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169B1 -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169B1
KR101240169B1 KR1020110087665A KR20110087665A KR101240169B1 KR 101240169 B1 KR101240169 B1 KR 101240169B1 KR 1020110087665 A KR1020110087665 A KR 1020110087665A KR 20110087665 A KR20110087665 A KR 20110087665A KR 101240169 B1 KR101240169 B1 KR 10124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ntrol panel
water treatment
heat exchang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중
권득용
정승화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1008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Air circulating in closed loop within enclosure wherein heat is removed through heat-exchang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와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에 송풍에 의한 냉각으로 인해 제어반의 오동작 또는 수명 단축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처리 시설의 토출 관로를 분기하여 분기된 분기 관로를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부를 냉각하며,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의 주변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생성하는 열교환기; 상기 수처리 시설의 토출량과 토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및 상기 제어반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각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단 유입구와, 상기 하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열교환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상단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어반 외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Control center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와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에 송풍에 의한 냉각으로 인해 제어반의 오동작 또는 수명 단축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시설은 하수 처리장, 정수장, 가압장 등을 말하며, 수처리를 위한 급수량과 급수 시간, 급수 압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어반은 제어용 계기, 스위치 등을 집중하여 놓은 컨트롤부의 일종으로, 지상에 노출되어 설비되는 경우가 많다. 제어반은 태양광에 의한 자연적 요인과, 제어반에 구비되는 인버터(inverter)의 가동에 의한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므로,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이다.
도 1 은 종래의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나타낸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처리 시설물에서는 제어반(35)을 냉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송풍기(31)를 이용하여 제어반 외함부(30)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제어반(35)을 냉각시켰다.
따라서, 종래의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 냉각 장치에서는,
첫째, 외부 공기의 송풍에 의해 제어반을 냉각시키므로, 외부 기후 조건에 따라 제어반의 냉각이 좌우되어, 외부 조건이 고온일 경우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반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오작동과 과열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둘째,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송풍기에 의해 직접 송풍시켜 제어반을 냉각시키므로, 제어반에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제어반의 전기접점에 이물질의 고착, 유입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과 장비의 수명 단축 문제가 있다.
셋째, 다수개의 송풍기를 가동해야 제어반을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 기후 조건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면서, 이물질의 유입없이 작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제어반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처리 시설 제어반을 이물질 유입없이 작은 에너지만으로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한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는, 수처리 시설의 토출 관로(100)를 분기하여 분기된 분기 관로(110)를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부(210)를 냉각하며,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생성하는 열교환기(200); 상기 수처리 시설의 토출량과 토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50); 및 상기 제어반(35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열교환기(200)에서 생성된 냉각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단 유입구(310)와,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열교환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상단 유출구(320)를 구비하는 제어반 외함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는, 상기 하단 유입구(310)에는 냉각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3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는, 상기 열교환기(2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부(2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생성한 뒤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로 토출하도록 송풍부(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는, 상기 열교환부(210)는 내부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 코일로 형성되되, 상기 냉각 코일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방법은, (a) 수처리 시설의 토출 관로(100)를 분기하여 분기된 분기 관로(110)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부(210)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냉각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형성하는 냉각기체 형성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형성된 냉각 기체를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제어반을 냉각시키되,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유입하고, 기체 온도에 따른 비중 차이에 의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기체가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단 유출구(320)로 배출되는 제어반 냉각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어반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는, 수처리 시설의 토출 관로를 분기하여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기에서 냉각 기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반을 냉각시키므로, 외부 기후 조건에 영향이 적으며 짧은 시간내에 제어반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는,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제어반 외함부의 하단 유입구에 필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제어반의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장비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는, 열교환기에 송풍부가 구비되어 있어, 냉각된 열교환부와 외부 유입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 기체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송풍기만으로도 열교환기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어 장비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는, 열교환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냉각 코일로 형성되므로,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늘여 열교환부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 신속하게 냉각 기체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나타낸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활용하여 제어반을 냉각시키기 전의 제어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활용하여 제어반을 냉각시킨 후의 제어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일반적으로 수처리 시설은 상수도 수처리 시설인 가압장과 정수장, 하수 처리장 등이 있다. 상수도의 수처리 시설의 경우,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원수(原水)와 함께 유입된 슬러지나 SS(부유성 혼탁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전조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침전조의 평면형상과 슬러지 제거 방법에 따라 원형 침전조, 스크레이퍼식 장방형 침전조, 경사판식 장방형 침전조, 중력침강식 침전조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수 처리장의 경우,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대기, 수질의 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 환경파괴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가정이나 공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수 및 폐수에 포함되어 방출되는 독성 물질의 증가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고, 이에 따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등의 폐사가 자주 발생되고 있어, 하천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수 및 폐수를 발생시키는 시설들을 대상으로 수질 정화를 위한 수처리시설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처리 시설에서는 유체의 이동 시간, 이동량, 유속 등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어반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제어반은 지속적으로 냉각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와 그 냉각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나타낸 구조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를 활용하여 제어반을 냉각시키기 전과 냉각시킨 후의 제어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수처리 시설물 제어반의 냉각 장치는 열교환기(200), 제어반(350), 제어반 외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열교환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210)와 공기와의 열에너지 교환을 통해 냉각 기체가 생성되는 부위이다. 상기 열교환기(200)에서는 기체의 유동과 액체의 유동이 있다. 먼저 액체의 유동을 살펴보면 수처리 시설의 펌프(120)로부터 액체가 토출되며, 밸브(130)에서 압력이 일부 제어되기도 한다. 상기 펌프(120)는 압력작용에 의해 유체를 관을 통해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에 있는 유체를 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로 압송하는 기계이다. 상기 펌프(120)는 왕복 펌프, 로터리(회전) 펌프, 원심 펌프, 축류 펌프, 마찰 펌프 등 다양한 종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밸브(130)는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밸브(130)는 스톱밸브(글로브밸브 및 앵글밸브), 슬루스 밸브, 체크 밸브, 감압 밸브 등 다양한 밸브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펌프(120)와 상기 밸브(130)에서 제어된 압력으로 토출되는 액체는 토출 관로(100)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이송된다. 상기 토출 관로(100)에서 일부를 분기하여 분기 관로(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분기 관로(110)는 상기 토출 관로(100)에 비해 그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분기 관로(110)를 통해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냉각수로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부(210)를 순환시켜 냉각하는 과정이 상기 열교환기(200)에서의 액체의 유동이다.
