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394B1 -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394B1
KR101240394B1 KR1020100065241A KR20100065241A KR101240394B1 KR 101240394 B1 KR101240394 B1 KR 101240394B1 KR 1020100065241 A KR1020100065241 A KR 1020100065241A KR 20100065241 A KR20100065241 A KR 20100065241A KR 101240394 B1 KR101240394 B1 KR 10124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aper
semi
elastic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4644A (en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김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준 filed Critical 김경준
Priority to KR102010006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394B1/en
Publication of KR201200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5/00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 A47D5/003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attached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질폼층과 이 연질층을 보호하는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의 반경질폼층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은, a)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 금형에 외부 구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기저귀 교환대의 타측 금형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이형제층 상에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유색 코팅층이 형성된 일측 및 타측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순차적으로 제1 무발포 도막층, 연질폼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으로 이루어진 반경질폼(Semi-rigid foam)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는 기저귀 교환대에 체중계 및 신장계를 설치함으로써 기저귀 교환시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고, 기저귀 교환대에 모빌을 설치하여 유아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손쉽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다.Elastic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formed with a flexible foam layer allowing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to have elasticity and a triple layer of semi-foamed foam layer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s protecting the soft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includes the steps of: a) forming an outer structure layer on one side mol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e table; b) forming a release agent layer on the other side mold of the diaper changer to be easily peeled from the mold; c) forming a colored coating on the release agent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And d) forming a semi-rigid foam layer consisting of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a flexible foam layer,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in a spaced portion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mold on which the colored coating layer is formed. It includes. In addition, the elastic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can measure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infant during diaper changing by installing a scale and a height meter on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by setting a mobile on the diaper changing table to turn the eyes of the infant to another place. You can easily change diapers.

Description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저귀 교환대의 재질을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하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per chang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and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produced thereby.

종래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방법은 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를 사용하는 딱딱한 경질 플라스틱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이 대부분이다. 즉, 종래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한 수지를 금형으로 성형하여 탈형하는 방법 또는 사출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어져 왔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diaper changer is mostly a rigid hard plastic diaper chang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That is, in the conventional diaper changing table manufacturing method, the method of shaping | molding and injecting | molding resin which added the hardening | curing agent to polyethylene or a polypropylene ABS resin by a metal mold | die, etc. has been mainly use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의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10)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대(20)와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10)가 벽면에 접힌 상태로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 1, the diaper changing tabl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ounting table 20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Here, reference numeral A denotes that the diaper changing tabl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ttached in a folded state to the wall surface.

이와 같이 제조된 종래의 기저귀 교환대(10)는 딱딱해서 기저귀 교환시에 접촉감이 떨어지고, 피부에 좋지 않으며, 보온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diaper changing table 1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feeling decreases at the time of diaper replacement due to its rigidity, not good for the skin, and poor in heat retention.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1998-056270호(공개일: 1998년 10월 15일), 고안의 명칭: "벽면 부착형 아기 기저귀 교환대"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1998-056270 (published: October 15, 1998), the name of the invention: "Wall-type baby diaper changing table"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06743호(출원일: 2002년 12월 04일), 고안의 명칭: "화장실용 유아 의자 겸용 기저귀 교환대"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6743 (Application date: December 04, 2002), Designated name: "Toilet chair and diaper changing table for toilet"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0041911호(공개일: 2005년 05월 04일), 발명의 명칭: "벨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저귀 교환대 또는 의자"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041911 (published: May 04, 2005), the title of the invention: "belt device and diaper changing table or chair having it"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32051호(출원일: 2007년 04월 30일), 발명의 명칭: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4)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32051 (Application Date: April 30, 2007), the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bath or washbasin and a cushion bath or washbasin produced thereby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질폼층과 이 연질층을 보호하는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의 반경질폼층을 형성한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riple layer formed with a flexible foam layer to allow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s to protect the soft layer. It is to provide a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an elastic formed a semi-rigid foam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저귀 교환대에 체중계 및 신장계를 설치함으로써 기저귀 교환시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per exchange stand having elasticity that can measure the weight and height of an infant during diaper exchange by providing a scale and a height scale on the diaper change stan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저귀 교환대에 모빌을 설치하여 유아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손쉽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per exchange