAM 및 플래시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SRAM 및 플래시 메모리의 비사용 뱅크들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의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결정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럭신호 생성부는, 상기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24MHz, 16MHz, 및 8MHz 중 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비사용중인 하드웨어 구성의 일부에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관리부는, 데이터의 송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데이터의 수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공급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 내에 포함된 메모리들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고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는 센서노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센서노드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의 감소 정도를 정리한 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조절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G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센서 노드와 본원의 센서노드의 수명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노드(100)는 센서부(110), 메모리부(120), 통신부(130), 전원 관리부(140), 배터리부(150), 클럭신호 생성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센서노드(10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센서 노드(100)가 온도 측정을 위한 것인 경우, 센서부(11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된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 경우, 센서부(110)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가 된다.
메모리부(120)는 센서 노드(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부(12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123)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26)를 포함한다. SRAM(123)은 휘발성 메모리로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버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126)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사용된다. 메모리부(120)는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30)는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센서부(11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통신부(130)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30)는 송신부(133) 및 수신부(136)를 포함한다. 송신부(133)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모듈레이터 (modulator) 및 이외의 송신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부(136)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및 수신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전원 관리부(140)는 메모리부(120) 내에 포함된 메모리들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전원 관리부(140)는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외에도, 전원 관리부(140)는 센서 노드(100)에 포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160) 및 이외의 하드웨어 구성(미도시) 등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원 관리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별개의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원 관리부(140)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별개의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레귤레이터(regulator)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라인을 통해 전력을 각각 공급할 경우, 전원 관리부(140)는 4 채널 레귤레이터(4 channel regula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원 관리부(140)는 각 구성요소들에 적합한 전력을 각각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관리부(140)는 RAM(123) 및 플래시 메모리(126)의 비사용 뱅크들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전원 관리부(140)는 RAM(123) 및 플래시 메모리(126)의 활성화된 뱅크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RAM(123) 및 플래시 메모리(126)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관리부(140)는 통신부(130) 내의 송신부(133) 및 수신부(136) 중 사용되지 않는 유닛에 공급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관리부(140)는 데이터의 송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수신부(136)의 공급 전력을 차단한다. 그리고, 전원 관리부(140)는 데이터의 수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송신부(133)의 공급 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전원 관리부(140)는 이외의 하드웨어 구성(AES security hardware, Peripherals, Hardwied MAC 및 Network function 등)들에 대해서도 사용되지 않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게 된다. 특히, 전원 관리부(140)는 배터리부(150)의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비사용중인 하드웨어 구성의 일부에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원 관리부(140)는 각 구성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개의 라인으로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배터리부(150)는 전원 관리부(140)를 통해 센서 노드(100) 내에 전력을 공급한다.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센서노드(100) 내에서 사용되는 클럭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다양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24MHz, 16MHz, 및 8MHz 의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PLL(Phase-Locked Loop)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배터리부(150)의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결정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클럭신호 생성부(160)는 배터리가 80% 넘게 남은 경우 24MHz의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배터리가 80% 이하 남은 경우 16MHz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며, 배터리가 40% 이하 남은 경우 8MHz 의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럭신호 생성부(160)의 클럭신호의 주파수는 전원 관리부(140)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70)는 센서노드(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170)는 클럭신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센서노드(100)는 내부의 구성 각각에 대해 공급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노드(100)는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전원 공급 그룹(power supply group)이 4개로 나눠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RAM(123)이 전원 공급 그룹 1로, 플래시 메모리(Embeded flash)(126)가 전원 공급 그룹 2로, 송신부(133)가 전원 공급 그룹 3으로, 수신부(136)가 전원 공급 그룹 4로 구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관리부(Power management IC)(140)는 각각의 전원 공급 그룹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개로 조절하게 된다.
또한, 클럭신호 생성부(PLL)(16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Peripherals of embedded microcontroller)(170) 및 AES security hardware(220)의 클럭신호를 조절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관리부(140)는 각 전원 공급 그룹별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고, 클럭신호 생성부(160)의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의 감소 정도를 정리한 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가 24MHz일 경우에 비해, 16MHz인 경우는 8%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고, 8MHz인 경우는 17%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RAM(123)은 1 Kbyte의 뱅크가 비활성화될 때마다 3%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126)는 8 Kbyte의 뱅크가 비활성화될 때마다 9%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에서는 수신부(136)가 비활성화될 경우 소모 전력이 32% 감소되고, 송신부(133)가 비활성화될 경우 소모 전력이 28%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의 하드웨어 구성들 중, AES security hardware가 비활성화될 경우 4%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고, Peripherals가 비활성화될 경우 1~3%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며, Hardwied MAC 및 Network function가 비활성화될 경우 5%의 소모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노드(100)는 전원 관리부(140)를 통해 내부의 구성 각각에 대해 공급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노드(100)는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조절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센서노드(100)는 비사용 중인 플래시 메모리(126)의 뱅크를 비활성화한다(S410). 그리고, 센서노드(100)는 비사용 중인 SRAM(123)의 뱅크를 비활성화 한다(S415). 그 후에, 센서노드(100)는 비활성화된 메모리 뱅크를 제외한 나머지 메모리 뱅크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S420).