상기 열교환기(200)에서의 기체의 유동을 살펴보면,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2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액체의 유동과정에서 냉각수의 순환에 따라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는데, 상기 열교환부(210)는 열에너지를 얻어 온도가 상승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열에너지를 잃어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 기체가 생성되며, 온도가 상승한 상기 열교환부(210)는 상술한 액체의 유동과정이 반복되면서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상기 제어반(350)은 수처리 시설의 토출량과 토출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수처리 시설에서 상기 제어반(350)은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반(350)에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주는 인버터(inverter)가 구비되는데, 인버터에서의 전력 변환시 발열이 발생하므로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는 상기 제어반(35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반(3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한 덮개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는 하단 유입구(310)와 상단 유출구(3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유입구(310)는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200)에서 생성된 냉각 기체가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된다. 상기 상단 유출구(320)는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열교환된 후 외부로 다시 방출되는 출구가 된다.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하단에 형성하고 열교환된 기체가 방출되는 상기 상단 유출구(320)를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단에 형성한 이유는, 기체의 온도 차이에 따른 비중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즉, 차가운 공기는 비중이 커서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하부로 적층되고, 유입된 냉각 공기가 적층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제어반(350)과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온도 상승된 공기는 비중이 작아져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공기 유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에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실시예 1 과 같은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냉각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제어반(350)을 냉각시킬 경우, 외부 기후조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상기 제어반(350)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 에서는 상기 열교환기(200)를 가동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 내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낮시간에는 태양열에 의한 가열과 급수량 증가에 따른 인버터 가동으로 인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 내부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4b 에서는 상기 열교환기(200)를 가동하여 상기 제어반(350)을 냉각시킨 경우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 내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 에 비해, 태양광에 의한 가열과 인버터 가동에 의한 발열이 더해지는 낮시간에도 온도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는 필터(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의 내용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필터(311)는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기 하단 유입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311)는 상기 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냉각 기체가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될 때, 냉각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반(3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 장비에 이물질이 유입, 고착되는 경우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장비의 기대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상기 필터(311)는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러내는 도구인 범위에서 다양한 필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200)에 송풍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의 내용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송풍부(220)는 상기 열교환기(200)의 기체 유동을 돕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부(2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생성한 뒤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냉각 기체를 토출하는데, 상기 송풍부(220)가 이를 위해 기체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열교환기(20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200)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열교환부(210) 주변을 유동하여 공기를 열교환시키며, 냉각된 냉각 기체를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로 유동시킨다.
종래의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의 경우 송풍에 의한 외부 공기 유동으로 직접 냉각 방식을 취하여, 다수개의 송풍 장치가 요구되어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에너지의 낭비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르면 상기 송풍부(220)가 상기 제어반(350)을 직접 냉각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열교환기(200) 내부의 공기 유동만을 담당하게 되므로, 상기 송풍부(220)는 다수개일 필요 없으며 설비 비용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수처리 시설 제어반의 냉각 장치는 상기 열교환부(210)가 냉각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내용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열교환부(210)는 상기 열교환기(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 코일일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21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되어 순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각 코일로 형성된 상기 열교환부(210)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200)의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 면적 및 열교환 시간을 늘여 충분한 열교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210)에는 주변을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을 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방열판 또는 방열핀 등이 구비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 5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제어반(350)을 냉각시킬 수 있다.
(a) 열교환기 냉각단계
수처리 시설의 상기 토출 관로(100)를 분기하여 분기된 상기 분기 관로(110)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부(210)를 냉각시킨다. 상기 열교환부(210)를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는 다시 수처리 시설의 흡입측 관로로 되돌려 진다.
상기 냉각수는 원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물론 수처리된 원수(정수)가 이용될 수도 있다.