stand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easily changed diaper by installing a mobile on the diaper change stand and turning the eyes of the infant to another pla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은,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 금형에 외부 구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타측 금형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형제층 상에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색 코팅층이 형성된 일측 및 타측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순차적으로 제1 무발포 도막층, 연질폼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으로 이루어진 반경질폼(Semi-rigid foam)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lastic diaper changing tab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is external to one mold Forming a structure layer; b) forming a release agent layer on the other side mold of the diaper changer so as to easily peel off from the mold; c) forming a colored coating layer on the release agent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And d) forming a semi-rigid foam layer composed of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a flexible foam layer,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sequentially in the spaced portion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mold on which the colored coating layer is formed. A step is made.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은,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형제층이 형성된 일측 금형에 제1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타측 금형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형제층 상에 제2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유색 코팅층이 형성된 일측 및 타측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순차적으로 제1 무발포 도막층, 연질폼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으로 이루어진 반경질폼(Semi-rigid foam)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lastic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 forming a first colored coating layer on one side mold having a release agent layer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 b) forming a release agent layer on the other side mold of the diaper changer so as to easily peel off from the mold; c) forming a second colored coating layer on the release agent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And d) semi-rigid foam consisting of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a flexible foam layer,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sequentially in the spaced por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mol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lored coating layers are formed. ) Forming a layer.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외부 구조체층; 및 상기 외부 구조체층 상에 순차 형성된 제2 무발포 도막층, 연질폼층 및 제1무발포 도막층을 갖는 반경질폼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질폼층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the outer structure lay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a semi-rigid foam layer having a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a flexible foam layer, and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structure layer, wherein the semi-foamed foam layer provides a feeling of contact and elasticit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exchange table.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to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ple layer.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유색 코팅층; 및 상기 제1 유색 코팅층 상에 순차 형성된 제1 무발포 도막층, 연질폼층 및 제2무발포 도막층을 갖는 반경질폼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질폼층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the first colored coating lay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a semi-rigid foam layer having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a flexible foam layer, and a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colored coating layer, wherein the semi-foamed inner layer has a contact feeling and elastic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ple layer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의 반경질폼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에 탄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탄성으로 인해 접촉감과 안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triple layer of semi-foamed foam layer having the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contac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It can be used as a bed by improving the feeling and comfort.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교환대에 체중계 및 신장계를 설치함으로써 기저귀 교환시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ce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infant at the time of diaper exchange by providing a weight scale and height gauge on the diaper change 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교환대에 모빌을 설치하여 유아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손쉽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apers can be easily replaced by installing a mobile on the diaper changing table and turning the eyes of the infant to another plac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의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모빌이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체중계 및 신장계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신장계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diagrams each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mobile is installed on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weight scale and the height gauge is installed o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extensometer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의 반경질폼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에 탄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탄성으로 인해 접촉감과 안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체중계, 신장계 및 모빌대를 갖는 탄성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가 제공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riple layer of semi-foamed foam layer having the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such elastic The diaper change tab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have elasticity which can be used also as a bed by improving contact feeling and comfort are provided by this. Also provided is an elastic diaper change table having a weight scale, height scale, and a mobile sta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도면부호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외부 구조체층(101); 및 상기 외부 구조체층 상에 순차 형성된 제2 무발포 도막층(103c), 연질폼층(103b) 및 제1 무발포 도막층(103a)을 갖는 반경질폼층(103); 및 상기 반경질폼층(103) 상에 형성되어 탄성 표면을 제공하는 유색 코팅층(10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t cross section as shown by reference B, and an outer structure lay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e stand. 