그리고, 센서노드(100)는 24MHz의 클럭 주파수로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동작한다(S425). 그 후에,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8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3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80% 이하인 경우(S430-Y), 센서 노드(100)는 클럭 주파수를 16MHz로 변경하여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동작하게 된다(S435).
이 상태에서,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7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4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70% 이하인 경우(S440-Y), 센서 노드(100)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하드웨어 구성인 peripheral을 비활성화하고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S445).
그 후에,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5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5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50% 이하인 경우(S450-Y), 센서 노드(100)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Dedicated Hardware 블럭을 비활성화하고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S455). 이 때, auto ACK, 프레임 블럭, CRC 블럭은 비활성화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4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6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40% 이하인 경우(S460-Y), 센서 노드(100)는 클럭 주파수를 8MHz로 변경하여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동작하게 된다(S465).
그 다음,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3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7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30% 이하인 경우(S470-Y), 센서 노드(100)는 이벤트 구동모드로 동작하게 된다(S475). 여기에서 이벤트 구동모드는 전력 소모를 최소로 하여 동작하는 모드로써, 이 모드에서 센서 노드(100)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센서 노드(100)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1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80). 만약,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30% 이하인 경우(S470-Y), 센서 노드(100)는 현 상태의 정보를 저장한 후에 슬리프(Sleep)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S485). 여기에서, 슬리프 모드는 센서 노드(100)의 필수적인 기능 외에 나머지 기능을 모두 비활성화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센서노드(100)는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뱅크를 비활성화하고, 배터리의 남은 용량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을 각각 전원을 차단하고,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노드(100)는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GUI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를 통해, 배터리의 용량 및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동작되고 있는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 내용은 생략하고 도 1과 대비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0)는 통신부(RF Transceiver)(130), 마이크로 컨트롤러(170), 전원 관리부(Power Management unit)(140), 그리고 전용 하드웨어 블록(Dedicated Hardware block)(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기본적으로 6비트 (Digital-Analog Converter)를 가진 변조기(Modulator)와 4비트 (Analog-Digital Converter)를 가진 복조기(demodulator)로 구성되어 있다. DAC(Digital-Analog Converter)와 ADC(Analog-Digital Converter)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보내거나 받을 때 이용된다. 변조기는 PSDU 포맷을 만들 뿐 아니라 chip sequenc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프레드 시키고, QPSK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시킨다. half sine pulse shaping을 이용하는 OQPSK는 spectral 효율성을 지닌 저가의 수신기를 만들 수 있는 특징을 지닌 MSK변조와 거의 같다.
통신부(130)는 2.4Ghz대역에서 250kbps 데이터율을 지원하며, 송신부(133)는 32chip을 사용하는 DSSS방식을 16 quasi-orthogonal spreading code를 통해 이용한다. 수신부(136)는 패킷 검출, 동기화, 데이터 복원 등 3가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킷 검출 블록은 복호 시작을 위해 신호 전력과 Preamble 데이터를 체크한다. 동기화 단계에서, carrier frequency 동기 블록은 Preamble에 의한 주파수 에러를 추정하기 위해 작동되고, 위상보상 블록은 위상회전을 위해 작동한다. De-spreading 블록 역시 패킷 정보를 가지고 있는 피지컬 헤더를 풀기 위해 동작한다. 데이터 복원 단계에서는, symbol-to-bit 블록이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작동하고, 위상추적 블록은 세밀한 위상에러추적을 시작한다. 게다가, 다른 블록들은 전원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70)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주변장치를 제어한다.