(b) 냉각기체 형성단계
상기 열교환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송풍부(220)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c) 제어반 냉각단계
상기 냉각기체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냉각 기체를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제어반을 냉각시킨다. 이 때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유입하고, 기체 온도에 따른 비중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기체가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기 상단 유출구(320)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30 : 제어반 외함부 31 : 송풍기
35 : 제어반
100 : 토출 관로 110 : 분기 관로
120 : 펌프 130 : 밸브
200 : 열교환기 210 : 열교환부
220 : 송풍부
300 : 제어반 외함부 310 : 하단 유입구
311 : 필터 320 : 상단 유출구
350 : 제어반

Claims (5)

  1. 수처리 시설의 토출 관로(100)를 분기하여 분기된 분기 관로(110)를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 코일로 형성되고,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부(210)를 냉각하며,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생성하는 열교환기(200);
    상기 수처리 시설의 토출량과 토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50); 및
    상기 제어반(35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열교환기(200)에서 생성된 냉각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단 유입구(310)와,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냉각 기체가 열교환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상단 유출구(320)를 구비하는 제어반 외함부(300);
    상기 열교환기(2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부(2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생성한 뒤 상기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로 토출하도록 송풍부(220);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수처리 전의 원수 또는 수처리 된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유입구(310)에는 냉각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3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
  3. 삭제
  4.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10)는 상기 냉각 코일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
  5. 제 1항에 의한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처리 시설의 상기 토출 관로(100)를 분기하여 분기된 분기 상기 관로(110)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부(210)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냉각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냉각된 상기 열교환부(210)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냉각 기체를 형성하는 냉각기체 형성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형성된 냉각 기체를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제어반(350)을 냉각시키되,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하단 유입구(310)를 통해 냉각 기체를 유입하고, 기체 온도에 따른 비중 차이에 의해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기체가 상기 제어반 외함부(300)의 상기 상단 유출구(320)로 배출되는 제어반 냉각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어반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방법.
KR1020110087665A 2011-08-31 2011-08-31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KR10124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665A KR101240169B1 (ko) 2011-08-31 2011-08-31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665A KR101240169B1 (ko) 2011-08-31 2011-08-31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169B1 true KR101240169B1 (ko) 2013-03-11

Family

ID=4818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665A KR101240169B1 (ko) 2011-08-31 2011-08-31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070B1 (ko) * 2022-06-21 2023-09-19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데이터 센터용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946U (ko) * 1997-07-10 1999-02-05 유병권 통신기기용 랙의 에어 송풍장치
KR20050053909A (ko) * 2003-12-03 2005-06-10 코디콤(주) 디브이알 냉각장치
KR20110081731A (ko) * 2010-01-08 2011-07-14 서창환 냉각공기를 컴퓨터 본체 내에 유입시켜 냉각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946U (ko) * 1997-07-10 1999-02-05 유병권 통신기기용 랙의 에어 송풍장치
KR20050053909A (ko) * 2003-12-03 2005-06-10 코디콤(주) 디브이알 냉각장치
KR20110081731A (ko) * 2010-01-08 2011-07-14 서창환 냉각공기를 컴퓨터 본체 내에 유입시켜 냉각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070B1 (ko) * 2022-06-21 2023-09-19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데이터 센터용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6247B1 (en) Air-water heat exchange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enhancing the operation thereof
EP2568169B2 (en) Wind turbine with tower climatisation system using outside air
KR101521622B1 (ko) 백연 방지 시스템
KR101585455B1 (ko) 액체 방사성 폐기물의 증발건조 처리장치
CN104748610A (zh) 一种冷却塔冷却系统
JP6680781B2 (ja) 冷却材へのガス注入の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及び原子炉施設
KR101240169B1 (ko) 수처리 시설의 제어반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CN209166169U (zh) 一种废气余热利用装置
CN204421460U (zh) 类密闭循环散热系统
CN208980445U (zh) 一种垃圾焚烧水夹套循环冷却回水系统
KR20150087537A (ko) 폐수와 공기가 혼합된 히트펌프 시스템
CN204115323U (zh) 一种uv装置冷却系统
KR200210614Y1 (ko) 폐기물 소각로의 공기정화장치
CN108128821A (zh) 一种带有过滤器的黑河道暴气及废水再利用设备
CN103359798A (zh) 一种水体总磷消解装置
EA030224B1 (ru) Контур охлаждения двигателя
CN205223440U (zh) 一种预氧炉往复罗拉冷却循环装置
US3363765A (en)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boiler water
CN217979863U (zh) 一种新型的熔炼炉烟气余热采暖系统
CN218821709U (zh) 再生铜冶炼炉排放烟气初级中和设施
CN110176318B (zh) 百万千瓦级核电站冷却水源异常应急处理系统及方法
CN209245411U (zh) 一种具有高效散热功能的电动执行器
AU2011379004A1 (en) Facility for treating thermal oils in solar thermal plants
TWM540686U (zh) 廢水減量裝置
EP3043065A1 (en) Desalinator for offshore wind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