101; And a semi-rigid foam layer (103) having a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103c), a flexible foam layer (103b), and a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103a)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structure layer. And a colored coating layer 102 formed on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상기 반경질폼층(103)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103b)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103a, 103c)이 형성된 3중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경질폼층(103)은 기저귀 교환대(100)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103b)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103a, 103c)이 형성된 3중층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반경질폼층이고, 제품 성형밀도는 150~400 kg/㎥정도이며, 표면 경도는 Shore C가 3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mi-rigid foam layer 103 may be a triple lay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s 103a and 103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103b so that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provides contact feeling and elasticity. . Specifically,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is the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103a, 103c)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103b so that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provides a feeling of contact and elasticity Polyurethane (Polyurethane) is a semi-formed foam layer formed, the product molding density is about 150 ~ 400 kg / ㎥, the surface hardness is preferably Shore C is about 30 ~ 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상기 반경질폼층(103) 상에 탄성 표면 코팅층인 유색 코팅층(102)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경질폼층(103)이 선택적으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탄성 보호막층)이 연질폼층(발포재층)의 양면에 형성됨(제1 무발포 도막층-연질폼층-제2 무발포 도막층의 3중층)으로써, 기저귀 교환대(100)의 내면층이 접촉감이 좋고, 탄성이 있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충격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I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ed coating layer 102, which is an elastic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and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 May optionally have a color. I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s (elastic protective laye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foaming layer)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flexible foam layer-triple layer of the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has a good contact feeling, elasticity can feel comfortable, and elastic material ensures safety by impact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결합되는 벽면 부착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ll mount that is coupled to be attached to the w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상의 일측에 모빌대 삽입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모빌대 삽입홀(110)에 수직 방향으로 모빌대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모빌대에 모빌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의 기저귀 교환시 잘 울고 짜증을 내는 경향이 있는데 기저귀 교환대(100)에 모빌을 설치하여 유아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손쉽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I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tand insertion hole 110 is formed at one side on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and the mobile stand is perpendicular to the mobile stand insertion hole 110. Is mounted, and the mobile may be installed on the mobile stand. For example, there is a tendency of crying and annoying when changing the diaper of the infant well, but by installing a mobile on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aper by turning the gaze of the infant to another pl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신장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중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ometer install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or installed integrally, A weight scale installed under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may be further includ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한편,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S. 3A to 3E ar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공정은,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2 금형(200b), 예를 들면, 암금형 또는 숫금형에 의해 외부 구조체층(101)을 형성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astic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ure 3a, the second mold (200b), for example, female mold or ma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is formed by a mold.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200a)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제1 금형(200a)에 이형제층(105)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3B, a release agent layer 105 is formed on the first mold 200a of the diaper change table so as to be easily peeled from the first mold 200a.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형제층(105) 상에 유색 코팅층(102)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3C, a colored coating layer 102 is formed on the release agent layer 105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색 코팅층(102)이 형성된 제1 및 제2 금형(200a, 200b) 사이의 이격 부분에 순차적으로 제1 무발포 도막층(103a), 연질폼층(103b) 및 제2 무발포 도막층(103c)으로 이루어진 반경질폼(Semi-rigid foam)(103)층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3D, the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103a and the flexible foam layer (sequentially) are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spaced por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s 200a and 200b in which the colored coating layer 102 is formed. A semi-rigid foam 103 layer composed of 103b)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103c is formed.

결국,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가 제조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3E, a cushion diaper 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외부 구조체층(101) 형성 단계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반경질폼층 형성 단계의 반경질폼층(103)의 발포가 이루어진 이후에 진행할 수도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구조체층(101) 없이 양면의 유색 코팅층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Here, the forming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shown in FIG. 3A may be performed in detail after the foaming of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of the semi-rigid foam layer form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s shown, it may be replaced by a colored coating on both sides without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이들 각 단계의 순서에 따른 수행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단지 이들 각각의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It is premis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steps according to the order of each of these steps, and it is essential that only each of these steps be performed.

이를 전제로 하여 각 단계별로 그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ased on this assumptio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도 3a에 도시된 외부 구조체층(101) 형성 단계는 기저귀 교환대 외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10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은 기저귀 교환대의 외부면을 이루어 기저귀 교환대(100)에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므로 통상의 딱딱한 기저귀 교환대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질의 수지재로 이를 형성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shown in FIG. 3A is a step of forming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having the outer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wherein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to replace the diaper. Since it acts as a structure on the base 100, it can be formed of a hard resin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rigid diaper changing table.