전용 하드웨어 블록(600)은 CRC와 acknowledgement 응답시간과 같은 timing violations 을 체크하기위한 4개의 programmable timer를 지원한다. MAC 프레임 블록은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발생시키며, 수신된 프레임의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MAC 프레임 블록은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CSMA-CA) 프로토콜을 위한 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발생시키고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게다가 AES-128 블록에서는 전송된 payload 데이터의 부호화를 수행한다. Implemented security 블록은 데이터 해독을 수행하며, 해독한 데이터를 MAC 프레임 블록으로 자동적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센서노드(100)는 SRAM(123), 플래시 메모리(126), 송신부(133) 및 수신부(136) 각각에 대해 공급 전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노드(100)는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센서 노드와 본원의 센서노드(100)의 수명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의 제1 그래프(710)는 종래의 센서노드의 수명 그래프이고, 제2 그래프(720)는 본원에 따른 센서노드(100)의 수명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센서노드(100)의 수명이 종래보다 18%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따른 센서노드(100)는 배터리가 오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만큼 전력 소모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SoC(System-on-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노드(100)는 다양한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센서노드 110 : 센서부
120 : 메모리부 130 : 통신부
140 : 전원 관리부 150 : 배터리부
160 : 클럭신호 생성부 170 : 마이크로 컨트롤러

Claims (8)

  1.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고,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각기 다른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클럭신호 생성부; 및
    상기 SRAM 및 플래시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고, 상기 통신부 내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조절하며, 배터리부의 남은 배터리 용량을 기초로 상기 클럭신호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SRAM 및 플래시 메모리의 비사용 뱅크들을 비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뱅크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만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 생성부는,
    상기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24MHz, 16MHz, 및 8MHz 중 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남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비사용중인 하드웨어 구성의 일부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데이터의 송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데이터의 수신만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공급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KR1020100138305A 2010-12-29 2010-12-29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KR10124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305A KR101240966B1 (ko) 2010-12-29 2010-12-29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US13/117,207 US8542550B2 (en) 2010-12-29 2011-05-27 Sensor node enabled to manage power individu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305A KR101240966B1 (ko) 2010-12-29 2010-12-29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38A KR20120076238A (ko) 2012-07-09
KR101240966B1 true KR101240966B1 (ko) 2013-03-11

Family

ID=463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305A KR101240966B1 (ko) 2010-12-29 2010-12-29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42550B2 (ko)
KR (1) KR101240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75A (ko) * 2021-05-31 2022-12-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식 양식장 수질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3724B2 (en) 2014-02-12 2019-03-26 Infineon Technologies Ag Sensor subassembly and method for sending a data signal
DE102014101754B4 (de) * 2014-02-12 2015-11-19 Infineon Technologies Ag Ein sensorbauteil und verfahren zum senden eines datensignals
US9667303B2 (en) * 2015-01-28 2017-05-30 Lam Research Corporation Dual push between a host computer system and an RF generator
KR102028341B1 (ko) * 2016-12-13 2019-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럭 제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소모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0409513B2 (en) 2017-05-08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low memory mode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US10430296B2 (en) 2017-09-29 2019-10-01 Allegro Microsystems, Llc Circuit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in non-volatile memory during a loss of power event
US10839920B2 (en) 2017-09-29 2020-11-17 Allegro Microsystems, Llc Circuit having a low power charge pump for storing information in non-volatile memory during a loss of power ev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773A (ko) * 1999-12-27 2001-07-07 가네코 히사시 휴대 정보 단말 장치 및 전원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20100092662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를 위한 동적 주파수 스케일링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847B2 (en) * 2005-06-30 2010-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monitoring for an electronics system
KR101730824B1 (ko) * 2009-11-30 201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트랜시버 및 무선 전력 시스템
US20110127953A1 (en) * 2009-11-30 2011-06-02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773A (ko) * 1999-12-27 2001-07-07 가네코 히사시 휴대 정보 단말 장치 및 전원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20100092662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를 위한 동적 주파수 스케일링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통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75A (ko) * 2021-05-31 2022-12-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식 양식장 수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547425B1 (ko) * 2021-05-31 2023-06-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식 양식장 수질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0397A1 (en) 2012-07-05
US8542550B2 (en) 2013-09-24
KR20120076238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966B1 (ko) 개별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센서노드
KR102161193B1 (ko)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280444B2 (ja) 無線通信装置、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集積回路、及び方法
US7826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
US7479895B2 (en) Data communication protocol in a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US20150341874A1 (en)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US7782804B2 (en) Remote wireless activation and communication
US6996154B2 (en) Low power dual protocol transceiver
WO2011121690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集積回路
JP4919204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方法
CN103097905A (zh) 用于室内定位的系统和方法
Karvonen et al. A generic wake-up radio based MAC protocol for energy efficient short range communication
JP2012175516A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80158007A1 (en) Data Communication Protocol in a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US20230362818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833680A1 (en) An energy limited node, an access network node, a communications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Aoudia et al. A low latency and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architecture for heterogeneous long-short range communication
US9402231B2 (en)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MAC protocols
JP2018538718A (ja)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接続性
EP29547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ing for multicast and broadcast data
CN1866759B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JP2010278763A (ja) 基地局装置
US10367602B2 (en) Data modulation method for IEEE 802.11 devices to generate low frequency signals
JP2015177284A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CN108668239B (zh) 低功耗并支持一对多交互的无线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