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외부 구조체층(101)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한 수지를 금형으로 성형하여 탈형하는 방법과 사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기저귀 교환대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성의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시 낙하 충격이나 기타 외부 충격에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일정 정도의 연성을 지니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PS, PE, PP, ACRYL, ABS, PVC, PET 등의 범용 플라스틱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은 두께 2~5 mm 정도 되는 시트(Sheet) 형태의 플라스틱을 통상의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전술한 형태의 모양이 되도록 진공 성형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은 기저귀 교환대(100) 외부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로부터 바깥으로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부분은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제거된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may be formed by molding a resin in which a hardener is added to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BS resin, and molding and molding the resin into a mold.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ase, a hard material should be used, and a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ductility that can withstand a drop or other external impact when used is preferable. For example, PS, PE, PP, ACRYL, General purpose plastics such as ABS, PVC, PET are suitable. Preferably,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is manufactured by vacuum molding a sheet-shaped plastic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to 5 mm to a shape of the above-described form using a conventional vacuum molding machine. Here, since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should be formed in the outer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the portion unnecessarily extending outward therefrom is removed through a post-treatment process.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제층 형성 단계는 기저귀 교환대(10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기저귀 교환대 성형면 또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층(105)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금형(200a, 200b)은 FRP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 금형(200a)의 배면을 위로 오게 배치하고, 그 표면에 왁스 등의 이형제를 발라 이형 처리를 함으로써 이형제층(105)을 형성시킨다.Next, as shown in Figure 3b, the release agent layer forming step is to form the release agent layer 105 on the diaper changing table forming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ol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Here, the first and the second mold (200a, 200b) is made of a FRP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mold (200a) is placed face up, release the release process such as wax on the surface The mold release agent layer 105 is formed by doing this.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제층(105)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푹신한 탄성부의 표면을 이루는 광택도가 좋고 탄성이 있으며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한 탄성 표면 코팅층인 유색 코팅층(10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과정에서 형성된 이형제층(105) 위에 유색 코팅층(102)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상기 이형제층(105) 표면에 용제 타입의 아크릴폴리우레탄 코팅제나 수성 또는 유성 타입의 폴리우레탄계 코팅제를 에어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킨 후 건조한다. 이때, 상기 유색 코팅층(102)을 이루는 탄성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파단시 신장률이 50% 이상 되는 연질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Next, as shown in Figure 3c,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105, if necessary, the color coating layer 102, which is an elastic surface coating layer having a good glossiness and elasticity and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forming the surface of the soft elastic portion Can be formed. That is, the colored coating layer 102 may be formed on the release agent layer 105 formed in the above process. As a specific example of this, a solvent type acrylic polyurethane coating agent or an aqueous or oil type poly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105. The urethane-based coating agent is applied by air spraying and then dried. At this time, the e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colored coating layer 102 is preferably used a flexible resin having an elongation of 50% or more when broken.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질폼층(103) 형성 단계에서 기존의 탄성 보호막층과 발포층의 구조를 함께 갖는 반경질폼층(103)(예를 들면, 탄성 보호막층-발포층-탄성 보호막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경질폼층(103)은 인테그랄 스킨폼(Integral Skin Foam: ISF)층이라고도 불린다.Next, as shown in FIG. 3D, in the step of forming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hav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and the foam layer (for example, the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foaming layer) An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is also called an integral skin foam (ISF) layer.

상기 ISF층은 폴리우레탄 반경질폼(Polyurethane semi-rigid foam)으로서, 제품의 성형밀도는 150~400 kg/㎥정도가 되며, 표면 경도는 Shore C가 30~70 정도인 것이 탄성이나 원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ISF층은 2액형의 반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원료를 통상의 교반 방법, 예를 들면, RPM 3,000~5,000 정도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혼합하거나, 저압 발포기 또는 고압 발포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혼합한 후 몰드에 주입 성형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The ISF layer is a polyurethane semi-rigid foam (polyurethane semi-rigid foam), the molding density of the product is about 150 ~ 400 kg / ㎥, surface hardness is about 30 ~ 70 Shore C in terms of elasticity or cost desirable. In addition, the ISF layer is a two-component semi-rigid polyurethane foam raw material is mixed with a conventional stirring method, for example, using a stirrer of about RPM 3,000 ~ 5,000, or the raw material using a low pressure foamer or a high pressure foamer It can obtain by inject-molding in a mold after mixing.

또한, ISF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원료는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각각 중량비로 100대 30~100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material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ISF layer is composed of a main portion and a curing agent portion, these may be mixed in a ratio of 100 to 30 to 100 by weight ratio, respectively.

상기 주제부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필요에 따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머폴리올; 촉매; 발포제; 및 필요에 따라 사슬 연장제나 정포제가 균질하게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OH 관능기가 2~3이며, 분자량이 3000~10000 정도 되는 것으로 40~10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폴리올은 아크릴로니트릴(AN)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의 단량체가 10~45 중량부 분산되어 있으며 수산기가(Hydroxyl value)가 20~60 mgKOH/g인 것이 0~6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슬 연장제로는 2가 알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0~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포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로 개질된 폴리실록산이 0~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는 예를 들어, 3급 아민류로 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인 경우, 물 또는 카보닐엑시드류가 0~2.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 발포제인 경우, CFC-11, HCFC-141b, 펜탄류,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류가 0.1~40 중량부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다.The subject portion is a polyether polyol; A polymer polyol in which monomers of acrylonitrile or styrene-acrylonitrile are dispersed as necessary; catalyst; blowing agent; And a liquid mixture in which the chain extender or the foam stabilizer is homogeneously mixed as necessary. At this time, the polyether polyol is preferably an OH functional group is 2 to 3, the molecular weight is about 3000 to 10000 may include 40 to 100 parts by weight. In addition, the polymer polyol is a monomer of acrylonitrile (AN) or styrene-acrylonitrile (SAN) is dispersed 10 to 45 parts by weight, the hydroxyl value (Hydroxyl value) is 20 to 60 mgKOH / g 0 to 60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hain extender may include a dihydric alcohol,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anolamine, triethanolamine and the like from 0 to 15 parts by weight. In addition, the foam stabilizer may include, for example, 0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siloxane modified with polyether. And the catalyst may be included, for example, 0.1 to 5.0 parts by weight of tertiary amines. In addition, when the blowing agent is a chemical blowing agent, water or carbonyl acid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0 to 2.0 parts by weight, and in the case of a physical blowing agent, CFC-11, HCFC-141b, pentane, methylene chloride or hydrofluorocar The mainstream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0.1 to 40 parts by weight.

또한, 경화제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알콜을 혼합하여 80℃ 정도에서 2시간 이상 반응시켜 NCO%가 20~35 중량%를 갖는 균질한 액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MDI)류,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TDI)류, 또는 MDI와 TDI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알콜은 OH 관능기가 2~3이며, 분자량이 200~6000인 폴리올 2~15 중량부 또는 2가의 알코올 단량체 또는 3가의 알코올 단량체 0.1~1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ing agent portion may be mixed with an alcohol to an isocyanate compound and reacted at 80 ° C. for 2 hours or more to use a homogeneous liquid mixture having an NCO% of 20 to 35% by weight. In this case, as the isocyanate compoun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toluene diisocyanate (TDI), or isocyanates mixed with MDI and TDI may be used. And the alcohol has an OH functional group of 2 to 3, 2 to 15 parts by weight of poly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 to 6000 o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divalent alcohol monomer or a trivalent alcohol monomer may be used.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ISF층은 대한폴리텍(주)의 HA-7120B, HA-7150B 또는 SR-300B의 주제와, HA-7120A, HA-7150A 또는 RS-76A의 경화제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색의 ISF층의 형성을 위해 예를 들면, 상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색 안료를 0.2~5.0 중량부를 첨가 교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유색안료는 유성타입의 통상의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As a specific example, the ISF layer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subject matter of HA-7120B, HA-7150B or SR-300B of Daehan Polytech Co., Ltd. and a curing agent product of HA-7120A, HA-7150A or RS-76A. . Further, for forming the colored ISF layer, for example, 0.2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lored pigment can be obtained by adding and stirring the colored pigmen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colored pigment may be used a conventional product of the oil typ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경질폼층(103)의 형성은 금형(200a, 200b)에 의해 통상의 상/하 몰드를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발포제를 주입하여 발포시키는 방법과 유사하게,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이 내부에 결합한 몰드(200b)와 이형제층(105)이 내부에 결합한 몰드(200a)를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전술한 여러 원료들을 주입하여 성형시킬 수도 있고, 또한, 몰드로부터 분리된 단체(單體) 상태의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과 이형제(105)가 도포된 몰드를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원료를 주입하여 성형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ation of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by the molds (200a, 200b), injecting a foaming agent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foaming foam Similarly,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combines the mold 200b coupled to the inside and the mold 200a coupled to the release agent layer 105 therein, and injects the above-described various raw materials into a space formed therein to form the same. Alternatively, a method in which the external structural layer 101 separated from the mold and the mold to which the release agent 105 is applied is combined, and a raw material is injec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m to apply a molding method. It may be.

이때, 각 몰드의 온도는 30~60℃로 유지하는 것이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제1 금형(200a) 내부에 이형 처리가 된 제2 금형(200b)을 끼우고 전술한 원료로 반경질폼층(103)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금형(200b)을 분리하여 도 3e와 같은 형태를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된 반경질폼층(103) 상면에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을 결합하여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기저귀 교환대(100)를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each mold at 30 ~ 60 ℃ can obtain excellent qualit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second mold 200b subjected to the release treatment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ld 200a to which the release agent is applied, and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is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raw materials. After the formation, the second mold 200b may be separated to obtain a shape as illustrated in FIG. 3E, and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may b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as illustrated in FIG. 3E. The diaper changing table 100 having a cross se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이렇게 형성된 반경질폼층(103) 또는 ISF층은 몰드 내측면 및 외부 구조체층(101)에 맞닿는 양쪽의 표면층은 0.3~3 mm 정도 두께로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103a, 103c)이 형성되고 연달아 그 내부층은 탄성을 갖는 1~20 mm 정도 두께로 연질폼층(103b)을 갖는다.The semi-rigid foam layer 103 or the ISF layer formed in this way, the surface layer on both sides of the mold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has a thickness of about 0.3 to 3 mm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s 103a and 103c. The inner layer formed and successively has a flexible foam layer 103b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to 20 m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경우, 탄성 보호막층(제1 무발포 도막층)-발포층(연질폼층)-탄성 보호막층(제2 무발포 도막층)에 대응하는 반경질폼층(103)을 1회의 공정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무발포 도막층(103a)-연질폼층(103b)-제2 무발포 도막층(103c)의 형성에 소요시간이 15~20분 정도 요구되며, 1회의 공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계면의 불량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며, 또한, 몰드의 눕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이러한 반경질폼층(103)을 만드는 폴리우레탄 원료는 예를 들면, 종래의 속경화의 탄성 보호 도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경질폼층(103) 형성시 안료를 첨가하여 1회의 공정으로 제1 무발포 도막층(103a)-연질폼층(103b)-제2 무발포 도막층(103c) 제조와 동시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rigid foam layer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foaming layer (soft foam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103) can be obtained by one proces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103a, the flexible foam layer 103b, and the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103c is required to be about 15 to 20 minutes, and is manufactured in one ste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the failure of the interface, and furthermor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laying angle of the mold, and moreover, the polyurethane raw material for making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may be, for example,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with an elastic protective coating layer.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amless coating layer 103a-the flexible foam layer 103b-the second foamless coating layer 103c are manufactured in one step by adding a pigment when forming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At the same time color can be give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도면부호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유색 코팅층(102a); 및 상기 제1 유색 코팅층(102a) 상에 순차 형성된 제1 무발포 도막층(103a), 연질폼층(103b) 및 제2 무발포 도막층(103c)을 갖는 반경질폼층(103); 및 상기 반경질폼층(103) 상에 형성되어 탄성 표면을 제공하는 제2 유색 코팅층(102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100 ′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t cross sec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C, and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e table. 1 colored coating layer 102a; And a semi-rigid foam layer (103) having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103a), a flexible foam layer (103b),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103c)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colored coating layer (102a). And a second color coating layer 102b formed on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외부 구조체층(101) 대신에 제2 유색 코팅층(102b)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2 유색 코팅층(102b)은 제1 유색 코팅층(102a)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제1 유색 코팅층(102a), 반경질폼층(103) 및 제2 유색 코팅층(102b)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Compared with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100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ushion diaper change table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colored coating layer instead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Except for forming 102b,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is omitted sinc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at is, the second color coating layer 102b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lor coating layer 102a, and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100 ′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he first color coating layer. 102a, the semi-rigid foam layer 103 and the second colored coating layer 102b may be sequentially formed.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모빌이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5a and 5b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mobile is installed o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모빌대(120)가 모빌대 삽입홀(11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130)이 상기 모빌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유아의 기저귀 교환시 잘 울고 짜증을 내는 경향이 있는데 기저귀 교환대(100)에 모빌(130)을 설치하여 유아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손쉽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A,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with the mobile unit 120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obile unit insertion hole 110. As shown in 5b, a mobile 130 may be mounted on the mobile seat 120. Accordingly,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nds to be crying and annoyed when changing diapers of an infant. You can easily change diapers by turning them away.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체중계 및 신장계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신장계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weight scale and elongation system is installed on the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at an extensometer was formed integrally.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또는 유색 코팅층)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신장계(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외부 구조체층(101)(또는 유색 코팅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중계(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upper one side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or the colored coating layer) 150. It may further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cale 140 installed below the outer structure layer 101 (or colored coating lay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기저귀 교환시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절단 단면으로서,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convenience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infant when changing diapers. Here,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cut cross section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구체적으로, 체중계(140)는 유아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 위치 등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기존의 체중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신장계(150)는 유아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상부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 등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장계(150)는 금형 바닥에 신장계 눈금을 표시하여, 즉,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바닥에 신장계 눈금이 표시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eight scale 140 i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infan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xisting scal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milarly, the extensometer 150 is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infant,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of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Can be. For example, the extensometer 15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so that the extensometer scale is displayed on the bottom of the mold, that is, the extensometer scale is displayed on the bottom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형상은 유아의 연령이나 신장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전술한 모빌(130), 체중계(140) 및 신장계(150)가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와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hape of the cushion diaper change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r height of the infant, and the above-described mobile 130 and scale 140 are described.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ensometer 150 can be suitably combined with the cushioning diaper changing table 100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can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상기 유색 코팅층(또는 외부 구조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신장계(150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색 코팅층(또는 외부 구조체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중계(140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elastic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extensometer 150b formed on top of the colored coating layer (or outer structure layer) It may be included, and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cale 140b installed below the colored coating layer (or the outer structure lay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는 기저귀 교환시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100')의 절단 단면으로서,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the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100 ′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convenience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infant when changing diapers. Here, reference numeral C is a cut cross section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100 ′ having elastic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100': 기저귀 교환대
200a, 200b: 금형
101: 외부 구조체층
102, 102a, 102b: 유색 코팅층
103: 반경질폼층
103a: 제1 무발포 도막층
103b: 연질폼층
103c: 제2 무발포 도막층
105: 이형제층
120: 모빌대
130: 모빌
140, 140b: 체중계
150, 150b: 신장계
100, 100 ': diaper changing table
200a, 200b: mold
101: outer structure layer
102, 102a, 102b: colored coating layer
103: semi-rigid foam layer
103a: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103b: flexible foam layer
103c: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105: release agent layer
120: mobile stand
130: mobile
140, 140b: scale
150, 150b: extensometer

Claims (12)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 금형에 외부 구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타측 금형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형제층 상에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색 코팅층이 형성된 일측 및 타측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일회의 원료 주입 공정을 통해 순차 형성되는 제1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 연질폼층(발포재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반경질폼(Semi-rigid foam)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stand having elasticity,
a) forming an outer structure layer on one mol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e table;
b) forming a release agent layer on the other side mold of the diaper changer so as to easily peel off from the mold;
c) forming a colored coating layer on the release agent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And
d) a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a flexible foam layer (foaming material layer)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film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in a spaced part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mold on which the colored coating layer is formed through a single raw material injection process; Forming a semi-rigid foam layer consisting of a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Cushioned diaper exchange tabl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n elastic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반경질폼층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반경질폼층이고, 제품 성형밀도는 150~400 kg/㎥정도이며, 표면 경도는 Shore C가 3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i-rigid foam layer of step d) is a triple layer of polyurethane foam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so that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provides contact feeling and elasticity. And, the product molding density is 150 ~ 400 kg / ㎥ or so, the surface hardness is Shore C is 30 ~ 70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색상을 부여하도록 반경질폼층 형성시 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d) is a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a pigment in forming the semi-rigid foam layer to give a color.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저귀 교환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형제층이 형성된 일측 금형에 제1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타측 금형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형제층 상에 제2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유색 코팅층이 형성된 일측 및 타측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일회의 원료 주입 공정을 통해 순차 형성되는 제1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 연질폼층(발포재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반경질폼(Semi-rigid foam)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shion diaper changing stand having elasticity,
a) forming a first colored coating layer on one side mold having a release agent lay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er change table;
b) forming a release agent layer on the other side mold of the diaper changer so as to easily peel off from the mold;
c) forming a second colored coating layer on the release agent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And
d) a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a flexible foam layer (foaming material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through a one-time injection process on the spaced part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mol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lor coating layers are formed; Forming a semi-rigid foam layer having a triple layer made of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Cushioned diaper exchange tabl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n elastic comprising a.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외부 구조체층; 및
상기 외부 구조체층 상에 순차 형성된 제2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 연질폼층(발포재층) 및 제1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을 갖는 반경질폼층
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질폼층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In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n outer structure layer corresponding to the diaper changing table shape; And
Semi-foamed layer having a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a flexible foam layer (foaming material layer) and a first non-foaming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structure layer
Including,
And wherein the semi-rigid foam layer is a triple layer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so that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provides contact feeling and elastic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질폼층 상에 형성되어 탄성 표면을 제공하는 유색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5,
An elastic cushion diaper change table further comprising a colore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emi-rigid foam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상의 일측에 모빌대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모빌대 삽입홀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모빌대; 및
상기 모빌대에 설치되는 모빌
을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5,
A mobile st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the mobile stand is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obile stand insertion hole; And
Mobile installed on the mobile stand
Cushioned diaper exchange table further comprising a elastic.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외부 구조체층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신장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5,
Cushioned diaper exchange table is formed on top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or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system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upper one side of the outer structure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중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5,
An elastic cushion diaper exchange table further comprising a weight scale installed under the outer structure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가 벽면에 부착되도록 결합되는 벽면 부착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ushion diaper exchange stand having a resilient cushion diaper change tabl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기저귀 교환대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유색 코팅층; 및
상기 제1 유색 코팅층 상에 순차 형성된 제1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 연질폼층(발포재층) 및 제2 무발포 도막층(탄성보호막층)을 갖는 반경질폼층
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질폼층은 기저귀 교환대 내면층이 접촉감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질폼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무발포 도막층이 형성된 3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In the cushion diaper changing table having elasticity,
A first colored coating layer corresponding to the diaper changing table shape; And
A semi-rigid foam layer having a first non-foamed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a flexible foam layer (foaming material layer), and a second non-foaming coating layer (elastic protective film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colored coating layer.
Including,
And wherein the semi-rigid foam layer is a triple layer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non-foamed coating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foam layer so that the inner surface lay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provides contact feeling and elasticit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질폼층 상에 형성되어 탄성 표면을 제공하는 제2 유색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colored coating layer formed on said semi-rigid foam layer to provide an elastic surface.
KR1020100065241A 2010-07-07 2010-07-07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0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41A KR101240394B1 (en) 2010-07-07 2010-07-07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41A KR101240394B1 (en) 2010-07-07 2010-07-07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44A KR20120004644A (en) 2012-01-13
KR101240394B1 true KR101240394B1 (en) 2013-03-11

Family

ID=456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41A KR101240394B1 (en) 2010-07-07 2010-07-07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3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2A (en) 2016-08-22 2018-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aper exchanging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845B1 (en) * 2013-06-14 2015-02-17 김정근 Cushion Seat for Multipurpose Baby with Cushion and Method for Preparing by the Same
KR102370291B1 (en) * 2021-03-02 2022-04-12 (주) 보르르 Diaper Changing Mat Having Memory Foam Mater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70U (en) * 1997-01-10 1998-10-15 강충신 Wall Mount Baby Diaper Changer
KR100803387B1 (en) * 2006-11-14 2008-02-13 김용범 Batht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2051B1 (en) * 2007-04-30 2008-05-27 김윤섭 Method of preparing cushion bath tub or washbasin and bath tub or washbasin prepared thereb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70U (en) * 1997-01-10 1998-10-15 강충신 Wall Mount Baby Diaper Changer
KR100803387B1 (en) * 2006-11-14 2008-02-13 김용범 Batht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2051B1 (en) * 2007-04-30 2008-05-27 김윤섭 Method of preparing cushion bath tub or washbasin and bath tub or washbasin prepared there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2A (en) 2016-08-22 2018-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aper exchanging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44A (en)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0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 having elasticity and a tub having elasticity
CN105361524B (en) Cushion
US6787078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foam article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CN101541866B (en) Polyurethane foam article
US20040209062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moulded articles and articles having integral skin thus obtained
CN106459333B (en) Flexibel polyurethane expansion-molded article and seat cushion
KR101240394B1 (en) diaper exchanging table with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29430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molded article
CN105615365A (en) Cushion pad
JP2010143221A (en) Interior panel member used in vehicle and forming method therefor
KR101163614B1 (en) A bath tub with cushion and method of preparing bath tub with cushion
US20100132109A1 (en) Bathtub with cush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60222775A1 (en)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for forming composite sprayed polyurethane skins having a low density expanded polyurethane layer
JP2007016107A (en) Interior panel for automobile,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ior panel for automobile
CN103635312B (en) A kind of manufacture method of fabric-foam lami nates
KR20120081282A (en) Folder type diper exchanging table with elastic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75703B1 (en) Method of preparing foot bath with cushion and foot bath with cushion
JP5981703B2 (en) Vehicle floor spacer, and vehicle floor spacer manufacturing method
WO2001032392A9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foam articles, and thus produced articles
KR101419813B1 (en) Foot Bath with Cushion with Handle Fixing Device of Foot Bath and Method thereof
JP2009208564A (en) Vehicular seat p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23001008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and polyurethane foam
JPH0115288B2 (en)
JP2009207614A (en) Vehicle seat pad and method for mak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